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028A -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 Google Patents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028A
KR20160125028A KR1020150055628A KR20150055628A KR20160125028A KR 20160125028 A KR20160125028 A KR 20160125028A KR 1020150055628 A KR1020150055628 A KR 1020150055628A KR 20150055628 A KR20150055628 A KR 20150055628A KR 20160125028 A KR20160125028 A KR 2016012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reservation
information
waiting number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성
Original Assignee
김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성 filed Critical 김준성
Priority to KR102015005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028A/ko
Publication of KR2016012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대기표 발권 장치와 유사한 단순 발권 장치를 통하여, 대기표를 예약한 사용자와 방문 발권하는 사용자가 동시에 대기표를 하나의 형식으로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의 통일성을 높이고, 대기번호 부여 시의 혼란 및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이용이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대기표 예약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은, 업무처리시설의 업무처리를 위한 대기표를 예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대기표 예약 요청을 입력하고, 예약 요청의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예약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 업무처리시설의 고객 대기 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수신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를 출력하는 발권기; 및 사용자 단말의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예약 요청에 대한 대기번호를 부여하고, 대기번호에 대응하는 예약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 뒤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송출하고, 발권기에 설치된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시 대기번호를 부여한 뒤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송출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발권기는, 출력된 대기표의 대기번호가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대기번호인 경우, 출력된 대기표를 발권하는 예약 발권부; 및 관리서버로부터 송출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출력된 대기표의 대기번호가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부여된 대기번호인 경우, 출력된 대기표를 발권하는 방문 발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System for printing waiting number ticket including reserv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예약 기능을 포함하는 순번 대기표의 발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오프라인 일반 발권과 예약 발권이 모두 가능한 방식으로써, 한 개의 프린터 모듈에 두 개의 출구 방향이 형성된 대기표 발권 수단을 이용하여. 별도의 선택 버튼 없이 발권이 가능하며 일반발권 번호와 예약발권 번호가 서로 중복되지 않게 처리하여 기존의 대기표 발권 및 대기표 예약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관공서, 은행, 병원 등 다수의 고객이 방문하여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곳에서는, 다수의 고객의 업무 처리 순서를 정하여 혼잡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기표를 발권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고객은 업무처리시설에 방문 시, 업무 처리의 순서를 정하기 위하여 대기표를 발권해야 하며, 업무를 처리하는 창구 등에서 업무 처리자가 호출 입력을 통해 특정 대기번호와 창구를 매칭시키는 호출을 출력하도록 하게 되면, 고객이 자신의 번호가 출력된 창구에서 업무를 처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대기표를 발권하는 방법은, 번호표 발권기를 통해 1씩 증가되어 출력되는 대기표를 뽑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고객이 몰리거나 많은 고객이 업무를 처리하는 시간대에는, 대기표를 발권기를 통해 뽑고 지나치게 긴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서 다수의 고객이 업무를 원활하게 처리하지 못하고 대기하고 있어, 고객의 불편함이 가중되며, 다수의 고객이 위치함에 따른 민원실의 혼잡과 주차장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대기표를 미리 원격에서 예약하고, 방문 시 예약된 대기표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2013-0120321호 등에서는, 스마트폰을 통해 대기번호를 원격에서 예약하고, 업무처리 장소에서 대기번호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하나의 대기표 발권 장치를 이용하여 예약된 대기표와 방문 시 발권되는 대기표가 함께 출력되어, 대기순서를 정하고 대기번호를 각 예약마다 부여하는 데 복잡한 프로그램이 사용되거나, 지나치게 다종의 대기번호 출력 시스템이 사용되어 고객들 간에 대기번호의 부여에 따른 혼란 및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업무 처리 장소에서 별도의 단말 및 처리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기표가 발권되는 출구가 하나뿐이어서, 발권 전 일반적인 방문 발권 및 예약 발권 중 어느 한 발권 형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방문 발권 후 다음 발권 번호가 출력되는 신속한 발권을 기대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의 종래의 기술 등에 의하면, 업무처리시설에서는 예약 대기표를 발권하는 별도의 발권기가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대기표 발권 장치와 유사한 발권 장치로서, 하나의 프린팅 모듈을 이용하여 방문 발권과 예약 발권 시의 대기표 발권이 서로 다른 대기표 발권부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신속한 발권 서비스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대기표를 예약한 사용자와 방문 발권하는 사용자가 동시에 대기표를 하나의 형식으로 하나의 발권기로부터 공유하여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의 통일성을 높이고, 대기번호 부여 시의 혼란 및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이용이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대기표 예약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은, 업무처리시설의 고객 대기 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수신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를 출력하는 발권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예약 