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719B1 - Apparatus for setting porous filtering media and aeration tan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tting porous filtering media and aeration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719B1
KR101392719B1 KR20100039445A KR20100039445A KR101392719B1 KR 101392719 B1 KR101392719 B1 KR 101392719B1 KR 20100039445 A KR20100039445 A KR 20100039445A KR 20100039445 A KR20100039445 A KR 20100039445A KR 101392719 B1 KR101392719 B1 KR 101392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eration tank
pipe
fra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9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9985A (en
Inventor
김연길
곽기원
김명관
우광재
김완중
전재훈
이찬기
Original Assignee
대웅이엔에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이엔에스 (주) filed Critical 대웅이엔에스 (주)
Priority to KR2010003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719B1/en
Publication of KR2011011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1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접촉여재에 다량의 슬러지가 부착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 및 처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개선된 접촉여재 설치장치 및 접촉포기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는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탈리 배관, 그리고 탈리 배관상에 설치되며 소정 압력의 수류를 접촉여재에 인가하기 위한 산기관을 포함한다.
Disclosed is an improved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and contact aeration tank that prevents a large amount of sludge from adhering to a contact medium to reduce the odor due to anaerobicization and the treatment efficiency.
The contact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ct aeration tank provided with a contact filter material mounting device for fixing a contact material, a tear pipe disposed below the contact material filter device, and an air diffuser pipe provided on the tear pipe, .

Description

접촉여재 설치 장치 및 접촉포기조{Apparatus for setting porous filtering media and aeration tan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filter medium and an aeration tank,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 시스템의 접촉포기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촉여재에 다량의 슬러지가 부착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 및 처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개선된 접촉여재 설치장치 및 접촉포기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aeration tank for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d contact filter medium installation apparatus and contact aeration tank for preventing contact of a large amount of sludge to a contact material,

일반적으로, 하수, 생활용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의 하폐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은 크게 물리적 처리 시스템, 화학적 처리 시스템 그리고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물리적 처리 시스템은 물리적 작용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스크린조, 침사지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며, 화학적 처리 시스템은 화학적인 반응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중화조, 산화/환원 반응조, 응집조, 흡착탑 등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Generally,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such as sewage, domestic water, industrial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water are roughly divided into physical treatment systems, chemical treatment systems, and biological treatment systems. The physical treatment system mainly utilizes the physical action, and is processed by using a screen, a gypsum and the like. The chemical treatment system mainly uses chemical reaction. The chemical treatment system uses neutralization tank, oxidation / reduction reaction tank, flocculation tank, .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 및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활성오니조, 활성슬러지조 등의 반응시설을 이용한다.The biological treatment system is a method for treating sewage and waste water using microorganisms, and uses reaction facilities such as activated sludge tank and activated sludge tank.

생물학적 처리 방법으로는 활성오니법과 접촉산화법이 있다. 접촉산화법은 접촉포기조 내에 미생물이 부착/성장할 수 있는 접촉여재(porous filtering media, 담체라고도 함)를 넣어 포기하는 방법으로서, 슬러지 발생이 적고 설비가 간단한 잇점을 갖고 있어서 최근에 각광받고 있다. 접촉산화법은 다시 접촉포기조 내에서 유동 및 부유하는 유동형 접촉여재를 사용하는 것과 소정의 배열을 가지고 고정된 고정형 접촉여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Biological treatment methods include activated sludge and contact oxidation. The contact oxidation method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because it has a simple sludge generation and a simple facility because it is provided with a porous filtering media (also referred to as a carrier) capable of adhering / growing microorganisms in a contact aeration tank. The catalytic oxidation process can again be divided into using a floating contact material that flows and floats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and the use of a fixed contact material that is fixed with a predetermined arrangement.

도 1은 종래의 고정형 접촉 여제를 사용하는 접촉포기조(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접촉포기조(100)는 접촉여재(14)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수(하수 및 오,폐수) 내의 유기물을 산화/분해를 통해 제거하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질산화 등을 수행한다. 접촉여재(14)는 접촉여재 설치 장치(12)에 의해 고정된다. 접촉여재 설치 장치(12)의 하부에는 유기물의 산화/분해 및 암모니아성 질소의 질산화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16) 및 산소공급배관(18)이 설치된다. 접촉여제 설치 장치(12)는 지지대(20)에 의해 접촉포기조(100)의 벽면 및 바닥에 고정된다. Fig. 1 shows the construction of a contact aeration tank 100 using a conventional fixed contact agent.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removes organic matter in the influent water (sewage, ozone, and wastewater) through oxidation / decomposition using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ct material 14, and performs nitrification or the like of ammonia nitrogen. The contact material 14 is fixed by the contact material mounting device 12. An air diffuser 16 and an oxygen supply pipe 18 ar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type filter mounting unit 12 to supply oxygen to facilitate oxidation /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and nitrification of ammonia nitrogen. The contact agent attaching device 12 is fixed to the wall and the bottom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by the support table 20.

