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313B1 -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313B1
KR101393313B1 KR1020130106414A KR20130106414A KR101393313B1 KR 101393313 B1 KR101393313 B1 KR 101393313B1 KR 1020130106414 A KR1020130106414 A KR 1020130106414A KR 20130106414 A KR20130106414 A KR 20130106414A KR 101393313 B1 KR101393313 B1 KR 10139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ecu
vehicle
vacuum pump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송
윤경원
Original Assignee
박인송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송,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filed Critical 박인송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having expanding chambers for controlling pressure, i.e. closed systems
    • B60T8/4208Debooster systems
    • B60T8/4225Debooster systems having a fluid actuated expansion unit
    • B60T8/4241Debooster systems having a fluid actuated expansion unit pneumatically
    • B60T8/425Debooster systems having a fluid actuated expansion unit pneumatically using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82Control of electrical fuel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급발진 방지 시스템은 공기 주입을 조절하면서 내부에 20 ~ 25Kpa 진공도를 유지하는 쓰로틀 바디와, 상기 쓰로틀 바디로부터 공기를 주입받고 공연비 14.7을 유지하도록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와, 상기 엔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 장치와, 상기 쓰로틀 밸브와 상기 제동 장치와 연결되는 에어 배관과, 상기 에어 배관에 설치된 것으로 제동 장치 작동 시에 진공을 공급하는 보조 진공 펌프 및 상기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여 보조 진공 펌프를 제어하는 ECU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Prevention System of Vehicle by Using Vaccum Pump and ECU}
본 발명은 예기치 아니한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급발진이란 제동장치가 제동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운전자가 의도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 엔진에 연료 공급이 과다하게 되어 엔진이 급 가속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승용차는 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진공 배력식 제동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진공 배력을 이용하는 방법은 흡기다기관의 진공압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흡기다기관을 이용한 진공 배력식 제동 장치는 진공을 얻기 위하여 진공 호스의 입구가 흡기다기관과 연결되어 있어서, 제동 페달을 밟고 있다가 뗄 때 흡기다기관의 진공을 빨아들이는 것이다. 즉 엔진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는 흡기다기관의 공기압은 20 ~ 25kPa 정도이며 상기 아이들 상태에서 운전자가 제동 페달을 떼면 진공 호스를 통해서 흡기다기관의 공기를 추가로 빨아들이게 되어 급격히 낮아진 흡기다기관의 압력과 엔진의 흡기 밸브 쪽에서 발생되는 공진(Resonance) 현상 때문에 쓰로틀 밸브의 개도가 강제로 열리게 되고, 이로 인해 연료 분사량이 증가하게 되어 엔진 회전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제동장치는 진공 배력을 상실하게 되어 정상적인 제동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31949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도 1의 종래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제1 및 제2 정형부(10)(20), 제1및 제2 기준값 설정부(11)(21), 제1 및 제2 비교부(12)(22), 급발진 판단부(30) 및 전원 차단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도 1에서 제1 정형부(10)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50)으로 부터 인가되는 현재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전기적 신호(엔진 회전수 측정치)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안정된 상태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정형부(10)는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의 출력단과 직렬로 연결되며 소정의 값을 갖는 저항(R11)(R12)과, 캐소드 단자가 공급전원(Vcc)에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2 정형부(20)는 차속 검출수단(60)으로 부터 인가되는 현재 차속에 대한 전기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여 안정된 상태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기준값 설정부(11)는, 운전자의 의지와는 무관한 급발진 상태의 엔진 회전수라고 볼 수 있는 최소의 엔진 회전수를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이 설정된 기준값을 기준 엔진 회전수 정보로 출력하는 것이고, 제2 기준값 설정부(21)는, 운전자의 의지와는 무관한 급발진 상태의 차량 속도라고 볼 수 있는 최소의 차속을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이 설정된 기준값을 기준 차속 정보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제1 비교부(12)는 상기 제1 정형부(10)를 통해 일측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와 제1 기준값 설정부(11)에서 다른 일측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비교부(12)는 제1 정형부(10)를 통하여 입력되는 현재의 엔진 회전수 측정신호와 제1 기준값 설정부(11)로부터의 기준 엔진 회전수 정보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고, 제2 비교부(22)는 상기 제2정형부(20)를 통해 일측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와 제2기준값 설정부(21)에서 다른 일측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를 출력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비교부(22)는 제2 정형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현재의 차속 측정신호와 제2 기준값 설정부(21)로부터의 