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393B1 -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 Google Patents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393B1
KR101393393B1 KR1020120119572A KR20120119572A KR101393393B1 KR 101393393 B1 KR101393393 B1 KR 101393393B1 KR 1020120119572 A KR1020120119572 A KR 1020120119572A KR 20120119572 A KR20120119572 A KR 20120119572A KR 101393393 B1 KR101393393 B1 KR 10139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ometer
plate
rotary shaft
rotating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536A (ko
Inventor
김진하
최성권
김영식
박인보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1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3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21/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G01P21/02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f speedometers
    • G01P21/025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f speedometers for measuring speed of fluids; for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97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vibratory elements
    • G01P15/1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vibratory elements by vibratory st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125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capacitive pick-u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한 가속도계;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manual accelerometer calibrator}
본 발명은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자형 가속도계의 캘리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가속도계는 미국 특허 제 3702073 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몸체와, 몸체 내에 배열된 민감 소자와, 두 개의 자석 시스템으로 된 전자기 토커로 구성된다.
가속도계의 진자 조립체는 석영을 식각하여 만든 단일판으로 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 형태로 된 고정부와, 평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테이퍼 형태로 경사진 두 개의 굴성 커넥터에 의해 고정부에 연결되는 진자판 형태로 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진자판의 양쪽은 금속 코팅이 되어 진자판의 양쪽에서 자석 시스템의 내표면과 함께 커패시터를 형성한다. 커패시턴스 픽오프의 틈(가스 댐퍼의 틈)은 지지 프레임의 양쪽에 배치된 동일한 높이의 세 개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단결정 실리콘을 사용하면 가속도계의 측정 정확도를 손상시킴이 없이 기술적인 장점을 제공하면서도 노동력의 투입이 줄어들게 되어 가속도계의 제조비용이 절감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진자형 가속도계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고, 종래에는 가속도계를 지진의 진동가속도를 측정할 목적으로 지진계의 하나로 사용했으나, 현재에는 기차 차체의 축진동, 항공기풍력터빈, 및 기타 운동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는 기계장비 및 급가속운동이나 급감속운동시 및 미세 떨림 현상 계측과 최근에 건설되고 있는 현수교나 기타 철골교량과 콘크리트교량의 진동 등을 측정하는데 에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특히, 모형선의 계측위치에 설치해 두면 파도에 의해 모형선이 주기를 가진 운동을 하게 되면 운동의 영향에 의해 진자가 움직이게 되고, 가속도의 진자 운동주기가 짧으면, 모형선의 흔들림은 진자의 가속도에 비례하게 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진자의 운동주기를 계측하여, 시그널 그래픽이나, 수치화된 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 관측 가능하고 복사 및 저장과 프린터도 할 수 있으며, 단위는 중력가속도 G, m/s2 등으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가속도계는 모형선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진동에 대해 감지가 가능하며, 수직 또는 수평방향의 진동주기가 가장 정확하다. 실제로는 가속도계 바닥면에 평행한 횡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도 약간의 진동주기를 가지고 있지만, 그 크기는 수직 또는 수평방향 진동의 4% 이내인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가속도계는 원하는 측정 방향(수직,수평)과 진자축이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가속도계의 각각 게인(gain)값이 다소 상이하여 가속도계의 측정방향과 진자축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해야 한다.
