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023B1 -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023B1
KR101393023B1 KR1020070031026A KR20070031026A KR101393023B1 KR 101393023 B1 KR101393023 B1 KR 101393023B1 KR 1020070031026 A KR1020070031026 A KR 1020070031026A KR 20070031026 A KR20070031026 A KR 20070031026A KR 101393023 B1 KR101393023 B1 KR 10139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mode
controlle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261A (ko
Inventor
김연지
이성철
송준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02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인식 모드 구동을 위한 키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부와, 상기 음성인식 모드 구동을 위한 폴더 오픈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입력부 또는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단말기의 동작상태에 따라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고, 그 음성인식 모드가 구동되는 시간동안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인식 오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름과 캐릭터를 설정하여 그 특색을 나타내는 음성으로 응답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근감과 재미를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USER INTERFACE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외부전원 공급을 검출하여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명령 인식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가 설정된 단말기의 명령에 대한 응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특정 키 입력을 검출하여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폴더 오픈을 검출하여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중 전화가 수신될 경우에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무선 통신부 102 :디스플레이부
103 : 마이크 104 : 스피커
105 : 사운드 입/출력부 106 : 키 입력부
107 : 메모리 108 : 컨트롤러
109 : 센서부 110 : 전원부
201 : 캐릭터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면서 사용자는 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복잡한 매뉴얼을 공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복잡한 기능을 음성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음성인식이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음성인식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종래의 복잡한 메뉴제어 방법을 이용해야 하는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부재로 인한 불편함이 있고, 또한 음성인식 기능의 상시 동작으로 인하여 단말기의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 으로, 음성인식 오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인식 기능 구동시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인식 모드 구동을 위한 키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부와, 상기 음성인식 모드 구동을 위한 폴더 오픈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입력부 또는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단말기의 동작상태에 따라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고, 그 음성인식 모드가 구동되는 시간동안 음성명령을 인식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안테나(ANT)를 통해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101)와, 단말기의 동작 및 각종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2)와, 상기 무선 통신부(101)를 통해 송수신 되는 음성 신호를 마이크(103) 및 스피커(104)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하는 사운드 입/출력부(105)와, 단말기에 부착된 키의 입력을 검출하여 컨트롤러(108)에 출력하는 키 입력부(106)와, 단말기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운영프로그램 및 기능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7)와, 상기 각 기능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기능블록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8)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동작상태의 검출을 위해 다수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9)에는 폴더의 오픈을 검출할 수 있는 광센서(미도시), 또는 단말기의 휴대나 이동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진동센서(미도시)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배터리 또는 전원케이블에 의해 단말기 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를 구비하며, 그 전원부에서 크래들 또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단말기 내에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검출하고, 그 외부전원을 이용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단말기를 구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101)는 상기 컨트롤러(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108)의 제어를 받아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통신에는 음성, 화상 및 데이터 통신이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2)는 액정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E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동작 및 각종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운드 입/출력부(105)는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신호 및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명령을 마이크(103)를 통해 입력받고, 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 및 단말기의 각종 기능 수행 시 발생하는 사운드를 스피커(104)를 통해 출력한다. 만약, 이동통신단말기에 헤드셋이나 핸즈프리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기기의 마이크나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를 입력 또는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106)는 단말기에 부착된 키 입력을 검출하여 컨트롤러(108)에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106)와 디스플레이부(102)는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입력기능과 표시기능이 하나로 결합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07)는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107)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 모두가 사용 가능하며, 플래시(Flash) 메모리나 하드디스크와 같은 특정 메모리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컨트롤러(108)는 상기 각 기능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기능블록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인식 모드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컨트롤러(108)는 단말기가 기 지정된 동작상태로 전환되거나, 기 지정된 키 입력 또는 센서 입력이 검출되면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고,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따라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외부전원 공급을 검출하여 음성인식 모 드를 구동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단말기에 충분한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인지 검출하여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단말기에 이름을 지정한 후 음성명령 입력전에 그 단말기의 이름을 호출함으로써 음성인식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인식 모드를 24시간 연속해서 구동할 경우, 전력소모가 증가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충분한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전력소모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여기서, 충분한 전원이란 가정용 AC 전원 및 자동차 전원을 어댑터를 통해 단말기에 적정한 전압레벨로 변환하여 공급되는 외부전원, 또는 외장 배터리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의미한다.
