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886B1 - 투표함 - Google Patents

투표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886B1
KR101394886B1 KR1020120098948A KR20120098948A KR101394886B1 KR 101394886 B1 KR101394886 B1 KR 101394886B1 KR 1020120098948 A KR1020120098948 A KR 1020120098948A KR 20120098948 A KR20120098948 A KR 20120098948A KR 101394886 B1 KR101394886 B1 KR 10139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button
lid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264A (ko
Inventor
김원경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엔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엔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이엔알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9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8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2Ballot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65D45/22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resi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보관과 관리가 용이한 투표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투표용지가 수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함체와, 상기 함체에 결합가능하고 투입구가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적층이 가능하되,
상기 함체의 양측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길이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절곡된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적층 시 상기 절곡된 부분의 내외측면이 맞닿아 끼워져 견고히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표함{Ballot box}
본 발명은 투표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표함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짐으로써 적층이 가능하여 보관과 관리가 용이하며, 견고하게 결합하여 봉함 및 봉인되어 부정투표를 방지할 수 있는 투표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통령, 국회의원, 시장 등을 선출하기 위하여 선거를 하며, 이때 유권자들은 투표용지에 자신이 원하는 후보를 기표한 후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어 개표시까지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투표함은 과거에 목재, 철제,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되었으나 보관과 관리를 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2006년부터 현재까지 종이재질로 만들어진 투표함을 제작하여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071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서는 종이재질로 만들어진 투표함이 제안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가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4개의 높이면(11a)(11b)(11c)(11d)과; 각각의 높이면 일측 단이 절곡 가능하도록 연장되어서 이루어진 바닥면(12a)(12b)(12c)(12d)과; 전술한 높이면(11b)과 높이면(11d)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상부 덮개면1·2(13)(14)로 이루어지되, 덮개면1(13)의 중앙 부분에 투입구(13c)가 관통 형성되고, 덮개면1·2(13)(14)와 높이면(11b) 중 어느 한 면이 봉인수단(15)에 의해 봉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종이재질인 골판지로 제작된 것으로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며,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조립된 투표함의 벌어진 틈 사이로 투표용지를 몰래 끼워넣을 수 있고 자물쇠와 테이프의 봉인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부정선거의 우려가 있으며, 대부분 이러한 투표함은 일회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매번 수억원의 예산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보관과 관리가 용이하도록 적층이 가능하며 부정선거를 방지할 수 있는 투표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투표함은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투표용지가 수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함체와, 상기 함체에 결합가능하고 투입구가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적층이 가능하되, 상기 함체의 양측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길이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절곡된 부분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함체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간격유지턱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의 상단에 연장되어 "ㄴ"자 형태로 둘레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상부를 감싸며 안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견고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를 함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함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작동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에는 상기 함체와 결합시 상기 버튼이 관통되어 돌출되는 버튼돌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잠금수단과 이에 인접한 덮개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함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덮개의 상부에 슬라이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투입구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입구덮개에 의해 투입구가 닫혔을시 상기 투입구덮개와 덮개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인키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표함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종이재질로 만들어진 투표함과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철제나 알루미늄에 비해 제작비용이 적게든다는 장점이 있으며, 종이재질로 만들어져 사용시 조립되는 인용발명과 달리 함체와 덮개가 완성된 형체를 이루고 있는바 사용시 조립을 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함체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적층이 가능하여 보관과 관리가 용이한 것은 물론, 상기 함체의 양측면은 오목하게 절곡된 부분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짐으로써 적층시 상기 절곡된 부분의 내외측면이 맞닿아 끼워져 견고히 적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함체의 내측면 하단부에 간격유지턱이 돌출형성됨으로써 적층된 상기 함체가 서로 물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함체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덮개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이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함체와 덮개의 벌어진 틈으로 투표용지를 강제로 투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함체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적으로 작동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잠금수단이 더 포함됨으로써 함체와 덮개의 결합시 상기 버튼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게 되며, 잠금수단과 이에 인접한 덮개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함부재가 더 포함됨으로써 함체와 덮개가 일체로 봉함되어 운반시 파손과 충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투입구를 개폐하는 투입구덮개를 슬라이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투입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투입구덮개와 덮개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인키가 더 포함됨으로써 투입구가 완전히 봉인되어 투표함 운반시 투입구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정선거의 염려를 없앨 수 있다.
