KR20110019830A -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830A
KR20110019830A KR1020090077409A KR20090077409A KR20110019830A KR 20110019830 A KR20110019830 A KR 20110019830A KR 1020090077409 A KR1020090077409 A KR 1020090077409A KR 20090077409 A KR20090077409 A KR 20090077409A KR 20110019830 A KR20110019830 A KR 20110019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e
usb
smart card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익
Original Assignee
(주) 듀얼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듀얼아이 filed Critical (주) 듀얼아이
Priority to KR102009007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830A/ko
Publication of KR2011001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PC/SC 통신 및 USB 통신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는 PC/SC 통신 및 US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원공급 단자(C1, VCC), 초기화 단자(C2, RST), 클록 단자(C3, CLK), 제1 USB 단자(C4, USB D+), 접지 단자(C5, GND), 직렬 입출력 단자(C7, I/O), 제2 USB 단자(C8, USB D-) 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와, 상기 스마트 카드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와, 상기 제1 USB 단자(C4, USB D+) 및 제2 USB 단자(C8, USB D-)와 직접 연결되고, 외부 장비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제공하는 USB 허브 제어부를 포함한다.
스마트 카드, 동글 장치, PC/SC, USB

Description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Smart card dong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for}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카드의 고유 기능 외에 추가 기능이 탑재된 동글 장치 및 상기 동글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카드는 가입자 관련 정보, 인증 관련 정보, 결제 관련 정보 등이 탑재되고,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동글 장치 등에 내장되어 금융, 교통, 통신 등에서 가입자 인증이나 결제 기능 등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스마트 카드의 고유 기능 외에 추가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연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단자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ISO/IEC 7816 규격에 의 하여 표준화된 8개의 단자 배치를 가지며, C1(VCC)는 전원공급 단자, C2(RST)는 초기화 단자, C3(CLK)는 클록 단자, C5(GND)는 접지 단자, C7(I/O)는 직렬 입출력 단자, C4(RFU), C6(RFU), 및 C8(RFU)는 비사용 예비 단자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SIM, 인증서, 뱅킹 어플리케이션 등이 애플릿(Applet) 형태로 탑재되어 고유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가 동글 장치 등에 내장되어 PC 환경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스마트 카드가 MS와 스마트 카드 업계가 제정한 PC/SC 표준에 따라 통신하여야 하고, 어플리케이션들이 애플릿(Applet) 형태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고용량의 데이터 송수신 및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어렵고, 이는 고용량 및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기능을 추가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PC/SC 통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PC/SC 통신 외 다른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에 추가 기능을 부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는 있으나, 이 경우에도 스마트 카드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PC/SC 통신을 사용하여야 하며, PC/SC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면 스마트 카드의 전원이 차단되어 추가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PC/SC 표준은 일정 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 기능 사용에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스마트 카드가 고유 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경우 내부 부하가 가중되어 과도한 열이 발생하고, 특히 좁은 공간의 동글 장치에 내장될 경우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잦은 고장의 원인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스마트 카드의 고유 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PC/SC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스마트 카드의 고유 기능 외에 추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카드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는 PC/SC 통신 및 US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원공급 단자(C1, VCC), 초기화 단자(C2, RST), 클록 단자(C3, CLK), 제1 USB 단자(C4, USB D+), 접지 단자(C5, GND), 직렬 입출력 단자(C7, I/O), 제2 USB 단자(C8, USB D-) 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와, 상기 스마트 카드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와, 상기 제1 USB 단자(C4, USB D+) 및 제2 USB 단자(C8, USB D-)와 직접 연결되고, 외부 장비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제공하는 USB 허브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중앙 처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를 포함하고, SIM(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대용량 디스크(USB DISK), 웹 서버(WEB server), 및 계층적 기억장치 관리 프로그램(HSM: 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인 경우 상기 C1 내지 C3(VCC, RST, CLK), C5(GND), 및 C7(I/0)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 상기 C1(VCC) 및 C5(GND)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C2(RST), C3(CLK), 및 C7(I/O) 단자를 비활성화시키며,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 C1(VCC) 및 C5(GND) 단자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는 단선 프로토콜(C6,SWP)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C6(SWP) 