산기관(16)은 접촉포기조(100)의 바닥에 설치되며, 접촉포기조(100) 내에 저류되는 오폐수에 미세 기포를 공급한다. 산기관(16)은 접촉포기조(100)의 바닥 전체에 미세 기포를 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장방형의 금속판(16a)과 이 금속판(16a)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멤브레인(16b)을 구비한다. 이 멤브레인(16b)의 하부를 통하여 금속판(16a)과 멤브레인(16b)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면, 멤브레인(16b)이 팽창하고 공기의 유입이 중단되면 팽창된 멤브레인(16b)이 수축한다. 이러한 공기의 유입/차단에 따라 멤브레인(16b)이 팽창/수축하고, 이러한 팽창/수축 동작에 의해 멤브레인(16b) 상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직경이 약 1mm~3mm정도인 미세 기포들이 발생된다. The air diffuser 16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and supplies fine bubbles to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The air diffuser 16 has a rectangular metal plate 16a and a rubber membrane 16b having a large number of air holes provided on the metal plate 16a so as to evenly supply fine bubbles to the entire bottom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 ). When air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metal plate 16a and the membrane 16b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membrane 16b, the expanded membrane 16b shrinks when the membrane 16b expands and the inflow of air stops. Due to the inflow / outflow of the air, the membrane 16b expands / contracts, and fine bubbl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1 mm to 3 mm are generated through the air holes formed on the membrane 16b by the expansion / contraction operation.

한편, 접촉포기조(100) 내에서 미생물과 기질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입수를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교반기(미도시)가 설치된다.Meanwhile, an agitato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to flow inflow wat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shown by arrows so that the microorganisms and the substrate can be smoothly mix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접촉여재 설치장치(12)는 접촉 포기조(100)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들(22a, 22b), 서로 대향하는 상부 프레임들(22a) 사이 및 서로 대향하는 하부 프레임들(22b)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상부 가대 및 하부가대(24a, 24b) 그리고 상부 가대 및 하부 가대(24a, 24b)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접촉여재 연결고리(26)를 포함한다.Fig. 2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shown in Fig. 2 includes upper and lower frames 22a and 22b horizontall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mutually facing inner walls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upper and lower frames 22a and 22b facing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24a and 24b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24a and 24b which are supported by the lower frames 22b facing each other a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24a and 24b, And includes a filter material connection ring 26.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여재(14)는 접촉여재 연결고리(26)를 이용하여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2, the contact material 14 is connected in a staggered manner using the contact material connecting ring 26. [

상부 및 하부 가대(24a, 24b)는 하나의 가대쌍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가대쌍들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a, 22b)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으로 배열된다.The upper and lower supports 24a and 24b form one pair of arms and these pairs of arms are successive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22a and 22b.

접촉포기조(100) 내부에서는 포기 및 교반에 의해 일정 방향의 수류가 형성된다.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a water stream in a certain direction is formed by aeration and stirring.

접촉여재 설치 장치(12)는 접촉포기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류에 대해 접촉여재(14)가 접촉여재 연결고리(26)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며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contact material mounting apparatus 12 prevents the contact medium 1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ct medium contact link 26 with respect to the water flow generated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and also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

미생물의 원활한 활동을 위하여 접촉여재 설치장치(12)에 의해 설치된 접촉여재(14)에는 슬러지가 부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no sludge is adhered to the contact medium 14 provided by the contact medium filter installation device 12 for smooth microbial activity.

