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789B1 - 용융 취입 섬유 - Google Patents
용융 취입 섬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4789B1 KR101394789B1 KR1020127019605A KR20127019605A KR101394789B1 KR 101394789 B1 KR101394789 B1 KR 101394789B1 KR 1020127019605 A KR1020127019605 A KR 1020127019605A KR 20127019605 A KR20127019605 A KR 20127019605A KR 101394789 B1 KR101394789 B1 KR 101394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pylene copolymer
- melt blown
- fibers
- melt
- measur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8—Physical dimens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26—Microfiber is synthetic polym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0 ㎛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용융 취입 섬유에 관한 것이며, 상기 섬유는 85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ㆍ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ISO 1133 에 따라 측정된 200 g/10 분 이상의 용융 흐름 속도 MFR2 (230℃) 를 갖고,
ㆍ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0.5 내지 5.5 중량% 의 공단량체 함량을 갖고, 상기 공단량체는 에틸렌 및/또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C4 내지 C20 α-올레핀이고,
ㆍ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13C-분광법에 의해 측정된 0.4 몰% 이하의 <2,1> 위치결함을 갖고,
ㆍ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하기 식 (1) 을 충족한다:
[식 중,
Tm [℃] 는 ISO 11357-3 에 따라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 온도 [℃ 로 주어짐] 이고,
C2 [중량%] 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으로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내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공단량체의 양 [중량 백분율로 주어짐] 임].
ㆍ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ISO 1133 에 따라 측정된 200 g/10 분 이상의 용융 흐름 속도 MFR2 (230℃) 를 갖고,
ㆍ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0.5 내지 5.5 중량% 의 공단량체 함량을 갖고, 상기 공단량체는 에틸렌 및/또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C4 내지 C20 α-올레핀이고,
ㆍ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13C-분광법에 의해 측정된 0.4 몰% 이하의 <2,1> 위치결함을 갖고,
ㆍ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하기 식 (1) 을 충족한다:
[식 중,
Tm [℃] 는 ISO 11357-3 에 따라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 온도 [℃ 로 주어짐] 이고,
C2 [중량%] 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으로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내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공단량체의 양 [중량 백분율로 주어짐] 임].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융 취입 섬유 기재의 신규한 용융 취입 웹 (web)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
용융 취입 섬유로 이루어지는 비-직물 구조인 용융 취입 웹은 통상, 고속 공기가 용융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기 다이 팁으로부터 컨베이어 또는 흡수 스크린 상에 취입하여 미세 섬유 자가-본딩 웹을 형성시키는 1 단계 방법으로 제조된다. 많은 유형의 중합체가 용융 취입 섬유 및 직물에 대해 이용될 수 있으나, 폴리프로필렌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중합체 중 하나이다. 용융 취입 섬유 및 웹 제조에 대해 보통, 매우 낮은 점도의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합체는 제한된 기계적 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스펀본딩된 직물이 제조된다. 스펀본딩된 직물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용융 취입 섬유에 비해 많이 두꺼우므로, 스펀본딩된 직물의 전체 중량은 용융 취입 웹에 비해 많이 높다. 용융 취입 웹의 추가적인 특유하고 특징적인 특성은 스펀본딩된 직물로 얻을 수 없는 이의 우수한 수분 장벽 및 여과 특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웹의 우수한 장벽 특성 및 낮은 중량과 같은 기타 필수적인 특성을 손실함이 없이, 우수한 기계적 강도, 특히 파단신장율에 있어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섬유 및/또는 비-직물 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견은, 5.5 중량% 를 초과하지 않는 공단량체 함량을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기재의 용융 취입 웹 및/또는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갖는 용융 취입 섬유에 관한 것이며, 상기 섬유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하기와 같다:
(a)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ISO 1133 에 따라 측정된 200 g/10 분 이상의 용융 흐름 속도 MFR2 (230℃) 를 갖고,
(b)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0.5 내지 5.5 중량% 의 공단량체 함량을 갖고, 상기 공단량체는 에틸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C4 내지 C20 α-올레핀이고,
(c)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13C-분광법에 의해 측정된 0.4 몰% 이하의 <2,1> 위치결함 (regiodefect) 을 갖고,
(d)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하기 식 (1) 을 충족함:
식 중,
Tm [℃] 는 ISO 11357-3 에 따라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 온도 [℃ 로 주어짐] 이고,
C2 [중량%] 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으로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내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공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의 양 [중량 백분율로 주어짐] 임.
놀랍게도, 이러한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이로 제조된 웹이, 각각 알려져 있는 용융 취입 섬유 및 웹에 비해 훨씬 더 양호한 기계적 강도, 특히 파단신장율에 있어서의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도 1 내지 4 참조). 보다 양호한 성능은, 기계적 특성이 1 주의 에이징 (aging) 과정 후 측정되는 경우 특히 표명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취입 섬유가 보다 상세히 정의된다.
