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769B1 -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 Google Patents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769B1
KR101392769B1 KR1020130014631A KR20130014631A KR101392769B1 KR 101392769 B1 KR101392769 B1 KR 101392769B1 KR 1020130014631 A KR1020130014631 A KR 1020130014631A KR 20130014631 A KR20130014631 A KR 20130014631A KR 101392769 B1 KR101392769 B1 KR 101392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opening
door
lock lever
latc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열
강상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Priority to KR102013001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함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도어가 양방향으로 개방 가능하고, 필요시 함체에서 간편하게 분리시켜 작업의 용이성이 확보되도록 한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 중 어느 하나의 힌지를 택일하여 해체시킨 다음 힌지구조를 형성한 나머지 힌지를 중심으로 도어를 상향 또는 하향 선회시켜 개구부의 상향 또는 하향 개방을 구현하고, 상부 힌지부와 하부 힌지부에 형성된 힌지구조의 일괄 해체를 통해 도어를 함체의 개구부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Case having emproved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함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고, 도어를 함체에서 간편하게 분리시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서버 등 각종의 전산기기를 수납한 전산기기 수납함은, 각종 전자부품의 인출입을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도어가 형성되어 개구부의 개폐를 도모하게 된다.
상기 전산기기 수납함에는 함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 가장자리와 도어의 일 가장자리에 경첩을 설치하여, 도어가 경첩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힌지 회전하여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통상 서버 등의 전산기기 수납함은 복수개가 적층된 상태를 설치되며, 작업자는 적층된 각 전산기기 수납함의 도어를 개방시켜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작업자의 시야보다 높게 위치된 전산기기 수납함의 도어를 하부로 힌지 회전시켜 개방하면, 개방된 도어에 의해 전산기기 수납함에 형성된 개구부의 시야가 가려지므로, 안정된 시야의 확보를 통한 원활한 작업의 수행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사다리나 받침대 등을 통해 시야를 높인 다음, 상부에 위치된 전산기기 수납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롭고 사다리나 받침대에 오르내리는 과정에 넘어지면 예기치 않는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그리고, 개구부에 설치된 도어에 의해 개구부의 전체적인 개방면적이 좁아지므로, 개방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부품을 인출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함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도어가 양방향으로 개방 가능한 한편, 필요시 함체에서 도어를 분리시켜 작업에 따른 향상된 효율성이 확보되도록 한 전산기기 수납함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번호 20-0182673호(함체의 도어 고정장치, 등록일자 2000년 03월 08일) 등록번호 10-0574706(세대 통신 단자함, 등록일자 2006년 04월 27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도어를 양방향으로 개방하고, 도어를 함체에서 간편하게 분리시켜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하도록 한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함체의 전면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도어의 상부를 함체의 전면 상부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상부 힌지와; 도어의 하부를 개구부의 전면 하부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하부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는, 일편에 진출입구가 형성된 래치홈부를 갖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진출입구를 통해 힌지 브라켓의 래치홈부에 진입하여 힌지 브라켓과 힌지구조를 형성하는 힌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의 래치홈부에 진입된 힌지축이 진출입구를 통해 진출하면 힌지 브라켓과 힌지축 사이에 형성된 힌지가 해체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 중 어느 하나의 힌지를 택일하여 해체시킨 다음 나머지 힌지를 중심으로 도어를 상향 또는 하향 선회시켜 개구부의 상향 또는 하향 개방을 