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673B1 - 장식무늬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장식무늬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673B1
KR101395673B1 KR1020130010997A KR20130010997A KR101395673B1 KR 101395673 B1 KR101395673 B1 KR 101395673B1 KR 1020130010997 A KR1020130010997 A KR 1020130010997A KR 20130010997 A KR20130010997 A KR 20130010997A KR 101395673 B1 KR101395673 B1 KR 10139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ultraviolet
metal plate
curable resi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석
최준혁
지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
Priority to KR102013001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45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film forming compositions cured by mechanical wave energy, e.g. ultrasonics, cured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or cur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e.g. electric discharge,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무늬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판재의 표면에 소정 두께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수지코팅단계와,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금속판재의 표면에 코팅된 자외선경화수지층에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해 장식무늬형성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으로 상기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와, 상기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을 통해 자외선이 투과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수지층을 경화시켜주는 자외선조사단계로 구성되는 장식무늬 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이 형성되는 금속판재의 표면은 자외선경화수지층에 형성되는 정밀한 바탕무늬와 장식무늬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도록 반사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이 형성되는 금속판재의 표면에는 자외선경화수지층에 형성되는 바탕무늬와 장식무늬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는 금속박막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재의 반사면에 형성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에는 상기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의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와 장식무늬형성 요철부가 함께 형성되어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을 한차례 눌러주는 단계로 정밀한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자외선경화수지층에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장식무늬 인쇄방법{Decorating pattern printing mathod}
본 발명은 장식무늬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도어 등을 구성하는 금속판재와 같은 불투명 판재의 표면에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정밀하고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형성시키는 공정을 간소화하고 친환경적이면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무늬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및 유리 등의 표면에 장식무늬를 인쇄하는 방법으로는 실크스크린 인쇄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 와서는 자외선경화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경화수지를 이용한 인쇄방법은 도 7 내지 도 9의 도시와 같이 인쇄하고자 하는 투명한 유리 및 플라스틱 등의 투명판재(100)의 일면에 소정 두께로 자외선경화수지층(110)을 도포한 다음 상기 자외선경화수지층(110) 위에 인쇄하고자 하는 장식무늬(120)를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의 요철무늬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합성수지금형(140)을 올려놓고, 상기 합성수지금형(14)을 투명한 PVC, PET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가압금형(150)으로 눌러주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금형(140)에 형성된 복수의 요철무늬부(130)에 자외선경화수지층(110)의 자외선경화수지가 충진되는 것이며, 이어서 투명 합성수지로 제작된 가압금형(150)을 통해 자외선램프를 조사하게 되면 자외선이 상기 투명한 가압금형(150)과 합성수지금형(140)을 투과하여 자외선경화수지층(110)에 조사되며, 이에 의해 상기 자외선경화수지층(110) 전부가 경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완료한 다음에는 상기한 가압금형(150)과 합성수지금형(140)을 차례대로 분리하게 되면, 상기 투명판재(100)의 일면에는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경화수지층(110)과 그 일면에 장식무늬(120)가 경화된 상태로 형성(도 8 참조)되어 있게 되며, 이어서 상기한 자외선경화수지층(110)의 전체에 금속박막층(160)(도 9 참조)을 증착 형성하여 장식무늬(120)을 보호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자외선경화수지층(110)과 그에 형성된 장식무늬(120)에 금속박막층(160)이 증착되어 있게 되면 상기한 금속박막층(160) 자체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금속박막층(160)을 통해서는 장식무늬(12)를 관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관찰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자외선경화수지층(110) 및 금속박막층(160)이 형성된 투명판재(100)의 반대쪽 면을 바라보게 되며, 이때 관찰자의 시야에 보이는 것은 금속박막층(160)에 의해 반사되는 장식무늬(120)를 관찰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관찰자는 정밀성 및 입체성이 떨어진 장식무늬(120)를 관찰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 금속장식무늬의 소재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내스크리치성이 매우 우수한 유리에서부터 Real Metel을 이용한 금속장식재를 가전제품의 외장재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상기한 Real Metal을 가전제품의 외장재로 사용한 것은 국내외를 통틀어 기존에 많이 사용되어왔던 방법이나, Real Metal의 경우는 금속표면에 헤어라인과 같은 기본적인 패턴을 