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203B1 -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 - Google Patents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203B1
KR101395203B1 KR1020120075133A KR20120075133A KR101395203B1 KR 101395203 B1 KR101395203 B1 KR 101395203B1 KR 1020120075133 A KR1020120075133 A KR 1020120075133A KR 20120075133 A KR20120075133 A KR 20120075133A KR 101395203 B1 KR101395203 B1 KR 10139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culture
cell culture
microfluidic cell
flui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629A (ko
Inventor
이정훈
이성준
천종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2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6Microfluidic devices; Capillary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2Membranes; Filters
    • C12M25/04Membranes; Filters in combination with well or multiwell plates, i.e. culture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6Conditioning fluids entering or exiting the reaction vess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세포 내지 미생물의 효과적인 배양을 위한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이를 바람직하게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그리고 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바람직하게 이용하여 미소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는,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배양챔버; 다수개의 배양챔버를 서로 연결하면서 주입구에서 다수개의 배양챔버를 거쳐 배출구로 이어지는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유체채널; 배양챔버의 입구와 출구의 유체채널에 마련되어 배양챔버의 유체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다수개의 배양챔버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다공성 박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배양챔버 바닥면의 다공성 박막을 노출시키면서 유체채널을 받침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하부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기판은 실리콘웨이퍼가 에칭(etching) 처리된 에칭블록으로 마련되면서 다공성 박막은 하부기판의 에칭 부분을 덮도록 마련되고 배양챔버는 상기 하부기판의 에칭 부분에 위치하는 다공성 박막이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는 미소기전시스템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MICRO FLUIDIC CULTURE APPARATUS FOR CELL CULTURE, PROCESS OF THEREOF AND METHOD FOR CELL CUL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일세포 내지 미생물의 효과적인 배양을 위한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이를 바람직하게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그리고 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바람직하게 이용하여 미소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은 음식물을 변질, 부패시키고 사람을 비롯한 동·식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된장, 맥주, 치즈, 야쿠르트 등 식품산업과 항생제 항암제와 같은 의학 소재, 환경산업의 고부가가치의 화학소재, 메탄, 수소, 전기 등의 에너지 소재로도 활용되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하면 인간에 유용한 신소재를 개발할 수 있고 산업적으로도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유용한 미생물을 얻기 위해서는 자연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여 키워야 한다.
한편 미생물의 분리 동정에는 패트리 디쉬(Petri dish)나 미소 액적 기반의 분리 배양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이용되어 온 패트리 디쉬 기반의 배양방법은 알려진 미생물들 중 1% 미만만이 배양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며, 또한 노동 집약적이고 비경제적이어서 실험 방식의 개선이 요구된다. 한편 미소 액적 기반의 배양방법은 미생물이 분산된 용액을 이용해 액적을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미생물을 순수 분리 동정하는 방법인데, 미생물이 포획된 액적을 따로 분류해내는데 어려움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그 외에 96 웰 플레이트를 이용한 수작업 실험이 있으나 배양 효율이 좋지 않다.
아울러 세포 배양 장치에 관한 선행 특허발명으로 "세포배양장치(공개번호 제10-1990-0003359호, 공개일자:1990년 3월 26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미생물 분리 배양방법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단일 미생물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배양할 수 있고 또한 미생물의 채취 환경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배양할 수 있는 새로운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바람직하게 이용한 미소 세포 배양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경 5μm~5mm와 높이 5μm~1mm의 폐쇄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배양챔버; 상기 다수개의 배양챔버를 서로 연결하는 한편, 주입구에서 다수개의 배양챔버를 거쳐 배출구로 이어지는 유체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유체채널; 상기 배양챔버의 입구와 출구의 유체채널에 마련되어 배양챔버의 유체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0.1μm~1μm의 공극을 가지는 박막으로, 상기 다수개의 배양챔버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다공성 