게인값을 구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수평한 바닥에 센서를 놓고 0G, 1G, 0G, -1G 번갈아 나오도록 90° 방향을 바꿔가며, 계측하였으나, 계측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손에 의해 하다 보니 일관성이 부족하고, 환경에 따른 차이가 있어 정밀하게 게인값을 계측하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를 제작하여,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성 있고, 정밀하게 각각의 가속도계에 대해 게인값을 계측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각의 가속도계의 게인값을 측정하여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복수개의 가속도계를 동일 측정물에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실제 진동계측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속도계의 게인값을 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에 가속도계를 장착하여 0°일 때 0G가 나오도록 캘리브레이션하고, 90°회전시키면 1G, 180°회전시키면 다시 0G, 270°회전시키면 실질적으로 -1G가 번갈아 나와야 되는데 이 값이 되도록 캘리브레이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한 가속도계;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속도계를 탈부착가능한 가속도계 홀더;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측 하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수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준기는 원형수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원형수준기의 수평을 조절가능하기 위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는 엘레스토머가 부착되어 외부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은 원판형상이고, 상기 고정판의 직경이 상기 회전판보다 크고, 상기 고정판의 외주면을 따라 각도가 표시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을 측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는 90° 간격으로 4개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가능한 볼이 관통홀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과 상기 고정판이 마주보는 상기 회전판의 타측으로 돌출가능한 상기 볼과 상기 관통홀에 고정된 스프링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판에 돌출된 상기 볼이 상기 고정판의 홈에 삽입가능하여 고정되고,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 상기 스프링에 의해 볼이 고정판의 상기 홈을 벗어나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과 상기 고정판의 마주보는 상기 회전판의 타측으로 돌출가능한 상기 볼과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손잡이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과 상기 볼 사이에 스프링이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과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속도계 홀더는 가속도계가 삽입가능하고, 상기 가속도계를 삽입한 후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계 캘리브레이션 방법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한 가속도계;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에 상기 가속도계를 상기 회전축에 장착하는 가속도계 장착단계; 상기 핸들을 90°씩 회전시켜 상기 가속도계의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단계에서 90°마다 측정된 중력가속도를 캘리브레이션하는 캘리브레이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가속도계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속도계를 탈부착가능한 가속도계 홀더;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에 상기 가속도계를 상기 가속도계 홀더에 장착하는 홀더 탑재 단계 장착단계; 상기 핸들을 90°씩 회전시켜 상기 가속도계의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단계에서 90°마다 측정된 중력가속도를 캘리브레이션하는 캘리브레이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를 이용하게 되면,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성 있고, 정밀하게 각각의 가속도계에 대해 게인값을 계측가능하고 이를 통해, 복수개의 가속도계를 동일 측정물에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실제 진동계측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면의 편평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람이 90°회전시킬 때 일정부분 가속도계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동하게 되고, 위치에 따른 정확한 중력가속도값이 달라지므로 위치변화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정밀도 높은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계 홀더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볼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계 캘리브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가속도계 캘리브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1)는 수평 프레임(100), 수직프레임(200), 회전축(300), 가속도계(A), 핸들(400)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수준기(110)가 형성되어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1)가 바닥면에 위치했을 때 수평을 확인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평상태에서 가속도계(A)의 캘리브레이션이 이루어져야 정확도가 향상된다.
수준기(110)는 원형수준기를 사용하는 것이 봉형 수준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유리한데, 이는 원형수준기의 경우 기포가 원형 테두리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기포의 위치를 확인하여 x축, y축, z축의 3축 수평을 모두 한번에 확인가능하기 때문이다.
수평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다리부(120)가 설치되어 있고, 다리부(120)의 하단에는 엘레스토머(130)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 진동을 흡수하여 외부의 미세 진동이 가속도계(A)에까지 전달되는 것이 방지하여 캘리브레이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엘레스토머(130)는 고무 재질 또는 충격 흡수부재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다리부(120)는 각각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수평 프레임(100)에 설치된 수준기(110)의 수평을 다리부(120)의 높이 조절을 통해 가능하다.
수평프레임(100)에 수직 프레임(200)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직프레임(100)에는 대해 회전가능하게 회전축(300)이 연결되며, 회전축(300)의 일측에는 가속도계(A)를 탈부착하고, 타측에는 핸들(400)이 부착되어 있다.
가속도계(A)는 회전축(300) 자체에 직접 탈부착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축(300)의 일측에 형성된 가속도계 홀더(500)에 간접적으로 탈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회전축(300)에 이후 설명할 회전판(700)이 고정되어 회전축(3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700)이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축(300)에 탈부착되는 가속도계(A)의 의미는 회전판(700)에 탈부착되는 가속도계(A)를 포함하는 것이며, 다만, 회전판(700)의 어느 위치에 가속도계(A)가 부착되더라도 회전판(700)을 90°씩 회전하면서 가속도계(A)의 게인값을 측정가능하나, 회전판(700)의 회전중심점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할수록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1)를 사용함에 따라 회전축(300)과 회전판(700)간의 진동요인이 증가하여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회전판(700)에 가속도계(A)를 부착하는 경우라도 회전축(300)의 중심점의 연장선상에 설치하는 것이 진동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즉, 회전축(300)에 가속도계(A)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고, 나사등을 활용하여 고정 및 분리시켜 가면서 여러개의 가속도계(A)를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고,
가속도계(A)를 회전축(300)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키고, 가속도계(A)의 중심점을 보다 용이하게 일치시키기 위해, 회전축(300)의 일측에 가속도계 홀더(500)를 회전축(300)의 중심점과 맞추어 고정설치하고, 가속도계 홀더(500)에 가속도계(A)를 삽입함으로써 간단히 가속도계(A)를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1)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계 홀더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도계 홀더(500)는 가속도계(A)를 삽입가능하도록 일측에는 개구부(510)가 형성되고 타측은 회전축(300) 또는 회전판(700)과 겹합되며, 가속도계(A)를 가속도계 홀더(500)에 삽입하고 난 후, 가속도계(A)가 가속도계 홀더(500) 내부에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잠금부(520)를 포함한다.