도입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Real Metal의 표면에 실크스크린 공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들이 최근에 적용되어지고 있는데, 실크스크린 공법의 한계로 인하여 정밀한 감성디자인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0 내지 도 15의 도시와 같이 표면에 정밀한 바탕무늬(210)가 가공 형성된 금속판(200)을 사용하여 자외선경화수지로 장식무늬(220)를 형성시키는 인쇄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인쇄방법은, 도 10의 도시와 같이 금속판재(200)의 표면에 정밀하게 형성된 바탕무늬(210) 위에 자외선경화수지층(220)을 소정 두께로 도포하고, 도 11의 도시와 같이 요철무늬(240)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합성수지금형(230)으로 자외선경화수지층(220)을 눌러주며, 도 12의 도시와 같이 조사공(260)과 차단부(270)가 교대적으로 형성된 가압금형(250)으로 상기한 투명한 합성수지금형(230)을 눌러주는 공정으로 합성수지금형(230)에 형성된 요철무늬(240)에 자외선경화수지층(220)이 충진되도록 하여 상기 자외선경화수지층(220)에 장식무늬(280)가 인쇄되도록 형성한 다음, 도 13의 도시와 같이 자외선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조사공(260)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에 노출된 부분은 경화하는 한편, 차단부(270)에 의해 자외선이 차단된 부분은 경화되지 않게 된다.
한편, 투명한 합성수지금형(230)의 표면에 블랙인쇄를 부분적으로 실시하여 차단부(270)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자외선경화수지층(220)을 경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경화수지층(220)을 경화시킨 다음, 상기한 가압금형(250)과 투명한 합성수지금형(230)을 차례로 분리시키게 되면 도 14의 도시와 같이 금속판재(200)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자외선경화수지층(220)에는 요철무늬(240)에 의해 형성된 장식무늬(280)와 가압금형(250)의 차단부(270)에 의해 자외선이 차단되므로 경화되지 아니한 미경화부분(290)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금속판재(200)의 표면에 경화된 장식무늬(280)만 남아있게 하기 위해 알콜계 용제 및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현상하게 되면 도 15의 도시와 같이 금속판재(20))의 표면에는 장식무늬(280) 부분만 남아있고 미경화부분(29)은 제거되므로 결국 미경화부분(29)에 의해 은폐되어 있던 바탕무늬(210)가 장식무늬(280)와 함께 외부로 표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금속판재(200)의 표면에 바탕무늬(210)를 정밀하게 가공하는데 따른 정밀가공비가 너무 비싸고,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실시에 많은 제약이 뒤따른다.
또한 도 13에서와 같이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되지 않은 자외선경화수지층(220)을 에탄올이나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현상하는 과정에서 도 15의 도시와 같이 금속판재(200)의 바탕무늬(210) 표면에 경화된 장식무늬(280)가 내용제성이 부족할 경우에 에탄올이나 유기용제에 의하여 침식을 받아서 표면 광택이 떨어지게 되거나 형태가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식무늬(280)를 형성시키기 위한 자외선경화수지층(220)의 수지재료를 선택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금속판재의 표면 자체에 정밀한 바탕무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알콜계 용제를 이용한 현상작업을 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금속판재의 표면에 자외선경화수지를 이용하여 장식무늬와 함께 정밀한 바탕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인쇄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금속판재의 표면에 소정 두께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수지코팅단계와,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금속판재의 표면에 코팅된 자외선경화수지층에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해 장식무늬형성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으로 상기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와, 상기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을 통해 자외선이 투과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수지층을 경화시켜주는 자외선조사단계로 구성되는 장식무늬 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이 형성되는 금속판재의 표면은 자외선경화수지층에 형성되는 정밀한 바탕무늬와 장식무늬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도록 반사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금속판재의 반사면에 형성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에는 상기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의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와 장식무늬형성 요철부가 함께 형성되어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을 한차례 눌러주는 누름단계로 정밀한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자외선경화수지층에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이 형성되는 금속판재의 표면에는 자외선경화수지층에 형성되는 장식무늬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는 금속박막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박막층은 알루미늄, 니켈, 크롬, 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판재의 표면에 자외선경화수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장식무늬와 함께 바탕무늬를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알콜계 용제로 씻어내는 현상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금속표면에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한차례의 누름단계로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금속판재의 표면에 장식무늬와 바탕무늬를 형성시킨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금속판재 표면에 장식무늬와 바탕무늬를 형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일실시예의 장식무늬 인쇄방법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금속판재의 표면에 장식무늬와 바탕무늬를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종래 기술의 장식무늬 인쇄방법 공정도
도 10 내지 도 15는 다른 종래 기술의 장식무늬 인쇄방법 공정도
도 16은 또다른 종래 기술의 장식무늬 인쇄방법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무늬 인쇄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은 금속판재를 나타낸다.