기준 차속 정보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급발진 판단부(30)는, 제1 비교부(12)와 제2 비교부(22)로부터의 비교결과로부터 현재의 차량상태 즉, 현재의 엔진 회전수와 차속이 차량의 급발진 상태에서의 엔진 회전수와 차속으로 볼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급발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후술하는 전원차단부(30)로 엔진의 전원차단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차단부(40)는, 급발진 판단부(30)로부터 엔진의 전원차단신호에 따라 엔진으로의 메인 전원을 차단하게 되어 엔진의 급발진을 방지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쓰로틀 밸브와 제동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종래 쓰로틀 밸브와 제동장치는 공기 주입을 조절하면서 내부에 20 ~ 25Kpa 진공도를 유지하는 쓰로틀 밸브가 설치된 쓰로틀 바디(100)와, 상기 쓰로틀 바디(100)로부터 공기를 주입받고 공연비 14.7을 유지하도록 연료 탱크(30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엔진(200)과, 상기 엔진(200)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300)와, 상기 엔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 장치(400)와, 상기 쓰로틀 바디(100)와 상기 제동 장치(400)와 연결되는 에어 배관(50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쓰로틀 밸브와 제동장치는 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진공 배력식 제동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진공 배력을 이용하는 방법은 흡기다기관의 진공압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흡기다기관을 이용한 진공 배력식 제동 장치는 진공을 얻기 위하여 진공 호스의 입구가 흡기다기관과 연결되어 있어서, 제동 페달을 밟고 있다가 뗄 때 흡기다기관의 진공을 빨아들이는 것이다. 따라서, 급격히 낮아진 흡기다기관의 압력과 엔진의 흡기 밸브 쪽에서 발생되는 공진(Resonance) 현상 때문에 쓰로틀 밸브의 개도가 강제로 열리게 되고, 이로 인해 연료 분사량이 증가하게 되어 엔진 회전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엔진이 가속된 상태를 검출하여 급발진을 방지하므로 사후 조치적인 것으로 급발진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급발진 방지 장치는 급발진의 원인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발진의 원인인 흡기다기관의 진공압을 브레이크 제동 시에 사용하는 경우 진공압을 보충하도록 하여 흡기다기관의 진공압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급발진 방지 시스템은 공기 주입을 조절하면서 내부에 20 ~ 25Kpa 진공도를 유지하는 쓰로틀 바디와, 상기 쓰로틀 바디로부터 공기를 주입받고 공연비 14.7을 유지하도록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와, 상기 엔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 장치와, 상기 쓰로틀 밸브와 상기 제동 장치와 연결되는 에어 배관과, 상기 에어 배관에 설치된 것으로 제동 장치 작동 시에 진공을 공급하는 보조 진공 펌프 및 상기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여 보조 진공 펌프를 제어하는 ECU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펌프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엔진이 급가속될 수 있는 원인이 되는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가 급격히 낮아지거나 공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엔진의 급가속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쓰로틀 바디의 진공압을 제동 장치에 이용하지 않고 쓰로틀 바디와 제동장치를 연결하는 에어 배관에 보조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제동장치의 제동 시에 필요한 진공압을 제공하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쓰로틀 바디와 제동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펌프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장치의 제1실시 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펌프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장치의 제2실시 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진공펌프 및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진공펌프 및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
도 7은 진공펌프 및 ECU와 T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
도 8은 진공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제3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챠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를 도 3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펌프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장치의 제1실시 예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펌프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장치의 제1실시 예는 공기 주입을 조절하면서 내부에 20 ~ 25Kpa 진공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쓰로틀 밸브가 내부에 설치된 쓰로틀 바디(100)와, 상기 쓰로틀 바디(100)로부터 공기를 주입받고 공연비 14.7을 유지하도록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엔진(200)과, 상기 엔진(200)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300)와, 상기 엔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 장치(400)와, 상기 쓰로틀 바디(100)와 상기 제동 장치(400)를 연결하는 에어 배관(500)과, 상기 에어 배관(500)에 설치된 것으로 제동 장치 작동 시에 진공을 공급하는 보조 진공 펌프(6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진공펌프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장치는 제동 장치의 제동 시에 필요한 추가적인 진공압을 보조 진공 펌프(600)에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쓰로틀 바디(100)의 공기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엔진으로의 연료 주입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보조 진공 펌프(600)의 공기압은 20 ~ 25Kpa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펌프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장치의 제2실시 