단자와 연결되어 비접촉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가 동작하는 동안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보조 전원을 제공하는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SB 허브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USB 허브 제어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제어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은 C1(VCC), C2(RST), C3(CLK), C4, USB D+), C5(GND), C7(I/O), C8(USB D-) 단자로 구성된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글 장치를 PC/SC 통신 및 USB 통신을 위하여 외부 장비에 접속하는 제1 단계와, 전원 제어부에서 상기 외부 장비의 전원 모드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인 경우 상기 C1 내지 C3(VCC, RST, CLK), C5(GND), 및 C7(I/0)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전원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C1(VCC) 및 C5(GND)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C2(RST), C3(CLK), 및 C7(I/O) 단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성기 전원 모드가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 C1(VCC) 및 C5(GND) 단자를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전원인가 모드는 상기 PC/SC 통신 및 USB 통신이 유지되는 전원 모드이고, 상기 전원제어 모드는 상기 PC/SC 통신은 차단되고 상기 USB 통신이 유지되는 전원 모드이며, 상기 전원해제 모드는 상기 PC/SC 통신 및 USB 통신 모드가 차단되는 전원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는 단선 프로토콜(C6, SWP)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인 경우 상기 C1 내지 C3(VCC, RST, CLK), C5 내지 C7(GND, SWP, I/0)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전원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C1(VCC), C5(GND), 및 C6(SWP)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C2(RST), C3(CLK), 및 C7(I/O) 단자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가 동작하는 동안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보조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에서 전원 모드를 재확인하고, 상기 전원 모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외부 장비의 필터 드라이버에서 전원제어 명령을 후킹하여 전원인가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 또는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 해당 명령을 그대로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에서 전원제어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전원제어 모드로 변경되기 전에 전원인가 명령을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SC 통신 외에 USB 통신을 사용하여 스마트 카드의 고유 기능 외에 고용량 및 고속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PC/SC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USB 통신이 연결되도록 스마트 카드에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PC/SC 통신의 연결이 해제 시에도 추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카드에 주 전원 외에 추가 전원을 공급하여 스마트 카드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스마트 카드의 단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100)는 스마트 카드(110), 전원 제어부(120), USB 허브 제어부(130), 데이터 제어부(140), 및 메모리부(150)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카드(110)는 C4 및 C8 단자를 제외하고는 ISO/IEC 7816 표준에 따른 단자 구조를 가지며, ISO/IEC 7816 표준에서 미사용 예비 단자로 규정된 C4(USB D+) 및 C8(USB D-) 단자를 대용량 및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USB 통신 단자로 사용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카드(110)는 중앙 처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고, SIM(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대용량 디스크(USB DISK), 웹 서버(WEB server), 계층적 기억장치 관리 프로그램(HSM: 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상기 계층적 기억장치 관리 프로그램은 고속 디스크 드라이브를 저속 대량 저장장치의 캐시로 변화시켜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던 파일들을 자동으로 다른 저장매체로 옮겨주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110)는 상기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하드웨어 플랫폼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가상 머신이 탑재된다. 상기 가상 머신은 컴파일된 자바 바이너리 코드와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또는 하드웨어 플랫폼) 간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가상 머신의 하위 계층으로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HAL, Hardware Abstraction Layer)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은 상기 가상 머신과 하드웨어 서비스가 원활히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110)는 PC/SC 통신을 통하여 가입자 인증 또는 뱅킹 등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고, USB 통신을 통하여 대용량 디스크 기능, 웹 서버 기능, OTP(One Time Password) 기능 및 음원, 동영상 고속 전송 기능 등의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USB 허브 제어부(130)는 PC 등의 외부 장비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명령을 수행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담당한다. 특히 상기 USB 허브 제어부(130)는 PC 등의 외부 장비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제어부(120)에 제공하고, USB 통신을 위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의 C4(USB D+) 및 C8(USB D-) 단자와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전원 제어부(120)는 ISO/IEC 7816 표준에 따라 상기 PC/SC 통신 및/또는 USB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110)의 C4(USB D+), C8(USB D-)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단자의 연결을 제어한다.
