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135A -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135A
KR20130044135A KR1020120054671A KR20120054671A KR20130044135A KR 20130044135 A KR20130044135 A KR 20130044135A KR 1020120054671 A KR1020120054671 A KR 1020120054671A KR 20120054671 A KR20120054671 A KR 20120054671A KR 20130044135 A KR20130044135 A KR 2013004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wake
electronic devic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778B1 (ko
Inventor
함명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538,354 priority Critical patent/US9225185B2/en
Publication of KR2013004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135A/ko
Priority to US14/983,020 priority patent/US994172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가 배터리를 안전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충전 중 또는 충전 중지 상태에서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 시 일정 시간 경과 후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도록 알람을 설정하고,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서스펜드 모드에서 상기 설정된 알람에 의한 웨이크-업 신호 발생 시 상기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 웨이크-업되어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기기가 배터리를 안전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전자 기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는 휴대의 특성으로 인하여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다.
상기 배터리는 과도한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거나, 고온 또는 저온에서 충전되는 경우 폭발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안전한 충전을 위하여 상기 전자 기기는 충전 중 배터리의 상태(온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배터리의 충전 중에는 상기 전자 기기가 서스펜드(Suspend) 상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전자 기기가 서스펜드 상태로 진입하지 못하고, 배터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충전을 제어함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전류가 소모되어 배터리의 충전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태양열 충전과 같이 충전량이 적은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의 지속적인 구동으로 인하여 열이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열로 인해 배터리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고온으로 인하여 배터리가 폭발한 가능성이 있다.
다른 예로, 서스펜드 상태에서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들을 추가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들을 추가하는 경우 전자 기기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전자 기기가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를 안전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 중 또는 충전 중지 상태에서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 시 일정 시간 경과 후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도록 알람을 설정하고,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서스펜드 모드에서 상기 설정된 알람에 의한 웨이크-업 신호 발생 시 상기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 웨이크-업되어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설정된 일정 시간 경과 후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을 설정하는 알람부; 및 상기 충전부가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 시 상기 알람부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스펜드 모드에서 상기 알람부에 의한 웨이크-업 신호 발생 시 적어도 일부 구성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체크하며,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충전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는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고도, 배터리 충전 중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하여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안전하게 배터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배터리 충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스펜드 모드에서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를 가지지 않는 전자 기기도 배터리의 충전 중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어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전 중에도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어 열이 적게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 중 제어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배터리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로,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nel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 책(Electronic Book) 단말기, 노트북(Notebook) PC, 넷북(Netbook), UMPC(Ultra Mobile Personnel Computer)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서스펜드 모드(Suspend Mode)"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드로, 대기 모드, 휴식 모드, 시스템 절전 모드 등으로 불리 우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스펜드 모드로 통칭하기로 한다.
이하,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는 상기 서스펜드 모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전자 기기가 구동(Running)되고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웨이크-업 모드는 전자 기기의 전체 구성이 웨이크-업되는 풀 웨이크-업 모드(Full Wake-up Mode) 및 상기 전자 기기의 구성 중 충전 제어를 위한 일부 구성만 웨이크-업되는 부분 웨이크-업 모드(Part Wake-up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분 웨이크-업 모드는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온도 센서, 상기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충전을 온 또는 오프 시키기 위한 제어부 및 충전 관리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웨이크-업되고, 기타 구성들은 웨이크-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가 다수의 코어를 포함하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인 경우 하나의 코어만 웨이크-업될 수 있다.
