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641B1 -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 - Google Patents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641B1
KR101395641B1 KR1020120151698A KR20120151698A KR101395641B1 KR 101395641 B1 KR101395641 B1 KR 101395641B1 KR 1020120151698 A KR1020120151698 A KR 1020120151698A KR 20120151698 A KR20120151698 A KR 20120151698A KR 101395641 B1 KR101395641 B1 KR 10139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saxophone
right thumb
thimble
sup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인
Original Assignee
박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인 filed Critical 박혜인
Priority to KR102012015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 연주 시 우수 엄지에의 하중 통증을 경감시키는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에 관한 것으로, 연주자의 우수엄지 첫째와 둘째 마디 전체를 감싸도록 유연성을 갖는 골무부; 상기 골무부를 우수엄지에 단단하게 묶어주는 고정수단(11); 상기 골무부의 내면에 설치되고, 사용 시 우수엄지 측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넓게 설치되어 악기 하중 압력을 완충시키는 쿠션부재; 상기 골무부 상에 설치되고, 사용 시 우수 엄지 하부가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악기와의 접촉 마찰력을 높게 하는 개방홀(13); 상기 고정수단(11)이 위치한 골무부(10)의 외부에 설치되고, 사용 시 악기의 엄지걸이를 끼울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 단부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주시 악기하중으로 인한 우수엄지의 통증을 경감시키고, 악기를 비틀거나 상하 죄우로 움직일 때도 우수엄지와 악기가 항상 긴밀하게 접촉유지되어 키웍은 물론 연주를 편하게 하며, 필요 시 쉽게 착탈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Finger guard band for saxophone}
본 발명은 색소폰 연주 시 우수 엄지에의 하중 통증을 경감시키는 색소폰 연주용 엄지보호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색소폰 연주 시 악기하중을 우수엄지로 받치면서 악기 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색소폰 상의 엄지걸이에 우수엄지를 걸 경우 느끼게 되는 강한 하중압박 통증을 경감시켜 연주를 편안하게 하도록 구성된 우수엄지에 착용하는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관악기인 색소폰은 직관 소프라노, 곡관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 그 무게와 형태는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연주를 위한 악기의 파지방법은 거의 비슷하다.
즉, 색소폰 연주자는 왼손으로 악기의 몸체 중앙상부를 감싸면서 중음부 키를 잡고, 우수 엄지로 악기 중앙하부 후면에 부착된 엄지걸이의 하단을 받치고, 오른손으로 악기의 몸체 중앙하부를 감싸면서 저음부 키를 잡고 악기를 연주하게 된다.
이때, 대부분의 연주자는 악기하중으로 인해 우수엄지에 강한 압박 통증을 느끼게 되며, 연주 중 음정의 미묘한 변화를 만들기 위해 악기를 비틀거나 상하 좌우로 움직일 경우 단단한 소재인 엄지걸이 하단과 우수엄지의 측상부 피부가 미끌리듯 마찰 되면서 우수 엄지에 엄청난 통증이 가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색소폰을 오랫동안 연주한 경우 엄지 측상부에 심한 굳은살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상기한 통증 때문에 악기 연주 시 저음부 키패드에의 운지 상태는 부자연스럽게 되고, 연주 집중력이 떨어져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통증이 심한 연주자는 가죽이나 천으로 된 두꺼운 소재의 손장갑을 착용하고 연주할 경우도 있지만 키패드에의 운지가 불편해지고 키웍이 원활하지 않아 최선의 연주가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바느질용 골무형상으로 되고 우수 엄지에만 착용하는 고무 또는 가죽으로 된 엄지골무장갑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악기 연주에 있어 미세하고 안정된 컨트롤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우수엄지의 측부와 하부가 악기 엄지걸이의 하부와 측부에 항상 한몸처럼 밀착되어야 하는 악기파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미묘한 음정변화를 만들기 위해 연주 중 의도적으로 악기를 비틀거나 상하 죄우로 움직일 때 우수엄지의 하부는 악기 엄지걸이의 측부에 밀착된 상태로 그 위치와 방향이 미세하게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우수엄지를 엄지골무장갑으로 둘러싸게 되면 악기와의 밀착력과 감각이 무디어져 지지점을 이탈하게 되어 미세한 악기 컨트롤을 어렵게 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엄지골무장갑은 골무 형상으로 우수엄지에 단단하게 끼워져 고정되어야 하는 이유로 엄지에 끼우고 빼는 동작이 까다로워 매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배경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첫째, 연주시 악기하중으로 인해 우수엄지에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하고,