요청에 대한 대기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대기번호에 대응하는 예약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 뒤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발권기에 전송하고, 상기 발권기에 설치된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시 대기번호를 부여한 뒤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발권기에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발권기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송출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된 대기표의 대기번호가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대기번호인 경우, 상기 출력된 대기표를 발권하는 예약 발권부;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송출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된 대기표의 대기번호가 상기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부여된 대기번호인 경우, 상기 출력된 대기표를 발권하는 방문 발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대기표 발권 장치와 유사한 단순 발권 장치를 통하여, 대기표를 예약한 사용자와 방문 발권하는 사용자가 동시에 대기표를 하나의 형식으로 발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대기번호의 각기 다른 부여 또는 다른 인증에 의한 사용자의 혼란 및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업무처리시설의 원활한 창구 업무 처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약 기능의 이용을 통해, 사용자는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주차 공간의 편리한 이용과 관공서 주변의 무질서한 불법주차를 해결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예약 인터페이스의 일 화면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권기의 구성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기능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장치” 또는 "서버"란,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은, 관리서버(10), 사용자 단말(20) 및 발권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번호 호출기(번호 표시 장치)(40)는 관리서버(10)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번호 호출기(번호 표시 장치)(40)는, 업무처리시설의 업무처리창구, 즉 사용자와 업무처리자와의 업무처리를 위한 공간에 인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대기번호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대기표에 기재된 대기번호와 비교하여 자신이 소지한 대기표의 대기번호와 일치할 경우 업무처리를 위하여 업무처리창구에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번호 호출기(번호 표시 장치)(40)는 대기번호를 음성, 화면, 진동 버튼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20)은, 업무처리 시설의 업무처리를 위한 대기표를 예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대기표 예약 요청을 입력하고, 예약 요청의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예약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는 모든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관리서버(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예약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대기표 예약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 사용자 단말(20)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이 사용자 단말(20)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되었음을 판단하면, 이를 데이터로 가공하여 관리서버(10)에 전송하며, 관리서버(10)로부터 예약 요청에 대한 처리결과로서 후술할 예약 정보를 수신하여 예약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의 출력수단에 예약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발권기(30)는 업무처리시설의 고객 대기 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발권기(30)에는 2 개의 발권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약 발권구(310)는 예약 발권부로부터 도출되는 대기표가 발권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예약 발권부는, 관리서버(10)로부터 송출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출력된 대기표의 대기번호가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대기번호인 경우, 출력된 대기표를 발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문 발권구(320)는 방문 발권부로부터 도출되는 대기표가 발권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방문 발권부는, 관리서버(10)로부터 송출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출력된 대기표의 대기번호가 발권기(30)에 설치된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부여된 대기번호인 경우, 출력된 대기표를 발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발권 입력 수단은, 발권기(30)를 통해 사용자가 예약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권을 요청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기표 발권기의 발권 버튼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발권기(30)의 구성에 따라서 이러한 구성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관리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예약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예약 요청에 대한 대기번호를 부여하는 기능과, 대기번호 부여와 같은 예약 요청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대기번호에 대응하는 예약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한 뒤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발권기(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발권기(30)에 설치된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발권요청을 발권기(30)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이에 따른 대기번호를 부여하고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발권기(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구체적으로, 예약에 의하여 부여된 대기번호인지 발권 입력 수단을 통하여 부여된 대기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관리서버(10)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를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포함시켜 발권기(30)에 전송할 수 있다.