잠금부(520)는 피봇회전가능한 탄성재질의 잠금장치가 회전하여 개구부(510)를 막아 탄성력에 의해 가속도계(A)를 밀착지지하고, 잠금부(520)의 말단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미도시)를 달아 가속도계(A)를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고정판(600)이 고정부착되고, 고정판(600)의 일측에 회전축(300)을 따라 회전가능한 회전판(700)이 맞닿아 있다.
회전축(300)은 수직프레임(200), 고정판(60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수직프레임(200)과 고정판(600)에 베어링(310)으로 연결되어 회전축(300)이 수직프레임(200), 고정판(60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수직프레임(200)의 타측 하부와 수평프레임(100)은 복수개의 지지부(210)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프레임(2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회전축(300)을 회전시킬 때 수직프레임(200)이 수평프레임(100)에 고정되지 않고 진동을 발생시키면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수직프레임(200)과 수평프레임(100)의 고정력 향상이 정밀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고정판(600)과 회전판(700)은 원판형상이고, 고정판(600)의 직경이 회전판(700)보다 크도록 형성하여, 고정판(600)의 외주면을 따라 각도를 표시한다.
각도는 0°, 90°, 180°, 360° 4개만 표시되면 90°마다 회전시키면서 가속도계(A)의 가속도값을 측정할 때 이용된다.
즉, 회전판(700)이 몇도 회전했는지 고정판(600)에 표시된 각도표시를 보고 확인가능하다.
90°회전을 보다 명확히 하기, 고정판(600)의 일측, 즉 회전판(700)과 마주보는 면에 90° 간격으로 4개의 홈(610)을 형성하고, 회전판(700)에는 홈(610)에 삽입가능한 볼(710)이 형성되는데, 볼(710)은 회전판(700)에 형성된 관통홀(750)에 삽입되거나 돌출되어 돌출시, 회전판(700)과 마주보는 고정판(600)의 홈(610)에 삽입고정되게 된다.
회전판(700)의 관통홀(750)과 고정판(600)의 홈(61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90°회전시마다 회전판(700)을 볼(710)을 이용하여 고정판(600)에 고정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로서의 볼의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710)은 회전판(700)의 관통홀(750)에 스프링(720)으로 연결되어 있고, 볼(710)을 압입시 관통홀(750)로 인입가능하다.
또한 고정판(600)의 홈(610)은 볼(7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710)이 삽입되어 고정가능하고, 회전판(700)을 가압하여 회전하게 되면 볼(710)에 고정된 스프링(720)이 압축되면서 홈(610)을 벗어나 회전가능해진다.
회전판(700)에 설치된 볼(710)은 하나 이상 설치가능하고, 고정판(600)의 홈(6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볼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700)의 관통홀(750)의 내벽에는 단턱(740)이 형성되고, 단턱은 회전판(70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손잡이(730) 쪽으로 형성되고, 단턱(740)과 볼(710) 사이에 스프링(720)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볼(710)과 손잡이(730)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 손잡이(730)를 잡아당기게 되면, 볼(710)이 관통홀(750) 내부로 삽입되고, 스프링(720)은 볼(710)과 단턱(740) 사이에서 압축되게 되며, 손잡이(730)를 놓게 되면, 스프링(720)의 복원력에 의해 볼(710)이 관통홀(750)외부로 돌출되고, 고정판(600)의 홈(6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리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계 캘리브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계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수평 프레임(100); 상기 수평 프레임(100)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200); 상기 수직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한 가속도계(A); 및 상기 회전축(300)의 타측에 상기 회전축(300)을 회전시키는 핸들(400)을 포함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1)에 상기 가속도계(A)를 상기 회전축(300)에 장착하는 가속도계 장착단계(S100); 상기 핸들(400)을 90°씩 회전시켜 상기 가속도계(A)의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200); 상기 측정단계(S200)에서 90°마다 측정된 중력가속도를 캘리브레이션하는 캘리브레이션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가속도계 캘리브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가속도계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수평 프레임(100); 상기 수평 프레임(100)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200); 상기 수직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속도계(A)를 탈부착가능한 가속도계 홀더(500); 및 상기 회전축(300)의 타측에 상기 회전축(300)을 회전시키는 핸들(400)을 포함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1)에 상기 가속도계(A)를 상기 가속도계 홀더(500)에 장착하는 홀더 탑재 단계(S100'); 상기 핸들을 90°씩 회전시켜 상기 가속도계의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200); 상기 측정단계(S200)에서 90°마다 측정된 중력가속도를 캘리브레이션하는 캘리브레이션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A: 가속도계
1: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100: 수평 프레임
110: 수준기 120: 다리부
130: 엘레스토머
200: 수직프레임 210: 지지부
300: 회전축
400: 핸들
500: 가속도계 홀더 510: 개구부
520: 잠금부
600: 고정판 610: 홈
700: 회전판 710: 볼
720: 스프링 730: 손잡이
740: 단턱 750: 관통홀
S100: 가속도계 장착단계 S100': 홀더 탑재 단계
S200: 측정단계 S300: 캘리브레이션 단계

Claims (16)

