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411B1 -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 - Google Patents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411B1
KR101393411B1 KR1020120069025A KR20120069025A KR101393411B1 KR 101393411 B1 KR101393411 B1 KR 101393411B1 KR 1020120069025 A KR1020120069025 A KR 1020120069025A KR 20120069025 A KR20120069025 A KR 20120069025A KR 101393411 B1 KR101393411 B1 KR 10139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mold
cutting oil
roll
pipe
injectio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448A (ko
Inventor
송기형
이석우
이동윤
최영재
박경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4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7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with a cutting liquid nozzle specially adaptable to different kinds of machin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 B23Q11/1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using a jet of gas or cutt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선반에서 롤금형을 가공하는 가공모듈에 있어 일측이 상기 선반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의 외주면에 위치한 가공영역에 접촉하여 절삭가공을 하는 롤금형가공부 및 일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의 타측 끝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롤금형이 회전하는 회전 방향의 상류에서 상기 가공영역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공급부를 포함하는 롤금형 가공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Roll Mold Manufacturing Module Having Injection Needle for Cutting Oil}
본 발명은 롤금형을 가공 선반에 사용되는 가공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롤금형을 가공하는 롤금형가공부에 절삭유를 분사하는 분사니들을 결합하여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용 제품에 들어가는 BLU(Back Light Unit)의 구성품 중 하나인 프리즘시트를 생산하기 위한 롤금형을 가공하는데 있어서 선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프리즘시트의 가공에 사용되는 롤금형의 경우, 외주면에 형성된 패턴이 미세하기 때문에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롤금형에 정밀한 패턴을 형성하는 선반에 있어서, 롤금형을 절삭 가공할 때 정밀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롤금형을 절삭하는 가공수단의 보호를 위해서 절삭유가 사용된다.
그래서 롤금형을 절삭 가공할 때 분사되는 절삭유를 가공영역에 정확하게 분사할 뿐만 아니라 절삭유의 낭비도 줄이기 위해서 롤금형에 분사되는 절삭유를 공급하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이 개발된 종래의 롤금형 가공모듈에 대해서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종래에 개발된 가공부 및 분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공부 및 분사부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선반(10)은 롤금형을 가공하는 가공부(14)와 절삭유를 분사하는 분사부(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부(14)는 일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16)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공영역(C)에 접촉하여 상기 롤금형(16)의 회전을 통해서 상기 가공영역(C)을 절삭 가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공부(14)는 상기 가공영역(C)에 인접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공팁(14a)을 구비하여 상기 가공팁(14a)이 상기 롤금형(16)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가공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12)는 상기 롤금형(16)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공영역(C)이 상기 가공부(14)에 의해서 가공되기 전에 상기 가공영역(C)에 절삭유를 분사한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금형(16)의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칩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칩의 배출경로에서 멀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부(12)가 상기 가공부(14)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가공영역(C)에 절삭유를 정확히 분사하기 어렵다.
그래서 상기 분사부(12)는 상기 가공영역(C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롤금형(16)에 절삭유를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분사부(12)로부터 분사되는 절삭유가 상기 가공영역(C)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영역에도 분사되어 절삭유의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상기 가공영역(C)에 분사되는 절삭유가 고르게 분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사용되던 롤금형 가공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금형을 가공하는 롤금형가공부에 절삭유 분사니들을 구비하여 롤금형이 가공되는 가공영역에 절삭유를 공급함으로써 절삭유 공급효율을 증가시키는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반에서 롤금형을 가공하는 가공모듈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선반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의 외주면에 위치한 가공영역에 접촉하여 절삭가공을 하는 롤금형가공부 및 일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의 타측 끝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롤금형이 회전하는 회전 방향의 상류에서 상기 가공영역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삭유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절삭유 및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관, 일측이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절삭유와 