도 1은 종래 투표함의 구조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의 전반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이 적층된 상태에서 절곡된 부분이 서로 끼워진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손잡이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간격유지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이 적층된 상태에서의 간격유지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버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버튼과 버튼돌출홈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버튼이 버튼돌출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봉함부재에 의해 봉함·봉인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봉함부재에 의한 봉함·봉인이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투입구덮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투표함에 적용되는 투입구덮개와 봉인키에 의해 봉함·봉인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보관과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투표용지가 수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함체와, 상기 함체에 결합가능하고 투입구가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적층이 가능하되, 상기 함체의 양측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길이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절곡된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적층 시 상기 절곡된 부분의 내외측면이 맞닿아 끼워져 견고히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투표함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투표함은 기본적으로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투표용지가 수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에 결합가능하며 투입구(210)가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철제나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경우 제작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종이재질로 만들어진 경우 내구성이 약하며 조립을 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는바,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또한, 플라스틱은 가볍고 여러 가지 모양을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종이에 비해 강하지만 철제나 알루미늄보다 열과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보강재를 사용한 플라스틱인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본 발명인 투표함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강화 플라스틱으로 투표함을 제작하는 경우 종이재질로 제작된 투표함에 비해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 투표함의 함체(10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짐으로써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져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상부와 하부의 넓이 편차가 생기게 된다. 함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또다른 함체(100)가 하부부터 끼워져 들어가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투표함은 보관시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한 곳에 다수개의 투표함을 손쉽게 보관할 수 있는바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0)의 양측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길이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부분(110)이 형성된다. 상기 함체(100)의 양측면에 오목하게 절곡된 부분(110)이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힘을 받는 면적이 증가함은 물론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게 되므로 외부 충격에 더 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곡된 부분(110)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짐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0)를 적층하는데 있어 견고히 적층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에 위치하여 적층되는 함체(100)에서 절곡된 부분(110)의 하부는 아래쪽에 위치한 함체(100)에서 절곡된 부분(110)의 상부보다 폭이 넓으며, 위쪽에 위치하여 적층되는 함체(100)의 하부는 아래쪽에 위치한 함체(100)의 상부보다 폭이 좁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시 상기 절곡된 부분(110)의 내외측면이 맞닿아 끼워지게 된다.
상기 절곡된 부분(110)의 상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상부를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 손잡이(111)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11)는 상기 함체(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손잡이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내측 상부를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투표용지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11)에서 손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은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손잡이(111)를 형성하여 본 발명인 투표함을 균형있게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더욱이, 적층된 상기 함체(100)를 분리시 상기 손잡이(111)를 이용하여 불편함없이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위쪽의 함체(100)가 아래쪽의 함체(100)에 어느 정도 들어가면 아래쪽의 함체(100)와 꽉 끼워지게 된다. 이 경우 위쪽의 함체(100)와 아래쪽의 함체(100)가 서로 물리게 되어 추후 투표함을 사용하기 위해 분리가 어렵게 되는바, 상기 함체(100)가 서로 물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0)의 내측면 하단부에 돌출형성된 간격유지턱(1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턱(120)이 상기 함체(100)의 내측면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에서 적층되는 상기 함체(100)의 저면은 일정깊이 들어가면 상기 간격유지턱(120)의 상단과 맞닿게 되어 더이상 아래쪽의 함체(100)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턱(120)으로 인해 적층된 상기 함체(100)가 서로 물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손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마찰이 방지되어 투표함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함체(100)의 바닥면에는 투표함이 설치되는 바닥이 고르지 않더라도 미끄러지거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받침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가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마모 및 파손되기 쉬운 투표함의 바닥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는 투입구(210)가 형성된 덮개(200)와 결합되어 선거시 사용되며 결합이 약하면 운반중 분리될 수 있고, 무엇보다 틈이 생기게 되면 투표용지를 강제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바 부정선거의 우려가 생기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0)의 상단에 연장되어 "ㄴ"자 형태로 둘레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30)와 상기 결합돌기(130)의 상부를 감싸며 안착되도록 상기 덮개(20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220)이 견고히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돌기(130)와 결합홈(220)은 4개의 면이 접하며 견고히 결합하여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는 완벽하게 밀폐되어 외부 물질의 유입이 불가능하며, 본 발명인 투표함에서 벌어진 틈이 생기지 않아 투표용지를 강제로 투입할 수 없는바 부정선거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는 물이 침투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비오는 날 투표함을 운반하더라도 물이 내부로 스며들 우려가 없게 된다.