둘째, 골무 형상으로 우수엄지에 단단하게 끼워져 고정되어야 할 경우 착용과 탈거 동작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하고,
셋째, 연주 중 미묘한 음정변화를 만들기 위해 악기를 의도적으로 비틀거나 상하 죄우로 움직일 때 우수엄지가 악기와 밀착되는 능력과 감각이 무디어지게 되어 미끄러지거나 지지점이 불안해지는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하는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 수단은,
"골무형상으로 되고 단단하게 밀착결합되는 착탈용 띠 밴드를 구비하여 구성하되, 골무형상인 일측은 우수엄지의 첫째와 둘째 마디까지 끼워지고, 착탈용 띠 밴드인 타측은 우수엄지의 둘째 마디를 감싸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결착하게 만든 몸체와;
상기 몸체의 우수엄지 측부가 위치하는 곳 내면에 구비되어 악기하중 압박을 넓게 분산 완충시키고 접촉감을 부드럽게 하는 쿠션부재와;
상기 몸체의 우수엄지 하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되어 우수엄지의 피부와 악기 엄지걸이의 측부가 밀착될 때 강한 마찰력을 유지하게 되는 개방홀이 포함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색소폰 연주 시 우수 엄지에 가해지는 국부 통증을 줄여 편안하게 연주에 몰두할 수 있게 하며, 우수엄지가 항상 악기의 엄지걸이 측부와 밀착되므로 연주 중 의도적으로 악기를 상하 죄우로 움직일 때 미끄러지지 않아 키의 운지와 키웍이 원활하게 유지되고, 필요 시 쉽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착용하는 모습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3는 일반적인 색소폰의 엄지걸이 구조와 본 발명을 착용하여 색소폰의 엄지걸이에 걸리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착용하고 악기를 움직이며 연주할 때 악기와 접촉되는 부위의 변화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를 추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져서는 안 되며,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면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사시도이며,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사시도이며,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몸체(1)는 일측에 바느질용 골무형태로 우수엄지의 첫 마디와 둘째 마디를 감쌀 수 있게 구성되는 골무부(10)와, 타측에 우수엄지의 둘째 마디를 감싸며 단단하게 묶어주는 고정수단(11)과, 상기 골무부(10)의 내면에 설치되고 사용 시 우수엄지 측부(도 2의 P" 참조)와 악기 엄지걸이 하부(도 3의 S 참조)가 닿게 되는 부위에 넓게 설치되어 악기 하중에 의한 국부 접촉 압력을 분산시키는 쿠션부재(12)와, 상기 골무부(10)에 설치되고 우수 엄지 하부(도 2의 P' 참조)와 악기 엄지걸이 측부(도 3의 S 참조)가 맞닿는 부위에 신체가 밀착되어 마찰력을 높이도록 하는 개방홀(13)로 구성된다.
상기 골무부(10)는 착용 시 우수엄지를 감싸고 밀착되도록 우수엄지의 외형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며,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 섬유, 연질PVC, 고무류 등 유연성 소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골무부(10)는 바느질용 골무와 같이 우수엄지 끝으로 삽입하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착용과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본 발명이 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악기 엄지걸이 하부에 엄지가 닿게 되는 부위를 충분히 감쌀 수 있는 길이로 된다.
물론, 엄지 끝단에서 뿌리까지의 거리 내에서 길이를 변동시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골무와 같이 앞이 막힌 모양이 아닌 양측이 뚫린 원통 모양이고 펼치면 띠 형상의 밴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11)은 단추나 버튼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쉽게 착용과 분리가 이루어지고 착용 장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벨크로 화스너(일명 찍찍이)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구성된 고정수단(11)은 암벨크로와 수벨크로를 결합하여 고정되며, 도 2의 a, b, c와 같은 순서로 우수엄지에 착용되고, 도 2의 d와 같이 악기에 적용된다.