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 및 상기 혼합관의 타측 끝단부에 배치되며 공기와 혼합된 절삭유를 상기 가공영역으로 분사하는 절삭유 분사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은 상기 롤금형과 인접한 끝단부에서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내부에 공기와 절삭유가 흐르도록 일부 영역이 구획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내부에 절삭유가 유동하는 내부관 및 상기 내부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외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관은 일측 끝단부가 상기 외부관 내부에서 상기 혼합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관은 상기 혼합관에 인접한 일측 끝단부가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절삭유가 유동하는 연통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금형가공부는 상기 선반에 결합되며 상기 절삭유공급부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에 접촉하는 가공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롤금형을 절삭 가공하는 가공모듈에 있어서 롤금형의 외주면에 위치한 가공영역에 접촉하여 절삭가공을 하는 롤금형가공부 및 일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의 타측 끝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롤금형이 회전하는 회전 방향의 상류에서 상기 가공영역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가공영역에만 절삭유를 분사하여 절삭유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삭유공급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절삭유를 가공영역으로 분사하는 절삭유 분사니들이 상기 롤금형과 인접한 끝단부에서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가공영역으로 분사되는 절삭유의 양을 극대화시키고, 가공시 발생하는 칩의 배출경로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에 개발된 가공부 및 분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공부 및 분사부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이 롤금형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절삭유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절삭유공급부에서 이중관 형태로 형성된 공급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의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이 롤금형에 접촉하여 롤금형을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도 8은 도 3의 절삭유 분사니들에서 절삭유가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이 롤금형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선반(100)을 이용하여 롤금형(200)에 일정한 패턴을 가공할 때 롤금형(200)에 위치한 가공영역(C)에 절삭유를 공급하여 롤금형가공부(310)에 의한 가공이 잘 되도록 한다.
절삭유란 금속 재료를 절삭 가공할 경우, 절삭 공구를 냉각시키고 윤활하게 해서 공구의 수명을 연장하거나 다듬질 면을 깨끗이 하기 위해 사용하는 윤활유이다.
절삭유의 주된 효과는 윤활작용에 의한 마찰이나 롤금형가공부(310) 마모 저감, 공구나 롤금형(200)의 냉각작용에 의한 공구수명의 향상 및 일정한 패턴의 치수 정밀도 향상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절삭유를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롤금형(200)의 상기 가공영역(C)에 분사함과 동시에 상기 롤금형(200)을 가공하기 위한 롤금형(200) 가공모듈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롤금형(200) 가공모듈은 상기 선반(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200)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롤금형(200)에 형성된 상기 가공영역(C)을 가공한다.
상기 롤금형(200) 가공모듈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크게 상기 롤금형(200)을 절삭 가공하는 롤금형가공부(310) 및 일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310)와 결합되어 상기 롤금형(200)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공급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롤금형가공부(310)는 일측이 상기 선반(100)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200)의 외주면에 위치한 상기 가공영역(C)에 접촉하여 절삭가공을 한다. 여기서, 상기 롤금형가공부(310)는 상기 롤금형(200)과 접촉하여 가공하기 때문에 상기 가공영역(C)에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롤금형(200)의 외주면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구성되며 내마모성도 높은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롤금형가공부(310)는 몸체(312) 및 가공팁(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312)는 상기 선반(100)에 결합되며 상기 롤금형(2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유공급부(320)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312a)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유 롤금형가공부(310)와 결합된다.
상기 안착홈(312a)은 상기 절삭유공급부(320)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절삭유가 상기 가공영역(C)에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절삭유공급부(320)가 끼움결합 된다.
상기 가공팁(314)은 상기 몸체(312)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롤금형가공부(310)에서 상기 롤금형(200)방향으로 돌출된 일측 끝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롤금형(200)의 상기 가공영역(C)에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가공팁(314)은 상기 몸체(312)와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롤금형(200)과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롤금형(200)보다 강도가 더 큰 재질로 구성된다.
즉, 상기 롤금형가공부(310)는 상기 몸체(312) 및 상기 가공팁(314)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몸체(312)는 상기 롤금형(200)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가공팁(314)이 상기 몸체(312)로부터 상기 롤금형(2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롤금형(200)에 접촉한다.