이하, "충전 상태"는 배터리의 충전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이고, "충전 중지 상태"는 고온(예컨대 63 도 이상), 저온(예컨대 - 3 도 이하) 또는 만충으로 인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일시적으로 중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 중 제어부를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전원부(190), 배터리(180), 충전부(170), 충전 인터페이스부(160), 온도 센서(150), 알람부(140), 표시부(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부(160)는 충전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미도시)는 여행용 충전기, USB 충전기, 태양열 충전기 등과 같은 다양한 충전기가 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기기(110)에 포함되는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부(160)는 마이크로 유에스비(Micro USB) 규격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기기(100)의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100)가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부(160)는 무선 충전 패드(미도시)에 포함된 송신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통해 유도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수신 코일(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70)는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된 충전기(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8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부(170)는 안전한 배터리(180) 충전을 위하여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ON/OFF)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부(170)는 배터리(18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저온 기준값(예컨대 -3 도) 이하 또는 고온 기준값(예컨대 63 도) 이상인 경우 오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충전부(170)는 만충 상태(예컨대 충전 전류가 50 mA 이하)인 경우 오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충전부(170)는 충전이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6시간)이상 지속된 경우 오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만충 상태에서 일정 시간(예컨대 30 초) 경과 후 일정 전압(예컨대 50 mV) 이상의 전압 드랍이 발생한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전압(예컨대 4.1 V)이하인 경우 상기 충전부(170)는 온되어 배터리(180)를 재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70)는 배터리(180)의 안전한 충전을 위하여 기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온/오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부(170)는 PQ(PreQualification) 임계값(예컨대 3.0V) 이하인 경우 고속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180)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니켈 전지, 카드뮴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리튬-이온 전지, 리튬-폴리머 전지, 화학 전지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80)는 전원부(190)를 통해 전자 기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0)는 배터리(18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자 기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90)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가 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50)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150)는 배터리(180)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50)는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배터리(180)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온도 센서(150)는 상기 배터리(18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센서(150)는 써미스터(Thermistor)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온도 측정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40)는 기 설정된 알람 시간(예컨대 30 초)이 경과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람부(140)는 전자 기기(100)의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 시 또는 부분 웨이크-업 모드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재진입 요청 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알람부(140)의 알람은 서스펜드 모드 진입 시 또는 부분 웨이크-업 모드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재진입 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람부(140)는 풀 웨이크-업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알람 주기마다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알람부(140)는 RTC(Real Time Clock) 또는 타이머(Time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전자 기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30)는 전자 기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홈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일정 관리 화면, 주소록 화면, 웹 페이지 출력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시부(130)는 충전 관련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부분 웨이크-업 모드에서 배터리(180)가 충전 상태에서 충전 중지 상태로 변경되거나, 충전 중지 상태에서 충전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서스펜드(Suspend) 모드 진입 시 오프(OFF)되고, 부분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시 온(ON)되지 않으며, 풀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시 온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부(미도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전자 기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동영상 파일, 게임 파일, 음악 파일, 영화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장부(120)는 배터리(180)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관리 프로그램은 폴링(Polling) 방식으로 배터리(180)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 관리 프로그램은 배터리(180)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온도 센서(150)를 통해 배터리(180)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관리 프로그램은 배터리(180)의 전압, 전류, 배터리(180) 또는 충전기의 삽입/제거, 만충/방전 여부, 재충전 조건 등을 체크하여 충전부(170)의 온/오프 및 충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 관리 프로그램은 서스펜드 모드에서 알람부(140)에 의해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시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이유를 체크하는 루틴, 상기 체크 결과 알람부(140)의 알람 주기에 의한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이유만 존재하는 경우 온도 센서(150)를 통해 배터리(180)의 상태를 체크하는 루틴, 상기 배터리(180)의 상태가 상기 배터리(180)를 안전하게 충전하기 위해 기 설정한 충전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충전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충전부(170)를 오프시켜 배터리(180)의 충전을 중지시키고, 상기 충전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충전부(170)를 온시켜 배터리(180)를 충전시키는 루틴 및 상기 배터리(180)의 상태에 따라 충전부(170)의 온/오프 제어 후 알람을 재설정하며, 서스펜드 모드로 재진입을 요청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 관리 프로그램은 레지스터(Register) 또는 시스템 메모리 영역을 리드(Read)하여 상기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관리 프로그램은 커널(Kernel)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User Application) 영역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전자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기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Unit : M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상기 충전부(170)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에서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 시 상기 알람부(140)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70)의 인에이블 상태는 충전기가 충전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배터리(180)를 충전 중인 상태 및 만충 또는 고온/저온으로 인하여 충전이 일시 중지된 상태를 포함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충전부(170)의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는 충전기가 충전 인터페이스부(160)에 미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서스펜드 모드 상태에서 상기 알람부(140)에 의한 웨이크-업 신호 발생 시 상기 제어부(110)는 적어도 일부 구성을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가 다수의 코어를 포함하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인 경우 하나의 코어만을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배터리(18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150)를 활성화하고, 상기 충전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의 구성만을 온시키는 것은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배터리(180)의 온도를 체크하며,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충전부(170)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70)를 