상기 전원 모드는 PC/SC 통신 및 USB 통신이 유지되는 전원인가 모드, 상기 PC/SC 통신은 차단되고 상기 USB 통신이 유지되는 전원제어 모드, PC/SC 통신 및 USB 통신 모두가 차단되는 전원해제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제어 모드는 상기 PC/SC 통신을 통해 수행되는 가입자 인증 등의 사용이 완료되어 임의적으로 상기 PC/SC 통신이 차단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PC/SC 규정에 따라 일정 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 PC/SC 통신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 모드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110) 단자와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표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전원인가 모드시에는 C1 내지 C3(VCC, RST, CLK), C5(GND), 및 C7(I/0)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전원제어 모드시에는 PC/SC 통신이 차단되더라도 USB 통신은 유지될 수 있도록 C1(VCC) 및 C5(GND) 단자는 활성화시키고, C2(RST), C3(CLK), 및 C7(I/O) 단자는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해제 모드시에는 C1(VCC) 및 C5(GND) 단자를 비활성화시킨다.
표1
단자 전원인가 모드 전원제어 모드 전원해제 모드
C1(VCC) 활성 활성 비활성
C2(RST) 활성 비활성 비활성
C3(CLK) 활성 비활성 비활성
C4(USB D+) 연결 연결 연결
C5(GND) 활성 활성 비활성
C6(RFU) 예비 예비 예비
C7(I/O) 활성 비활성 비활성
C8(USB D-) 연결 연결 연결
상기 데이터 제어부(140)는 상기 USB 허브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USB 허브 제어부(13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부(150)는 상기 데이터 제어부(140)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앞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200)는 스마트 카드(210), 전원 제어부(220), USB 허브 제어부(230), 데이터 제어부(240), 메모리부(250), 통신 제어부(260) 및 안테나(270)를 포함한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카드(210)는 C4, C6 및 C8 단자를 제외하고는 ISO/IEC 7816 표준에 따른 단자 구조를 가지며, ISO/IEC 7816 표준에서 미사용 예비 단자로 규정된 C4(USB D+) 및 C8(USB D-) 단자를 대용량 및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USB 단자로 사용하고, C5(SWP) 단자를 단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단선 프로토콜(Single Wire Protocol) 단자로 사용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220)는 ISO/IEC 7816 표준에 따라 상기 PC/SC 통신 및 USB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2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210)의 단자 연결을 제어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220)는 상기 전원 모드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210) 단자와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표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전원인가 모드시에는 C1 내지 C3(VCC, RST, CLK), C5(GND), 및 C7(I/0)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전원제어 모드시에는 PC/SC 통신이 차단되더라도 USB 통신 및 근 거리 통신은 유지될 수 있도록 C1(VCC) 및 C5(GND) 단자는 활성화시키고, C2(RST), C3(CLK), 및 C7(I/O) 단자는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해제 모드시에는 C1(VCC) 및 C5(GND) 단자를 비활성화시킨다.