박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배양챔버 바닥면의 다공성 박막을 노출시키면서 유체채널을 받침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다공성 박막이 바닥에서 떠있게 위치시키는 하부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기판은 실리콘웨이퍼가 에칭(etching) 처리된 에칭블록으로 마련되면서 다공성 박막은 하부기판의 에칭 부분을 덮도록 마련되고 배양챔버는 상기 하부기판의 에칭 부분에 위치하는 다공성 박막이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밸브는 연성공압밸브, 피에조밸브, 정전식 밸브 중에서 마련될 수 있고, 다공성 박막 셀룰로오스, 테플론, AAO(Anodized Aluminum Oxide) 거름막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질화막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하여 에칭부분에 질화막에 의한 박막을 형성시키는 제1단계; 질화막 위에 금(AU) 박막을 증착하는 제2단계; 금 박막 위에 알루미늄층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 전기장이 인가된 산용액에 담지하여 알루미늄층에 공극을 형성시키면서 AAO(Anodized Aluminum Oxide)층으로 완성하는 제4단계; 에칭부분에서 질화막과 금 박막을 제거하여 AAO층을 노출시키는 제5단계; 배양챔버, 유체채널, 제어밸브를 형성시킨 상부기판을 AAO층 위에 접착하여 배양챔버의 바닥면을 AAO층으로 형성시키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으로서, 채취한 시료를 버퍼용액에 현탁하여 시료현탁액을 준비하는 제1단계; 시료현탁액을 주입구로 주입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유체채널을 통해 배양챔버 내부에 채우는 제2단계; 제어밸브를 작동시켜 유체채널의 유체흐름을 억제하는 제3단계;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영양액에 담가 배양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세포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단계는 시료현탁액에 지지체를 혼합하면서 실시할 수 있고, 제4단계는 시료현탁액 준비에 이용된 시료와 동일한 시료를 채취하여 영양액으로 이용하면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미소 세포 분리를 위한 미소 유체장치에서 다공성 박막을 더 포함시켜 구성한 결과 세포 배양을 위한 배양장치로도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다공성 박막으로 배양챔버 내부의 배양세포 이탈은 차단하면서 배양챔버 내·외부의 물질교환은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배양세포의 채취 환경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배양할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미생물이 실험실 환경에서 배양이 불가능한데, 본 발명은 미생물 배양 환경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방식으로는 배양할 수 없었던 미생물들을 효과적으로 배양할 수 있으며, 나아가 미생물 종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 배양장치에서 배양챔버를 투명 소재로 제작한다면 배양과정을 광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미생물의 배양과정을 환경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세포 배양, 특히 미생물을 순수 배양하는 분야에 널리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태학, 의학, 신약 개발, 생물 기반 기능성 신물질 발견 연구 분야 등에 유리하게 활용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에서 배양챔버, 유체채널, 제어밸브로 이루어진 상부기판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의 제조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에 대한 개요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배양챔버(10), 유체채널(20), 제어밸브(30) 및 다공성 박막(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양챔버(10)는 직경 5μm~5mm와 높이 5μm~1mm의 폐쇄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어레이 구조로 마련된다. 배양챔버(10)의 크기는 단일 세포의 배양을 고려한 결과인데, 일반 동물세포가 10μm, 미생물이 1μm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이러한 크기의 세포를 단독 배양하기 위한 배양공간으로 직경 5μm~5mm와 높이 5μm~1mm가 적당하다. 다만 배양실험의 용이성과 제작공정의 용이성을 고려한다면 2mm 내외의 직경과 0.1mm 내외의 높이를 가지는 배양챔버(10)가 더욱 바람직하다.
배양챔버(10)는 원통형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가 될 것이며, 다만 위와 같은 크기에 상응한다면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양챔버(10)는 polydimethylsiloxane(PDMS),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의 고분자나, 유리,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 혹은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질이 적절하며, 다만 실험의 용이성과 생체 적합성 등을 고려한다면 고분자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투명 소재로 제작된다면 배양챔버(10) 내부에서의 세포 배양상황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제작 방식으로는 replica molding 방식이나 injection molding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세라믹이나 금속 계열의 재료도 유사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다수개의 배양챔버(10) 바닥면은 다공성 박막(40)으로 형성되는데, 다공성 박막(40)은 0.1μm~1μm의 공극을 가지는 박막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다공성 박막(40)의 공극 크기는 미생물의 크기와 삼투압을 고려한 결과이다. 다시 말해 미생물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μm 내외이므로 이보다 공극이 크면 미생물이 배양챔버(10) 내부에서 탈출하거나 외부 미생물이 배양챔버(10) 내부로 침투할 수 있으며, 또한 반대로 공극이 너무 작으면 다공성 박막(40)을 통한 물질교환이 잘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삼투압에 의해 미생물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져 미생물의 생장 환경을 나쁘게 한다. 한편 다공성 박막(40)은 셀룰로오스, 테플론, AAO(Anodized Aluminum Oxide) 거름막 등으로 제공하면 적당하다.