발권기(30)는 대기표 출력 요청을 외부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대기표 출력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대기번호에 매칭되는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를 출력하는 한편, 이에 포함된 태그 정보에 따라서, 대기표를 예약 발권부 및 방문 발권부 중 어느 한 발권부에 이송함으로써,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가 예약 발권부 또는 방문 발권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발권되도록 대기표를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발권기(30)에는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기표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와, 출력된 대기표를 예약 발권부 및 방문 발권부 중 어느 한 발권부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 및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대기표를 예약 발권부 및 방문 발권 부 중 어느 한 발권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분기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권기(30)에는 대기번호의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대기번호에 따라서 예약 발권부 또는 방문 발권부 중 어느 한 발권기에 대기표를 이송하는 동시에 후술할 예약 정보를 검증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예약에 따른 발권 요청을 발권기(30)가 수신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예약 정보가 유효한 정보인지 및 예약을 한 사용자가 자신이 예약한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를 발권하도록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한 예약 정보 수신 수단으로서 통신모듈(미도시)이 발권기(3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통신모듈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대기표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모듈은, 예약 번호 입력 등의 기능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다른 인증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발권기(30)의 상기의 통신모듈은, 관리서버(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수단과 별개의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프로세서는, 통신모듈로부터 대기표 출력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대기표 출력 요청에 포함된 예약 정보를 검증한 뒤, 검증된 예약 정보에 따라서 발권기(30)에 마련된 프린터에 대기표 출력 명령 및 예약 발권부로의 대기표 이송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예약 정보의 검증은, 예약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대기표 출력 요청을 입력했는지 여부, 즉 사용자의 일치 여부와 함께, 예약 정보가 유효하게 처리된 예약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통신모듈은 사용자 단말(20)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20)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통신 address 또는 휴대폰 연락처 정보 등)를 대기표 출력 요청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대기표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방식은 사용자 단말(20)과의 근거리 통신 이외에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발권 입력 수단과 별도로 설치된 다른 발권 입력 수단 및 사용자 인증 수단에 의하여 수신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인터페이스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 등의 영상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이외에, 스마트 단말이 아닌 일반 휴대폰에서도 예약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ARS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예약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의 음성 출력 수단 및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예약 안내 정보, 즉 대기표를 예약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대기표 예약 요청을 입력받아 예약 기능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이때, 발권기에는, ARS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약된 대기표의 발권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예약 발권 요청 수단이 더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20)이 근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하지 않을 시, 해당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및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인증 방식을 이용하여 예약 발권부를 통하여 대기표를 발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에 포함된 대기번호가 예약 가능한 대기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약 가능한 대기번호는, 현재까지 처리된 대기번호와, 기 예약된 예약에 포함된 대기번호를 제외한 모든 대기번호가 될 수 있다.
관리서버(10)는 예약 가능한 대기번호에 대한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을 유효하게 처리하여 예약 요청에 대한 대기번호를 정상적으로 부여하고, 예약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예약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관리서버(10)는 예약이 아닌 방문 발권 요청 입력을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발권기(30)에 설치된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발권기(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10)는 업무처리시설에 설치된 호출장치, 즉 번호 호출기(번호 표시 장치)(40)를 통해 이미 호출되어 처리된 대기번호와, 상기 언급한 기 예약된 사항에 따라서 이미 부여된 대기번호를 제외한 대기번호 중 가장 작은 숫자의 대기번호를 발권기(30)에 설치된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대기번호로서 부여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발권기(30)에 전송하여 방문 발권부로부터 대기표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예약시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관리서버(10)는 예약 가능한 각 대기번호별로 예상되는 대기 시간 또는 업무 처리 예상 시간(호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여, 대기번호에 대응하는 예약 정보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에 출력되는 예약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가 예약할 수 있는 대기번호와, 예약할 수 있는 대기번호별로 예상되는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대기번호를 예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중 발권 장치로서 예약 발권부와 방문 발권부가 포함된 하나의 발권기(30)를 이용하여 예약을 한 경우 예약에 대응되는 대기번호가 포함된 대기표를 소지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발권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기표를 소지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복잡한 대기표 출력 수단이 없이, 하나의 발권기(30)를 통하여 사용자들은 예약 또는 방문 대기표를 동일하게 소지할 수 있어, 대기번호의 각기 다른 부여 또는 다른 인증에 의한 사용자의 혼란 및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종의 대기표가 아닌 기존에 사용되는 대기표를 이용한 업무처리 프로세스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어,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업무처리시설의 원활한 업무처리가 가능해지며, 예약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사용자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예약 인터페이스의 일 