하나의 필수적 필요조건은 본 발명의 섬유가 용융 취입 섬유라는 것이다. 용융 취입 섬유는 본질적으로 다른 섬유, 특히 스펀본드 기술에 의해 제조된 것들과 상이하다. 용융 취입 방법에서, 중합체가 용융 취입 다이에서의 소모세관으로부터 압출되기 때문에 고속의 기체 스트림은 용융 중합체 스트림에 영향을 주며, 모세관에서의 중합체 필라멘트를 약 500 ㎛ 직경에서 5.0 ㎛ 미만, 예컨대 3.0 ㎛ 미만 직경으로 신속히 감쇄시킨다. 이는 섬유 직경에 있어서 500 배, 및 단면적에 있어서 2,500,000 배의 감소에 상응한다. 상기 방법은 수 cm 거리에 걸쳐 약 200 마이크로초 내에 발생한다. 이는 카디드 (carded) 또는 스펀본드 기술에 의해 제조된 동등한 섬유 웹에 비해, 1 내지 3 ㎛ 의 용융 취입 웹에서 36 배 더 많은 섬유 및 6 배 더 많은 표면적에 이른다. 따라서 용융 취입 방법의 주요 이점은 이것이 우수한 균일성을 갖는 매우 경량의 용융 취입 웹 및 매우 미세한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는 우수한 장벽 특성을 갖는 연질 용융 취입 웹인데, 이는 수성 액체에 의한 침투에 대한 효과적인 여과 특성 및 저항성을 의미한다. 즉, 상기 방법은 상이한 기술에 의해 제조된 섬유와 이렇게 제조된 섬유를 구별시키는 "용융 취입" 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정확히, "용융 취입 섬유" 는 다른 섬유 방법으로 성취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 매우 얇은 것이다. 이러한 용융 취입 섬유로 제조된 추가의 웹은, 동일 두께이나 다른 기술 (예컨대 스펀본드 방법) 에 의해 제조된 웹에 비해 더 연질이며 더 낮은 중량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취입 섬유는 5.0 ㎛ 이하, 예컨대 5.0 ㎛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의 (평균) 측정 직경을 갖는다. 특히, 용융 취입 섬유의 (평균) 직경이 0.1 내지 5.0 ㎛ 범위, 예컨대 0.1 내지 5.0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9 ㎛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 범위, 예컨대 1.0 내지 3.0 ㎛ 라는 것이 인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필요조건은, 용융 취입 섬유가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융 취입 섬유는 8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예컨대 95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히, 용융 취입 섬유가 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추가적으로 통상적인 부가제, 예컨대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충전제, 착색제, 조핵제 및 이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된다. 제 1 및 제 2 의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간섭 페놀, 간섭 아민 및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조핵제는 예를 들어, 나트륨 벤조에이트, 소르비톨 유도체 예컨대 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오르비톨 및 노니톨 유도체 예컨대 1,2,3-트리데옥시-4,6:5,7-비스-O[(4-프로필페닐)메틸렌]-노니톨을 포함한다. 분산제 예컨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기타 부가제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표면 조정제는 예를 들어, 올레아미드 및 에루카미드를 포함한다. 촉매 불활성화제가 또한 통상 사용되며, 예를 들어, 칼슘 스테아레이트, 히드로탈시트 및 산화칼슘 및/또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기타 산 중화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가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를 초과하지 않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일 것이다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를 포함하는 웹을 기준으로). 따라서 특정 구현예에서,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를 포함하는 웹은 부가제, 특히 이 단락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것들을 함유할 수 있으나, 다른 중합체는 함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를 포함하는 웹 내의 유일한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보다 상세히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단량체" 는 프로필렌과 상이한 중합성 단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0.5 내지 5.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예컨대 1.0 내지 3.5 중량% 의 공단량체 함량을 가질 것이다. 남아 있는 부분은 프로필렌에서 유래가능한 단위를 구성한다. 따라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의 프로필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94.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4.5 중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4.5 내지 99.5 중량% 범위,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5.0 내지 99.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5 내지 99.5 중량%, 예컨대 96.0 내지 99.0 중량% 또는 예컨대 96.5 내지 99.0 중량% 이다.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공단량체는 에틸렌 및/또는 하나 이상의 C4 내지 C20 α-올레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공단량체는 에틸렌, C4 α-올레핀, C5 α-올레핀, C6 α-올레핀, C7 α-올레핀, C8 α-올레핀, C9 α-올레핀 및 C10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공단량체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및 1-데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데, 에틸렌, 1-부텐 및 1-헥센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하나 초과 유형의 공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1 개, 2 개 또는 3 개의 상이한 공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오직 한 유형의 공단량체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외에 오직 에틸렌, 1-부텐 또는 1-헥센만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공단량체는 오직 에틸렌이다.
따라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오직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프로필렌 공중합체이며, 여기서 에틸렌 함량은 0.5 내지 5.5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5 중량%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범위, 예컨대 1.0 내지 3.5 중량% 범위이다.
또한,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자일렌 가용물 함량이 다소 낮다는 것이 인지된다. 따라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ISO 6427 (23℃) 에 따라 측정된 자일렌 냉각 가용물 분획 (XCS) 이 12.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하, 예컨대 9.0 중량% 이하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범위는 1.0 내지 12.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5 내지 10.0 중량%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한 범위는 2.0 내지 9.0 중량% 이다.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추가적인 특징은 중합체 사슬 내의 낮은 양의 프로필렌 오삽입이다. 따라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13C-NMR 분광법에 따라 측정된 낮은 양의 <2,1> 위치결함, 즉 0.4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몰% 이하, 예컨대 0.1 몰% 이하의 양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가 80 J/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J/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10 J/g 범위,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5 J/g 범위의 융합열 (Hm) 을 갖는다는 것이 인지된다.
또한,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가 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범위의 결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무작위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동일배열성이다. 따라서,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다소 높은 펜타드 농도, 즉 95 몰%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몰% 초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8 몰% 초과의 농도를 갖는다는 것이 인지된다.
또한,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공단량체가 무작위하게 분포된다는 것이 인지된다. 무작위성은 중합체 사슬 내 공단량체 총량에 비해 단리된 공단량체 단위, 즉 주변에 다른 공단량체를 갖지 않는 단위의 양을 표시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무작위성은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심지어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용융 취입 섬유 내의 유일한 중합체 성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어 "프로필렌 공중합체" 는 폴리프로필렌 및 이에 분산된 엘라스토머성 성분을 포함하는 헤테로상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혼화성이 아닌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상이한 중합체의 혼합물로서 이해되지 않을 것이다. "혼화성이 아닌" 이라는 용어는 상이한 중합체가, 그의 상이한 성질로 인해 고해상도 현미경, 예컨대 전자 현미경 또는 주사 힘 현미경에 의해 가시적인 구별가능한 상을 형성하는 중합체 혼합물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소위 쌍봉형 또는 다봉형 중합체라는 선택사항을 배제하지 않는다. 비-혼화성 중합체와 상이하게, 쌍봉형 또는 다봉형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 및/또는 공단량체 함량 분포에 있어서 상이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혼화성인 분획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표현 "다봉형" 또는 "쌍봉형" 은 중합체의 양상, 즉 이의 공단량체 함량 분포 곡선의 형태 (온도 상승 용리 분획화 (TREF) 방법의 용리 온도의 함수로서 공단량체 함량의 그래프) 를 지칭한다. 온도 상승 용리 분획화 (TREF) 기술은 사슬 내 가장 긴 결정성 배열에 따라 프로필렌 중합체를 분획화하는데, 이는 대부분 용리 온도와 함께 선형으로 증가한다 (P. Ville et al., Polymer 42 (2001) 1953-1967). 따라서, 최고 온도가 높을수록 동일배열 연속물이 길어진다. 또한, 온도 상승 용리 분획화 (TREF) 기술은 입체규칙도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을 엄격히 분획화하지는 않지만 사슬 내 가장 긴 결정성 배열에 따라 이를 분획화한다. 그러므로 프로필렌 공중합체 사슬의 용해도는 입체적 결함의 분포 및 농도에 의해 영향받는다. 지금까지, 온도 상승 용리 분획화 (TREF) 기술은 이의 공단량체 분포의 관점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더 분석하기에 적절한 방법이다.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상이한 중합체 유형, 즉 상이한 공단량체 함량의 중합체 유형을 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반응 조건에서 작동하며 연속 형태로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합체 성분이 순차적 단계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로서, 특정 반응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분획물은 이의 고유한 공단량체 함량 분포를 가질 것이다.