상기 쿠션부재(12)는 골무부(10)의 내면에 부드럽고 단단한 소재로 설치되고, 본 발명을 사용 시 우수엄지의 측부(P")와 악기 엄지걸이(S)의 하부가 닿게 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악기 하중에 의한 신체 국부 접촉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우수엄지 측부(P")의 길이 방향으로 길고 넓게 형성되며, 도 4의 A, B, C, D, E에서와 같이 악기 연주시 엄지걸이(S) 하부면과의 접촉 위치가 움직이며 압박하게 되므로 이를 고려한 크기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상기 개방홀(13)은 우수 엄지 전체를 골무부(10)로 감싸게 될 경우 악기 엄지걸이(S)의 측면과 우수엄지 하부(P')이 직접 맞닿지 않아 마찰력이 저하되어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우수엄지 하부(P')이 악기와 직접 접촉되고 밀착되도록 골무부(10) 면에 구멍을 뚫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개방홀(13)은 박막의 마찰계수가 높은 마찰부재를 덧대는 방법으로 형성하여 악기에 닿는 부위의 마찰력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착용하는 모습을 보인 순서도이며, 도 2의 a와 같이 놓인 우수엄지에 도 2의 b와 같이 골무부(10)를 삽입한 후 도 2의 c와 같이 고정수단(11)인 암벨크로와 수벨크로를 서로 당겨서 단단하게 결합하면 엄지에 착용이 완료되고, 연주 시 도 2의 d와 같은 상태로 악기에 사용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색소폰의 엄지걸이 구조와 본 발명을 착용하여 색소폰의 엄지걸이에 걸리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일반적인 색소폰의 엄지걸이(S)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일반적인 연주 시의 엄지걸이(S)와 우수엄지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의 C는 본 발명을 사용한 경우의 색소폰 엄지걸이(S)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의 D는 도3의 C에서 엄지걸이(S) 측면과 맞닿는 부분인 본 발명의 몸체(1)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 3은 도 1과 도 2의 사시도 설명을 좀더 이해하기 쉽도록 추가한 것이며, 도면만으로도 충분한 설명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색소폰을 연주할 때 연주자의 우수엄지와 악기 엄지걸이(S) 하부의 접촉점은 항상 민감하게 이동하고 변화하며, 수시로 위치를 교정하여 정상 위치로 되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매우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지점이며, 연주중 항상 밀착되어 있어야 하는 지점이다.
즉, 도면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착용하고 악기를 움직이며 연주할 때 악기와 접촉되는 부위의 변화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의 A는 연주 시작 전의 모습이며, 도 4의 B는 저음을 연주를 위해 악기 하부를 당기게 될 경우의 변화된 모습이며, 도 4의 C는 고음을 연주를 위해 악기 하부를 밀게 될 경우의 변화된 모습이며, 도 4의 D는 미묘한 음정을 만들기 위해 악기 하부를 좌측으로 밀며 비틀 경우의 변화된 모습이며, 도 4의 E는 미묘한 음정을 만들기 위해 악기 하부를 우측으로 당기며 비틀 경우의 변화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도면 설명과 같이, 도 4의 A, B, C, D, E처럼 연주자의 연주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몸체(1)와 악기 엄지걸이(S)의 접촉 위치가 조금씩 변하게 되므로 연주자는 항상 연주 중에 수시로 정상 위치로의 교정을 꾀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몸체(1)를 착용하지 않은 연주 상황에서도 동일한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색소폰의 안정된 연주를 위해서는 우수엄지가 접촉되는 위치가 자주 바뀔 경우 정상 위치로의 교정을 쉽게 하고 우수엄지가 악기 엄지걸이(S)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필연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를 추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의 A는 도 1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도 1에서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를 추가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몸체(1)는 골무부(10)와, 고정수단(11), 쿠션부재(12), 개방홀(13).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골무부(10)와, 고정수단(11), 쿠션부재(12), 개방홀(13)은 전술한 도 1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동작설명은 도 1의 설명을 참조하고 추가로 적용된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14)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14)는 전술의 골무부(10)와 동일 재질로 된 띠 형상으로 되고, 도 5의 B에서 보인 위치와 같이 고정수단(11)의 외부에 형성되어, 악기의 엄지걸이(S)를 끼울 수 있도록 양끝단을 실박음 또는 융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14)는 악기를 연주 할 때 본 발명의 몸체(1)와 악기의 엄지걸이(S)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며, 연주 중 수시로 정상 접촉위치로의 교정을 쉽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 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 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돼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1. 몸체
