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767B1 -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767B1
KR101392767B1 KR1020130013445A KR20130013445A KR101392767B1 KR 101392767 B1 KR101392767 B1 KR 101392767B1 KR 1020130013445 A KR1020130013445 A KR 1020130013445A KR 20130013445 A KR20130013445 A KR 20130013445A KR 101392767 B1 KR101392767 B1 KR 101392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at
terminal
management server
confirm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환
Original Assignee
경기도 광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광주시 filed Critical 경기도 광주시
Priority to KR102013001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와 통신이 가능하고,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확인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좌석 단말을 도서관의 각 좌석에 설치하고, 일정한 시간 주기로 좌석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된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좌석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확인코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 코드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하며, 사전에 정의된 시간동안 확인코드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퇴실을 하거나 장시간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를 퇴실조치함으로써, 좌석을 맡아둔 채로 장시간 자리를 비우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효율적인 도서관 좌석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대부분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 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좌석을 예약하고, 확인 코드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at of library}
본 발명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서관의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학생들이 이용하는 대학교 도서관 및 일반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시립 도서관 및 구립 도서관과 같은 공공 도서관은 책을 대여할 수 있는 서고와 대여한 책을 읽거나, 자신이 준비하는 시험 서적을 공부할 수 있는 열람실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서관, 특히 열람실을 운영하는 방식에는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부족한 열람실의 좌석을 맡아놓고 방치하는 경우이다. 예컨대, 대학교 도서관의 경우에는,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기간에 열람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므로, 학생들이 새벽에 도서관에 들러 책을 올려놓고 자리를 잡은 후, 수업을 들으러 가거나 외출을 하여 자신의 볼일을 보고 오는 등, 맡은 자리를 장시간 비우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서, 자리를 두고 학생들간에 말다툼을 벌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효율적인 열람실 운영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도서관 관리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도서관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 도입된 도서관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열람실 출입구에 설치된 키오스크에서 열람실 좌석을 예약한 후, 일정한 시간(예컨대, 1시간)마다 나와서 재예약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일정한 시간마다 열람실 밖으로 나오게하는 불편함이 있고, 해당 시간에 정확하게 맞추어 열람실을 재예약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해당 좌석이 타인에 의해서 예약되어, 펼쳐놓은 책들을 다시 들고 열람실 밖으로 나와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서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예가 한국특허공개 제 10-2011-0086303 호에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서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경우에는, 사용자들에게 일일이 무선 주파수 인식 카드를 발급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존재하고, 사용자들이 무선 주파수 인식 카드를 자주 분실하여, 지속적인 시스템 유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스템 유지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도서관 좌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석 관리 시스템은, 열람실 좌석에 설치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확인코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좌석 단말; 상기 관리 서버로 좌석 예약을 신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좌석 할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확인코드 입력을 요청받으면, 좌석 단말에 표시된 확인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좌석을 할당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좌석의 좌석 단말로부터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좌석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 입력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확인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사용자를 퇴실처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좌석 단말은, 상기 확인코드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관리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부; 적외선 센서로 구현되어 사용자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감지부; 및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사용자 감지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확인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정보 및 좌석 할당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 및 좌석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부; 상기 확인코드를 생성하는 확인코드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좌석을 할당하고 상기 좌석 할당 내역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좌석의 좌석 단말로부터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좌석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 입력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확인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사용자를 퇴실처리하고 상기 좌석 할당 내역 정보를 갱신하는 좌석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일정한 시간주기로 상기 좌석 단말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조사하고, 사전에 정의된 시간내에 상기 좌석 단말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코드를 상기 좌석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좌석 단말은 사용자가 감지되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된 이후 사전에 정의된 시간 내에 상기 좌석 단말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좌석 단말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코드를 상기 좌석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확인코드를 요청할 때, 확인코드 입력 제한 시간과, 상기 입력 제한 시간내에 확인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퇴실처리됨을 함께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석 관리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좌석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좌석을 할당하고, 할당된 좌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할당된 좌석에 설치된 좌석 단말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c)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좌석 단말로부터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 조사하고, 사전에 정의된 시간 주기에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좌석 단말로 확인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좌석 단말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서 확인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확인코드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확인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사용자를 퇴실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 관리 방법에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관리 서버가 일정한 시간주기로 상기 좌석 