온 또는 오프한 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알람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인터럽트 처리부(111), 배터리 상태 판독부(112) 및 충전 제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럽트 처리부(111)는 알람부(140)에 의해 발생하는 인터럽트 신호(웨이크-업 신호) 및 다양한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터럽트 처리부(111)는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이유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상태 판독부(112)는 배터리(180)가 충전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터리 상태 판독부(112)는 서스펜드 모드에서 알람부(140)에 의해 웨이크-업 되었을 때, 온도 센서(150)를 통해 배터리(180)의 온도를 체크하고, 체크된 온도를 기반으로 배터리 상태가 상기 충전 조건에 적합한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상태 판독부(112)는 배터리(180)의 현재 온도가 저온 기준값 초과 고온 기준값 미만인 경우 충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상태 판독부(112)는 판독 결과를 충전 제어부(113)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부(113)는 충전부(170)의 온/오프, 충전 전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제어부(113)는 서스펜드 모드에서 알람부(140)에 의해 웨이크-업 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 상태 판독부(112)로부터 전송받은 판독 결과에 따라 충전부(170)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제어부(113)는 배터리(180)의 온도가 충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충전부(170)를 온시키고, 상기 배터리(180)의 온도가 충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충전부(17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 기기(100)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301 단계에서 충전 중 또는 충전 중지 상태에서 서스펜드 모드(Suspend Mode) 진입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은 일정 시간 이상 아무런 입력이 없는 경우 또는 서스펜드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키 또는 메뉴 신호 입력 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3 단계에서 알람을 설정하고, 305 단계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일정 시간(예컨대 30 초) 경과 후 상기 전자 기기(1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을 웨이크-업(Wake-up)시키는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알람을 설정하고,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RTC(Real Time Clock) 또는 타이머(Timer)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람 발생 시 전자 기기(100)의 구성 전체가 웨이크-업되거나, 배터리(180)의 충전 관리를 위한 일부 구성만 웨이크-업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전류 소모를 고려하여 일부 구성만 웨이크-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10)는 307 단계에서 알람에 따른 인터럽트 발생 시 웨이크-업되어 배터리 상태를 체크하고, 309 단계에서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배터리(180)의 충전을 제어(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온도 센서(150)를 통해 배터리(180)의 온도를 체크하고, 상기 배터리(180)의 온도가 기 설정된 고온 기준값(예컨대 63 도) 이상이거나, 저온 기준값(예컨대 -3 도) 이하인 경우 배터리(180)의 충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는 배터리(180)의 폭발과 같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배터리(180)의 온도가 -3 도 초과 63 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배터리(180)를 충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311 단계에서 서스펜드 모드의 재진입을 요청하고, 3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 시 알람을 설정하고, 상기 알람 시 배터리(180)의 충전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기기(100)의 일부 구성이 웨이크-업되어 배터리(180)의 상태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에 따라 충전을 제어한 후 서스펜드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401 단계에서 서스펜드 모드 진입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드 모드 진입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03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악 재생 기능, 통화 기능, 촬영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서스펜드 모드 진입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05 단계로 진행하여 충전 또는 충전 중지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또는 충전 중지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409 단계로 진행하여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충전 또는 충전 중지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07 단계로 진행하여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일정 시간(예컨대 30 초) 경과 후 상기 전자 기기(100)의 일부 구성을 웨이크-업(Wake-up)시키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RTC 또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알람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9 단계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10)는 411 단계에서 웨이크-업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411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413 단계에서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이유를 체크하고, 415 단계에서 상기 알람 이외에 다른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이유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이유는 레지스터 또는 시스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설정된 알람 이외에 다른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알람에 의한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이유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17 단계로 진행하여 배터리(180)의 충전 관리를 위하여 전자 기기(100)의 일부 구성만을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인 경우 하나의 코어만을 웨이크-업시키고, 온도 센서(150), 저장부(120)의 구성을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100)의 일부 구성이 웨이크-업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19 단계에서 배터리(180)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온도 센서(150)를 통해 배터리(180)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421 단계에서 충전 가능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배터리(180)의 온도가 저온 기준값(예컨대 -3 도) 초과 고온 기준값(예컨대 63 도) 미만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421 단계에서 충전 가능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23 단계로 진행하여 배터리(180)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충전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충전 중이었던 경우 충전 상태를 유지하고, 충전 중지 상태이었던 경우 충전을 재개하도록 충전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421 단계에서 충전 불가능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25 단계로 진행하여 배터리(180)의 충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충전 중이었던 경우 충전을 중지시키고, 충전 중지 상태이었던 경우 충전 중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충전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427 단계에서 풀 웨이크-업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풀 웨이크-업 이벤트는 충전기(미도시) 제거 시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풀 웨이크-업 이벤트는 통화 수신, 문자 수신, 키 입력 등과 같이 다양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27 단계에서 풀 웨이크-업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407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알람을 설정하고, 서스펜드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427 단계에서 풀 웨이크-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29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전자 기기(100)의 전체 구성을 웨이크-업 시키고, 431 단계에서 해당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통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통화 수신을 알리는 무음, 진동 및 벨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통화 수신 화면을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431 단계에서 해당 이벤트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1 단계로 복귀(Return)할 수 있다. 이때, 풀 웨이크-업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10)는 배터리(180)의 상태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에 따라 배터리(180)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401 내지 431 단계는 충전기(미도시)가 제거될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스펜드 모드 진입 시 알람을 설정하고, 알람 주기마다 충전 제어를 위한 구성들이 웨이크-업시켜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고,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충전 온/오프를 제어한 후 서스펜드 모드로 재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중에도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 서스펜드 모드에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자 기기가 다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다수의 배터리를 순차적으로 체크하여 충전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가 3개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충전 제어 방법은 제1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여 충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제2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여 충전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제3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여 충전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전자 기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표시부