그렇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접촉여재(14)에는 슬러지가 부착하게 되고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가 원활하게 탈리되지 않으면, 결국에는 접촉여재(14)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However, as time passes, the sludge adheres to the contact media 14 and becomes larger and larger. If such sludge is not removed smoothly, the contact material 14 will not function in the en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여재 설치 장치(12)에 있어서, 접촉포기조(100) 내에서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가대(24a, 24b)가 수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휨 현상에 의해 인접한 다수의 접촉여재(14)들이 좁은 간격을 두고 적층된 것과 같이 보이는 적층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적층 현상이 발생하면 접촉여재(14)에 부착된 슬러지의 원할한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포기조(10)의 수처리 능력이 저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act image filter medium attaching device 12 as shown in Fig. 2,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straps 24a and 24b are bent in the flow direction by the water flow generated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 Such a bending phenomenon causes stacking phenomena in which a plurality of adjacent contact media 14 are stacked at narrow intervals. If such a lamination phenomenon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ludge attached to the contact material 14 is not desorbed and the water treatment ability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10 is lowered.

또한, 접촉여재(14)에 부착된 슬러지의 탈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혐기화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f the sludge attached to the contact material 14 is not smoothly remo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aerobic smell is generat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접촉포기조 내에 설치되는 고정형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고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리 수단을 구비하는 접촉 여재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10]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 type filter material having a tearing means for preventing sludge from adhering to fixed contact type filter media installed in a contact aeration tank,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포기조 내에 설치되는 고정형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고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리 수단을 구비하는 접촉포기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 aeration tank having sludge attached to a stationary contact medium installed in a contact aeration tank to remove a malodor due to anaerobicization and prevent deterioration of water treatment efficienc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여재 설치 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에 있어서, 접촉여재를 상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대들, 가대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 프레임 및 표면에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을 가지며 수평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 가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접촉여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여재 연결고리들, 수직 프레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을 포함한다.A contact filter medium mounting apparatus for fixing a contact medium, comprising: a plurality of mounts for supporting the contact medium at upper and lower sides, a horizontal frame for supporting the mounts, and a hollow tube sha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A plurality of contact material connection ring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ase to support the contact material, and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to the vertical frame.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는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 접촉여재 설치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접촉여재 설치장치에 고정된 접촉여재에 소정 압력의 수류를 인가하기 위한 탈리 배관; 및 탈리 배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ct aeration tank, comprising: a contact filter medium installation device for fixing a contact medium; and a contact aeration device installed adjacent to the contact medium media installation device, A drain pipe for applying the drain pipe; And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to the desorption line.

여기서, 탈리 배관은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sorption pipe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산기관은 수직 프레임측으로 개방되는 제1직경의 제1개구부 및 접촉여재측으로 개방되며 제1개구부의 그것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제2개구부를 가지는 디스크형 산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user is a disk-shaped diffuser having a first opening of a first diameter opened to the vertical frame side and a second opening which opens to the contact media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rst opening.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여재 설치 장치는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가대를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에 복수의 통공들을 형성하고, 이 통공들을 통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수류를 발생시키고 이 수류를 접촉여재에 인가함으로서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apparatus for attaching contact med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vertical frame for supporting a base for fixing a contact material and blowing air through the holes to generate a water flow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ludge from adhering to the contact material by applying it to the filter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는 접촉여재 설치장치에 인접시켜 탈리 배관을 구비하고, 탈리 배관을 통하여 발생되는 수류를 접촉여재 설치장치에 고정된 접촉여재에 인가함으로써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contact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sorption line adjacent to the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and the water flow generated through the desorption line is applied to the contact filter material fixed to the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to prevent the sludge from adhering to the contact material Effect.

이에 따라, 접촉포기조에 설치된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하여 악취가 발생하거나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This prevents the sludge from adhering to the contact material provided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and causing the odor to be generated and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to be lowered.

도 1은 종래의 고정형 접촉 여제를 사용하는 접촉포기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여재 설치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여재 고정 장치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접촉여재 부착 미생물 농도 및 부유 미생물 농도를 보이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유입수 및 방류수의 성상을 보이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8은 종래의 방식에 의한 접촉여재 부착 미생물 농도 및 부유 미생물 농도를 보이는 그래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9은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유입수 및 방류수의 성상을 보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1 shows the construction of a contact aeration tank using a conventional fixed contact agent,
Fig. 2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shown in Fig. 1,
3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the frame structure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holding apparatus shown in Fig. 3,
5 shows the construction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the microbial concentration and floating microbial concentration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showing characteristics of influent and discharged wat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microbial concentration and floating microbial concentration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by the conventional method, and
FIG. 9 shows a graph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low water and discharged wat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여재 설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Fig. 3 shows the structure of a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접촉포기조 내에 설치되는 접촉여재 설치 장치(102)가 도시된다. 접촉여재(104)는 접촉여재 설치 장치(102)에 의해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3, a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apparatus 102 installed in a contact aeration tank is shown. The contact filter media 104 are fixed by the contact filter media attaching device 102.