단말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조사하는 단계; (c2)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받은 좌석 단말은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감지되면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3) 마지막으로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된 이후로 사전에 정의된 시간내에 사용자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c1) 단계로 진행하고, 사전에 정의된 시간내에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좌석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를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 관리 방법에서, 상기 (c) 단계는, (c1) 활성화된 상기 좌석 단말이 일정한 시간주기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관리 서버가 마지막으로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된 이후로 사전에 정의된 시간내에 사용자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좌석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를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 관리 방법의,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확인코드를 요청할 때, 확인코드 입력 제한 시간과, 상기 입력 제한 시간내에 확인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퇴실처리됨을 함께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서버와 통신이 가능하고,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확인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좌석 단말을 도서관의 각 좌석에 설치하고, 일정한 시간 주기로 좌석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된 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좌석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확인코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 코드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재확인하며, 사전에 정의된 시간동안 확인코드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퇴실을 하거나 장시간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를 퇴실조치함으로써, 좌석을 맡아둔 채로 장시간 자리를 비우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효율적인 도서관 좌석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대부분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좌석을 예약하고, 확인 코드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 및 좌석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석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확인코드 입력 화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좌석 관리 단말이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 관리 서버(100), 및 복수의 좌석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먼저, 사용자 단말(30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구현되거나,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서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관리 서버(100)로 좌석 예약을 요청하고, 관리 서버(100)로부터 좌석 할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좌석 예약 신청에 따라서 좌석을 할당하는 방식은, 관리 서버(100)가 임의의 빈좌석을 할당할 수도 있고, 빈 좌석이 표시된 좌석 배치도를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원하는 좌석을 선택하면 해당 좌석을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관리서버(100)로부터 확인코드 입력을 요청받으면, 본 발명 서비스와 관련된 앱이 활성화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인코드 입력화면이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서 확인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확인 코드 입력 화면에서는 확인코드 입력 마감 시간이 함께 안내된다. 사용자가 좌석단말에 표시된 확인 코드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확인코드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이 인터넷망에 접속가능한 일반 휴대폰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300)은 웹을 통해서 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웹상에서 표시되는 화면에서 좌석을 할당받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SMS 문자 메시지로 확인코드를 요청받고, 이에 대한 회신 문자 메시지로 확인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좌석 단말(200)은 열람실 좌석에 설치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관리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로부터 확인코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한편,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좌석을 할당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좌석에 설치된 좌석 단말(200)로부터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좌석 단말(200)로 확인코드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0)로 확인코드 입력을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확인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사용자를 퇴실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리만 맡아두고 방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 및 좌석 단말(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관리 서버(100)와 좌석 단말(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관리 서버(100)는 좌석 관리부(110), 확인코드 생성부(120), 제 2 통신부(130), 및 데이터 베이스(140)를 포함하고, 데이터 베이스(140)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42) 및 좌석 정보 저장부(144)를 내부에 포함한다.
또한, 좌석 단말(200)은 사용자 감지부(210), 제어부(220), 제 1 통신부(240) 및 표시부(230)를 포함한다.
먼저, 관리 서버(100)에 대해서 설명하면, 관리 서버(100)에 포함된 데이터 베이스(140)의 사용자 정보 저장부(142)에는 사용자의 아이디(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이용될 수도 있음) 및 비밀번호, 사용자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고, 좌석 정보 저장부(144)에는 각 좌석에 대한 좌석 할당 정보가 저장된다. 이 때, 좌석 할당 정보는 각 좌석과 해당 좌석이 할당된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가 서로 연계되어 저장된다.
제 2 통신부(13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300) 및 좌석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구현 방식에 제한이 없다.
확인코드 생성부(120)는 좌석 관리부(110)의 요청에 따라서 확인 코드를 발생시켜 좌석 관리부(110)로 출력한다. 확인코드는 숫자, 영문, 또는 숫자와 영문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4자리 또는 그 이상 길이로 생성될 수 있다.
좌석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좌석 예약 요청을 접수하면,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좌석을 할당하고 좌석 정보 저장부(144)의 좌석 할당 내역 정보를 갱신하며, 사용자 단말(300)로 할당된 좌석 정보를 알려준다.
좌석이 할당된 후, 좌석 관리부(110)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좌석의 좌석 단말(200)을 활성화시키고, 좌석 단말(200)로부터 일정한 시간 주기(예컨대, 30분 또는 1시간)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좌석 관리부(110)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좌석 단말(200)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관리 서버(100)에 의해서 활성화된 좌석 단말(200)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좌석 관리부(11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더 구체적으로, 마지막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된 후 사전에 정의된 시간(예컨대, 좌석 관리부(110)가 30분 단위로 사용자 감지신호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감지신호 요청 시간주기 30분과 요청후 사용자 감지신호 입력대기 시간 10분을 더한 40분, 또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좌석 단말(200)이 스스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마지막 감지신호 수신한 후로부터 40분) 내에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확인코드 생성부(120)를 통해서 생성된 확인 코드를 좌석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0)로 확인코드 입력을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전에 정의된 시간 내에 확인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사용자를 퇴실처리하고 좌석 정보 저장부(144)의 좌석 할당 내역 정보를 갱신한다. 이 때, 좌석 관리부(11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실 처리 예정 시간을 함께 예고할 수 있다.