화면의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약 인터페이스 화면(100)에는, 어떤 업무처리시설에 대한 대기표 예약 시스템인지를 확인하고, 날짜와 각 시간대별로 업무처리 시간이 예상되는 대기번호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예를 들어 오전 9시 30분에 처리 예상이 되는 대기번호들 중 예약 가능한 대기번호들이 출력되며, 특정 대기번호에는 업무처리 예상 시간(또는 대기시간)이 출력되어 사용자들이 어떤 대기번호를 예약할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되는 대기번호를 선택하여 대기표의 예약 요청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의 구성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는, 대기 시간 연산부(11), 번호 생성부(12) 및 통신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3)은 상기 언급한 발권기의 통신 모듈과 별개의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대기 시간 연산부(11)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예약 시 각 대기번호에 대응되는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번호 생성부(12)의 경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예약 또는 방문에 따른 발권 요청 시 상기 언급한 기준에 따라서 대기번호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통신 모듈(13)은 사용자 단말 및 발권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예약을 처리하고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 등을 발권기에 전송하여 대기표가 발권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권기(30)의 구성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권기(3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31), 발권 입력 수단(32), 예약 발권 요청 수단(33), 프로세서(34), 출력 모듈(35), 분기 장치(36), 이송 수단(37), 예약 발권부(38) 및 방문 발권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통신 모듈(31)은 상기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예약 정보 및 인증을 위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물론,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권기(30)에는 관리 서버(10)와의 상기 언급한 발권을 위한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통신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발권 입력 수단(32)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권기(30)를 통해 방문 발권을 수행하고자 하는 발권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예약 발권 요청 수단(33)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수단이 포함되지 않은 단말을 통해 예약 시, 예약 발권된 대기표의 출력을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발권 요청 입력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프로세서(34)는 상기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프로세서의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출력 모듈(35)은 대기표를 실질적으로 인쇄하여 분기 장치(36) 및 이송 수단(37)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기 장치(36)는 출력 모듈(35)로부터 송출된 대기표를 예약 발권부(38) 또는 방문 발권부(39) 중 어느 한 발권부에 이송하도록 대기표의 이송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송 수단(37)은 대기표를 이송시켜 예약 발권부 및 방문 발권부 중 어느 한 발권부에 대기표를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외에, 예약 발권부(38) 및 방문 발권부(39)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기능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는 예약 발권 요청을 발권기로부터 수신하게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를 수행하고,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예약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S11)를 수행하게 된다. S11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언급한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예약 발권부에서 대기표가 발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2)를 수행한다. S12 단계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발권기에서 출력된 대기표가 예약 발권부에서 발권되도록 대기표를 이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단계의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관리 서버는, 발권 입력 수단을 통한 방문 발권 요청을 수신하게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를 S10 단계와 동일한 스텝에서 수행하게 된다. 방문 발권 요청의 수신을 감지하게 되면, 서버로부터 대기번호를 수신하는 단계(S21)와 방문 발권부에서 대기표를 발권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22)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방문 발권부로부터의 대기표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S22 단계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발권기에서 출력된 대기표가 방문 발권부에서 발권되도록 대기표를 이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단계의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실질적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 발권 시스템을 이용 시와, 본 발명에 의한 예약 발권 시스템을 이용 시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일반적인 발권 시스템을 이용 시, 사용자는 일정 업무처리 시설을 10:00에 방문하여 대기표를 발권받아 대기하게 된다. 이때, 대기 순서에 따라서 11:10에 창구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09:30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11:00에 200번 대기표를 예약하고 다른 업무를 처리하고, 예약된 시간에 근접한 10:50에 업무처리시설에 방문하여 대기표를 발권 받은 후, 11:00에 예약된 창구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의 두 가지 예를 비교하면, 일반 발권의 경우, 1시간 10분 정도의 대기 시간이 있어 사용자는 업무처리시설에서 이를 소모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 의하면, 10분의 대기 시간 이외에는 업무처리시설에 사용자가 위치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시간이 크게 절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송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송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업무처리시설의 업무처리를 위한 대기표를 예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대기표 예약 요청을 입력하고, 예약 요청의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예약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
    업무처리시설의 고객 대기 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수신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를 출력하는 발권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예약 요청에 대한 대기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대기번호에 대응하는 예약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 뒤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발권기에 전송하고, 상기 발권기에 설치된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시 대기번호를 부여한 뒤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발권기에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발권기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송출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된 대기표의 대기번호가 상기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대기번호인 경우, 상기 출력된 대기표를 발권하는 예약 발권부;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송출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된 대기표의 대기번호가 상기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부여된 대기번호인 경우, 상기 출력된 대기표를 발권하는 방문 발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발권기에 전송 시, 상기 대기번호가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대기번호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태그 정보를 상기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권기는,