예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 적용되는 진공펌프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장치의 제2실시 예는 공기 주입을 조절하면서 내부에 20 ~ 25Kpa 진공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내부에 쓰로틀 밸브가 설치된 쓰로틀 바디(100)와, 상기 쓰로틀 바디(100)로부터 공기를 주입받고 공연비 14.7을 유지하도록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엔진(200)과,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300)와, 상기 엔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 장치(400)와, 상기 제동 장치 작동 시에 진공을 공급하는 독립적으로 제동장치에 연결 설치된 진공 펌프(7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진공펌프를 이용한 급발진 방지 장치의 제2실시 예는 엔진에 공기 공급을 조절하는 쓰로틀 바디(100)와는 별도로 제동 장치(400)에 필요한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 펌프(700)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쓰로틀 바디(100)의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엔진의 급가속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진공 펌프(700)의 공기압은 20 ~ 25Kpa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진공펌프 및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 진공펌프 및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의 제1실시 예는 차량 운행과 관련한 것으로 쓰로틀 밸브가 내부에 설치된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 제동 장치의 작동 정보, 가속 페달 작동 정보, 쓰로틀 개도량 정보, 흡입 공기량 정보, 연료 분사량 정보 등을 검출하고 ECU로 전송하는 차량 운행정보 검출수단(100-1)과, 상기 차량 운행 정보 검출 수단(100-1)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ECU로부터 수신하여 정형화한 후 다시 ECU로 전송하는 정형부(200-1)와, 상기 ECU(500-1)로부터 인가되는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 제동 장치의 작동 정보, 가속 페달 작동 정보, 쓰로틀 개도량 정보, 흡입 공기량 정보, 연료 분사량 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 제동 장치의 작동 정보, 가속 페달 작동 정보, 쓰로틀 개도량 정보, 흡입 공기량 정보, 연료 분사량 정보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ECU로 출력하는 비교 수단(300-1)과, 상기 비교 수단(300-1)의 비교 결과를 상기 ECU(500-1)으로부터 수신하여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ECU로 전송하는 급발진 판단부(400-1)와,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필드 정보를 수신하여 정형부로 하여금 신호를 정형화하도록 하며, 정형화된 신호를 비교수단으로 하여금 기 설정되어 저장된 기준 정보와 비교하도록 하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급발진 판단부(400-1)에서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급발진으로 판단되면 연료 분사 정보 출력을 차단하고 기 설정된 연료 분사 정보를 연료분사 노즐 밸브(700-1)로 출력하여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엔진 ECU(500-1)와, 상기 엔진 ECU의 기 설정된 연료 분사 정보를 기초로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도율을 제어하는 연료분사 노즐 밸브(700-1)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비교수단(300-1)은 현재의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가 기준 진공도보다 높은지 비교하는 제1비교부와, 현재의 가속 페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2비교부와, 현재의 쓰로틀 개도량이 기준 설정 개도량보다 큰지 비교하는 제3비교부와, 현재의 제동 장치의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4비교부와, 흡기다기관의 현재의 흡입 공기량과 기준으로 설정된 흡입 공기량을 비교하는 제5비교부와, 흡입다기관의 현재의 연료 분사량과 기준으로 설정된 연료 분사량을 비교하는 제6비교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급발진 판단부(400-1)는 상기 비교 수단(300-1)의 제1비교부 내지 제6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만족하는 경우 급발진으로 판단하고 ECU로 하여금 연료 분사 정보를 차단하고 기 설정된 연료 분사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급발진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 펌프 및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은 급발진으로 판단할 수 있는 쓰로틀 바디의 기준 진공도 정보, 제동 장치의 작동 정보, 가속 페달 작동 정보, 쓰로틀 개도량 정보, 흡입 공기량 정보, 연료 분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ECU를 거쳐서 상기 비교 수단으로 전송하는 기준값 설정부(600-1)를 별도로 구성하여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차량 급발진 판단 요소로서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가속 페달의 작동 여부, 쓰로틀 개도량, 제동 장치의 조작 여부, 흡기다기관의 흡입 공기량 및 흡입다기관의 연료 분사량을 기초로 하여 차량의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였으나, 차량의 진공펌프 및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의 제2실시 예는 쓰로틀 바디(100)와 제동 장치(400)를 연결되는 에어 배관(500)에 보조 진공펌프가 설치된 차량에 있어서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00-1)과,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수단으로 하여금 20 ~ 25Kpa의 기준 진공도와 비교하도록 하며 비교 결과를 수신받고 급발진 판단부로 전송하여 급발진 판단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급발진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조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제동 장치의 제동 시 필요한 진공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ECU와,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ECU로부터 수신하여 기준 진공도와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비교 수단의 진공도에 대한 비교 결과를 ECU로부터 수신받아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는 급발진 판단부와, 급발진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U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동 