구현하고,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의 일괄 해체를 통해 개구부를 폐쇄한 도어를 함체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힌지부의 힌지 브라켓에는 래치홈부에 형성된 진출입구의 개폐를 도모하는 슬라이더가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래치홈부에 진입된 힌지축이 슬라이더에 의해 구속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노브가 설치되어, 노브를 통해 슬라이더를 진퇴시켜 래치홈부에 형성된 진출입구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홈부가 형성된 힌지 브라켓에는 래치홈부의 진출입구를 폐쇄하는 락레버가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한 락레버에 의해 래치홈부에 진입된 힌지축이 락레버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호 마주하는 함체와 도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래치홈부에서 힌지축의 진출되어 힌지 연결상태가 형성 및 해체되는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힌지 또는 하부힌지의 택일적인 해체를 통한 함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상향 개방, 또는 하향 개방이 가능하고, 또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의 일괄적인 해체를 통해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함체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하여, 작업자는 함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상향 개방과 하향 개방하거나, 함체에서 도어를 분리시켜서, 도어 작업시 안정된 시야 확보를 확보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의 전체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 내지 도 12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의 전체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서 제 3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의 전체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의 전체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 내지 도 12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의 전체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서 제 3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의 전체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산기기 수납함(1, 1', 1")은 도 1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가 형성된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20)는 개구부(11)가 형성된 함체(10)의 전면에 힌지 조립체(100, 200, 300)를 통해 힌지구조로 고정되어 힌지 회전을 통해 개구부(11)의 개폐상태를 설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 조립체(100, 200, 300)를 상부힌지(110, 210, 310)와 하부힌지(110', 210', 310')로 분할되게 구성하여, 힌지 조립체(100, 200, 300)의 부분 해체를 통해 도어(20)의 상향 선회를 통한 개구부(11)의 상향 개방과 하향 선회를 통한 개구부(11)의 하향 개방을 각각 구현하고, 또 필요시 힌지 조립체(100, 200, 300)를 전체적으로 해체시켜 함체(10)에 고정된 도어(20)를 간편하게 분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도어(20)의 양방향 선회를 통한 개구부(11)의 양방향 개방과 도어(20)의 분리를 구현하는 힌지 조립체(100, 200, 300)는, 도어(20)의 상부를 함체의 전면 상부에 힌지구조로 고정시켜 개구부(11)를 상향 개방하도록 하는 상부 힌지(110, 210, 310)와; 도어(20)의 하부를 함체(10)의 전면 하부에 힌지구조로 고정시켜 개구부(11)를 하향 개방하도록 하는 하부 힌지(110', 210', 3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함체(10)와 도어(20)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힌지(110, 210, 310)와 하부 힌지(110', 210', 310')는, 일편이 개방된 진출입구(111b, 211b, 311b)를 갖는 래치홈부(111a, 211a, 311a)가 형성된 힌지 브라켓(111, 211, 311)과, 상기 진출입구(111b, 211b, 311b)를 통해 힌지 브라켓(111, 211, 311)의 래치홈부(111a, 211a, 311a)에 진입하여 힌지 브라켓(111, 211, 311)과 힌지구조를 형성하는 힌지축(112, 212, 31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진출입구(111b, 211b, 311b)를 따라 힌지 브라켓(111)에 형성된 래치홈부(111a)에 힌지축(112)이 진입하면 힌지 브라켓(111)과 힌지축(112) 사이에는 힌지구조가 형성되고, 진출입구(111b, 211b, 311b)를 따라 래치홈부(111a, 211a, 311a)에 진입된 힌지축(112, 212, 312)이 진출하면 힌지 브라켓(111, 211, 311)과 힌지축(112, 212, 312) 사이에 형성된 힌지구조는 해체된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상부 힌지(110, 210, 