도 1의 도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금속판재(1)의 표면(11)에는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도록 연마가공되어 있으며, 상기한 표면(11) 위에는 정밀한 구조로 형성된 바탕무늬(2)와 상기 금속판재(1)의 표면(11)에 나타내고자 하는 장식무늬(3)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도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금속판재(1)의 표면에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도록 알루미늄, 니켈, 크롬, 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재질로 금속박막 증착층(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박막 증착층(4) 위에 바탕무늬(2)와 장식무늬(3)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판재(1)의 표면에 바탕무늬(2) 및 장식무늬(3)를 형성시키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지만, 상기 바탕무늬(2) 및 장식무늬(3)를 금속판재(1)의 표면에만 인쇄 형성시키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판재(1)와 같이 불투명한 소재 예를 들면, 플라스틱, 목재 등의 소재 표면에도 자외선경화수지를 이용하여 바탕무늬(2)와 장식무늬(3)를 인쇄하여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금속판재(1)는 물론이고 플라스틱, 목재 등의 불투명 소재의 표면에 자외선경화수지를 이용하여 바탕무늬(2) 및 장식무늬(3)를 인쇄 형성하는 발명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식무늬 인쇄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도시는 수지코팅단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수지코팅단계는 금속판재(1)의 표면(11)은 자외선경화수지층(5)을 소정 두께로 형성시키기 전에 상기 금속판재(1)의 표면이 거울과 같은 반사면이 형성되도록 연마가공되어 있으며, 상기한 표면(11) 위에 자외선경화수지층(5)이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3의 도시는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는 투명 합성수지금형(6)에 형성되어 있는 장식무늬형성 요철부(61)와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62)로 금속판재(1) 표면(11)에 코팅되어 있는 자외선경화수지층(5)을 눌러주는 단계이다.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6)에 형성된 장식무늬형성 요철부(61)는 상기 금속판재(1)의 표면(11)을 통해 나타내기 위한 장식무늬(3)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탕무늬형성 요철부(62)는 금속판재(1)의 표면(11)에 정밀한 구조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스틸 판재의 표면에 헤어라인 무늬패턴과 같은 미세한 구조의 바탕무늬(2)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6)의 장식무늬형성 요철부(61) 및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62)로 금속판재(1)의 표면(11)에 형성되어 있는 자외선경화수지층(5)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장식무늬형성 요철부(61) 및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62) 각각에는 자외선경화수지가 충진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한 장식무늬형성 요철부(61) 및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62) 각각에 충진되는 자외선경화수지에 의하여 자외선경화수지층(5)에는 장식무늬(3) 및 바탕무늬(2)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4의 도시는 자외선경화수지층(5)을 눌러주고 있는 투명 합성수지금형(6)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단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자외선조사단계는 자외선경화수지층(5)을 눌러주고 있는 투명 합성수지금형(6)의 외부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6)으로 투과되는 자외선이 장식무늬형성 요철부(61) 및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62)를 통해 그들 각각에 충진되어 있는 자외선경화수지층(5)으로 조사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6)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장식무늬형성 요철부(61) 및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62)에 의해 눌림되고 있는 자외선경화수지층(5) 전체가 자외선에 노출되면서 경화되는 것이다.