최종 중합체의 공단량체 함량 분포 곡선을 수득하기 위해 이들 분획물로부터의 분포 곡선이 겹쳐지는 경우, 이들 곡선은 개별적인 분획물에 대한 곡선과 비교시 적어도 뚜렷하게 광범위해질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둘 이상의 연속 단계로 제조된 이러한 중합체는 단계 수에 따라 쌍봉형 또는 다봉형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쌍봉형 또는 다봉형일 수 있으나 비-혼화성 중합체 (중합체 분획물) 의 혼합물은 아니다. 따라서 한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공단량체 함량의 관점에 있어서 다봉형, 예컨대 쌍봉형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공단량체 분포의 관점에 있어서 단봉형이다.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추가의 중요한 특성은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공단량체, 특히 에틸렌 함량에 대한 용융 온도의 의존성이다. 공단량체의 증가, 특히에틸렌의 증가와 함께, 용융 온도가 감소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하는 특성을 얻기 위해서, 용융 온도 및 공단량체 함량, 즉 에틸렌 함량은 특정한 관계를 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는 하기 식 (1),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a),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b) 를 충족한다:
식 중,
Tm [℃] 은 ISO 11357-3 에 따라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 온도 [℃ 로 주어짐] 이고,
C2 [중량%] 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으로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내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공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의 양 [중량 백분율로 주어짐] 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가 ISO 11357-3 에 따라 측정된 130℃ 이상,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7℃ 이상, 예컨대 140℃ 이상의 용융 온도 Tm 을 갖는 것이 인지된다. 따라서 용융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7℃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55℃ 범위이다.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의 추가의 의무적 필요조건은 이의 다소 높은 용융 흐름 속도이며, 이는 스펀본드 기술에 의해 수득된 다른 중합체 및/또는 섬유와 상이하다. 용융 흐름 속도는 주로 평균 분자량에 의존적이다. 이는 긴 분자가 짧은 분자보다 물질이 더 낮게 흐르는 경향을 부여한다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분자량에 있어서의 증가는 MFR-값에 있어서의 감소를 의미한다. 용융 흐름 속도 (MFR) 는, 특정 온도 및 압력 조건 하에, 규정된 다이를 통해 방출된 중합체의 g/10 분으로 측정되며, 다음으로 중합체 각 유형에 대한 중합체의 점도 측정은 이의 분자량 뿐 아니라 이의 분지화 정도에 의해 주로 영향받는다. 230℃ 에서 2.16 kg 의 하중 하에 측정된 용융 흐름 속도 (ISO 1133) 는 MFR2 (230℃) 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필요조건은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가 200 g/10 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 g/10 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0 g/10 분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2,000 g/10 분 범위의 MFR2 (230℃) 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높은 용융 흐름 속도를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열분해 (vis-breaking) 에 따라 수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본 발명에서 나타낸 바와 동일한 특성을 갖지만 낮은 용융 흐름 속도 (MFR2) 를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열분해하여 수득된다는 것이 인지된다. 따라서, 열분해 전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150 g/10 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20 g/10 분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g/10 분 범위의 MFR2 (230℃)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초기에 사용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열분해 비 [최종 MFR2 (230℃) / 초기 MFR2 (230℃)] 가 5.0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8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 인 방식으로 선택되며,
"초기 MFR2 (230℃)" 는 열분해 전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MFR2 (230℃) 이고,
"최종 MFR2 (230℃)" 는 열분해 후 프로필렌 공중합체 (R-PP) 의 MFR2 (230℃) 이다.
물론, 본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게는 열분해되었기 때문에 다소 좁은 분자량 분포를 또한 특징으로 한다. 중합체의 열분해는 용융 흐름 속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는 분자량 분포를 좁게 한다. 따라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의 분자량 분포 (Mw/Mn) 는 2.0 내지 6.0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범위인 것이 인지된다.
또한 섬유 및/또는 섬유로부터 제조된 용융 취입 웹은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섬유 내의 공단량체 함량에 대한 인장 탄성율의 특이적인 관계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는 하기 식 (2),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2a) 를 충족한다:
식 중,
TM [MPa] 은 EN ISO 1873-2 에서 기재된 사출 성형 표본 (개 뼈 형상, 4 mm 두께) 을 사용하여 ISO 527-3 에 따라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인장 탄성율 [MPa 로 주어짐] 이고,
C2 [중량%] 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으로 측정된 공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의,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내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양 [중량 백분율로 주어짐] 임.
본 발명은 그러한 용융 취입 섬유에 대한 것뿐 아니라 이로 제조된 물품, 예컨대 웹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용융 취입 섬유를 포함하는 물품, 예컨대 여과 매질 (필터), 기저귀, 위생 냅킨, 팬티 라이너, 성인용 요실금 제품, 보호 의류, 수술용 드레이프, 수술용 가운 및 수술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용융 취입 섬유를 포함하는 용융 취입 웹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취입 웹은 하기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a) +23 ± 2℃ 의 온도 및 100 mm/분의 시험 속도에서, 50 mm 너비 및 140 mm 길이의 웹으로부터 절단한 직사각형 표본에서 ISO 527-1 에 따라 용융 취입 웹 제조 1 시간 후 측정된 35 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N 이상의 인장 강도 및/또는
(b) 50 mm 너비 및 140 mm 길이의 웹으로부터 절단한 직사각형 표본에서 ISO 527-1 에 따라 용융 취입 웹 제조 168 시간 후 측정된 36 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N 이상의 인장 강도.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용융 취입 섬유를 포함하는 용융 취입 웹을 포함하는, 여과 매질 (필터), 기저귀, 위생 냅킨, 팬티 라이터, 성인용 요실금 제품, 보호 의류, 수술용 드레이프, 수술용 가운 및 수술용 의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품을 청구한다. 본 발명의 물품은 용융 취입 웹에 추가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스펀본딩된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웹의 제조를 보다 상세히 기재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슬러리 반응기, 예를 들어 루프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일부를 제조하기 위해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 임의로는 적어도 또다른 C2 내지 C20 α-올레핀 (공단량체) 와 함께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이후 후속적인 기체상 반응기에 옮겨지는데, 그 결과 기체상 반응기에서 프로필렌은 제 1 단계의 반응 생성물의 존재 하에 추가의 부분을 제조해내기 위해서 적합하게 선택된 다른 C2 내지 C20 α-올레핀(들) (공단량체) 의 존재 하에 반응한다. 이러한 반응 순서로,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부분 (i) 및 (ii) 의 반응기 배합물이 제공된다. 제 1 반응이 기체상 반응기에서 실행되는 한편 제 2 중합 반응이 슬러리 반응기, 예를 들어 루프 반응기에서 실행되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물론 가능하다. 또한, 부분 (i) 및 (ii) 를 제조하는 순서 (상기에, 부분 (i) 를 먼저 제조한 후 부분 (ii) 를 제조하는 순서로 기재되었음) 를 역전시킬 수 있다. 둘 이상의 중합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토의한 방법은, 원하는 반응기 배합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쉽게 제어가능한 반응 단계를 제공한다는 사실의 점에 있어서 유리하다. 중합 단계는 수득한 중합 생성물의 특성을 적합하게 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단량체 공급, 공단량체 공급, 수소 공급, 온도 및 압력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단계 중합 절차 동안 분자량 및 MFR2 (230℃) 값에 관해, 및 공단량체, 예컨대 에틸렌에 관해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다봉성, 바람직하게는 쌍봉성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촉매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의한 바와 같은 방법은 지글러-나타 촉매, 특히 고수율 지글러-나타 촉매 (저수율, 소위 제 2 세대 지글러-나타 촉매와 구분하기 위한 소위 제 4 및 제 5 세대 유형) 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적합한 지글러-나타 촉매는 촉매 성분, 조촉매 성분 및 하나 이상의 전자 공여체 (내부 및/또는 외부 전자 공여체,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외부 공여체)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촉매 성분은 Ti-Mg-기재 촉매 성분이며 통상 조촉매는 Al-알킬 기재 화합물이다. 적합한 촉매는 특히 US 5,234,879, WO 92/19653, WO 92/19658 및 WO 99/33843 에서 개시된다.