상기 몸체(312)와 상기 가공팁(314)이 결합됨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공팁(314)이 별도의 나사(414a)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312)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가공팁(314)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가공팁(314)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상기 나사(414a)를 분리하여 상기 가공팁(314)을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절삭유공급부(320)는 일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310)에 결합되어 상기 롤금형(200)의 상기 가공영역(C)에 절삭유를 공급한다. 상기 절삭유공급부(320)는 일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310)와 일체로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310)의 타측 끝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절삭유공급부(320)는 소정을 길이를 가지는 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팁(314)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가공영역(C)으로 절삭유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공영역(C)은 상기 롤금형(200)의 외주면 중에서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롤금형(200)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롤금형(200)이 상기 가공팁(314)에 의해서 절삭되는 영역으로써, 상기 절삭유공급부(320)는 상기 롤금형(200)이 회전하는 회전 방향의 상류에서 상기 가공영역(C)에 절삭유를 공급하도록 일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310)에 결합된다.
상기 절삭유공급부(320)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공급관(326), 혼합관(324) 및 절삭유 분사니들(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326)은 외부로부터 절삭유 및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혼합관(324)으로 전달한다. 상기 공급관(326)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혼합관(324)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공급관(326)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326)으로부터 전달받은 절삭유 및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로 전달한다.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은 상기 혼합관(324)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관(324)에 의해서 혼합된 공기와 절삭유를 상기 가공영역(C)으로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은 일측이 상기 혼합관(324)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공영역(C)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롤금형(2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공영역(C)이 상기 가공팁(314)에 이르기 전에 절삭유를 상기 가공영역(C)에 분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은 공기와 혼합된 절삭유를 분사하는 타측이 상기 가공팁(314)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나. 상기 롤급형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타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200)에 접하는 경우 상기 롤금형(200) 및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팁(314)이 상기 롤금형(200)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이 배치되지만, 상기 롤금형(200)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방향의 끝단부가 상기 가공팁(314)의 끝단부에 이르지 않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공팁(314)이 상기 롤금형(200)을 가공함에 있어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은 상기 몸체(312)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312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12a)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 에서는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 상기 혼합관(324) 및 상기 공급관(326)의 일부가 상기 안착홈(312a)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5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절삭유공급부(32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의 절삭유공급부(3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절삭유공급부(320)에서 이중관 형태로 형성된 공급관(326)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절삭유공급부(320)는 상기 공급관(326), 상기 혼합관(324) 및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로 구성되며 각각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서로 다른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C영역인 상기 공급관(326)은 외부로부터 절삭유 및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혼합관(324)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B영역인 상기 혼합관(324)은 상기 공급관(326)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326)으로부터 전달되는 절삭유 및 공기를 혼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324)은 소정을 길이를 가지는 관 형태가 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공급관(326)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절삭유가 내부에서 흐르면서 혼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A영역은 상기 혼합관(324)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관(324)에서 혼합된 공기 및 절삭유를 전달받아 상기 가공영역(C)으로 분사하는 영역으로써,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이 배치되어 혼합된 절삭유를 상기 가공영역(C)으로 분사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절삭유공급부(320)가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상기 롤금형(200)에 절삭유와 공기를 혼합하여 분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롤금형(200)에 절삭유만을 공급하는 경우, 절삭유가 상기 롤금형(200)을 향해서 전달될 수는 있지만 특정지점을 향해서 토출될 뿐 넓은 영역으로 분사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공급관(326) 및 상기 혼합관(324)을 이용하여 공기와 상기 절삭유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을 통해서 보다 효과적으로 절삭유를 상기 가공영역(C)에 분사하여, 사용되는 절삭유의 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가공영역(C)에 고르게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해서 공기와 절삭유를 함께 공급하는 상기 공급관(326)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공급관(326)은 크게 내부관(326b) 및 외부관(326a)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관(326b)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유체가 흐르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외부에 연결되어 절삭유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외부관(326a)은 상기 내부관(326b)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관(326b)과 상기 외부관(326a)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공급관(326)은 상기 내부관(326b) 및 상기 외부관(326a)을 가지는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서는 