유체채널(20)은 다수개의 배양챔버(10)를 서로 연결하는 한편, 주입구(21)에서 다수개의 배양챔버(10)를 거쳐 배출구(22)로 이어지는 유체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유체채널(20)은 배양챔버(10)를 직렬 또는 병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주입구(21)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면 유체통로를 통해 배양챔버(10) 내부에 채워져 가면서 배출구(22)로 배출되며, 이때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는 상황으로 배양챔버(10)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유체채널(20)은 너비가 5μm~500μm 정도이고 높이가 5μm~100μm 정도로 마련하는 것이 적당하며, 다만 유체채널(20)과 배양챔버(10)의 크기 차이가 크면 유체의 주입 과정 중에 압력차로 인해 세포 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유체채널(20)의 크기는 배양챔버(10)의 크기를 감안하여 정하도록 한다.
제어밸브(30)는 배양챔버(10)의 유체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배양챔버(10)의 입구와 출구의 유체채널(20)에 마련된다. 유체채널(20)을 통해 배양챔버(10)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면 제어밸브(30)로써 더 이상의 유체흐름을 차단하여 각각의 배양챔버(10)가 격리된 배양공간으로 활용되게 한 것이다. 제어밸브(30)로는 연성공압밸브(soft pneumatic valve), 피에조밸브((Piezo valve), 정전식 밸브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다만 작동의 신뢰도를 고려한다면 연성공압밸브가 적절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는 하부기판(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기판(50)은 배양챔버(10) 바닥면의 다공성 박막(40)을 노출시키면서 유체채널(20)을 받침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하부기판(50)에 의해 다공성 박막(40)이 바닥에서 떠있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는 영양액이 담긴 용기 바닥에 안정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다공성 박막(40)을 통해 배양챔버(10) 내·외부의 물질교환이 가능해진다. 특히 하부기판(50)은 실리콘웨이퍼가 에칭(etching) 처리된 에칭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다공성 박막(40)은 하부기판(50)의 에칭 부분을 덮도록 마련되고 배양챔버(10)는 하부기판(50)의 에칭 부분에 위치하는 다공성 박막(40)이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에서 배양챔버(10), 유체채널(20), 제어밸브(30)로 이루어진 상부기판의 구조도이다. 도 2에서는 배양챔버(10)가 유체채널(20)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고, 제어밸브(30)가 유체채널(20)을 가로지르는 밸브채널 형태로 마련되어 작동단자(21)를 통해 공급된 압력으로 작동되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기판은 저면에 배양챔버(10), 유체채널(20), 밸브채널을 홈 형태로 형성시키고, 밸브채널에 작동단자(21)를 연결하는 구조로 마련하면 된다. 이와 같은 상부기판은 투명한 합성 고분자 재질로 마련하면 배양챔버(10) 내부에서 진행되는 세포의 배양정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의 바람직한 제조과정에 대한 순서도로서, 특히 미소기전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제조기법에 따라 실리콘 웨이퍼에 의한 하부기판(50) 위에 AAO에 의한 다공성 박막(40)이 적층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질화막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에 KOH 에칭을 수행하여 에칭부분을 질화막에 의한 박막으로 형성시킨다(제1단계). 여기서 질화막의 두께는 300nm~1,000nm 정도가 적절하다.
이어 질화막 위에 금(Au) 박막을 증착하며(제2단계), 금 박막의 두께는 300nm~1,500nm 정도가 적절하고, 증착 방법은 스퍼터(sputter), 기화기(evaporator)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어 금 박막 위로 AAO층이 될 알루미늄층을 증착하며(제3단계), 이때 알루미늄층의 두께는 1μm~10μm 정도가 적절하다.