바람직한 외부 공여체는 알려져 있는 실란-기재 공여체, 예컨대 디시클로펜틸 디메톡시 실란 또는 시클로헥실 메틸디메톡시 실란이다.
상기 토의한 바와 같은 방법의 한 구현예는 루프-기체상 방법, 예를 들어 EP 0 887 379 A1 및 WO 92/12182 에서 기재된, 예컨대 Borealis 에 의해 개발된, Borstar 기술로서 알려져 있는 방법이다.
상술한 슬러리-기체상 방법에 대해, 하기의 일반적인 정보가 방법 조건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4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특히 80 내지 90℃ 의 온도, 20 내지 80 bar,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bar 범위의 압력, 수소를 추가하는 선택사항이 있다 (분자량 제어를 위함). 바람직하게는 루프 반응기에서 실행되는 슬러리 중합의 반응 생성물은 후속적인 기체상 반응기에 옮겨지는데, 여기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범위, 압력은 5 내지 50 bar,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bar 범위, 다시금 수소 추가의 선택사항이 있다 (분자량 제어를 위함).
체류 시간은 상기 확인된 반응기 구역에서 가변적일 수 있다. 구현예에서, 슬러리 반응기, 예를 들어 루프 반응기에서의 체류 시간은 0.5 내지 5 시간, 예를 들어 0.5 내지 2 시간인 한편, 기체상 반응기에서의 체류 시간은 일반적으로 1 내지 8 시간이다.
상기 개략적으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된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특성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방법 조건으로, 예를 들어 하기 방법 매개변수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조정되고 제어될 수 있다: 온도, 수소 공급, 공단량체 공급, 프로필렌 공급, 촉매, 외부 공여체의 유형 및 양, 다봉형 중합체의 둘 이상의 성분 사이의 분할 (split).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열분해 단계를 거치는 경우, 열분해는 임의의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예컨대 퍼옥시드 열분해제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통상적인 열분해제는 2,5-디메틸-2,5-비스(tert-부틸-퍼옥시)헥산 (DHBP) (예를 들어 상품명 Luperox 101 및 Trigonox 101 로 시판됨), 2,5-디메틸-2,5-비스(tert-부틸-퍼옥시)헥신-3 (DYBP) (예를 들어 상품명 Luperox 130 및 Trigonox 145 로 시판됨), 디큐밀-퍼옥시드 (DCUP) (예를 들어 상품명 Luperox DC 및 Perkadox BC 로 시판됨), 디-tert-부틸-퍼옥시드 (DTBP) (예를 들어 상품명 Trigonox B 및 Luperox Di 로 시판됨), tert-부틸-큐밀-퍼옥시드 (BCUP) (예를 들어 상품명 Trigonox T 및 Luperox 801 로 시판됨) 및 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DIPP) (예를 들어 상품명 Perkadox 14S 및 Luperox DC 로 시판됨) 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퍼옥시드의 적합한 양은 이론상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열분해를 거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양, 열분해를 거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MFR2 (230℃) 및 수득되는 생성물의 원하는 표적 MFR2 (230℃) 을 기초로 하여 쉽게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퍼옥시드 열분해제의 통상적인 양은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이용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0.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 중량% 이다.
통상,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는 압출기에서 실행되어, 적합한 조건 하에, 용융 흐름 속도의 증가가 획득된다. 열분해 동안, 출발 생성물의 높은 분자 질량 사슬이 낮은 분자 질량의 분자보다 통계적으로 보다 빈번하게 파단되어,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분자량의 전체적인 감소 및 용융 흐름 속도의 증가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수득된 프로필렌 중합체는 용융 취입 섬유 방법에 대해 펠렛 또는 과립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방법에서, 계량 펌프를 사용하여 일련의 다이 팁을 갖는 분포 시스템에 용융된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펌프시킨다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일부 처리 온도에서 용융 상태임). 상기 다이 팁은 홀이 직선이고 각 면으로부터 고속 공기 충돌이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설계된다. 통상적인 다이는 직경이 0.3 내지 0.5 mm, 바람직하게는 0.4 mm 이고, 홀 간격이 1 cm 당 10 내지 16 (1 인치 당 25 내지 40) 이다. 충돌하는 고속 고온 공기는 필라멘트를 약화시키며 원하는 섬유를 형성시킨다. 다이의 바로 아래 또는 인접하여, 다량의 주변 공기가, 고온 기체를 냉각시키고, 웹과 접촉하고 이를 형성시키기 위해 섬유에 대해 연속적으로 새로 교체된 표면을 생성시키는 방식으로 통상 움직이는 성형 벨트 또는 기타 고체 표면 상에 섬유를 고체화시키는, 섬유 함유 고온 공기 스트림 내로 빨려들어간다. 처리 온도는 최종 웹 특성에 있어서 하나의 인자이다. "최적" 처리 온도는 웹의 이상적인 특성 (예컨대 취급 용이한 로우 샷 (low shot with good hand) 및 높은 배리어 특성, 또는 양호한 여과 특성) 이 얻어지는 온도이다.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용융 취입 웹의 특성은, 섬유의 냉각이 주변 공기에 의해 성취되지 않으나 수 냉각에 의해 성취되는 경우 유의하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한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취입 섬유는 수 켄칭 (water quenching) 에 의해 냉각된다.
하기 제공된 실시예에 의해 이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재할 것이다.