도 5의 도시는 자외선경화수지층(5)을 눌러주고 있는 투명 합성수지금형(6)을 분리시키는 투명 합성수지금형 분리단계이다.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 분리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5)을 눌러주고 있는 투명 합성수지금형(6)을 분리시키게 되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 장식무늬(3)와 바탕무늬(2)가 금속판재(1)의 표면(11)에 남아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금속판재(1)의 표면(11)은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도록 윤택한 평면으로 연마가공되어 있으므로 자외선경화수지층(5)에 요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탕무늬(2)와 장식무늬(3)는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가지는 표면(11)에 의해 반사되어 나타나게 되므로 상기한 바탕무늬(2)는 정밀하고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의 도시는 상기 금속판재(1)의 표면(11)에 금속박막 증착층(4)을 형성한 실시예로서, 상기 금속박막 증착층(4)은 알루미늄, 니켈, 크롬, 골드 등의 금속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한 알루미늄, 니켈, 크롬, 골드 등의 금속재질은 금속판재(1)의 표면(11)에 증착시켰을 경우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도 6의 실시예는 금속판재(1)의 표면(11)을 연마가공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금속박막 증착층(4)을 형성시키게 되더라도 상기한 금속박막 증착층(4)에 의하여 자외선경화수지층(5)에 형성되어 있는 바탕무늬(2)와 장식무늬(3)가 정밀하고 입체적으로 반사되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도 6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금속판재(1)의 표면(11)에 연마가공하는 대신에 금속박막층(4)을 증착 형성시키는 공정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금속판재(1)의 표면(11)을 반사면으로 가공처리하는 구성과 차이가 있을 뿐 상기 금속박막층(4) 자체는 거울과 같은 기능의 반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금속박막층(4) 위에 자외선경화수지층(5)을 소정 두께로 코팅 형성하는 단계에서부터 투명 합성수지금형(6)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한 다음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6)을 분리하는 단계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또한 상기 금속박막층(4)이 바탕무늬(2)와 장식무늬(3)를 반사하여 정밀하고 입체적으로 나타나게 하는 작용 및 효과 역시 대동소이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외선경화수지를 이용하여 바탕무늬(2) 및 장식무늬(3)가 인쇄 형성되는 금속판재(1)의 표면(11)이나 금속박막층(4)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컬러인쇄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한 컬러인쇄층은 염료나 안료를 코팅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금속판재(1) 및 금속박막층(4)의 각 표면을 산소, 질소, 가스 등으로 표면처리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판재(1)의 표면(11)이나 금속판재(1)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박막층(4)에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컬러인쇄층(미도시)에 의하여 바탕무늬(2)와 장식무늬(3)를 다양한 컬러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금속판재(1)의 표면(11)을 연마가공하거나 또는 금속박막층(4)을 형성시켜주는 구성으로, 상기 금속판재(1)에 자외선경화수지층(5)을 형성하고 투명 합성수지금형(6)으로 눌러준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수지층(5) 전부를 경화시켜준 다음 현상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금속판재(1)의 표면(11)에 정밀한 구조의 바탕무늬(2)와 입체적 구조의 장식무늬(3)를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바탕무늬(2)와 장식무늬(3)를 형성시키기 위한 단계를 간소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바탕무늬(2)와 장식무늬(3)를 형성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관찰자는 금속판재(1)의 전방에서 표면(11)에 코팅된 자외선경화수지에 인쇄되어 있는 바탕무늬(2)와 장식무늬(3)를 직접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바탕무늬(2)의 정밀도 및 상기 장식무늬(3)의 입체적인 형상과 모양을 정확하게 관찰 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가전제품 등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상기한 가전제품의 외장재로 사용된 금속판재(1)의 표면에 자외선경화수지로 인쇄 형성된 바탕무늬(2) 및 장식무늬(3)를 다양한 컬러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들에게 감성적인 디자인의 가전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1 : 금속판재 11 : 표면
2 : 바탕무늬 3 : 장식무늬
4 : 금속박막층 5 : 자외선경화수지층
6 : 투명 합성수지금형 61 : 장식무늬형성 요철부
62 :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

Claims (6)

  1. 금속판재의 표면에 소정 두께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수지코팅단계와,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금속판재의 표면에 코팅된 자외선경화수지층에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해 장식무늬형성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으로 상기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와, 상기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을 통해 자외선이 투과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수지층을 경화시켜주는 자외선조사단계로 구성되는 장식무늬 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이 형성되는 금속판재의 표면은 자외선경화수지층에 형성되는 정밀한 바탕무늬와 장식무늬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도록 하는 반사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금속판재의 반사면에 형성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에는 상기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의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와 장식무늬형성 요철부가 함께 형성되어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을 한차례 눌러주는 단계로 정밀한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자외선경화수지층에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 인쇄방법.