310)와 하부 힌지(110', 210', 310') 중 어느 하나의 힌지를 택일하여 해체시킨 다음 힌지구조를 형성한 나머지 힌지를 중심으로 도어(20)를 상향 또는 하향 선회시켜 개구부(11)의 상향 또는 하향 개방을 구현하고, 특히 필요시 상부 힌지(110, 210, 310)와 하부 힌지(110', 210', 310')에 형성된 힌지구조의 일괄 해체를 통해 도어(20)를 함체(10)에서 간편하게 분리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작업높이에 따라 하부 힌지(110', 210', 310')의 해체를 통한 개구부(11)의 상향 개방과 상부 힌지(110, 210, 310)의 해체를 통한 개구부(11)의 하향 개방이 가능하고, 상부 힌지(110, 210, 310)와 하부 힌지(110', 210', 310')에 형성된 힌지구조의 일괄 해체를 통해 도어(20)를 함체(10)에서 간편하게 분리시켜 함체(10)의 전방으로 상향 또는 하향 선회된 도어(20)에 의해 개구부(11)가 시야에서 가려짐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힌지(110, 210, 310)를 힌지 브라켓(111, 211, 311)에 형성된 래치홈부(111a, 211a, 311a)에, 다각형, 타원형, 캠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힌지축(112, 212, 312)을 삽입시켜 힌지축(112, 212, 312)과 래치홈부(111a, 211a, 311a) 사이의 회전 접촉각도에 따라 마찰력이 가변되도록 하는 마찰 제동형으로 구성하면, 상향 선회하여 개구부(11)의 상향 개방을 도모한 도어(20)가 힌지축(112, 212, 312)과 래치홈부(111a, 211a, 311a)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 힌지(110)의 힌지 브라켓(111)에 지지대(111c)를 회동구조로 배치하여, 개방된 상향 선회를 통해 함체(10)의 개구부(11)를 상향 개방한 도어(20)가 지지대(111c)를 통해 지지되도록 구성하면, 개구부(11)의 임의 폐쇄를 예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출입구(111b, 211b, 311b)를 따라 힌지 브라켓(111, 211, 311)에 형성된 래치홈부(111a, 211a, 311a)에 진입된 힌지축(112, 212, 312)을 간편하게 구속시켜 힌지구조가 임의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시 래치홈부(111a, 211a, 311a)에 진입된 힌지축(112, 212, 312)의 구속을 힌지구조를 간편하게 해체하도록 한 구속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상술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가 형성된 함체(10)의 전면 상부와 전면 하부에 각각 힌지축(112)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힌지축(112)과 마주하는 도어의 상부와 하부에는 래치홈부(111a)를 갖는 힌지 브라켓(111)을 각각 형성하여, 도어(20)와 함체(10) 사이에 상부 힌지(110)와 하부 힌지(110')를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100)를 형성한다.
상기 래치홈부(111a)에는 일편에 진출입구(111b)가 형성되어 진출입구(111b)를 통해 함체(10)에 고정된 힌지축(112)은 진출입하여, 힌지 연결, 또는 힌지 연결의 해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래치홈부(111a)에 형성되어 힌지축(112)의 진출입 경로를 형성하는 진출입구(111b)의 개폐를 도모하는 슬라이더(113)를 도어(20)에 진퇴구조로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산기기 수납함(1)은 슬라이더(113)가 전진하여 진출입구(111b)의 일편에 밀착되면 래치홈부(111a)는 폐쇄되고, 힌지축(112)과 힌지 브라켓(111) 사이에 힌지구조를 형성하고, 또 슬라이더(113)가 후퇴하면 래치홈부(111a)에 형성된 진출입구(111b)를 개방시켜 힌지축(112)의 진출 경로를 확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상부 양편과 하부 양편에 각각 힌지축(112)을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도어(20)의 상부 양편과 하부 양편에 각각 래치홈부(111a)가 형성된 힌지 브라켓(111)과, 래치홈부(111a)에 형성된 진출입구(111b)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슬라이더(113)를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슬라이더(113)는 스프링 등의 탄지부재(114)에 의해 탄지되어, 탄지부재(114)의 탄지력에 의해 항시 전진하려는 성향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슬라이더(113)에는 도어(2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노브(113a)가 설치되어, 작업자는 도어(20)의 전면에 노출된 노브(113a)를 통해 슬라이더(113)를 후퇴시켜 슬라이더(113)에 의해 폐쇄된 래치홈부(111a)의 진출입구(111b)를 개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홈부(111a)로 진입하는 힌지축(112)과의 간섭되는 슬라이더(113)의 외벽에는 경사진 간섭면(113b)이 형성되어, 간섭면(113b)을 통한 래치홈부(111a)로 진입하는 힌지축(112)과의 간섭에 의해 슬라이더(113)는 후퇴하여 래치홈부(111a)에 형성된 진출입구(111b)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20)를 통한 개구부(11)의 폐쇄과정에 작업자가 노브(113a)를 통해 슬라이더(113)를 직접 후퇴시켜 폐쇄된 래치홈부(111a)의 진출입구(111b)를 개방하지 아니하고도 힌지축(111)과의 간섭에 의해 진출입구(111b)가 일시적으로 개방된 다음 힌지축의 진입이 완료되면 래치홈부(111a)의 진출입구(111b)는 자동 폐쇄하도록 한다.