투표함은 유권자가 기표를 한 후 개표시까지 기밀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0)는 상기 함체(100)와 기본적으로 결합을 하게 되나, 이는 가결합으로 운반시 분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잠금수단(140)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투표함은 상기 함체(100)에 상기 덮개(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수단(140)은 상기 함체(100) 또는 상기 덮개(2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140) 중 본 발명에서는 버튼(141)으로 된 잠금수단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잠금수단(1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0)의 측면에 설치되고 스프링 등이 포함되어 탄성적으로 작동되는 버튼(14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0)에는 상기 함체(100)와 결합시 상기 버튼(141)이 관통되어 돌출되는 버튼돌출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의 결합시 상기 버튼(141)이 버튼돌출홈(230)을 통해 돌출되어 자동으로 고정되는바, 이와 같이 고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함체(100)에 덮개(200)를 고정시 상기 버튼(141)을 눌러 상기 함체(100)의 내측을 향해 들어가도록 만든다. 그 후 덮개(200)를 내려 함체(100)에 결합시키게 되면 눌러져 있던 상기 버튼(141)이 탄성에 의해 버튼돌출홈(230)을 통해 튀어나와 자동으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141)을 누름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함체(100)로부터 덮개(20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버튼(141)은 상기 함체(100)에 설치되고 가결합된 덮개(200)를 관통하여 돌출되므로 운반 중 덮개(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함체(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바 분실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투표함에 상기 잠금수단(140)이 포함됨으로써 가결합된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를 고정할 수 있으나, 상기 버튼(141)과 같은 잠금수단(140)의 경우 운반 중 인위적으로 버튼(141)을 눌러 상기 덮개(200)를 함체(100)에서 분리하여 투표용지를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는 염려가 있는바 투표함을 봉함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봉함부재(10)를 이용하여 상기 함체(100) 또는 덮개(200)와 상기 잠금수단(140)을 봉함시켜야 한다. 상기 봉함부재(10)는 케이블, 철심이나 끈 등으로 되어 상기 버튼(141)과 같은 잠금수단(140)이 눌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함부재(10)는 잠금수단(140)과 이에 인접한 덮개(200)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봉함부재(10)의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봉함부재(10)는 잠금수단(140)과 이에 인접한 덮개(200)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지는바,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가 일체로 봉함되어 파손과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봉함된 투표함의 기밀된 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테이프(30)를 이용하여 봉함부재(1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투표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운반 후 개표시까지 기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인바, 본 발명인 투표함은 일차적으로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에 결합돌기(130)와 결합홈(220)을 형성하여 견고히 가결합시키고, 이차적으로 잠금수단(140)을 통해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를 고정시키며, 마지막으로 봉함부재(10)와 봉인테이프(30)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봉함·봉인하게 된다.
이렇게 봉함·봉인된 본 발명인 투표함의 함체(100)와 덮개(200)를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봉인테이프(30)를 제거한 후 봉함부재(10)를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 잠금수단(140)은 봉함부재(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함부재(10) 중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가위나 칼 등과 같은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써 봉함부재(10)를 제거하게 된다. 이 후 잠금수단(140)을 해제시켜 함체(100)와 덮개(200)를 분리시키게 된다.