절삭유가 흐르며, 상기 외부관(326a) 및 상기 내부관(326b) 사이에서는 공기가 흐르도록 구획되어 상기 혼합관(324)으로 공기와 절삭유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관(326b)은 일측 끝단부가 상기 외부관(326a) 내부에서 상기 혼합관(32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최대한 상기 공급관(326) 내에서 절삭유와 공기가 혼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관(326b)은 상기 혼합관(324)과 인접한 끝단부에 둘레를 따라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절삭유가 유동하는 연통홀(326c)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관(326b)이 상기 연통홀(326c)을 구비 함으로써, 상기 내부관(326b)을 따라 흐르는 절삭유가 여러 방향으로 고르게 배출되어 상기 내부관(326b)과 상기 외부관(326a) 사이에서 이동하는 공기와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혼합관(324)으로 공기와 절삭유가 고르게 공급되어 혼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관(326b) 상기 연통홀(326c)이 구비되지 않고 일 방향으로만 상기 혼합관(324)으로 전달될 경우, 상기 외부관(326a)과 상기 내부관(326b) 사이에서 흐르는 공기와의 혼합이 고르게 일어나지 않아서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이 혼합된 절삭유를 고르게 분사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관(326b)이 상기 혼합관(324)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연통홀(326c)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절삭유와 공기가 고르게 섞여 상기 혼합관(324)으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고르게 혼합된 절삭유를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을 통해 상기 가공영역(C)으로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형상에 다른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3의 절삭유 분사니들(322)이 구비된 롤금형(200) 가공모듈이 롤금형(200)에 접촉하여 롤금형(200)을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절삭유 분사니들(322)에서 절삭유가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은 소정을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상기 혼합관(324)에 연결되어 공기와 혼합된 절삭유를 공급받아 타측에 형성된 분사구(322a)를 통해 상기 가공영역(C)으로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은 상기 롤금형(200)과 인접한 끝단부에서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은 상기 분사구(322a)가 구비된 일측에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단면에서 상기 가공팁(314)과 인접한 부분이 더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끝단부가 형성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금형가공부(310)가 상기 롤금형(200)을 절삭할 때 발생하는 칩(chip: 절삭되어 분리된 파티클)이 상기 롤금형(200)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이 상기 칩이 배출되는 기준선L1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칩과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타측 끝단부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 끝단부가 최대한 상기 가공영역(C)에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이 상기 가공영역(C)에 근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로부터 분사되는 절삭유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타측 끝단부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공영역(C)에 분사되는 절삭유가 대상위치만 분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타측 끝단부 형상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롤금형(200)의 상류상에 절삭유를 분사하여 상기 가공팁(314)이 상기 롤금형(200)을 절삭하기 직전에 최소화된 영역에만 상기 절삭유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타측 끝단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지 않고 수직으로 형성되면, 분사되는 절삭유는 상기 가공영역(C) 중에서 상기 가공팁(314)이 절삭하기 전의 영역뿐만 아니라, 상기 가공팁(314) 방향으로도 절삭유가 분사되기 때문에 분사되는 절삭유의 낭비가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롤금형(200)을 절삭하기 직전에 최소화된 영역에만 상기 절삭유를 분사할 수 있으며, 가공시 발생하는 칩과 가공팁(314)의 마찰이 이루어지는 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절삭유를 공급하여 윤활 및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이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의 타측 끝단부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322)에서 분사되는 절삭유의 효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필요 없는 영역에 절삭유가 분사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선반 200: 롤금형
300: 가공모듈 310: 롤금형가공부
312: 몸체 312a: 안착홈
314: 가공팁 314a: 나사
320: 절삭유공급부 322: 절삭유 분사니들
324: 혼합관 326: 공급관

Claims (8)

  1. 선반에서 롤금형을 가공하는 가공모듈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선반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의 외주면에 위치한 가공영역에 접촉하여 절삭가공을 하는 롤금형가공부; 및
    외부로부터 절삭유 및 공기가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공급관, 일측이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절삭유와 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 및 상기 혼합관의 타측 끝단부에 배치되며 공기와 혼합된 절삭유를 상기 가공영역으로 분사하는 절삭유 분사니들을 포함하는 절삭유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은 상기 롤금형가공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롤금형이 회전하는 회전방향의 상류에서 상기 롤금형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공영역이 상기 롤금형에 이르기 직전에 상기 절삭유를 상기 가공영역에 분사할 수 있도록 일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가공부의 타측 끝단부에 근접하며 상기 롤급형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삭유 분사니들은 상기 롤금형과 인접한 끝단부에서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 되어 상기 롤금형가공부가 상기 롤금형을 절삭가공할 때 발생하는 칩(chip: 절삭되어 분리된 파티클)이 상기 롤금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형성되는 롤금형 가공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내부에 공기와 절삭유가 흐르도록 일부 영역이 구획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금형 가공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내부에 절삭유가 유동하는 내부관 및 상기 내부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외부관을 포함하며 구성되는 롤금형 가공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은,
    일측 끝단부가 상기 외부관 내부에서 상기 혼합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금형 가공모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은,
    상기 혼합관에 인접한 일측 끝단부가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절삭유가 유동하는 연통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금형 가공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금형가공부는,
    상기 선반에 결합되며 상기 절삭유공급부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가 상기 롤금형에 접촉하는 가공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금형 가공모듈.