장치의 제동 시 필요한 추가 진공을 공급하는 것으로 쓰로틀 바디(100)와 제동 장치(400)를 연결하는 에어 배관(500)에 설치된 보조 진공펌프(600)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진공펌프 및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의 제3실시 예는 제동 장치에 독립적으로 진공펌프가 연결 설치된 차량에 있어서는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00-1)과,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수단으로 하여금 20 ~ 25Kpa의 기준 진공도와 비교하도록 하며 비교 결과를 수신받고 급발진 판단부로 전송하여 급발진 판단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급발진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진공을 공급하도록 하는 ECU와,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ECU로부터 수신하여 기준 진공도와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비교 수단의 진공도에 대한 비교 결과를 ECU로부터 수신받아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는 급발진 판단부와, 급발진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ECU에 의하여 제어되어 제동 장치에 진공을 공급하는 것으로 제동장치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진공 펌프(700)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의 진공펌프 및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의 제2실시 예 및 제3실시 예는 검출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진공도 정보의 파형을 정형화한 후 다시 ECU로 전송하는 정형부와, 쓰로틀 바디의 기준 진공도 정보를 생성하여 ECU로 전송하는 기준값 설정부(600-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진공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6에서 진공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 제1실시 예의 제1단계는 ECU가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이고 제2단계는 ECU가 상기 수신된 진공도 정보와 기준 진공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12)이다.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보다 높은 경우에는 시작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고,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3단계인 ECU가 제동 장치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3)로 이행하는 것이다. 또한,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의 제1실시 예 제4단계는 ECU가 수신된 제동장치 조작 정보를 기초로 하여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이다. 상기 제4단계에서 제동장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제5단계인 ECU가 가속 페달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5)로 이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제동장치가 조작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시작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또한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의 제1실시 예 제6단계는 수신된 가속 페달 조작 정보를 기초로 하여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이다. 상기 제6단계에서 가속 페달을 조작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7단계인 ECU가 연료 분사 정보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행하고 가속 페달을 조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시작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또한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 제1실시 예의 제8단계는 ECU가 기 설정된 연료 분사 정보를 연료 분사 노즐 밸브로 전송하여 기 설정된 연료 분사만큼만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S18) 종료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ECU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의 제1실시 예는 차량의 급가속으로 인한 급발진이 발생하기 전단계에서 차량 엔진으로 주입되는 연료 주입량을 제어함으로써 원천적으로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쓰로틀 밸브에 잠금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제7단계에서 가속 페달을 조작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잠금장치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쓰로틀 밸브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공기압을 유지하고 종료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진공펌프 및 ECU와 T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다른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진공펌프 및 ECU와 T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다른 제1실시 예의 제1단계는 ECU가 쓰로틀 밸브가 구비된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1)이고, 제2단계는 ECU가 상기 수신된 진공도 정보와 기준 진공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22)이다.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보다 높은 경우에는 시작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고,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3단계인 ECU가 제동 장치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3)로 이행하는 것이다. 또한, ECU와 T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의 제1실시 예 제4단계는 ECU가 수신된 제동장치 조작 정보를 기초로 하여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이다. 상기 제4단계에서 제동장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제5단계인 ECU가 가속 페달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5)로 이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제동장치가 조작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시작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또한 ECU와 T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의 제1실시 예 제6단계는 수신된 가속 페달 조작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가속 페달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6)이다. 상기 제6단계에서 가속 페달을 조작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7단계인 ECU가 급발진 발생 정보를 TCU로 전송하는 단계(S27)로 이행하고 가속 페달을 조작한 것으로 판단되면 시작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또한 ECU와 T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의 제1실시 예의 제8단계는 TCU가 변속기 공회전 명령을 변속기로 전송하여 공회전하도록 하고(S28) 종료하는 것이다.