본 발명인 투표함의 덮개(200)에는 투표용지를 투입시킬 수 있는 투입구(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투표 후 개표 전까지 상기 투입구(210) 또한 기밀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바, 상기 투입구(210)를 개폐하는 투입구덮개(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투입구덮개(240)는 투입구(210)를 통해 상기 함체(100)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투입구덮개(24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투입구(210)의 개폐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덮개(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덮개(24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덮개(2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투입구덮개(24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바깥쪽과 안쪽에 맞닿아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분리되지 않도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로 인해 상기 투입구(210)를 긴밀히 밀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운반 중 충격에 의해 투입구덮개(240)가 덮개(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표시 투입구(210)가 개방되도록 투입구덮개(240)를 열게 되는데, 이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덮개(200)의 상부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덮개(240)가 닫히지 않도록 고정하는 돌출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돌출핀은 탄성적으로 동작하는바 상기 투입구덮개(240)가 완전히 열린 경우 돌출핀이 튀어나와 투입구덮개(240)가 닫히지 않도록 하며, 이 후 돌출핀을 가압하여 상기 덮개(200)의 내측을 향해 누름으로써 투입구덮개(240)를 닫게 된다.
상기 투입구덮개(240)에 의해 투입구(210)가 닫히더라도 운반 중 투입구덮개(240)가 열릴 우려가 있는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덮개(240)와 덮개(200)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인키(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봉인키(20)는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에 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투입구덮개(240)와 덮개(200)를 관통시켜 고정시킨 후 봉인테이프(30)를 붙임으로써 완벽하게 투입구(210)가 기밀되어 봉인되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표함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종이재질로 만들어진 투표함과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철제나 알루미늄에 비해 제작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으며, 종이재질로 만들어져 사용시 조립되는 인용발명과 달리 함체와 덮개가 완성된 형체를 이루고 있는바 사용시 조립을 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함체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적층이 가능하여 보관과 관리가 용이한 것은 물론, 상기 함체의 양측면은 오목하게 절곡된 부분이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짐으로써 적층시 상기 절곡된 부분의 내외측면이 맞닿아 끼워져 견고히 적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함체의 내측면 하단부에 간격유지턱이 돌출형성됨으로써 적층된 상기 함체가 서로 물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함체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덮개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이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함체와 덮개의 벌어진 틈으로 투표용지를 강제로 투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함체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적으로 작동되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잠금수단이 더 포함됨으로써 함체와 덮개의 결합시 상기 버튼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게 되며, 잠금수단과 이에 인접한 덮개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함부재가 더 포함됨으로써 함체와 덮개가 일체로 봉함되어 운반시 파손과 충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투입구를 개폐하는 투입구덮개를 슬라이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투입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투입구덮개와 덮개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인키가 더 포함됨으로써 투입구가 완전히 봉인되어 투표함 운반시 투입구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정선거의 염려를 없앨 수 있다.
10 : 봉함부재 20 : 봉인키
30 : 봉인테이프 100 : 함체
110 : 절곡된 부분 111 : 손잡이
120 : 간격유지턱 130 : 결합돌기
140 : 잠금수단 141 : 버튼
200 : 덮개 210 : 투입구
220 : 결합홈 230 : 버튼돌출홈
240 : 투입구덮개

Claims (9)

  1.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투표용지가 수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함체와, 상기 함체에 결합가능하고 투입구가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적층이 가능하되,
    상기 함체의 양측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길이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절곡된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함체의 적층 시 상기 절곡된 부분의 내외측면이 맞닿아 끼워져 견고히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간격유지턱(120)이 돌출형성되어 적층된 상기 함체(100)가 서로 물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의 상단에 연장되어 "ㄴ"자 형태로 둘레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3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200)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돌기(130)의 상부를 감싸며 안착되는 결합홈(22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130)와 결합홈(220)이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투표용지의 강제적인 추가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200)를 함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14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140)은 상기 함체(100)의 측면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작동되는 버튼(14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200)에는 상기 함체(100)와 결합시 상기 버튼(141)이 관통되어 돌출되는 버튼돌출홈(230)이 형성되어,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의 결합시 상기 버튼(141)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140)과 이에 인접한 덮개(200)부분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함부재(10)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함체(100)와 덮개(200)가 일체로 봉함되어 파손과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상부에 슬라이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210)를 개폐하는 투입구덮개(2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투입구(21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덮개(240)에 의해 투입구(210)가 닫혔을시 상기 투입구덮개(240)와 덮개(200)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봉인키(20)가 더 포함되어, 상기 봉인키(20)에 의해 투입구(210)가 완전히 봉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함.