접촉여재 설치장치(102)는 상하로 설치되는 가대들(204a, 204b)과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격자 모양의 프레임을 가진다. 프레임(202)은 가대들(204a, 204b)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202a), 수직 프레임(202b) 그리고 지지프레임(202c)을 구비한다. 이러한 격자 모양의 프레임(202)에 의해 가대(204)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 contact material mounting device 102 has upper and lower mounts 204a and 204b and a grid-like frame for supporting them. The frame 202 has a horizontal frame 202a, a vertical frame 202b and a support frame 202c for supporting the stands 204a and 204b. The base 204 is stably supported by the grid-shaped frame 202.

수직프레임(202b)은 복수의 통공(216)들을 가지는 중공관의 형태를 가진다. The vertical frame 202b has the form of a hollow tub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6. [

접촉 포기조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들(202a, 202b), 서로 대향하는 상부 프레임들(202a)사이 및 서로 대향하는 하부 프레임들(202b)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상부 가대 및 하부가대(204a, 204b) 그리고 상부 가대 및 하부 가대(204a, 204b)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접촉여재 연결고리(206)를 포함한다.The upper and lower frames 202a and 202b horizontal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utually opposing inner walls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2a and 202a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lower frames 202b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contact ring connecting ring 206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204a and 204b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204a and 204b, respectively.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여재(104)는 상부 가대 및 하부 가대(204a, 204b)에 설치된 접촉여재 연결고리(206)를 통하여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ntact media 104 are connected in a staggered fashion through contact media connection rings 206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204a, 204b.

상부 및 하부 가대(204a, 204b)는 하나의 가대쌍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가대쌍들이 상부 및 하부의 수평 프레임들(202a)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으로 배열된다. 가대쌍들은 프레임(20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유기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교반기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가대가 휘는 현상 및 그에 따른 적층 현상이 방지된다.The upper and lower supports 204a and 204b form a pair of fascia pairs, and these fascia pairs are successive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202a. The frame pairs are stably supported by the frame 202. Accordingly, the phenomenon of bowing of the base by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stirrer to flow the organic matter and the subsequent lamination phenomenon is prevent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여재 고정 장치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에서 x방향은 수평 방향을 그리고 y방향은 수직 방향을 나타낸다.Fig. 4 shows the frame structure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holding device shown in Fig. In Fig. 4, the x direction indicates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indicates the vertical direction.

상부 프레임(202a) 및 하부 프레임(202b)에 각각 상부 가대(204a) 및 하부 가대(204b)가 걸쳐지게 되며, 상부 가대(204a)와 하부 가대(204b) 사이에 지그재그로 접촉여재(104)가 설치된다. The upper frame 204a and the lower frame 204b are staggered on the upper frame 202a and the lower frame 202b and the staggered contact media 104 between the upper frame 204a and the lower frame 204b Respectively.

수직 프레임(202b)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210)이 연결된다. An air supply pipe 210 for supplying ai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202b.

공기공급관(210)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수직 프레임(202b)의 표면에 설치된 통공을 통하여 분출되어 소정 압력의 수류가 발생한다. 이 수류는 접촉여재(104)에 인가되고, 이 수류의 압력에 의해 접촉여재(104)에 부착되는 슬러지가 탈리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수직 프레임(202b)의 표면에 설치된 통공을 통하여 비교적 큰 직경의 기포를 발생시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산기관(16)에서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보다 크며, 접촉여재(104)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킬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pipe 210 is ej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02b to generate a water flow of a predetermined pressure. This water stream is applied to the contact media 104, and the sludge attached to the contact media 104 is removed by the pressure of the water stream.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generate bubbles of relatively large diameter through the through ho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02b, thereby removing the sludge. The size of the bubbles generated at this time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minute bubbles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air diffuser 16 as shown in Fig. 1 and sufficiently large enough to desorb the sludge adhering to the contact media 104.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202b)에 슬러지의 탈리를 위한 통공을 설치하는 것이 설명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 프레임과 더불어 수평 프레임이나 지지프레임에 통공을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frame 202b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desorbing the slud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vertical frame, a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or the support frame.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서 수직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의 전후좌우로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in FIG. 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fro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의 구성을 도시한다.Fig. 5 shows the construction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접촉여재 설치 장치(12)가 접촉포기조(300) 내에 설치된다. 접촉여재(14)는 접촉여재 설치 장치(12)에 의해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12 is installed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300. Fig. The contact material 14 is fixed by the contact material mounting device 12.