이어 전기장이 인가된 산용액에 담지하여 전기장이 인가된 산용액에 담지하여 알루미늄층에 공극을 형성시키면서 AAO(Anodized Aluminum Oxide)층으로 완성한다(제4단계). 이때 공극의 균일한 배열을 위해 2차례 이상에 걸친 산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에칭부분에서 AAO층을 지지하고 있던 질화막과 금 박막을 건식 식각과 습식 식각 방법을 조합해 제거하여 AAO층을 노출시킨다(제5단계). 이 과정에서 산성 용액에 담지하여 공극의 넓이를 조절하고 공극 바닥면을 제거하여 뚫린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와 같이 배양챔버(10), 유체채널(20), 제어밸브(30)가 마련된 상부기판을 레플리카 몰딩 방법 등으로 AAO층 위에 접착하여 배양챔버(10)의 바닥면을 AAO층으로 형성시킨다(제6단계). 이로써 도 1과 같은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가 완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에 대한 개요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소 세포 배양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채취한 시료를 버퍼용액에 현탁하여 시료현탁액을 준비한다(제1단계). 가령 하천, 토양, 갯벌 등에서 시료는 채취하여 버퍼용액에 현탁한다. 이때 시료현탁액 속에는 아가(Agar) 또는 젤란검(Gellan Gum)과 같은 지지체가 혼합될 수 있는데, 이로써 미생물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미생물이 주변의 다른 배양챔버(10)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시료현탁액의 현탁 농도는 확률적으로 배양챔버(10) 내부에 단일 세포가 분포할 정도로 조절하면 되는데, 시료현탁액 속에서 세포들이 배양챔버(10)의 크기 간격으로 분포하도록 현탁하는 것이다. 이로써 미생물 동정을 위한 세포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어 시료현탁액을 주입구(21)로 주입하여 배출구(22)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유체채널(20)을 통해 배양챔버(10) 내부에 채운다(제2단계).
다음으로 제어밸브(30)를 작동시켜 유체채널(20)의 유체흐름을 억제한다(제3단계). 제어밸브(30)의 작동으로 각각의 배양챔버(10)는 서로 격리되며, 이로써 배양챔버(10)가 폐쇄되어 외부 미생물의 침투로 인한 오염이 방지되고 배양챔버(10) 내부의 미생물 이동이 제한된다.
마지막으로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영양액에 담가 배양한다. 다공성 박막(40)을 통해 배양챔버(10) 내·외부의 물질교환(영양액의 영양분은 유입되고 노폐물을 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배양이 진행된다. 여기서 영양액은 시료를 채취한 환경에서 추출하여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양 시료의 경우, 토양에 배양장치를 묻거나 토양 시료를 현탁한 용액에 잠가 배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재현 환경으로 기존에 배양할 수 없었던 대다수의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가능하다. 배양이 끝난 후에는 다공성 박막(40)을 파괴하여 배양된 세포(미생물)들을 회수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배양챔버
20: 유체채널
21: 주입구
22: 배출구
30: 제어밸브
31: 작동단자
40: 다공성 박막
50: 하부기판

Claims (9)

  1. 직경 5μm~5mm와 높이 5μm~1mm의 폐쇄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배양챔버(10);
    상기 다수개의 배양챔버(10)를 서로 연결하는 한편, 주입구(21)에서 다수개의 배양챔버(10)를 거쳐 배출구(22)로 이어지는 유체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유체채널(20);
    상기 배양챔버(10)의 입구와 출구의 유체채널(20)에 마련되어 배양챔버(10)의 유체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30);
    0.1μm~1μm의 공극을 가지는 박막으로, 상기 다수개의 배양챔버(10)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다공성 박막(4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배양챔버(10) 바닥면의 다공성 박막(40)을 노출시키면서 유체채널(20)을 받침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다공성 박막(40)이 바닥에서 떠있게 위치시키는 하부기판(5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하부기판(50)은, 실리콘 웨이퍼가 에칭(etching) 처리된 에칭블럭으로 마련되고,
    상기 다공성 박막(40)은, 상기 하부기판(50)의 에칭 부분을 덮도록 마련되며,
    상기 배양챔버(10)는, 상기 하부기판(50)의 에칭 부분에 위치하는 다공성 박막(40)이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어밸브(30)는, 연성공압밸브, 피에조밸브, 정전식 밸브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다공성 박막(40)은, 셀룰로오스, 테플론, AAO(Anodized Aluminum Oxide) 거름막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
  6. 제3항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질화막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를 에칭하여 에칭부분에 질화막에 의한 박막을 형성시키는 제1단계;
    질화막 위에 금(AU) 박막을 증착하는 제2단계;
    금 박막 위에 알루미늄층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
    전기장이 인가된 산용액에 담지하여 알루미늄층에 공극을 형성시키면서 AAO(Anodized Aluminum Oxide)층으로 완성하는 제4단계;
    에칭부분에서 질화막과 금 박막을 제거하여 AAO층을 노출시키는 제5단계;
    배양챔버(10), 유체채널(20), 제어밸브(30)를 형성시킨 상부기판을 AAO층 위에 접착하여 배양챔버(10)의 바닥면을 AAO층으로 형성시키는 제6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으로서,
    채취한 시료를 버퍼용액에 현탁하여 시료현탁액을 준비하는 제1단계;
    시료현탁액을 주입구(21)로 주입하여 배출구(22)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유체채널(20)을 통해 배양챔버(10) 내부에 채우는 제2단계;
    제어밸브(30)를 작동시켜 유체채널(20)의 유체흐름을 억제하는 제3단계;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를 영양액에 담가 배양하는 제4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세포 배양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1단계는, 시료현탁액에 지지체를 혼합하면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세포 배양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제4단계는, 시료현탁액 준비에 이용된 시료와 동일한 시료를 채취하여 영양액으로 이용하면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세포 배양방법.