    대기표 출력 요청을 외부로부터 수신 시, 상기 대기표 출력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를 인쇄하여 송출하는 출력 모듈;
    상기 출력 모듈로부터 송출된 대기표를 상기 예약 발권부 및 상기 방문 발권부 중 어느 한 발권부에 이송하도록 상기 대기표의 이송 경로를 결정하는 분기 장치;
    상기 대기표를 상기 예약 발권부 및 상기 방문 발권부 중 어느 한 발권부에 이송하도록 상기 대기표를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 및
    대기표 출력 요청을 외부로부터 수신 시, 상기 대기표 출력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대기번호에 매칭되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대기번호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태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출력 모듈, 상기 분기 장치 및 상기 이송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출력된 대기표를 상기 예약 발권부 및 상기 방문 발권부 중 어느 한 발권부에 이송하여, 상기 대기번호가 기재된 대기표를 발권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권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상기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대기표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대기표 출력 요청을 수신 시, 상기 대기표 출력 요청에 포함된 예약 정보를 검증한 뒤 상기 검증된 예약 정보에 따라서 상기 발권기의 프린터에 대기표 출력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상기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에 포함된 대기번호가 예약 가능한 대기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기 대기표 예약 요청 입력에 포함된 대기번호가 예약 가능한 대기번호인 경우, 상기 예약 요청에 대한 대기번호를 부여한 뒤 예약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예약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발권기에 설치된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 시, 업무처리시설에 설치된 호출장치를 통해 기 호출된 대기번호와, 기 예약된 대기번호를 제외한 대기번호 중 가장 작은 숫자의 대기번호를 상기 발권기에 설치된 발권 입력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대기번호로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각 대기번호별로 예상되는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뒤, 상기 대기번호에 대응하는 예약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사용자가 예약할 수 있는 대기번호 및 상기 예약할 수 있는 대기번호별로 예상되는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수단 및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대기표를 예약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대기표 예약 요청을 입력받는 ARS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발권기는,
    상기 ARS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약된 대기표의 발권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예약 발권 요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KR1020150055628A 2015-04-21 2015-04-21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KR20160125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28A KR20160125028A (ko) 2015-04-21 2015-04-21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28A KR20160125028A (ko) 2015-04-21 2015-04-21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28A true KR20160125028A (ko) 2016-10-31

Family

ID=5744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28A KR20160125028A (ko) 2015-04-21 2015-04-21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0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6935A (zh) * 2022-05-07 2022-08-19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洽谈签约排队取号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6935A (zh) * 2022-05-07 2022-08-19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洽谈签约排队取号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9552B2 (en) Wireless beacon devices for use in managing transportation service terminals
US20160048640A1 (en) Patient management service method, treat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node and server applied thereto
US20170068908A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cancelling ticket, ticket cancel guid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60292675A1 (en) Portabl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JP202212424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00141891A (ko) 온라인 티켓 발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2002725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JP6646008B2 (ja) 精算システム、ホスト端末、精算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JP2020087222A (ja) 情報処理端末、プログラム、リソース予約システム、制御方法
JP2020022110A (ja) 充電制御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JP5714712B2 (ja) サーバ装置、クーポン管理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60002430A (ko) 카드 결제를 위한 결제 대행 서버, 카드 단말기, 정산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20160125028A (ko) 예약 기능이 포함된 대기표 발권 시스템
KR101505995B1 (ko) Nfc 지능형 순번 대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번호표 발급방법.
KR101980565B1 (ko) 조판 생성 방법 및 인쇄 시스템
JP2017027441A (ja) チケット発券システム
JP2008071108A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管理装置、認証管理方法、認証管理プログラム
KR20140101509A (ko) 대기번호 관리 시스템
JP7432691B2 (ja) 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30102739A (ko) 대기번호 관리 시스템
JP5686865B2 (ja) サーバ、サービス情報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5306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中継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41057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7230379B2 (ja) 振替輸送情報提供装置、振替輸送情報提供方法および振替輸送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5661191B2 (ja) サーバ装置、クーポン管理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