한편, 좌석 단말(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좌석 단말(200)의 제 1 통신부(24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관리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표시부(23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확인코드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표시한다.
사용자 감지부(210)는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비용과 성능을 고려하여 사용자 감지부(210)를 적외선 센서로 구현하였다.
제어부(22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 감지부(210)를 제어하여 사용자를 감지하고, 사용자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며, 관리 서버(100)로부터 확인코드를 수신하면 표시부(230)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관리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받아 사용자 감지 신호를 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일정한 시간 주기로 스스로 사용자 감지부(210)를 제어하여 사용자 감지부(210)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입력받은 후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감지부(210)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사용자 감지부(210)와 확인코드를 동시에 이용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하는 이유는 사용자 감지부(210)의 오류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감지부(210)를 구현하는 경우에,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미동없이 동일한 자세로 책을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주변의 노이즈로 인하여 적외선 센서와 동일한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 감지부(210)의 오류를 확인코드를 이용하여 보완하였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석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석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좌석 관리 방법은 상술한 좌석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이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좌석 관리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한 기능은 모두 후술하는 좌석 관리 방법에 포함되고, 후술하는 좌석 관리 방법에 포함되는 기능 역시 모두 상술한 좌석 관리 시스템에 포함됨을 주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석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300)에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한다(S310).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이 웹을 통해서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제 S31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사용자 단말(3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한 후, 관리 서버(100)로 좌석 예약 요청을 하고, 좌석 예약 요청을 수신한 관리 서버(100)는 좌석을 할당한다(S312).
관리 서버(100)는 할당된 좌석에 대한 좌석 할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표시하고, 할당된 좌석에 설치된 관리 서버(100)를 활성화 시킨다(S314).
좌석 단말(200)을 활성화시킨 후부터, 관리 서버(100)는 사전에 정의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조사하고(S320), 시간 주기가 도래한 경우에는 좌석 단말(200)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한다(S330).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한 관리 서버(100)는, 소정의 시간내에 관리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 S320 단계로 진행한다(S340). 제 S340 단계에서, 관리 서버(100)가 30분 단위로 사용자 감지신호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감지신호 요청 시간주기 30분과, 요청 후 사용자 감지신호 입력대기 시간 10분을 더하여, 마지막으로 사용자 감지신호가 수신된지 40분내에 사용자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 S3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후술하는 제 S35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내에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좌석 단말(200)로 확인 코드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S350), 사용자 단말(300)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인코드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60).
관리서버(100)는,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내에 확인코드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소정 시간 내에 확인코드가 수신되면 상술한 제 S320 단계로 진행하고(S370), 소정 시간내에 확인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퇴실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를 퇴실처리하여 데이터 베이스(140)의 좌석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S380).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좌석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100)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좌석 단말(200)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좌석 단말(200)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제 S320 단계 및 제 S33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서관 관리 서버 110 좌석 관리부
120 확인코드 생성부 130 제 2 통신부
140 데이터 베이스
200 좌석 단말 210 사용자 감지부
220 제어부 230 표시부
240 제 1 통신부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열람실 좌석에 설치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확인코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좌석 단말;
    상기 관리 서버로 좌석 예약을 신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좌석 할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확인코드 입력을 요청받으면, 좌석 단말에 표시된 확인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좌석을 할당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좌석의 좌석 단말로부터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좌석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 입력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확인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사용자를 퇴실처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단말은
    상기 확인코드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관리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부;
    적외선 센서로 구현되어 사용자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감지부; 및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사용자 감지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확인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정보 및 좌석 할당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 및 좌석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부;
    상기 확인코드를 생성하는 확인코드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좌석을 할당하고 상기 좌석 할당 내역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자에게 할당된 좌석의 좌석 단말로부터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좌석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 입력을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확인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사용자를 퇴실처리하고 상기 좌석 할당 내역 정보를 갱신하는 좌석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일정한 시간주기로 상기 좌석 단말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조사하고, 사전에 정의된 시간내에 상기 좌석 단말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코드를 상기 좌석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단말은 사용자가 감지되면,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된 이후 사전에 정의된 시간 내에 상기 좌석 단말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좌석 단말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코드를 상기 좌석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확인코드를 요청할 때, 확인코드 입력 제한 시간과, 상기 입력 제한 시간내에 확인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퇴실처리됨을 함께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시스템.