실시예
1. 정의/측정법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상기 본 발명의 일반적 설명 뿐 아니라 하기 실시예에 대해 하기의 용어 정의 및 측정 방법을 적용한다.
13
C
NMR
분광법에 의한 폴리프로필렌에서의 동일배열도 정량화
예를 들어 V. Busico and R. Cipullo, Progress in Polymer Science, 2001, 26, 443-533 에서와 같은 기본적 지정 후, 정량 13C 핵 자기 공명 (NMR) 분광법에 의해 동일배열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적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예를 들어 S. Berger and S. Braun, 200 and More NMR Experiments: A Practical Course, 2004, Wiley-VCH, Weinheim 에서와 같은 이러한 특정 과제에 대한 정량 스펙트럼의 측정을 확실히 하였다.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대표 부위의 신호 적분의 단순 수정 비를 사용하여 양을 계산하였다. 펜타드 수준, 즉, 펜타드 분포의 mmmm 분율에서 동일배열도를 측정하였다.
2,1-프로필렌 삽입물
사슬 내 프로필렌 단량체의 2,1-삽입물의 상대량을 13C-NMR 분광법에 의해 측정하고 EP 0 629 632 B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계산하였다.
무작위성
FTIR 측정에서, 250 mm 두께의 필름을 225℃ 에서 압축 성형하고 Perkin-Elmer System 2000 FTIR 기기에서 조사하였다. 에틸렌 피크 영역 (760-700 cm-1) 을 총 에틸렌 함량의 측정물로서 사용하였다. 구조 -P-E-P- (프로필렌 단위 사이의 하나의 에틸렌 단위) 에 대한 흡수 밴드가 733 cm- 1 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밴드는 무작위 에틸렌 함량의 특징이다. 긴 에틸렌 배열 (두 단위 초과) 에 대해서, 흡수 밴드는 720 cm- 1 에서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긴 에틸렌 실행물에 상응하는 숄더 (shoulder) 가 무작위 공중합체에 대해 관찰되었다. 733 cm- 1 에서의 피크 높이를 기준으로 하는 무작위 에틸렌 (PEP) 함량 및 상기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총 에틸렌 함량에 대한 교정을 13C-NMR 에 의해 실시하였다 (Thermochimica Acta, 66 (1990) 53-68).
무작위성 = 무작위 에틸렌 (-P-E-P-) 함량 / 총 에틸렌 함량 x 100%.
수 평균 분자량 ( M n ), 중량 평균 분자량 ( M w ) 및 분자량 분포 ( MWD ) 를, 온라인 점도계를 갖는 Waters Alliance GPCV 2000 기기를 사용하여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에 의해 측정하였다. 오븐 온도는 140℃ 였다. 트리클로로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하였다 (ISO 16014).
MFR 2 (230℃) 를 ISO 1133 에 따라 측정하였다 (230℃, 2.16 kg 하중).
FTIR
분광법에 의한
공단량체
함량의 정량화
정량 적외선 (IR) 분광법을 사용하여 공단량체 양을 정량화하였다. 정량 핵 자기 공명 (NMR) 분광법에 의해 측정된 공단량체 함량에 대한 상관관계에 의해 교정이 이루어졌다.
정량 13C-NMR 분광법으로부터 수득한 결과를 기초로 하는 교정 절차를, 문헌에서 잘 문서화된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공단량체 (N) 의 양을 하기 식을 통해 중량 퍼센트 (중량%) 로서 측정하였다:
N = k1 (A / R) + k2
[식 중, A 는 공단량체 밴드로 정의된 최고 흡수도이고, R 은 참조 피크의 피크 높이로서 정의된 최대 흡수도이고, k1 및 k2 는 교정에 의해 수득된 선형 상수임].
폴리(에틸렌-코-프로펜-코-부텐) (EPB) 시스템에 대해서, 하기의 두 가지 특징적 흡수 밴드를 통해 정량화가 이루어졌다:
ㆍ 760 cm-1 을 통한 1-부텐 함량 (750 내지 810 cm-1 사이의 선형 기저선 수정)
ㆍ 720 cm-1 또는 730 cm-1 을 통한 에틸렌 함량 (710 내지 750 cm-1 사이의 선형 기저선 수정)
에틸렌 함량이 무작위하거나 (730 cm-1) 블록형 (720 cm-1) 인지에 따라, 에탄 함량 정량화에 사용한 밴드를 선택하였다. 4324 cm- 1 에서의 흡수도를 참조 밴드로서 사용하였다.
몰 퍼센트 (몰%) 로서 측정된 바와 같은 공단량체 (N) 의 양을, 하기와 같이 공단량체의 분자량 (Mw) 을 사용하여 중량 퍼센트 (중량%) 의 단위로부터의 변환에 의해 수득하였다:
NA[몰%] = (NA[중량%] / MwA ) / ((NA[중량%] / MwA) + (NB[중량%] / MwB) + (( 100[중량%] - NA[중량%] - NB[중량%]) / MwC ))
고체 상태 적외선 스펙트럼을, 4 cm- 1 의 해상도에서 압축 성형 얇은 필름 (100-800 ㎛) 상에서 FTIR 분광계를 사용하여 기록하고 전송 모드로 분석하였다.
13
C
NMR
분광법에 의한
공단량체
함량의 정량화
기본적 지정 후 정량 자기 공명 (NMR) 분광법에 의해 공단량체 함량을 측정하였다 (예를 들어, "NMR Spectra of Polymers and Polymer Additives", A. J. Brandolini and D. D. Hills, 2000, Marcel Dekker, Inc. New York). 실험적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이러한 특정 과제에 대한 정량 스펙트럼의 측정을 확실히 하였다 (예를 들어, "200 and More NMR Experiments: A Practical Course", S. Berger and S. Braun, 2004, Wiley-VCH, Weinheim).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대표 부위의 신호 적분의 단순 수정 비를 사용하여 양을 계산하였다.
중합체의 인장 탄성율을, EN ISO 1873-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사출 성형 표본 (개 뼈 형상, 4 mm 두께) 을 사용하여 ISO 527-1 에 따라 평가하였다 (크로스 헤드 속도 = 1 mm/분; 23℃).
용융 온도
Tm
용융 온도 (피크 온도) Tm 을, 주변 온도와 210℃ 사이에서 10 K/분의 속도로의 가열 - 냉각 - 가열 사이클에서의 두 번째 가열시 피크 온도를 사용하여, ISO 11357-1 에 따라 DSC 에 의해 측정하였다.