KR1020120075133A 2012-07-10 2012-07-10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 KR10139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33A KR101395203B1 (ko) 2012-07-10 2012-07-10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33A KR101395203B1 (ko) 2012-07-10 2012-07-10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29A KR20140008629A (ko) 2014-01-22
KR101395203B1 true KR101395203B1 (ko) 2014-05-16

Family

ID=5014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133A KR101395203B1 (ko) 2012-07-10 2012-07-10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340A (ko) * 2018-11-08 2020-05-18 한국화학연구원 미세유체소자를 이용한 3차원 세포배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279310T3 (da) 2015-04-03 2021-08-02 Aist Celledyrknings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celledyrkning
KR101986016B1 (ko) * 2017-09-12 2019-06-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세포 트래핑 장치 및 제작 방법
NL2022085B1 (en) * 2018-11-28 2020-06-25 Mimetas B V Device for assessing mechanical strain induced in or by cells
CN112522082A (zh) * 2020-12-30 2021-03-19 刘仕兰 一种温控培养皿细胞浴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8572A2 (en) 2005-09-26 2007-04-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bioreactor for continuous cell culture
KR20070075006A (ko) * 2006-01-11 2007-07-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줄기세포로부터 배아체를 형성 및 성장시키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8572A2 (en) 2005-09-26 2007-04-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bioreactor for continuous cell culture
KR20070075006A (ko) * 2006-01-11 2007-07-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줄기세포로부터 배아체를 형성 및 성장시키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340A (ko) * 2018-11-08 2020-05-18 한국화학연구원 미세유체소자를 이용한 3차원 세포배양
KR102233285B1 (ko) 2018-11-08 2021-03-29 한국화학연구원 미세유체소자를 이용한 3차원 세포배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29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7652A1 (en) Device and Method for High Throughput Bacterial Isolation
KR101395203B1 (ko) 미소 유체 세포배양장치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세포배양장치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
US8119394B2 (en) Cell culture devices having ultrathin porous membrane and uses thereof
CN103627635B (zh) 一种用于细胞迁移和侵袭实验的多功能微流控芯片
JP2002153260A (ja) 一細胞長期培養顕微観察装置
WO2013148745A1 (en) Nanofluidic device for isolating, growing, and characterizing microbial cells
Yamada et al. Transient microfluidic compartmentalization using actionable microfilaments for biochemical assays, cell culture and organs-on-chip
WO2023037047A1 (en) Microfluidic cell culture device and method for cell cultivation
US20070207537A1 (en) Bioreactor
US20200095526A1 (en) Production of cellular spheroids
CN203065491U (zh) 细胞培养装置
Morel et al. Microfluidic stickers for cell-and tissue-based assays in microchannels
KR101341572B1 (ko) 중공형관을 이용한 3차원 세포 배양 용구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3차원 배양 방법
US924938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selective isolation of microorganisms
TWI588256B (zh) 單細胞擷取與培養之裝置與方法
EP2799535A1 (en) Microstructured membrane for use in a flow cell
KR101395205B1 (ko) 단일세포 배양을 위한 미소 세포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배양방법
AU200723336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he isolation and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CN203429184U (zh) 多种附壁细胞共培养装置
CN213924813U (zh) 一种土壤微生物原位培养盒
EP4148117A1 (en) Cell culture apparatus, methods for cell cultivation by using the same, cell culture incubator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of the cell culture apparatus
Ikeuchi et al. Soft tapered stencil mask for combinatorial 3D cluster formation of stem cells
EP4289934A1 (en) Cell culture membrane structure,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cell culture plate, cell culture apparatus comprising the cell culture membrane structure, and methods for cell cultivation by using the cell culture apparatus
KR100927433B1 (ko) 방선균이 고정된 극다공성 한천입자와 이를 이용한 방선균미세배양시스템 및 방선균 배양 방법
US10737261B1 (en) Reversibly bonded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