즉, 도어(20)가 함체(10)의 개구부(11)에 진입되는 과정에 힌지 브라켓(111)의 래치홈부(111a)를 폐쇄한 슬라이더(113)는 간섭면(113b)을 통해 힌지축(112)과 간섭되어 일시적으로 후퇴한 다음, 개방된 진출입구(111b)를 따라 힌지축(112)이 래치홈부(111a)에 진입되면, 탄지부재(114)의 탄지력에 의해 재 전진하여 힌지축(112)을 감싼 래치홈부(111a)를 폐쇄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산기기 수납함(1)은 도 3a와 도 4a와 같이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각 힌지축(112)을 도어(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각 힌지 브라켓(111)의 래치홈부(111a)에 진입시킨 다음 슬라이더(113)가 전진하여 래치홈부(111a)를 폐쇄하면, 도어(20)는 상부 힌지(110)와 하부 힌지(110')를 통해 고정되어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를 안정되게 폐쇄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4b와 같이 도어(20)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더(113)를 노브(113a)를 통해 후퇴시키면 상부 힌지(110)는 해체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20)를 당기면 도어(20)는 하부 힌지(110')를 통해 하향 선회하여 함체(10)의 개구부(11)를 하향 개방한다.
이와 반대로, 도 3b와 같이 도어(20)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더(113)를 후퇴시키면 하부 힌지(110')는 해체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20)를 당기면 도어(20)는 상부 힌지(110)를 통해 하향 선회하여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를 상향 개방한다.
또한, 도 5와 같이 도어(2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더(113) 모두를 후퇴시키면, 상부 힌지(110)와 하부 힌지(110')는 일괄하여 해체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20)를 당기면 도어(20)는 함체에서 분리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산기기 수납함(1)은 슬라이더(113)의 택일적인 진퇴를 통한 상부 힌지(110)와 하부 힌지(110')의 택일적인 해체를 통해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상향 및 하향 개방이 가능하다.
또한, 모든 슬라이더(113)의 후퇴를 통한 상부 힌지(110)와 하부 힌지(110')의 일괄적인 해체를 함체(10)에 고정된 도어(20)를 분리시켜 개구부(11)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도어(20)를 함체(10)의 개구부(11)에 진입시키면 도어(20)에 설치된 슬라이더(113)는 간섭면(113b)과 힌지축(112)과의 간섭에 의해 후퇴하여 래치홈부(111a)를 일시적으로 개방되어, 개방된 래치홈부(111a)로 힌지축(112)이 진입하여 구속되므로, 슬라이더(113)의 별도 조작 없이도 도어(20)를 개구부(11)가 형성된 함체(10)의 전면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상부와 하부에 래치홈부(211a)를 갖는 힌지 브라켓(211)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함체(10)의 개구부(11)에 설치된 각 힌지 브라켓(211)과 마주하는 도어(20)의 상부와 하부에는 힌지 브라켓(211)에 형성된 래치홈부(211a)에 진입되는 힌지축(212)을 각각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힌지 브라켓(211)에 정방향 회전을 통해 래치홈부(211a)에 형성된 진출입구(211b)를 폐쇄하는 락레버(213)를 회동축(213a)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산기기 수납함(1')은 락레버(21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홈부(211a)의 진출입구(211b)가 폐쇄되면 힌지축(212)과 힌지 브라켓(211) 사이에 힌지구조가 형성되고, 또 락레버(21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홈부(213a)에 형성된 진출입구(213b)가 개방되면 힌지축(212)의 진출입 경로를 확보된다.