용융 엔탈피 ( Hm ) [융합열] 를 ISO 11357-3 에 따라 DSC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정도
중합체의 결정도를, 10 K/분의 가열 속도에서 실행하며 완전히 결정성인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대해 용융 엔탈피 209 J/g 를 추정하는 ISO 3146 에 따른 표준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실험에 있어서의 용융 엔탈피 Hm 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예를 들어, 하기 참고문헌 참조: Markus Gahleitner, Pirjo Jaaskelainen, Ewa Ratajski, Christian Paulik, Jens Reussner, Johannes Wolfschwenger & Wolfgang Neiss1, Propylene-Ethylene Random Copolymers: Comonomer Effects on Crystallinity and Application Properties, J.Appl.Polym.Sci. 95 (2005) 1073-81).
자일렌 가용물 ( XCS , 중량%): 자일렌 가용물 (XCS) 의 함량을 ISO 6427 에 따라 23℃ 에서 측정하였다.
웹의
평량
웹의 단위 중량 (평량) (g/㎡) 을 ISO 536:1995 에 따라 측정하였다.
웹에서의 평균 섬유
직경
수 평균 섬유 직경을 주사 전자 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웹의 대표 부분을 선택하고 적합한 배율의 SEM 현미경 사진을 기록한 후, 20 개 섬유의 직경을 측정하고 수 평균 계산하였다.
웹의 인장 특성
웹의 인장 강도를, Zwick 005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효율적 클램핑 길이 100 mm 로, 너비 50 mm 및 길이 140 mm 의 웹으로부터 절단한 직사각형 표본에서 ISO 527-1 에 대한 동일선상으로 측정하였다. 시험 온도는 +23 ± 2℃ 였고 시험 속도는 파단점까지 100 mm/분이었으며, 클램프의 거리에 의해 측정되는 연장은 클램프의 초기 거리를 기준으로 하였다. 10 개 샘플을 시험하여 이로부터 힘 대 연장의 평균 곡선을 계산하였다 (도 1 및 2 참조). 이들 평균 곡선으로부터, 인장 강도를 도달한 최대 힘으로서 측정하고, 인장 변형을 인장 강도에서의 연장으로서 측정하고, 파단력을 파단점에서의 힘으로서 측정하고, 파단 변형을 파단점에서의 연장으로서 측정하였다.
2.
실시예의
준비
2.1 중합체의 제조
발명예
:
MFR2 가 22 g/10 분이며 FTIR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에틸렌 함량이 3.3 중량% 인 시판 4th 세대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시판 에틸렌-프로필렌 무작위 공중합체 RF365MO (Borealis) 를 열분해용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적당량의 (tert-부틸퍼옥시)-2,5-디메틸헥산 (Trigonox 101, Akzo Nobel, Netherlands 에 의해 유통됨) 을 사용하여 200-230℃ 에서 동시-회전 이축 압출기에서 열분해를 수행하여, MFR2 가 800 g/10 분이 되게 하였다. 생성된 중합체는 용융점 145℃ 및 융합열 100.1 J/g (DSC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음), 결정도 48%, 인장 탄성율 900 MPa (사출 성형 표본 상에서 측정된 바와 같음), 및 XCS 함량 4.1 중량% 를 특징으로 하였다. 사슬 내 프로필렌 단량체의 2,1-삽입물은 13C-NMR 분광법에 의해 측정되지 않았다. SEC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이러한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81 kg/mol 및 분포도 (broadness) Mw/Mn 2.6 을 특징으로 하였다.
비교예
:
열분해 방법에서 제조된 MFR2 가 800 g/10 분인 시판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BorflowTM HL508FB (Borealis) 를 사용하였다. 상기 중합체는 용융점 161℃ 및 융합열 102.4 J/g (DSC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음), 결정도 49%, 인장 탄성율 1100 MPa (사출 성형 표본 상에서 측정된 바와 같음), 및 XCS 함량 1.9 중량% 를 특징으로 하였다. SEC 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상기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77 kg/mol 및 분포도 Mw/Mn 3.0 을 특징으로 하였다.
2.2 용융 취입 섬유의 제조
물질은, 인치 당 35 개 홀 및 0.4 mm 직경의 홀을 갖는 다이를 사용하여 250 mm 너비 Reicofil 용융 취입 파일럿 라인 상에서 용융 취입 웹으로 변환되었다. 용융 온도를 290℃ 에서 설정하고 공기 온도를 270℃ 에서 설정하였다. 라인의 산출량은 30 kg/m/h 이었고, 다이에서 콜렉터까지의 거리를 500 mm 에서 고정하였으며, 제조된 웹은 중량이 120 g/㎡ 였다. 중합체에 대해서, 100 ㎥/h (=낮은 공기 부피) 및 최대 공기 부피인 두 가지 상이한 공기 부피로 웹을 제조하였다. 최대 공기 부피는 플라이 (fly) 형성이 시작되는 공기 부피로서 기재될 수 있다. 최대 공기 부피로 설정하는 것을 물 켄칭을 추가하여 반복하였다. 물 켄칭을, 다이 150 mm 아래에 위치한 표준 노즐을 통해 적용하였다. 와인더에 도달하는 웹이 실온이 될 때까지 냉각되고 약간 습윤성이 되는 방식으로 물의 분무량을 조정하였다.
2.3 샘플 제조 및 시험
웹의 단위 중량을 제조와 병행으로 측정하였고, 모든 경우 적절한 기계 조정으로 120 g/㎡ 의 단위 중량을 얻었다. 제조 1 시간 후, 및 23℃ ± 2℃ 에서 1 주 동안 조건화한 후 웹의 인장 특성을 2 회 시험하였다.
하기 표에, 조건화 / 에이징 (ageing) 전과 후 모두 웹 제조의 모든 조건에서의 본 발명의 물질에 대한 인장 및 파단 매개변수 모두에 있어서의 이점을 나타낸다.