  7. (a)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좌석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좌석을 할당하고, 할당된 좌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할당된 좌석에 설치된 좌석 단말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c )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좌석 단말로부터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 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 조사하고, 사전에 정의된 시간 주기에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좌석 단말로 확인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좌석 단말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서 확인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확인코드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확인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사용자를 퇴실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 단계는
    (c1) 상기 관리 서버가 일정한 시간주기로 상기 좌석 단말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조사하는 단계;
    (c2)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요청받은 좌석 단말은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감지되면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3) 마지막으로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된 이후로 사전에 정의된 시간내에 사용자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c1) 단계로 진행하고, 사전에 정의된 시간내에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좌석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를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활성화된 상기 좌석 단말이 일정한 시간주기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관리 서버가 마지막으로 사용자 감지 신호가 수신된 이후로 사전에 정의된 시간내에 사용자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좌석 단말로 상기 확인코드를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확인코드를 요청할 때, 확인코드 입력 제한 시간과, 상기 입력 제한 시간내에 확인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퇴실처리됨을 함께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관리 방법.
KR1020130013445A 2013-02-06 2013-02-06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92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45A KR101392767B1 (ko) 2013-02-06 2013-02-06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45A KR101392767B1 (ko) 2013-02-06 2013-02-06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767B1 true KR101392767B1 (ko) 2014-05-08

Family

ID=5089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445A KR101392767B1 (ko) 2013-02-06 2013-02-06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76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1033A (zh) * 2015-04-27 2015-08-05 成都腾悦科技有限公司 一种图书馆座位管理系统
CN105260850A (zh) * 2015-10-27 2016-01-20 谢良占 基于蓝牙信标的座位管理系统和方法
KR101816711B1 (ko) * 2016-02-29 2018-0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의자 및 착석자세 분석 방법, 스마트 의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8055026A (zh) * 2018-01-03 2018-05-18 广州爱易学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图书馆智能化管理系统
KR20190053483A (ko) 2017-11-10 2019-05-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인지 모델 기반의 학습용 의자
CN110147896A (zh) * 2019-05-07 2019-08-20 安徽工程大学 一种图书馆座位管理方法及系统
KR20210020637A (ko) * 2019-08-16 2021-02-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 시설의 좌석 점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3066194A (zh) * 2020-04-27 2021-07-02 浙江捷昌线性驱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感占位方法及预约签到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1033A (zh) * 2015-04-27 2015-08-05 成都腾悦科技有限公司 一种图书馆座位管理系统
CN105260850A (zh) * 2015-10-27 2016-01-20 谢良占 基于蓝牙信标的座位管理系统和方法
KR101816711B1 (ko) * 2016-02-29 2018-0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의자 및 착석자세 분석 방법, 스마트 의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53483A (ko) 2017-11-10 2019-05-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인지 모델 기반의 학습용 의자
CN108055026A (zh) * 2018-01-03 2018-05-18 广州爱易学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图书馆智能化管理系统
CN110147896A (zh) * 2019-05-07 2019-08-20 安徽工程大学 一种图书馆座位管理方法及系统
KR20210020637A (ko) * 2019-08-16 2021-02-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 시설의 좌석 점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24797B1 (ko) 2019-08-16 2021-03-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 시설의 좌석 점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3066194A (zh) * 2020-04-27 2021-07-02 浙江捷昌线性驱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感占位方法及预约签到方法
CN113066194B (zh) * 2020-04-27 2024-01-02 浙江捷昌线性驱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感占位方法及预约签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767B1 (ko)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942199B1 (en) Location triggering for prescription ready notifications
KR101420667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관 좌석 예약 및 운영 시스템
CN105610786A (zh) 注册要使用的装置的方法和设备
KR20180110410A (ko) 외부의 IoT 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3680083A (zh) 事件通知
US11756046B2 (en) Computerized optimization of customer service queue based on customer device detection
GB2507041A (en) Property management system
KR101067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3319019A1 (en) Queue managemen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queue management program
KR20150024069A (ko) 객실 관리장치 및 방법
JP2016149066A (ja) 行動管理装置、情報端末、行動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30446A (ko) 좌석을 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이동식 단말 장치
KR102237896B1 (ko) 컴퓨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장 주문 시스템
CN115829070A (zh) 图书馆空间的预约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20210142246A1 (en)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JP2016071483A (ja) 特典提供システム、特典提供サーバ、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端末プログラム
US202100673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online conference
JP5908617B1 (ja) 部屋管理システム
US10997807B2 (en) Method to create a building path for building occupants based on historic information
JP7099599B1 (ja) エレベータ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50145897A (ko) 실시간 빈 좌석 확인 방법
US20200380431A1 (en) Environmental preference based desk exchange platform
US20230385714A1 (en) Small form factor check in compute device
KR20160125028A (ko)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