도면을 보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21)가 형성된 함체(10)의 전면 상부 양편과 하부 양편에 각각 락레버(213)와 래치홈부(211a)를 갖는 힌지 브라켓(211)을 각각 설치하고, 이와 마주하는 도어(20)의 상부 양편과 하부 양편에는 힌지축(212)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브라켓(211)에 회동구조로 설치된 락레버(213)는 스프링(214)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홈부(211a)에 형성된 진출입구(211b)를 폐쇄하려는 성향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락레버(213)의 편심단(213a)이 형성되어 편심단(213a)의 가압에 의해 락레버(213)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홈부(211a)의 진출입구(211b)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어(20)에 락레버(213)의 편심단(213a)을 가압하여 락레버(21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락레버(213)에 의해 폐쇄된 힌지 브라켓(211)의 래치홈부(211a)를 개방시키는 가압버튼(215)이 설치되어, 작업자는 도어(20)의 외부에 노출된 가압버튼(215)을 가압시켜 락레버(213)를 역회전시켜 해당 힌지의 힌지 브라켓(211)과 힌지축(212) 사이에 형성된 힌지구조를 해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에 고정된 힌지축(212)이 힌지 브라켓(211)의 래치홈부(211a)에 진입된 상태에서 락레버(213)가 스프링(214)의 탄발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힌지축(212)은 락레버(213)에 의해 폐쇄되는 래치홈부(211a)에 구속되어 해당 힌지의 힌지구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버튼(215)에 의한 편심단(213a)의 가압에 의해 락레버(21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힌지축(212)을 구속한 래치홈부(211a)는 개방되고, 결과적으로 힌지축(212)의 구속에 의한 힌지축(212)과 힌지 브라켓(211) 사이의 힌지구조는 해체된다.
그리하여, 작업자가 도 9와 도10과 같이 도어(20)를 개구부(21)에 밀착시켜 함체(10)의 개구부(11)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압버튼(215)을 가압시켜 상부 힌지(210)와 하부 힌지(210') 중 어느 하나의 힌지를 해체하고, 나머지 힌지 연결상태의 힌지를 통해 도어(20)를 선회시켜 개구부(11)의 상향 또는 하향 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이 상부 힌지(210)에 마련된 가압버튼(215)을 가압하여 상부 힌지(210)를 해체한 다음 하부힌지(210')를 통해 도어(20)를 하향 선회시키면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의 하향 개방이 이루어지고, 도 10과 같이 하부 힌지(210')에 마련된 가압버튼(215)을 가압하여 하부 힌지(210')를 해체한 다음 상부힌지(210)를 통해 도어(20)를 하향 선회시키면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상향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상부 힌지(210)와 하부 힌지(210')에 설치된 모든 가압버튼(215)을 각각 가압시켜 모든 힌지(210, 210')를 해체시킨 다음, 도어(20)를 전방으로 당기면 도어(20)는 함체(10)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산기기 수납함은 락레버들의 선택적인 정역 회전을 통한 선택적인 힌지구조의 해체를 통해 도어의 상향 개방, 및 하향 개방이 가능하고, 또 모든 래치레버의 역회전을 통한 힌지구조의 간편한 해체를 통해 도어를 함체에서 간편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산기기 수납함(1")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회동축(313a)을 통해 고정된 락레버(313)를 통해 래치홈부(311a)를 폐쇄시켜 힌지축(12)이 래치홈부(311a)에서 임의로 진출되어 힌지구조의 임의 해체를 방지하는 점에서는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락레버(313)의 역회전을 도모하기 위한 가압버튼을 채택하지 아니하고, 락레버(313)에 형성된 편심단을 길게 연장시킨 손잡이(313b)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313b)를 통해 락레버(313)의 정역 회전에 따른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면을 보면 상기 도어(20)의 외벽에는 정방향으로 등각 회전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를 수용하는 손잡이홈(21)들이 형성되어, 정방향으로 등각 선회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는 손잡이홈(21)에 수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1)가 형성된 함체(10)의 전면에 도어(20)를 밀착시키면 도어(20)에 설치된 힌지축(312)은 함체(10)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311)의 래치홈부(311a)에 각각 진입하고, 이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된 락레버(31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치홈부(311a)의 진출입구(311b)는 락레버(313)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상기 정방향으로 선회하여 래치홈부(311a)를 폐쇄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는, 도어(20)에 형성된 손잡이홈(21)에 수용되어 외부에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상부에 형성된 락레버(313)를 역방향으로 등각 회전시키면 상부 힌지(310)는 해체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를 당기면 도어(20)는 하부 힌지(310')를 통해 하향 선회하여 개구부(11)를 하향 개방한다.
이와 반대로, 작업자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하부에 형성된 락레버(313)를 역방향으로 등각 회전시키면 하부 힌지(310')는 해체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20)를 당기면 도어(20)는 상부 힌지(310)를 통해 상향 선회하여 개구부(11)를 상향 개방한다.