도 8은 진공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8에서 진공 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의 제2실시 예는 진공 배력식 제동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쓰로틀 바디(100)와 제동 장치(400)를 연결되는 에어 배관(500)에 보조 진공펌프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ECU가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와, ECU가 상기 수신된 진공도 정보와 20 ~ 25Kpa의 기준 진공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32)와, ECU가 비교 결과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보다 높은 경우에는 시작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고,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보조 진공 펌프를 가동하여 제동장치의 진공을 보충하고 (S33) 종료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33 단계는 보조 진공 펌프를 가동하여 진공을 보충하는 대신으로 ECU가 연료분사 노즐 밸브로 전송하는 연료분사 정보를 차단하여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급발진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9는 진공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에 관한 제3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9에서 진공 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의 제3실시 예는 진공 배력식 제동장치가 설치되고 제동 장치에 독립적으로 진공펌프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ECU가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1)와, ECU가 상기 수신된 진공도 정보와 20 ~ 25Kpa의 기준 진공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42)와, ECU가 비교 결과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보다 높은 경우에는 시작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고,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진공 펌프를 가동하여 제동장치의 진공을 보충하고 (S43) 종료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43 단계에서 진공펌프를 가동하여 진공을 보충하는 대신에 ECU가 연료분사 노즐 밸브로 전송하는 연료 분사 정보를 차단하여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여 급발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펌프 및 ECU와 T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은 급발진의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판단함으로써 급발진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제1정형부, 11 : 제1기준값 설정부,
12 : 제1비교부, 20 : 제2정형부,
40 : 전원차단부, 50 : 엔진회전수 검출수단,
60 : 차속 검출수단, 100 : 쓰로틀 바디,
200 : 엔진, 300 : 연료 탱크,
400 : 제동장치, 500 : 에어 배관,
600 : 보조 진공펌프, 700 : 진공펌프,
100-1 : 검출수단, 300-1 : 비교수단,
500-1 : ECU, 400-1 : 급발진 판단부

Claims (8)

  1.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는,
    공기 주입을 조절하면서 내부에 기준 진공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쓰로틀 밸브가 내부에 설치된 쓰로틀 바디(100)와;
    상기 쓰로틀 바디(100)로부터 공기를 주입받고 공연비 14.7을 유지하도록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엔진(200)과;
    상기 엔진(200)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300)와;
    상기 엔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 장치(400)와;
    상기 쓰로틀 바디(100)와 상기 제동 장치(400)를 연결하는 에어 배관(500)과;
    상기 에어 배관(500)에 구비된 것으로 제동 장치 작동 시에 진공을 공급하는 보조 진공 펌프(600);
    및 상기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여 급발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조 진공 펌프(600)를 제어하여 제동 장치의 제동 시 필요한 진공을 보충하도록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진공 펌프(600)의 공기압은,
    20 ~ 25K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진공 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은,
    진공 배력식 제동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쓰로틀 바디(100)와 제동 장치(400)를 연결되는 에어 배관(500)에 보조 진공펌프가 설치된 차량의 ECU가 쓰로틀 바디의 진공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와;
    ECU가 상기 수신된 진공도 정보와 기준 진공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32);
    및 ECU가 비교 결과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보다 낮은 경우에는 보조 진공 펌프를 가동하여 제동 장치의 진공을 보충하는 단계(S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은,
    S32 단계에서 ECU가 비교 결과 수신된 진공도 정보가 기준 진공도 정보보다 높은 경우에는 시작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진공도 정보는,
    20 ~ 25Kpa 진공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펌프 및 ECU 제어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방법.