  2. 금속판재의 표면에 소정 두께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수지코팅단계와,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금속판재의 표면에 코팅된 자외선경화수지층에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해 장식무늬형성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으로 상기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와, 상기 자외선경화수지층 누름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을 통해 자외선이 투과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수지층을 경화시켜주는 자외선조사단계로 구성되는 장식무늬 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코팅단계에서 자외선경화수지층이 형성되는 금속판재의 표면에는 자외선경화수지층에 형성되는 바탕무늬와 장식무늬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거울과 같은 반사작용을 하는 금속박막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판재의 반사면에 형성된 자외선경화수지층을 눌러주는 투명 합성수지금형에는 상기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의 바탕무늬형성 미세요철부와 장식무늬형성 요철부가 함께 형성되어 상기 투명 합성수지금형을 한차례 눌러주는 단계로 정밀한 바탕무늬와 장식무늬를 자외선경화수지층에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무늬 인쇄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10997A 2013-01-31 2013-01-31 장식무늬 인쇄방법 KR10139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997A KR101395673B1 (ko) 2013-01-31 2013-01-31 장식무늬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997A KR101395673B1 (ko) 2013-01-31 2013-01-31 장식무늬 인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673B1 true KR101395673B1 (ko) 2014-05-15

Family

ID=5089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997A KR101395673B1 (ko) 2013-01-31 2013-01-31 장식무늬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6946A (zh) * 2015-01-21 2016-08-17 青岛海尔特种钢板研制开发有限公司 一种超精细纹理装饰金属板的制备方法及金属板
US9835769B2 (en) 2015-05-04 2017-12-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effect coa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308A (ja) * 1996-07-30 1998-02-17 Daiwa Seiko Inc 装飾層を有する部材
JPH11119013A (ja) * 1997-10-14 1999-04-30 Alps Electric Co Ltd 反射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893522B1 (ko) 2007-12-28 2009-04-17 제일모직주식회사 수분 배출 구조를 가지는 프리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52994B1 (ko) * 2009-11-24 2010-04-16 (주)글로빅 입체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입체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308A (ja) * 1996-07-30 1998-02-17 Daiwa Seiko Inc 装飾層を有する部材
JPH11119013A (ja) * 1997-10-14 1999-04-30 Alps Electric Co Ltd 反射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893522B1 (ko) 2007-12-28 2009-04-17 제일모직주식회사 수분 배출 구조를 가지는 프리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52994B1 (ko) * 2009-11-24 2010-04-16 (주)글로빅 입체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입체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6946A (zh) * 2015-01-21 2016-08-17 青岛海尔特种钢板研制开发有限公司 一种超精细纹理装饰金属板的制备方法及金属板
US9835769B2 (en) 2015-05-04 2017-12-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effect coa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4151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56990B (zh) 一種具立體效果的印刷裝飾膜及其裝飾產品
JP4951895B2 (ja)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725663A (zh) 电子设备中的外观装饰性双色玻璃
JPWO2010070788A1 (ja) 外装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JP6045677B2 (ja) 計時器等の携帯用物体のための表示文字盤の作製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表示文字盤
US8475911B2 (en) Devic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395673B1 (ko) 장식무늬 인쇄방법
KR101164056B1 (ko) 유브이 전사를 이용한 필름상의 패턴 형성 방법
CN206100097U (zh) 外观件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6329A (ko) 3차원 인쇄 장식 박막 및 그것으로 만든 제품들
KR101806210B1 (ko) 3차원 홀로그램 시트로 이루어진 화병
JP2007216088A (ja) 装飾材の製造方法
KR101946640B1 (ko) 멀티컬러의 구현이 가능한 하우징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이동단말의 하우징
CN106163820B (zh) 用于印刷装饰图案的方法
JP2011008759A (ja) キー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るキーパネル
CN209132455U (zh) 彩色氛围光效光学膜及制造该光学膜的模具
KR101258606B1 (ko) 용기 캡의 무늬모양 성형방법
KR102516642B1 (ko)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CN109445009A (zh) 彩色氛围光效光学膜及制造该光学膜的模具
KR102516654B1 (ko) 진공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백 커버의 제조방법
RU2682513C2 (ru) Способ декоративного модифицирова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изделия с применением УФ-отверждаемого полимера и изделие, изготовленное данным способом
KR102537480B1 (ko) 롤 탁본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KR20150029068A (ko) 인써트 사출용 3차원 장식무늬 전사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