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107B1 -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107B1
KR101394107B1 KR1020120144556A KR20120144556A KR101394107B1 KR 101394107 B1 KR101394107 B1 KR 101394107B1 KR 1020120144556 A KR1020120144556 A KR 1020120144556A KR 20120144556 A KR20120144556 A KR 20120144556A KR 101394107 B1 KR101394107 B1 KR 10139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vehicle
position control
antenn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은, 차량 전방에 설치된 제1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제2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선루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선루프 제어기와 같은 초기화 작업이 불필요하고, 선루프 제어기가 오프인 상태에서 선루프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선루프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OF SUNROOF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차량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각종 편의장치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 차량용 선루프는 내부공기의 순환을 도와 쾌적함을 높이고, 차량 지붕을 유리로 대체함으로써 개방감을 높이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에는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홀 센서(Hall Sensor)를 이용하여 모터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량을 이용하여 선루프의 위치 정보를 연산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선루프의 절대 위치를 검출할 수 없으며, 기준 위치 값을 이용하여 선루프의 상대 위치만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루프가 차량에 새로 장착된 경우, 기준 위치 값을 결정하기 위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선루프의 위치를 제어하는 선루프 제어기가 오프(off) 상태가 되기 전에, 선루프의 현재 위치값을 EEPROM과 같은 기억장치에 저장해야 한다. 이 경우 선루프 제어기가 오프인 상황에서 선루프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현재 위치 값이 저장되지 않는다면, 선루프 제어기가 다시 온(on)되었을 때 잘못된 현재 위치 정보로 인해 선루프의 위치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선루프 제어기의 온/오프 상태와 관계없이 차량용 선루프의 절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선루프 제어기와 같은 초기화 작업이 불필요하고, 선루프 제어기가 오프인 상태에서 선루프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선루프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 전방에 설치된 제1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제2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선루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 전방에 설치된 제1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및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제2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LF 수신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선루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제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루프 제어기의 온/오프 상태와 관계없이 차량용 선루프의 절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선루프 제어기와 같은 초기화 작업이 불필요하고, 선루프 제어기가 오프인 상태에서 선루프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선루프의 위치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단면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제어 장치(102)는 LF 수신부(104), 위치 정보 생성부(106), 위치 제어 정보 생성부(108)를 포함한다.
LF 수신부(104)는 차량 전방에 설치된 제1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및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제2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106)는 LF 수신부(104)에 의해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선루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제어 정보 생성부(108)는 위치 정보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용 선루프 제어 장치(102)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는 위치 제어 정보 생성부(108)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제어 정보를 선루프 제어기로 전송한다. 이 때 송신부는 RF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선루프 제어기는 송신부를 통해 송신된 위치 제어 정보를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2)에는 차량용 선루프(20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용 선루프(20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가 배치된다. 여기서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는 차량용 선루프(204)의 전단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차량(202) 전방에는 제1 LF 안테나(208)가, 차량(202) 후방에는 제2 LF 안테나(210)가 각각 배치된다. LF(Low Frequency) 안테나는 차량(202)의 스마트키와 같은 무선 단말과 LF 신호를 주고받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기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LF 안테나를 활용함으로써 시스템 구성의 복잡도와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는 제1 LF 안테나(208)로부터 송신되는 제1 신호와 제2 LF 안테나(210)로부터 송신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는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선루프(204)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도 2에서, 제1 LF 안테나(208), 제2 LF 안테나(210)와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 간의 거리가 짧을수록 제1 신호, 제2 신호의 세기는 커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신호, 제2 신호의 세기를 분석함으로써 제1 LF 안테나(208), 제2 LF 안테나(210)와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계산은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에 미리 저장된 거리 계산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LF 안테나와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 간의 거리와 LF 신호 세기를 여러 번 측정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테이블화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선형 보간법 등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는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용 선루프(204)의 위치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차량용 선루프 위치 제어 장치(206)는 생성된 위치 제어 정보를 RF 통신을 이용하여 선루프 제어기(212)에 전송할 수 있다.
선루프 제어기(212)는 수신한 위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선루프 구동 모터(214)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선루프(204)의 위치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 전방에 설치된 제1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한다(302). 그리고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제2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한다(304).
다음으로,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선루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306). 그리고 나서,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308).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는 선루프 제어기에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7)

  1. 차량 전방에 설치된 제1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제2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LF 안테나와 차량용 선루프 간의 거리 및 상기 제2 LF 안테나와 상기 차량용 선루프 간의 거리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LF 안테나와 차량용 선루프 간의 거리 및 상기 제2 LF 안테나와 차량용 선루프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 정보를 선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 정보는
    RF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선루프 제어기로 전송되는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4. 차량 전방에 설치된 제1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 및 차량 후방에 설치된 제2 LF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LF 수신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LF 안테나와 차량용 선루프 간의 거리 및 상기 제2 LF 안테나와 상기 차량용 선루프 간의 거리를 각각 계산하고, 상기 제1 LF 안테나와 차량용 선루프 간의 거리 및 상기 제2 LF 안테나와 차량용 선루프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제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 정보를 선루프 제어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RF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용 선루프의 전단 중앙에 배치되는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장치.
KR1020120144556A 2012-12-12 2012-12-12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94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556A KR101394107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556A KR101394107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107B1 true KR101394107B1 (ko) 2014-05-13

Family

ID=5089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556A KR101394107B1 (ko) 2012-12-12 2012-12-12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918A (ko) 2016-08-10 2018-02-22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차량의 루프 영역 통합 무선 제어 시스템
KR20190007911A (ko) 2017-07-14 2019-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 시스템의 자동 위치보상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211A (ko) * 2005-04-29 2006-11-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지역 내부 연결 네트워크 통신을 사용하는 차량용 선루프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9988A (ko) * 2008-09-09 2010-03-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ke 시스템에서 스마트 키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211A (ko) * 2005-04-29 2006-11-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지역 내부 연결 네트워크 통신을 사용하는 차량용 선루프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9988A (ko) * 2008-09-09 2010-03-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ke 시스템에서 스마트 키 인식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918A (ko) 2016-08-10 2018-02-22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차량의 루프 영역 통합 무선 제어 시스템
KR20190007911A (ko) 2017-07-14 2019-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 시스템의 자동 위치보상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298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vehicle and a portable device
JP2016014259A (ja) 電子キー装置
US11386727B2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WO2020158308A1 (ja) 車両用位置推定システム
US20170316630A1 (en) Integrated garage door opener for connected vehicle
CN113366333A (zh) 车辆用位置推断系统
US10688965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access device on the vehicle
KR101394107B1 (ko) 차량용 선루프의 위치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6000905A (ja) 車両通信システム
CN109661844B (zh) 用于定位移动终端的方法和装置
US9421831B2 (en) Magnetic force transmission type tire pressure sensor device and related setting tool and setting method
EP3815932A1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KR101743646B1 (ko) 세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구현된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 유닛에서 수행되는 차량 제어 방법
JP2019073960A (ja) 車両用位置判定システム
CN103847689A (zh) 遥控钥匙、胎压检测系统
US11736929B2 (en) Vehicle system, in-vehicle device, and terminal locating method
JP6048162B2 (ja) 車輌施錠システム
JP2016099831A (ja) 車載機
KR101480619B1 (ko) 스마트 키 위치 안내 시스템
KR101399254B1 (ko) 휴대용 기기의 움직임 패턴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WO2017061205A1 (ja) 車両用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916407B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오토 언폴딩 시스템
JP2012156701A (ja) 送信機
JP2011085524A (ja) 位置検出システム
JP2012158254A (ja) 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