  8. 삭제
KR1020130106414A 2012-11-26 2013-09-05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KR101393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884 2012-11-26
KR20120134884 2012-11-26
KR20120136127 2012-11-28
KR1020120136127 2012-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313B1 true KR101393313B1 (ko) 2014-05-09

Family

ID=5089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414A KR101393313B1 (ko) 2012-11-26 2013-09-05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3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72B1 (ko) * 2014-10-01 2014-12-05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급발진 상황에서의 브레이크 제동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가 동시에 제어되는 제어시스템
KR101752424B1 (ko) * 2016-09-12 2017-06-30 (주)소울텍 차량용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18583A (ko) * 2017-08-14 2019-02-25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Ecu를 부스터 제어부가 백업 제어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30Y1 (ko) 1999-03-06 2002-03-09 지창헌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0878942B1 (ko) 2006-12-11 2009-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일 세이프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30Y1 (ko) 1999-03-06 2002-03-09 지창헌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0878942B1 (ko) 2006-12-11 2009-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일 세이프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72B1 (ko) * 2014-10-01 2014-12-05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급발진 상황에서의 브레이크 제동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가 동시에 제어되는 제어시스템
KR101752424B1 (ko) * 2016-09-12 2017-06-30 (주)소울텍 차량용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18583A (ko) * 2017-08-14 2019-02-25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Ecu를 부스터 제어부가 백업 제어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방법
CN109383476A (zh) * 2017-08-14 2019-02-26 (株)韩中Ncs 由助力器控制部为ecu提供后备控制的刹车装置及方法
KR102004709B1 (ko) * 2017-08-14 2019-07-30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Ecu를 부스터 제어부가 백업 제어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951B2 (en) Control system for brake vacuum pump
US86411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brake control
KR100878942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일 세이프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RU2717410C2 (ru) Система усилителя тормозов
US9404437B2 (en) Engine control apparatus performing automatic engine restart for ensuring brake booster assistance after automatic engine stop
JP5672917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H11342841A (ja) ブレーキブースタ用負圧制御装置
KR20170007877A (ko) 차량용 엔진의 흡기서지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93313B1 (ko) 진공펌프 및 ecu를 통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KR20170056195A (ko) 차량용 엔진의 과급장치
KR20030031840A (ko)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 및 그 장치
JP2000248966A (ja) 燃料が直接噴射される燃焼室を有する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その制御装置
US20200254983A1 (en) Brake force control system for vehicle
KR100667440B1 (ko) 하이브리드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밀림방지 제어 방법
JP2006199078A (ja) ブレーキ用負圧ポンプの制御装置
KR100314548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62874A (ko) 아이들 스탑 앤 고 적용 차량의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264874A (ja) ブレーキブースタ負圧確保方法及びシステム
JP3475612B2 (ja) 車両の補機制御装置
US6367893B1 (en) Brake booster pressure control apparatus
JP2005188332A (ja) エゼクタ装置
KR101468872B1 (ko) 급발진 상황에서의 브레이크 제동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가 동시에 제어되는 제어시스템
KR101378996B1 (ko) 차량 급발진 방지 시스템
JP2012144179A (ja) 車両の制動力保持制御装置
JP2000002129A (ja) 内燃機関の自動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