웹 제조 | 제조 1 시간 후 | ||||
인장 강도 | 인장 변형 | 파단 강도 | 파단 변형 | ||
N | % | N | % | ||
E1 ( RACO - MB ) | 저-공기 흐름 | 42 | 9.7 | 41.5 | 10 |
고-공기 흐름 | 42 | 21 | 40.5 | 24 | |
고-공기 + 물 | 41 | 57 | 32 | 62 | |
C1 ( HL508FB ) | 저-공기 흐름 | 34 | 8 | 31 | 9 |
고-공기 흐름 | 19 | 12 | 9.5 | 20 | |
고-공기 + 물 | 18 | 11 | 9 | 18.5 |
웹 제조 | 제조 1 주 후 | ||||
인장 강도 | 인장 변형 | 파단 강도 | 파단 변형 | ||
[N] | [%] | [N] | [%] | ||
E1 ( RACO - MB ) | 저-공기 흐름 | 44.5 | 7 | 44 | 7.3 |
고-공기 흐름 | 44.5 | 20 | 36 | 25 | |
고-공기 + 물 | 43 | 51 | 40 | 55 | |
C1 ( HL508FB ) | 저-공기 흐름 | 34.5 | 5.8 | 34 | 6.2 |
고-공기 흐름 | 20 | 12 | 10 | 18.5 | |
고-공기 + 물 | 18.5 | 10.5 | 19.5 | 9.2 |
Claims (15)
- 5.0 ㎛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용융 취입 섬유로서, 85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용융 취입 섬유 내의 유일한 중합체이며, 또한 하기와 같은 섬유:
(a)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ISO 1133 에 따라 측정된 200 g/10 분 이상의 용융 흐름 속도 MFR2 (230℃) 를 갖고,
(b)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0.5 내지 5.5 중량% 의 공단량체 함량을 갖고, 상기 공단량체가 에틸렌 및/또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C4 내지 C20 α-올레핀이고,
(c)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13C-분광법에 의해 측정된 0.1 몰% 이하의 <2,1> 위치결함 (regiodefect) 을 갖고,
(d)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하기 식 (1) 을 충족함:
[식 중,
Tm [℃] 는 ISO 11357-3 에 따라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 온도 [℃ 로 주어짐] 이고,
C2 [중량%] 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으로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내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공단량체의 양 [중량 백분율로 주어짐] 임]. -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용융 취입 섬유가 140℃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갖는 용융 취입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9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융 취입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3C NMR 분광법으로 측정된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펜타드 동일배열도가 95 몰% 초과인 용융 취입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2.0 내지 6.0 의 분자량 분포 (Mw/Mn) 를 갖는 용융 취입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5.0 내지 100.0 의 열분해 비 [최종 MFR2 (230℃) / 초기 MFR2 (230℃)] 로 열분해되며,
"초기 MFR2 (230℃)" 가 열분해 전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MFR2 (230℃) 이고,
"최종 MFR2 (230℃)" 가 열분해 후 프로필렌 공중합체 (R-PP) 의 MFR2 (230℃) 인 용융 취입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하기 식 (2) 를 충족하는 용융 취입 섬유:
[식 중,
TM [MPa] 은 EN ISO 1873-2 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사출 성형 표본 (개 뼈 형상, 4 mm 두께) 을 사용하여 ISO 527-3 에 따라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인장 탄성율 [MPa 로 주어짐] 이고,
C2 [중량%] 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으로 측정된 상기 용융 취입 섬유 내 및/또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공단량체의 양 [중량 백분율로 주어짐] 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EN ISO 1873-2 에서 기재된 사출 성형 표본 (개 뼈 형상, 4 mm 두께) 을 사용하여 ISO 527-3 에 따라 측정된 850 MPa 이상의 인장 탄성율을 갖는 용융 취입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물 켄칭에 의해 냉각되는 용융 취입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용융 취입 섬유를 포함하는 용융 취입 웹.
- 제 10 항에 있어서, 하기의 인장 강도를 갖는 용융 취입 웹:
(a) +23 ± 2℃ 의 온도 및 100 mm/분의 시험 속도에서, 50 mm 너비 및 140 mm 길이의 웹으로부터 절단한 직사각형 표본에서 ISO 527-1 에 따라 용융 취입 웹 제조 1 시간 후 측정된 35 N 이상의 인장 강도 및/또는
(b) +23 ± 2℃ 의 온도 및 100 mm/분의 시험 속도에서, 50 mm 너비 및 140 mm 길이의 웹으로부터 절단한 직사각형 표본에서 ISO 527-1 에 따라 용융 취입 웹 제조 168 시간 후 측정된 36 N 이상의 인장 강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용융 취입 섬유, 및/또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용융 취입 섬유를 포함하는 용융 취입 웹을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여과 매질, 기저귀, 위생 냅킨, 팬티 라이너, 성인용 요실금 제품, 보호 의류, 수술용 드레이프, 수술용 가운 및 수술용 의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품.
- 제 12 항에 있어서, 스펀본딩된 직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물품.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홀의 직경이 0.3 내지 0.5 mm 이며 1 cm 당 10 내지 16 개 홀이 있는 다이를 갖는 용융 취입 플랜트를 사용하여 용융 취입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용융 취입 섬유의 제조 방법.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0151898.3 | 2010-01-28 | ||
EP10151898 | 2010-01-28 | ||
PCT/EP2011/050676 WO2011092092A2 (en) | 2010-01-28 | 2011-01-19 | Melt blown fib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6110A KR20120096110A (ko) | 2012-08-29 |
KR101394789B1 true KR101394789B1 (ko) | 2014-05-15 |
Family
ID=4233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9605A KR101394789B1 (ko) | 2010-01-28 | 2011-01-19 | 용융 취입 섬유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8999867B2 (ko) |
EP (1) | EP2529044B1 (ko) |
KR (1) | KR101394789B1 (ko) |
CN (1) | CN102639769B (ko) |
AU (1) | AU2011209238B2 (ko) |
BR (1) | BR112012018283B1 (ko) |
DK (1) | DK2529044T3 (ko) |
ES (1) | ES2474090T3 (ko) |
WO (1) | WO2011092092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27935B2 (en) * | 2011-07-06 | 2016-12-27 |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 Random copolymer of propylene with 1-hexene |
ES2542608T3 (es) * | 2011-12-06 | 2015-08-07 | Borealis Ag | Copolímeros de PP para estructuras no tejidas fibrosas sopladas en fusión/de pulpa, con propiedades mecánicas mejoradas y un menor consumo de aire caliente |
US9322114B2 (en) | 2012-12-03 | 2016-04-26 |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 Polypropylene fibers and fabrics |
BR112016011829B1 (pt) * | 2013-12-04 | 2022-01-18 | Borealis Ag | Composição de polipropileno, fibra e trama soprada em fusão, artigo e uso da composição de polipropileno |
AU2015289353C1 (en) | 2014-07-15 | 2018-06-21 | Borealis Ag | Nucleated phthalate-free PP homopolymers for melt-blown fibers |
DK3034552T4 (da) | 2014-12-15 | 2024-09-16 | Borealis Ag | Synergistic visbreaking-sammensætning af peroxid og hydroxylaminester til øgning af visbreaking-effektivitet |
EP3492499A1 (en) | 2014-12-15 | 2019-06-05 | Borealis AG | Melt-blown webs without shots and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
CN108026680B (zh) * | 2015-10-02 | 2020-12-08 | 博里利斯股份公司 | 具有改进性能的熔喷网 |
DK3257988T3 (da) * | 2016-06-13 | 2019-11-04 | Borealis Ag | Smelteblæste baner af høj kvalitet med forbedrede barriereegenskaber |