140 : 알람부 150 : 온도 센서
160 : 충전 인터페이스부 170 : 충전부
180 : 배터리 190 : 전원부

Claims (15)

  1.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중 또는 충전 중지 상태에서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 시 일정 시간 경과 후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도록 알람을 설정하고,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서스펜드 모드에서 상기 설정된 알람에 의한 웨이크-업 신호 발생 시 상기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 웨이크-업되어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을 재설정하고,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재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 웨이크-업되는 단계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 발생 시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한 이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웨이크-업 이유가 상기 알람에 의한 웨이크-업 이유만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전체 구성 중 충전 제어를 위한 일부 구성만을 웨이크-업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웨이크-업 이유가 상기 알람에 의한 웨이크-업 이외에 다른 이유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전체 구성을 웨이크-업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상태가 기 설정된 충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충전을 온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상태가 상기 충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충전을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가 온에서 오프로 변경되거나,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 시 이를 알리는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8.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설정된 일정 시간 경과 후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을 설정하는 알람부; 및
    상기 충전부가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서스펜드 모드 진입 요청 시 상기 알람부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스펜드 모드에서 상기 알람부에 의한 웨이크-업 신호 발생 시 적어도 일부 구성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체크하며,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충전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를 온 또는 오프한 후 상기 알람을 재설정하고,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재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 발생 시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한 이유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웨이크-업 이유가 상기 알람에 의한 웨이크-업 이유만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전체 구성 중 충전 제어를 위한 일부 구성만을 웨이크-업 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웨이크-업 이유가 상기 알람에 의한 웨이크-업 이외에 다른 이유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전체 구성을 웨이크-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온도가 기 설정된 충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충전부를 온시키고, 상기 배터리 온도가 상기 충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충전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가 온에서 오프로 변경되거나,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 시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써미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리얼 타임 클락(Real Time Clock) 또는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장치.
KR1020120054671A 2011-10-21 2012-05-23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7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38,354 US9225185B2 (en) 2011-10-21 2012-06-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US14/983,020 US9941724B2 (en) 2011-10-21 2015-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0011P 2011-10-21 2011-10-21
US61/550,011 2011-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135A true KR20130044135A (ko) 2013-05-02
KR101870778B1 KR101870778B1 (ko) 2018-06-25

Family

ID=4865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671A KR101870778B1 (ko) 2011-10-21 2012-05-23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7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626A (ko) *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553911B2 (en) 2014-08-26 2020-02-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battery driving apparatus
KR20210097305A (ko) * 2020-01-30 2021-08-09 (주)미섬시스텍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전원공급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045683A1 (zh) * 2021-09-26 2023-03-30 荣耀终端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电子设备及充电控制系统
CN116865407A (zh) * 2023-09-04 2023-10-10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182B1 (ko) 2009-05-28 2015-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3911B2 (en) 2014-08-26 2020-02-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battery driving apparatus
KR20160129626A (ko) *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097305A (ko) * 2020-01-30 2021-08-09 (주)미섬시스텍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전원공급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045683A1 (zh) * 2021-09-26 2023-03-30 荣耀终端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电子设备及充电控制系统
CN116865407A (zh) * 2023-09-04 2023-10-10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及终端设备
CN116865407B (zh) * 2023-09-04 2024-03-0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778B1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1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KR101762520B1 (ko) 애플리케이션 작업들로부터 사용자 의도 및 미래의 상호작용 예측
KR101870778B1 (ko)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US8037331B2 (en) Energy efficient method to wake host system for charging battery powered portable devices via bus powered external i/o ports
US1105690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and method of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US9568983B1 (en) Power cut off mode for conserving power in electronic devices
JP6799754B2 (ja) バッテリ制御装置、電子機器、バッテリパック及びバッテリ制御方法
KR102144589B1 (ko) 전자장치에서 급속충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TW201407479A (zh) 在處理器核心間排程任務之技術
US103943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612536B2 (en) Pre-set discharging of batteries
KR102125507B1 (ko) 배터리 충전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6119735A (ja) 電子時計及び電子機器
US9967825B2 (en) Environmentally aware mobile computing devices
EP2889719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power usage in a processor
US20230409105A1 (en) Avoiding damage to universal serial bus sink switch device
JP201705065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4076892A (zh) 一种电源管理方法及电源管理系统
JP5670967B2 (ja) 携帯式情報端末装置のパワー・ステートを制御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式情報端末装置
CN107179819B (zh) 预防电池膨胀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10148992B (zh) 一种充电控制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7135030B2 (ja) 満充電検出装置、二次電池、電子機器、及び満充電検出方法
JP5794031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