10. 골무부 11. 고정수단 12. 쿠션부재 13. 개방홀
14.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
S. 엄지걸이 P'. 우수엄지 하부 P". 우수엄지 측부

Claims (2)

  1. 삭제
  2. 색소폰 연주자의 우수엄지 첫째와 둘째 마디 전체를 감싸면서 유연성을 갖는 골무부(10)와;
    상기 골무부(10)를 우수엄지에 단단하게 묶어주는 고정수단(11)과;
    상기 골무부(10)의 내면에 설치되어, 사용 시 우수엄지 측부(P")의 악기 하중을 완충시키는 쿠션부재(12)와;
    상기 골무부(10)의 우수엄지 하부(P')가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사용 시 악기와의 접촉 마찰력을 높게 하는 개방홀(13);
    로 구성되어 우수 엄지의 통증을 경감시키는 색소폰 연주용 엄지보호밴드에 있어서,
    우수엄지와 악기의 밀착유지 수단으로,
    상기 골무부(10)의 외부에 추가로 설치하되, 일측 및 타측 단부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색소폰의 엄지걸이(S)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엄지걸이 지지용 밴드(14)를 추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
KR1020120151698A 2012-12-24 2012-12-24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 KR10139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98A KR101395641B1 (ko) 2012-12-24 2012-12-24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98A KR101395641B1 (ko) 2012-12-24 2012-12-24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641B1 true KR101395641B1 (ko) 2014-05-20

Family

ID=5089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698A KR101395641B1 (ko) 2012-12-24 2012-12-24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11A1 (ko) * 2016-09-09 2018-03-15 주식회사 씨엘 엄지걸이 보호대
KR101845980B1 (ko) * 2017-06-27 2018-04-05 주식회사 씨엘 엄지걸이 보호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158A (ja) * 1996-11-18 1998-06-02 Tetsuo Sato ソプラノサキソフォーン、クラリネット、オーボーなどの演奏の際の右手親指にかかる負担を軽減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る保護具
US20030154533A1 (en) * 2002-02-20 2003-08-21 Young Todd H. Guard for protecting painter's thumb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158A (ja) * 1996-11-18 1998-06-02 Tetsuo Sato ソプラノサキソフォーン、クラリネット、オーボーなどの演奏の際の右手親指にかかる負担を軽減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る保護具
US20030154533A1 (en) * 2002-02-20 2003-08-21 Young Todd H. Guard for protecting painter's thumb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11A1 (ko) * 2016-09-09 2018-03-15 주식회사 씨엘 엄지걸이 보호대
KR101845980B1 (ko) * 2017-06-27 2018-04-05 주식회사 씨엘 엄지걸이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9084B2 (en) Finger sleeve with raised flexible bar for playing barre chords
KR20100125323A (ko) 현악기용 어깨 받침대
JP3203539U (ja) 楽器支持具
US20120210486A1 (en) Fingertip protector for a person playing a stringed instrument
KR101395641B1 (ko) 색소폰 연주용 우수엄지보호밴드
JP5429508B1 (ja) 弦楽器演奏補助器具
US20080314225A1 (en) Violin Thumb Pad
KR102654233B1 (ko) 색소폰용 손가락 지지구
US8035019B2 (en) Wearable instrument supporting means
US2234224A (en) Bass violin strummer
US9899012B2 (en) Thumb-mountable support for enhancing support and control of an instrument of the violin-family
US5783762A (en) Bow frog cover
KR101845980B1 (ko) 엄지걸이 보호대
JP6209805B1 (ja) 鍵盤楽器練習時の手指の支持方法及び手指の支持具
KR101654903B1 (ko) 피크를 포함하는 기타 연주기구
JP2008310011A (ja) 弦楽器用ピックの滑り止め部材及び弦楽器用ピック
TW201937477A (zh) 用於樂器的支承裝置
JP3127821U (ja) 弦楽器演奏用サポーター
US20160217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lding an instrument pick
JPWO2014147729A1 (ja) 楽器用肩当て
KR200495242Y1 (ko) 악기 지지구
JP3112176U (ja) 金管楽器用プロテクター
KR20110007505A (ko) 악기 연주용 피크
KR200495833Y1 (ko) 볼링 손목보호대에 결합되는 손가락 각도 유지부재
JP2007003665A (ja) 弦楽器用サムピ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