또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락레버(313) 모두를 역방향으로 등각 회전시키면, 상부 힌지(310)와 하부 힌지(310')는 모두 해체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20)를 전방으로 당기면 도어(20)는 함체(10)에서 분리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산기기 수납함(1")은 락레버(313)를 통한 상부 힌지(310)와 하부 힌지(310')의 택일적인 해체를 통해 개구부(11)의 상향 및 하향 개방이 가능하고, 또 상부 힌지(310)와 하부 힌지(310')의 일괄 해체를 통해 도어(20)를 함체(10)에서 간편하게 분리시켜 개구부(11)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방향으로 선회하여 도어(20)의 힌지축(312)을 힌지 브라켓(211)에 힌지구조로 고정시킨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를 고정시켜 손잡이홈(21)에 수용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가 임의로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힌지 연결상태가 해체되는 것을 예방하고 있다.
상기 락킹구조는, 손잡이홈에 수용된 락레버의 손잡이를 견착하여 구속하는 구속레버를 도어에 회동구조로 설치한 것이다.
도면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20)의 상부에 설치된 락레버(313)와 하부에 설치된 락레버(313) 사이에 견착레버(314)를 회동구조로 배치하여, 중립상태에서는 견착레버(314)는 상부 손잡이홈(21)에 수용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a)와 하부 손잡이홈(21)에 수용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를 동시 견착하여 구속하도록 한다.
상기 중심축(314a)을 통해 도어(20)에 회동구조로 설치된 견착레버(314)는 중립 스프링(314b)에 의해 중립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이 요구될 경우 작업자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립상태의 견착레버(314)를 상부, 또는 하부로 선회시켜 손잡이홈(21)에 수용된 락레버(313)의 구속을 해제하고, 이후 구속이 해제된 락레버(31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 힌지(310), 또는 하부 힌지(310')를 해체하거나 이들 힌지를 해체하여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상향 개방, 또는 하향 개방, 또는 함체(10)에서 도어(20)를 분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견착레버(314)에 의해 손잡이홈(21)에 수용된 락레버(313)의 역회전이 방지되고, 또 필요시 견착레버(314)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락레버(313)에 의한 구속을 해제시켜 함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20)에 형성된 손잡이홈(21)에 수용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를 손잡이홈(21)에서 간편하게 배출시키는 인출구조를 부가하여, 손잡이홈(21)에 수용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를 간편하게 인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락레버(313)가 설치된 도어(20)에 인출레버(315)를 지렛대 구조로 설치하여, 도어(20)의 외부에 돌출된 인출레버(315)를 가압시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가 손잡이홈(21)에서 인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에 서포트 레버(316)를 지렛대 구조로 설치하여, 서포트 레버(316)를 당겨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를 손잡이홈(21)에서 인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출레버(315)나 서포트 레버(316)를 부가하면, 손잡이홈(21)에 수용된 락레버(313)의 손잡이(313b)를 간편하고 안정되게 협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어에 개방에 따른 편리성과 신속성이 확보된다.