US20230025875A1 (en) * | 2019-12-04 | 2023-01-26 | Borealis Ag | Light weight melt blown web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
WO2021110814A1 (en) * | 2019-12-04 | 2021-06-10 | Borealis Ag | Filtration media made from melt-blown fibers with improved filtration properties |
US12070522B2 (en) | 2020-02-18 | 2024-08-27 | Ethicon, Inc. | Melt blown dressing with gradient density |
US12102722B2 (en) | 2020-06-08 | 2024-10-01 | Ethicon, Inc. | Napped coated wound dressing |
WO2023012159A1 (en) | 2021-08-04 | 2023-02-09 | Borealis Ag | Multilayer nonwoven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45600A1 (en) * | 2005-10-21 | 2007-04-26 | Basell Polyolefine Gmbh | Polypropylene random copolymers having high melt flow rates for injection molding and melt brown applications |
KR20080038230A (ko) * | 2005-08-19 | 2008-05-02 |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 프로필렌 기재 멜트블로운 부직층 및 복합 구조물 |
US20090053959A1 (en) * | 2007-08-21 | 2009-02-26 | Sudhin Datta | Soft and Elastic Nonwov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
KR20100074339A (ko) * | 2007-12-14 | 2010-07-01 | 토탈 페트로케미칼스 리서치 펠루이 | 넓은 분자량 분포 및 낮은 회분 함량을 가진 프로필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4879A (en) | 1990-12-19 | 1993-08-10 | Neste Oy | Method for the modification of catalysts intended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FI86867C (fi) | 1990-12-28 | 1992-10-26 | Neste Oy | Flerstegsprocess foer framstaellning av polyeten |
FI88047C (fi) | 1991-05-09 | 1993-03-25 | Neste Oy | Pao tvenne elektrondonorer baserad katalysator foer polymerisation av olefiner |
FI88048C (fi) | 1991-05-09 | 1993-03-25 | Neste Oy | Grovkornig polyolefin, dess framstaellningsmetod och en i metoden anvaend katalysator |
CA2125247C (en) | 1993-06-07 | 2001-02-20 | Daisuke Fukuoka | Transition metal compound,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component comprising said compound,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containing said catalyst component, process for olefinpolymerization using said catalyst , propylene homopolymer, propylene copolymer and propylene elastomer |
FI111848B (fi) | 1997-06-24 | 2003-09-30 | Borealis Tech Oy | Menetelmä ja laitteisto propeenin homo- ja kopolymeerien valmistamiseksi |
WO1999033843A1 (en) | 1997-12-23 | 1999-07-08 | Borealis Technology Oy | Soluble magnesium dihalide complex, preparation and use |
US6423800B1 (en) * | 1999-05-26 | 2002-07-23 | Fina Technology, Inc. | Pelletized polyolefin having ultra-high melt flow and its articles of manufacture |
FI111955B (fi) * | 1999-12-27 | 2003-10-15 | Borealis Tech Oy | Propeenipolymeerit, joilla on erittäin korkea sulavirta |
DE10026579A1 (de) * | 2000-05-30 | 2001-12-06 | Basell Polyolefine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ür das Faserspinnen geeigneten Propylenpolymerisaten |
US6960635B2 (en) * | 2001-11-06 | 2005-11-01 | Dow Global Technologies Inc. | Isotactic propylene copolym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
US20050130544A1 (en) * | 2003-11-18 | 2005-06-16 | Cheng Chia Y. | Elastic nonwoven fabrics made from blends of polyolefin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
CN102300883B (zh) * | 2009-01-29 | 2014-08-20 |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 聚丙烯非织造纤维和织物及其制造方法 |
US20120123374A1 (en) * | 2010-11-09 | 2012-05-17 | Richeson Galen C | Meltblown Nonwov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
-
2011
- 2011-01-19 WO PCT/EP2011/050676 patent/WO2011092092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1-19 US US13/575,469 patent/US8999867B2/en active Active
- 2011-01-19 DK DK11700555T patent/DK2529044T3/da active
- 2011-01-19 AU AU2011209238A patent/AU2011209238B2/en not_active Ceased
- 2011-01-19 ES ES11700555.3T patent/ES2474090T3/es active Active
- 2011-01-19 EP EP20110700555 patent/EP2529044B1/en active Active
- 2011-01-19 CN CN201180004703.6A patent/CN102639769B/zh active Active
- 2011-01-19 BR BR112012018283A patent/BR112012018283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1-01-19 KR KR1020127019605A patent/KR1013947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8230A (ko) * | 2005-08-19 | 2008-05-02 |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 프로필렌 기재 멜트블로운 부직층 및 복합 구조물 |
WO2007045600A1 (en) * | 2005-10-21 | 2007-04-26 | Basell Polyolefine Gmbh | Polypropylene random copolymers having high melt flow rates for injection molding and melt brown applications |
US20090053959A1 (en) * | 2007-08-21 | 2009-02-26 | Sudhin Datta | Soft and Elastic Nonwov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
KR20100074339A (ko) * | 2007-12-14 | 2010-07-01 | 토탈 페트로케미칼스 리서치 펠루이 | 넓은 분자량 분포 및 낮은 회분 함량을 가진 프로필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11209238A1 (en) | 2012-08-16 |
DK2529044T3 (da) | 2014-05-12 |
ES2474090T3 (es) | 2014-07-08 |
CN102639769B (zh) | 2014-03-26 |
WO2011092092A3 (en) | 2011-09-29 |
EP2529044B1 (en) | 2014-04-09 |
KR20120096110A (ko) | 2012-08-29 |
CN102639769A (zh) | 2012-08-15 |
AU2011209238B2 (en) | 2013-11-28 |
US8999867B2 (en) | 2015-04-07 |
US20130137329A1 (en) | 2013-05-30 |
WO2011092092A2 (en) | 2011-08-04 |
EP2529044A2 (en) | 2012-12-05 |
BR112012018283A2 (pt) | 2018-06-05 |
BR112012018283B1 (pt) | 2019-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4789B1 (ko) | 용융 취입 섬유 | |
KR101679943B1 (ko) | 개선된 방사 성능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 섬유 등급 | |
TWI478975B (zh) | 紡黏纖維及由聚烯烴摻合物製得之織物 | |
KR101709467B1 (ko) |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직물 | |
TWI441863B (zh) | 由以聚丙烯為主之彈性體製備之纖維及非織物 | |
US9382411B2 (en) | Propylene polymers | |
KR101536840B1 (ko) | 공기 여과용 멜트 블로운 매체를 위한 삼원공중합체 | |
KR101156284B1 (ko) | 폴리올레핀 블렌드로부터의 스펀본드 섬유 및 패브릭 | |
KR102559296B1 (ko) | 용융 방사 섬유 적용을 위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
US20240035203A1 (en) | Melt-blown web made of polypropylene | |
US20200157328A1 (en) | Polyalphaolefin Modified Polymer Blends for Nonwovens | |
WO2020101883A1 (en) | Polyalphaolefin modified polymer blends for fibres and nonwove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