즉, 컨트롤러(108)는 전원부(110)를 통해 외부전원이 공급되는지 검출하고(S101), 외부전원이 공급될 경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여(S103),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명령을 인식한 후(S104) 그 인식된 명령을 수행한다(S105).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음성인식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성명령 인식 과정(S104)을 수행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음성을 입력받은 후(S210), 입력받은 음성이 미리 지정된 단말기의 특정한 '명칭' 또는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지 검출하고(S202), 상기 '명칭' 또는 '이름' 다음에 입력되는 음성을 명령으로 인식한 다(S203). 가령, 단말기의 이름을 'Cybo'라고 지정했을 경우, 'Cybo, 6시에 깨워줘'라는 음성을 입력하면, 'Cybo' 다음에 입력되는 '6시에 깨워줘'를 음성명령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에 특정한 '캐릭터(201)'를 지정하고, 그 캐릭터에 상기 '명칭' 또는 '이름'을 연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캐릭터로서 강아지와 같은 동물 캐릭터를 설정하여 상기 'Cybo'라는 이름과 연계시킬 경우,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하여 음성으로 응답할 필요가 없는 명령에 대해서 컨트롤러(108)는 '강아지의 짖는소리(예 : 멍멍)'로 대신 응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근감과 재미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필요시에는 음성에 의한 응답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는 아이콘, 사진을 포함하는 움직임까지 가능한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특색을 나타낼 수 있는 각종 사운드 및 상기 캐릭터에 연계된 단말기의 '명칭' 또는 '이름'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강아지의 짖는소리'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른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음의 길이와 강약 및 높낮이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지 못할 경우나 반대로 정확히 인식했을 경우, 또는 특정한 기념일이나 지정된 시간에 알람을 통보할 경우 등, 그 상황에 따라 '강아지의 짖는소리'를 다르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근감과 재미를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특정 키 입력을 검출하여 음성인식 모 드를 구동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폴더 오픈을 검출하여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명령 입력 가능성이 높은 동작상태를 검출하여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함으로써, 전력소모와 음성인식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음성명령 입력 가능성이 높은 동작상태란 단순한 단말기의 휴대상태, 또는 대기상태(Idle state)를 제외한 그 이외의 동작상태를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지정된 특정 키(또는 버튼)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특정 키가 입력된 후 소정시간 동안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한다. 또한, 단말기의 메뉴 설정에 따라서는 상기 특정 키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키란 음성인식 모드 구동을 위해 별도로 구비된 핫 키, 또는 기존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 키를 음성인식 모드 구동을 위한 키로서 중복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키를 포함한다.
즉, 컨트롤러(108)는 키 입력부(106)를 통해 미리 지정된 특정 키 입력이 있는지 검출하고(S301), 상기 특정 키 입력이 검출되면 음성인식 모드를 지정된 시간동안 구동한다. 예컨대, 단말기의 메뉴 설정에 따라 상기 특정 키가 계속 입력되고 있는 시간동안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거나(S302), 키가 처음 입력된 후 소정시간 동안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할 수 있다(S303).
그리고, 상기 음성인식 모드가 구동되는 동안 입력되는 음성에 대해서 음성 명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음성명령의 인식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3을 이용해 설명한 음성명령 인식 과정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5에 도시된 순서도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 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오픈이나 스위블 타입 폴더가 오픈되는 것을 검출하여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컨트롤러(108)는 센서부(109)에 구비된 소정의 센서를 통해 폴더가 오픈되는지 검출하고(S401), 폴더가 오픈되면 음성인식 모드를 지정된 시간동안 구동한다. 예컨대, 단말기의 메뉴 설정에 따라 상기 폴더가 계속 오픈되어 있는 시간동안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거나(S402), 폴더가 오픈된 후 소정시간 동안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할 수 있다(S403).
그리고, 상기 음성인식 모드가 구동되는 동안에 입력되는 음성에 대해서 음성명령으로 인식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명령의 인식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3을 이용해 설명한 음성명령 인식 과정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도7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중 전화가 수신될 경우에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과정을 보인 실시예의 상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던 중 전화가 수신될 경우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던 중 전화가 수신될 경우에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함으로써, 전력소모와 음성인 식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멀티미디어파일 재생 기능이 컨버전스 된 단말기로서, 최근 많은 사용자들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을 연결하여 음악을 청취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전화 수신 시, 그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한 후 소정시간 동안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여, 헤드셋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명령(예 : Cybo,통화 연결해, Cybo,통화 차단해 등)을 입력받는다. 상기 음성명령을 인식한 컨트롤러는 그 명령에 따라 헤드셋으로 통화를 연결하거나 차단시킨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헤드셋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재생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예:음악)을 청취하고 있는 중 전화가 수신될 경우(S501 ~ S503), 단말기의 컨트롤러는 그 수신된 전화의 발신자정보를 검출하여 TTS(Text to Speech)를 이용해 음성으로 변환한 후 헤드셋을 통해 출력한다(S504 ~ S506).
가령, 상기 발신자가 홍길동이라고 할 경우, 미리 지정된 특정 캐릭터(예:강아지)의 음성으로 '멍멍, 홍길동님의 전화입니다. 통화 연결 할까요?'와 같은 발신자정보와 음성명령 입력을 요구하는 음성안내를 출력한 후 음성인식 모드를 소정시간 동안 구동한다(S507 ~ S510).