1, 1', 1". 전산기기 수납함
10. 함체 11. 개구부
20. 도어 21. 손잡이홈
100. 힌지 조립체 110. 상부 힌지
110'. 하부 힌지
111. 힌지 브라켓 111a. 래치홈부
111b. 진출입구 112. 힌지축
113. 슬라이더 113a. 노브
113b. 간섭면 114. 탄지부재
200. 힌지 조립체 210. 상부 힌지
210'. 하부 힌지
211. 힌지 브라켓 211a. 래치홈부
211b. 진출입구 212. 힌지축
213. 락레버 213a. 편심단
214. 스프링 215. 가압버튼
300. 힌지 조립체 310. 상부 힌지
310'. 하부 힌지
311. 힌지 브라켓 311a. 래치홈부
311b. 진출입구 312. 힌지축
313. 락레버 313. 손잡이
314. 견착레버 315. 인출레버
316. 서포트 레버

Claims (14)

  1.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함체의 전면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도어의 상부를 함체의 전면 상부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상부 힌지와; 도어의 하부를 개구부의 전면 하부에 힌지구조로 고정하는 하부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는, 일편에 진출입구가 형성된 래치홈부를 갖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진출입구를 통해 힌지 브라켓의 래치홈부에 진입하여 힌지 브라켓과 힌지구조를 형성하는 힌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의 래치홈부에 진입된 힌지축이 진출입구를 통해 진출하면 힌지 브라켓과 힌지축 사이에 형성된 힌지가 해체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 중 어느 하나의 힌지를 택일하여 해체시킨 다음 나머지 힌지를 중심으로 도어를 상향 또는 하향 선회시켜 개구부의 상향 또는 하향 개방을 구현하고, 상부 힌지와 하부 힌지의 일괄 해체를 통해 개구부를 폐쇄한 도어를 함체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힌지부의 힌지 브라켓에는 래치홈부에 형성된 진출입구의 개폐를 도모하는 슬라이더가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래치홈부에 진입된 힌지축이 슬라이더에 의해 구속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노브가 설치되어, 노브를 통해 슬라이더를 진퇴시켜 래치홈부에 형성된 진출입구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홈부로 진입하는 힌지축과의 간섭되는 슬라이더의 외벽에는 경사진 간섭면이 형성되어, 간섭면을 통한 래치홈부로 진입하는 힌지축과의 간섭에 의해 슬라이더는 후퇴하여 래치홈부에 형성된 진출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탄지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탄지되어, 탄지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더는 전진하여 래치홈부에 형성된 진출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홈부가 형성된 힌지 브라켓에는 래치홈부의 진출입구를 폐쇄하는 락레버가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한 락레버에 의해 래치홈부에 진입된 힌지축이 락레버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락레버는 탄지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홈부에 형성된 진출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락레버의 편심부에는 락레버의 편심부를 가압하는 가압노브가 설치되어, 가압노브의 가압에 의해 락레버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홈부에 형성된 진출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락레버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통해 락레버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홈부의 진출입구의 개폐상태를 설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락레버의 손잡이는 도어에 형성된 손잡이홈에 수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손잡이홈에 수용된 락레버의 손잡이를 견착하는 견착레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서포트 레버가 링크구조로 설치되어, 서포트 레버를 통해 손잡이홈에 수용된 손잡이를 당겨 손잡이홈에서 인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홈에 락레버의 손잡이를 수용시킨 도어에는 인출레버가 지렛대 구조로 설치하여, 인출레버의 회전에 의해 락레버의 손잡이가 손잡이홈에서 인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는 마찰 제동형으로 이루어져, 상향 선회하여 개구부의 상향 개방을 도모한 도어가 힌지축과 래치홈부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KR1020130014631A 2013-02-08 2013-02-08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KR101392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31A KR101392769B1 (ko) 2013-02-08 2013-02-08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31A KR101392769B1 (ko) 2013-02-08 2013-02-08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769B1 true KR101392769B1 (ko) 2014-05-08

Family

ID=5089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631A KR101392769B1 (ko) 2013-02-08 2013-02-08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2664B2 (en) 2014-11-12 2016-09-27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of side lid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2664B2 (en) 2014-11-12 2016-09-27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of side lid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956B1 (ko) 휴대용 컴퓨터
TWM470490U (zh) 可滑動旋轉之門蓋機構及相關電子裝置
JPH06119082A (ja) 情報処理装置
JP6677244B2 (ja) 載置装置
WO2018008597A1 (ja) ロック装置
JP6102514B2 (ja) 取付装置、電子機器、及びロック構造
EP3309652B1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8540288B2 (en) Door lock transmission structure
JP3692062B2 (ja) フロントカバー付き情報処理装置
KR10238296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도난 방지장치
KR10139276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전산기기 수납함
US7159909B1 (en) Cabinet enclosure handle
US20180046222A1 (en) Electronic device
JP7104337B2 (ja) コンピュータハウジング
TWI405072B (zh) 可連動地翻轉活動蓋之連動機構及其電腦主機
KR20140143481A (ko) 스토퍼 기능을 구비한 틸트 타입 도어락
US20180046217A1 (en) Mounting apparatus
KR20030046856A (ko) 컴퓨터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JP2008208588A (ja) 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
KR100749697B1 (ko) 디지털 도어록
KR20180076221A (ko) 후드래치 장치
KR20160035356A (ko)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랙의 락킹 장치
KR10053576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101961308B1 (ko)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