KR1020120069025A 2012-06-27 2012-06-27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 KR10139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025A KR101393411B1 (ko) 2012-06-27 2012-06-27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025A KR101393411B1 (ko) 2012-06-27 2012-06-27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48A KR20140001448A (ko) 2014-01-07
KR101393411B1 true KR101393411B1 (ko) 2014-05-12

Family

ID=5013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025A KR101393411B1 (ko) 2012-06-27 2012-06-27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0144A (zh) * 2020-02-11 2020-06-05 王运来 一种数控单刀架凸轮轴车床
CN112676080B (zh) * 2020-11-30 2023-04-21 森斯帕普汽车部件(苏州)有限公司 一种电磁阀阀座生产用一体化设备
CN114951833B (zh) * 2022-07-29 2022-10-21 苏州特种电机厂有限公司 一种三相异步电机主轴加工机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239U (ko) * 1986-02-19 1987-08-27
JPH0491751U (ko) * 1990-12-27 1992-08-10
JP2000126982A (ja) * 1998-10-27 2000-05-09 Toshiba Mach Co Ltd 冷却ノズル、その冷却ノズルを用いた冷却装置、その冷却装置を用いた加工機械および加工方法
KR20120015697A (ko) * 2010-08-13 2012-02-22 김정옥 노즐유닛이 구비된 씨엔씨선반용 고정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239U (ko) * 1986-02-19 1987-08-27
JPH0491751U (ko) * 1990-12-27 1992-08-10
JP2000126982A (ja) * 1998-10-27 2000-05-09 Toshiba Mach Co Ltd 冷却ノズル、その冷却ノズルを用いた冷却装置、その冷却装置を用いた加工機械および加工方法
KR20120015697A (ko) * 2010-08-13 2012-02-22 김정옥 노즐유닛이 구비된 씨엔씨선반용 고정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48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56086U (zh) 一种具有供液结构的内冷车刀
KR101393411B1 (ko) 절삭유 분사니들이 구비된 롤금형 가공모듈
KR20000022012A (ko) 공작가공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안개형상체 공급장치
JP2007015085A (ja) 切削工具
EP2664400A1 (de) Schneidwerkzeug
JP2015098079A (ja) 工作機械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KR101342479B1 (ko) 씨엔씨 선반의 공구홀더
JP4781036B2 (ja) シャワークーラント装置
KR101180213B1 (ko) 절단토치용 노즐
KR20080006361U (ko) 피스톤을 이용한 다노즐 절삭유 분사장치
JP3202396U (ja) 冷却装置
KR20170109714A (ko) 분사량제어부를 포함하는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KR101540249B1 (ko) 스카핑 블록
JP4484739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ノズル装置
CN102764707A (zh) 切削液喷嘴
JP2001198726A (ja) ブローチ盤の切削油剤供給装置
CN202399128U (zh) 珩磨头内部喷油式冷却机构
JPWO2009022570A1 (ja) 管のねじ切削方法及び装置
JP2011073122A (ja) 丸鋸切断機
JP4953361B2 (ja) 軸付き砥石および研削盤ならびに燃料噴射ノズルの製造方法
JP2007326192A (ja) 研削液供給装置
JP4217799B2 (ja) 工作機械用スプレーホルダー
KR20100131607A (ko) 절삭유 공급기능을 갖는 절삭가공기용 팁홀더
JP6281256B2 (ja) 内面ブローチ盤
CN103802225A (zh) 用于多线切割机的砂浆喷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