이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음성안내 출력 시, 사용자가 입력가능한 음성명령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를 연결하려면 '통화', 통화를 차단하려면 '차단'을 말해주세요"와 같이 사용 가능한 음성명령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통화' 또는 '차단'을 음성명령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음성명령을 입력한다.
가령, 도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단말기에 설정된 이름(예:Cybo)을 부른 후, 연속해서 지정된 음성명령(예:'통화','차단')을 입력하는 것이다(S511).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인식 오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인식 기능 구동 시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름과 캐릭터를 설정하여 그 캐릭터의 특색을 나타내는 음성으로 응답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근감과 재미를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 및
    음성인식 모드가 구동되는 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도록,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된 음성에서 기 지정된 호출명령을 검출하고, 상기 호출명령 다음에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명령으로 인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명령은 특정 명칭 또는 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명령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호출명령과 연계되는 그래픽 객체 또는 사운드가 추가로 저장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인식된 음성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픽 객체 또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헤드셋 또는 핸즈프리가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헤드셋 또는 핸즈프리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에서 상기 음성명령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특정 키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키가 입력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거나,
    상기 특정 키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는 상기 음성인식 모드의 구동을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핫 키 또는 소정 기능과 상기 음성인식 모드의 구동을 위한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키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음성인식 모드의 구동을 위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서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서 입력이 검출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폴더 타입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폴더가 오픈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폴더의 오픈이 검출되면, 상기 폴더가 오픈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거나, 상기 폴더가 오픈된 시간 동안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 모드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외부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부를 통하여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중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음성인식 모드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에 의해 상기 음성인식 모드가 구동되면, 상기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헤드셋 또는 핸즈프리가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헤드셋 또는 핸즈프리에 구비되는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에 대한 음성 출력과 함께, 상기 전화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음성명령도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70031026A 2007-03-29 2007-03-29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139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026A KR101393023B1 (ko) 2007-03-29 2007-03-29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026A KR101393023B1 (ko) 2007-03-29 2007-03-29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261A KR20080088261A (ko) 2008-10-02
KR101393023B1 true KR101393023B1 (ko) 2014-05-12

Family

ID=4015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026A KR101393023B1 (ko) 2007-03-29 2007-03-29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5989B2 (en) 2018-11-20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11B1 (ko) * 2008-05-28 2011-08-11 (주)파워보이스 실시간 호출명령어 인식을 이용한 잡음환경에서의음성구간검출과 연속음성인식 시스템
US9196262B2 (en) * 2013-03-14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User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voice command activ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007478B1 (ko) * 2017-06-28 2019-08-05 크리스토퍼 재현 윤 특정 조건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229A (ko) * 2000-04-04 2001-10-31 이수성 전화기의 음성인식 조작 방법 및 시스템
KR100367611B1 (ko) 2000-12-16 2003-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캐릭터 표시 방법
KR20050073958A (ko) * 2004-01-12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호 신호 송수신방법
KR100657059B1 (ko) * 2004-07-19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229A (ko) * 2000-04-04 2001-10-31 이수성 전화기의 음성인식 조작 방법 및 시스템
KR100367611B1 (ko) 2000-12-16 2003-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캐릭터 표시 방법
KR20050073958A (ko) * 2004-01-12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호 신호 송수신방법
KR100657059B1 (ko) * 2004-07-19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5989B2 (en) 2018-11-20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261A (ko)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09B2 (ja) 携帯通信機器
KR102087654B1 (ko)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KR102116053B1 (ko) 스마트 와치
KR20150099156A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CN101227666B (zh) 通信装置
KR20140141916A (ko) 사용자 기기의 알림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EP2698787A2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using text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848037A (zh) 头戴式耳机及控制终端设备的方法
KR101393023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성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TWI414263B (zh) 防水音響枕頭
US10379507B2 (en) Voice control type bath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36584A (ko) 음성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1662313A (zh) 利用蓝牙搜寻通讯装置的系统及方法
KR20190068133A (ko)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음소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070281748A1 (en) Method & apparatus for unlocking a mobile phone keypad
US20210373596A1 (en) Voice-enabled external smart processing system with display
US9100821B2 (en) Anti-eavesdropp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40303982A1 (en) Phonetic conversation method and device using wired and wiress communication
CN103167127A (zh) 基于距离传感器和手势操作实现手机来电静音的系统及方法
KR100819242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외부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CN103780735A (zh) 手持终端、通话自动录制方法
JP2013219566A (ja) 携帯情報端末
KR20090035807A (ko) 무선 헤드셋,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스템, 및 무선 헤드셋의사용방법
KR100798956B1 (ko) 통화모드에서의 사용자 감정 조절을 위한 음파 제어 방법및 장치
JP4697712B2 (ja) 無声通話機能付情報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