표2
단자 전원인가 모드 전원제어 모드 전원해제 모드
C1(VCC) 활성 활성 비활성
C2(RST) 활성 비활성 비활성
C3(CLK) 활성 비활성 비활성
C4(USB D+) 연결 연결 연결
C5(GND) 활성 활성 비활성
C6(SWP) 연결 연결 연결
C7(I/O) 활성 비활성 비활성
C8(USB D-) 연결 연결 연결
상기 통신 제어부(260)는 상기 스마트 카드(210)의 C6(SWP)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동글 장치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안테나(270)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카드(210)의 비접촉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160)는 RF 통신을 지원하는 RF 통신 모듈일 수 있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지원하는 NFC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글 장치가 통신 제어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와 연결되는 안테나(27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210)는 원격 결합 방식인 PICC 및 리더(Reader)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앞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300)는 스마트 카드(310), 전원 제어부(320), USB 허브 제어부(330), 데이터 제어부(340), 메모리부(350), 통신 제어부(360), 안테나(370) 및 보조 전원부(38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전원부(380)는 상기 동글 장치의 포트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카드(310)에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보조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보조 전원부(380)는 전원 모드에 상관없이 동작할 수 있고, 전원 모드에 따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인 경우에 동작하고,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제어 모드 및/또는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카드(310)는 고용량 및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고유 기능 외에 다양한 추가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열 발생이 빈번할 수 있으며, 이는 동글 장치의 주요한 고장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전원부(380)는 상기 스마트 카드(310)에 보조 전원을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310)의 전원을 일정 수준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상기 스마트 카드(310)에서의 발열 현상을 최소화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상술한 동글 장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동글 장치가 PC 등의 외부 장비에 접속되면(S100),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제공되는 전원을 확인하여 전원 모드를 판단한다(S110).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인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의 C1 내지 C3(VCC, RST, CLK), C5(GND), 및 C7(I/0) 단자를 활성화시키고(S120), 전원제어 모드인 경우 C1(VCC) 및 C5(GND)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C2(RST), C3(CLK), 및 C7(I/O) 단자는 비활성화시킨다(S130). 또한,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 C1(VCC) 및 C5(GND) 단자를 비활성화시킨다(S140).
상기 전원인가 모드는 PC/SC 통신 및 USB 통신이 유지되는 전원 모드이고, 상기 전원제어 모드는 상기 PC/SC 통신은 차단되고 상기 USB 통신이 유지되는 전원 모드이며, 상기 전원해제 모드는 상기 PC/SC 통신 및 USB 통신 모드가 차단되는 전원 모드를 나타낸다. 상기 전원제어 모드는 상기 PC/SC 통신을 통해 수행되는 가입자 인증 등의 사용이 완료되어 임의적으로 상기 PC/SC 통신이 차단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PC/SC 규정에 따라 일정 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전원부(180)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동작하는 동안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보조 전원을 제공한다(S150).
이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원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전원 모드를 재확인하고, 변경된 전원 모드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의 단자를 제어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동글 장치의 전원은 PC 등의 외부 장비에 탑재되는 필터 드라이버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 장비의 전원 모드가 전원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필터 드라이버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에서 전송되는 전원제어 명령을 후킹하여 전원인가 모드로 응답하고, 상기 USB 허브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원인가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외부 전원의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 또는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 해당 명령을 그대로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비에서 전원 모드 명령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에서 전원제어 모드로 변경되기 전에 전원제어 모드 응답을 수행하는 대신 전원인가 모드 응답을 수행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원인가 명령을 전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전원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한편, 이러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 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단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구성을 나타 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스마트 카드의 단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스마트 카드의 단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스마트 카드 120: 전원 제어부
130: USB 허브 제어부 140: 데이터 제어부
150: 메모리부 160: 통신 제어부
170: 안테나 180: 보조 전원부

Claims (16)