KR1020120098948A 2012-09-06 2012-09-06 투표함 KR10139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948A KR101394886B1 (ko) 2012-09-06 2012-09-06 투표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948A KR101394886B1 (ko) 2012-09-06 2012-09-06 투표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64A KR20140032264A (ko) 2014-03-14
KR101394886B1 true KR101394886B1 (ko) 2014-05-13

Family

ID=5064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948A KR101394886B1 (ko) 2012-09-06 2012-09-06 투표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71B1 (ko) * 2015-08-03 2016-11-10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내부에 미인식 적재함이 포함된 적재모듈이 구비된 개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865B1 (ko) * 2016-12-27 2019-04-19 씨제이제일제당 (주) 대용량 식품 포장 용기
KR102539556B1 (ko) 2021-05-06 2023-06-02 이갑수 투표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565U (ja) * 1992-01-22 1993-08-06 株式会社ムサシ 投票箱
KR100447781B1 (ko) * 2002-04-13 2004-09-13 하나코비 주식회사 기밀성 향상을 위한 찜용기 구조
WO2012099611A1 (en) * 2011-01-21 2012-07-26 Es&S Innovations, Llc Ballot tabulation device with internal tote bin
EP2490184A1 (en) * 2011-02-21 2012-08-22 Konstantinos Papadopoulos Disassemblable ballot 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565U (ja) * 1992-01-22 1993-08-06 株式会社ムサシ 投票箱
KR100447781B1 (ko) * 2002-04-13 2004-09-13 하나코비 주식회사 기밀성 향상을 위한 찜용기 구조
WO2012099611A1 (en) * 2011-01-21 2012-07-26 Es&S Innovations, Llc Ballot tabulation device with internal tote bin
EP2490184A1 (en) * 2011-02-21 2012-08-22 Konstantinos Papadopoulos Disassemblable ballot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71B1 (ko) * 2015-08-03 2016-11-10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내부에 미인식 적재함이 포함된 적재모듈이 구비된 개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64A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6714B2 (en) Case for authenticated comic book
JP5836877B2 (ja) 工具収納ケース
KR101394886B1 (ko) 투표함
KR101281938B1 (ko) 명함 보관함
US10479597B2 (en) Tamper-proof case systems and methods
JP7164565B2 (ja) 収納ボックスの改良構造
TW201628937A (zh) 收納容器
US20090230009A1 (en) Corner protector
CN210654393U (zh) 一种用于眼镜的防脏外包装
JP2009078821A (ja) 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
CN108502303B (zh) 一种可循环折叠式封装箱
JP4682303B2 (ja) 収納ケース
KR102370631B1 (ko) 이탈이 용이한 고정클립을 갖는 포장박스 조립체
KR20150003849U (ko) 투표지 운반, 정리 및 보관용 상자
JP3138994U (ja) インデックススペーサー付き積層ディスクケース
KR200478597Y1 (ko) 식품 보관용 용기
JP6638972B2 (ja) インナーカバー
KR200472754Y1 (ko) 다용도 서랍장
JP3158889U (ja) 低コストのファイルケース
CN112025651A (zh) 运输安全箱
TWM565681U (zh) Logistics box
KR200453433Y1 (ko) 공구 또는 도구용 박스
WO2021002756A1 (en) A case for storing articles and carrying articles by hand
KR20090010092U (ko) 컨테이너
KR20230000192U (ko) 앨범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