  1.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한 가속도계;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각도가 표시된 원판형상의 고정판;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진 원판형상의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90°간격으로 4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에도 스프링이 내부에 구비된 4개의 관통홀이 90°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에 연결된 볼이, 상기 고정판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가능하고,
    상기 볼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홈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90°회전마다 상기 각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속도계를 탈부착가능한 가속도계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측 하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수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준기는 원형수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원형수준기의 수평을 조절가능하기 위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는 엘레스토머가 부착되어 외부 진동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은 원판형상이고, 상기 고정판의 직경이 상기 회전판보다 크고,
    상기 고정판의 외주면을 따라 각도가 표시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을 측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고정판이 마주보는 상기 회전판의 타측으로 돌출가능한 상기 볼과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손잡이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과 상기 볼 사이에 스프링이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과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계 홀더는 가속도계가 삽입가능하고,
    상기 가속도계를 삽입한 후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15. 삭제
  16. 삭제
KR1020120119572A 2012-10-26 2012-10-26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KR10139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572A KR101393393B1 (ko) 2012-10-26 2012-10-26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572A KR101393393B1 (ko) 2012-10-26 2012-10-26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36A KR20140053536A (ko) 2014-05-08
KR101393393B1 true KR101393393B1 (ko) 2014-05-12

Family

ID=5088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572A KR101393393B1 (ko) 2012-10-26 2012-10-26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50801C1 (ru) * 2017-03-20 2018-04-17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Датчик ускорени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14A (ja) * 1996-06-13 1998-01-06 Fujikura Ltd 加速度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加速度センサ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14A (ja) * 1996-06-13 1998-01-06 Fujikura Ltd 加速度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加速度センサ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36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7926C (zh) 陀螺仪球形转子三维静平衡测量方法及装置
CN108981974B (zh) 一种基于重力复摆的超高精度微力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1934414B1 (ko) 이중 수평 조절이 가능한 정준대 및 이를 이용한 측량기기의 수평 조절 방법
AU2019375543A1 (en) A device for determining orientation of an object
CN101509935B (zh) 一种空间惯性传感器地面测试装置
KR101161558B1 (ko) 골프 어드레스 교정 장치
CN201138270Y (zh) 一种适用于光纤陀螺惯测系统的质心测量装置
CN103808461A (zh) 一种利用磁悬浮转动平台测量刚体转动惯量的装置
KR101393393B1 (ko) 수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Fan et al. Design of a dual-axis optoelectronic level for precision angle measurements
KR20170106065A (ko) 질량중심 계측 장치 및 방법
Quinn et al. Novel torsion balance for the measurement of the Newtonian gravitational constant
KR101393270B1 (ko) 자동형 가속도계 캘리브레이터
JP2021512337A (ja) 構造物の勾配変化量測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物の勾配変化量を測定する方法
Luczak Single-axis tilt measurements realized by means of MEMS accelerometers
RU2515353C1 (ru) Маятниковый низкочастотный вибростенд
Evstifeev et al. Results of MEMS gyro mechanical tests
CN1026154C (zh) 三维同步测量仪
CN112902954A (zh) 塔架晃动传感器和塔架晃动角度测量方法
KR101241380B1 (ko) 가속도 센서 오차 측정 장치
CN113341177A (zh) 一种局域优化的高精度静电加速度计测试摆台
CN106679655B (zh) 基于光电开关的位置感知器
CN115135962A (zh) 用于基于MEMS的加速度计的零g偏移校准的方法和装置
CN212254069U (zh) 水平防震惯性支架及工程结构水平变量监测装置
JP6480169B2 (ja) 三次元座標測定機用プロー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