  1. PC/SC 통신 및 USB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원공급 단자(C1, VCC), 초기화 단자(C2, RST), 클록 단자(C3, CLK), 제1 USB 단자(C4, USB D+), 접지 단자(C5, GND), 직렬 입출력 단자(C7, I/O), 및 제2 USB 단자(C8, USB D-) 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상기 스마트 카드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제1 USB 단자(C4, USB D+) 및 제2 USB 단자(C8, USB D-)와 직접 연결되고, 외부 장비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제공하는 USB 허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중앙 처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SIM(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대용량 디스 크(USB DISK), 웹 서버(WEB server), 및 계층적 기억장치 관리 프로그램(HSM: 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인 경우 상기 C1 내지 C3(VCC, RST, CLK), C5(GND), 및 C7(I/0)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전원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C1(VCC) 및 C5(GND)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C2(RST), C3(CLK), 및 C7(I/O) 단자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 C1(VCC) 및 C5(GND) 단자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 모드는 상기 PC/SC 통신 및 USB 통신이 연결된 전원 모드이고, 상기 전원제어 모드는 상기 PC/SC 통신은 차단되고, USB 통신은 연결된 전원 모드이며, 상기 전원해제 모드는 상기 PC/SC 통신 및 USB 통신이 차단된 전원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단선 프로토콜(C6, SWP)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C6(SWP) 단자와 연결되어 비접촉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가 동작하는 동안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보조 전원을 제공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허브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USB 허브 제어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제어부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10. C1(VCC), C2(RST), C3(CLK), C4, USB D+), C5(GND), C7(I/O), C8(USB D-) 단자로 구성된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글 장치를 PC/SC 통신 및 USB 통신을 위하여 외부 장비에 접속하는 제1 단계;
    전원 제어부에서 상기 외부 장비의 전원 모드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인 경우 상기 C1 내지 C3(VCC, RST, CLK), C5(GND), 및 C7(I/0)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전원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C1(VCC) 및 C5(GND) 단자를 활성화시키고, C2(RST), C3(CLK), 및 C7(I/O) 단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성기 전원 모드가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 C1(VCC) 및 C5(GND) 단자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 모드는 상기 PC/SC 통신 및 USB 통신이 유지되는 전원 모드이고, 상기 전원제어 모드는 상기 PC/SC 통신은 차단되고 상기 USB 통신이 유지되는 전원 모드이며, 상기 전원해제 모드는 상기 PC/SC 통신 및 USB 통신 모드가 차단되는 전원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가 동작하는 동안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보조 전원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후에,
    상기 전원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에서 전원 모드를 재확인하고, 상기 전원 모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제어 모드인 경우 상기 외부 장비의 필터 드라이버에서 전원제어 명령을 후킹하여 전원인가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 또는 전원해제 모드인 경우 해당 명령을 그대로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모드가 전원인가 모드에서 전원제어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전원제어 모드로 변경되기 전에 전원인가 명령을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KR1020090077409A 2009-08-21 2009-08-21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KR20110019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09A KR20110019830A (ko) 2009-08-21 2009-08-21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09A KR20110019830A (ko) 2009-08-21 2009-08-21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30A true KR20110019830A (ko) 2011-03-02

Family

ID=4392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409A KR20110019830A (ko) 2009-08-21 2009-08-21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8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26B1 (ko) * 2016-05-31 2016-11-04 여동균 인증 전원 제어 시스템
WO2020116891A1 (ko) * 2018-12-07 2020-06-11 코나아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용 아이씨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26B1 (ko) * 2016-05-31 2016-11-04 여동균 인증 전원 제어 시스템
WO2020116891A1 (ko) * 2018-12-07 2020-06-11 코나아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용 아이씨 칩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882B2 (en) Optimization of NFC tag for different battery levels
JP5341964B2 (ja) デュアル・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状態の変化に関する完全同時情報
US971308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CN102201843B (zh) 通信设备、通信方法和通信系统
EP2402863B1 (en) Wireless internet access device, SD control chip,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US8160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IM car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modems
KR20130061625A (ko) 배터리 온 및 배터리 오프 모드들에서 nfc 보안 애플리케이션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SG173004A1 (en)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0024878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terminal related information in power-off state
JP2005222194A (ja) 補助演算用コプロセッサ内蔵型icカード及びその制御方法
US9697452B2 (en) Adapter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1835770B1 (en) Power management for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20070164118A1 (en) Keeping a dual-interface object in fully simultaneous operation
KR20110019830A (ko)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EP2022176B1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detachable car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050053557A (ko) 이동통신단말의 알에프 안테나 선택장치
US20080048042A1 (en) Immunity to Variations in Limited Resources, Provided to an Object with a Dual Interface
CN107437952B (zh) 增强型近场通信装置、其操作方法和通信装置
CN104063278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WO2019042260A1 (zh) 上电控制方法、ap芯片及移动终端
JP5636008B2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1177806B (zh) 数据存储设备、基座和数据读写模块
US104235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522762B (zh) 传输接口电路
CN103049223B (zh) 一种硬盘隐藏区的解除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