산기관(16)은 접촉포기조(300)의 바닥에 설치되며, 접촉포기조(300) 내에 저류되는 오폐수에 미세 기포를 공급한다. 산기관(16)은 접촉포기조(100)의 바닥 전체에 미세 기포를 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장방형의 금속판(16a)과 이 금속판(16a)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멤브레인(16b)을 구비한다. The air diffuser 16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300 and supplies fine bubbles to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300. The air diffuser 16 has a rectangular metal plate 16a and a rubber membrane 16b having a large number of air holes provided on the metal plate 16a so as to evenly supply fine bubbles to the entire bottom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100. [ ).

탈리 배관(302)는 접촉여재(104)에 인접되게 바람직하게는 접촉여재 설치장치(12)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탈리 배관(302)은 상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디스크형 산기관(304)이 설치된다. The take-off pipe 302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ontact material 104, preferably below the contact material attaching device 12. [ That is, the disc-shaped air diffusing pipe 302 is provided with a disk-shaped diffusing pipe 30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탈리 배관(302)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디스크형 산기관(304)이 설치된다. 여기서, 접촉여재 설치 장치(102)는 지지대(20)에 의해 접촉포기조(300)의 내벽 및 바닥에 고정된다.In addition, a disk-shaped air diffusing pipe 304 is provided in the desorbing pipe 30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ere, the contact filter medium attaching device 102 is fixed to the inner wall and the bottom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300 by the support table 20.

산기관(304)은 탈리 배관(302)측으로 개방되는 제1직경의 제1개구부 및 접촉여재(14)측으로 개방되며 제1개구부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제2개구부를 가지는 디스크형 산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user 304 is a disk-shaped diffuser having a first opening of a first diameter opened to the side of the desorption pipe 302 and a second opening which opens to the contact medium 14 side and has a wider diameter than the first opening .

접촉여재(14)의 하부에 분산배치되는 산기관(106)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미생물과 기질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유기물의 산화/분해 및 암모니아성 질소의 질산화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microbes and the substrate are smoothly mixed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diffusing pipe 106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medium member 14 so that oxidation /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and nitrification of ammonia nitrogen are smoothly performed .

한편, 접촉포기조(300) 내에서 미생물과 기질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입수를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교반기(미도시)가 설치된다.Meanwhile, an agitator (not shown) for flowing inflow wat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shown by an arrow is installed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300 to smoothly mix the microorganism and the substrate.

산기관(304)을 통하여 취출되는 공기에 의해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수류가 발생하며, 이 수류에 의해 산기관(304)에 인접한 접촉여재(14)에 붙은 슬러지를 탈리하게 된다. 즉, 산기관(304)을 통하여 취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된 수류에 의해 접촉여재(14)에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이 방해되거나 부착된 슬러지가 탈리되게 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 및 수처리 효율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A water flow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is generated by the air taken out through the air diffuser 304 and the sludge adhered to the contact medium 14 adjacent to the air diffuser 304 is removed by the water flow. That is, the attachment of the sludge to the contact media 14 due to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air taken out through the air diffuser 304 is disturbed or the attached sludge is removed, so that the deterioration of the odor and water treatment efficiency due to anaerobicization Is prevented.

다른 방법으로서는 산기관(304)을 통하여 비교적 큰 직경의 기포를 발생시켜 접촉여재(14)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는 접촉여재(14)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킬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bubbles of relatively large diameter through the air diffuser 304 to remove the sludge adhering to the contact medium 14. The size of the bubbles generated at this time is preferably large enough to desorb the sludge adhering to the contact media 14.

공기공급관(310)에 공급되는 공기는 산소공급배관(18)에 공급되는 것보다는 높은 공기압을 가져야 하므로 공기공급관(310)을 위한 별도의 공기 공급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pipe 310 should have a higher air pressure than that supplied to the oxygen supply pipe 18 so that a separate air supply for the air supply pipe 310 is preferably disposed.

본 발명에 의한 접촉포기조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일일처리용량 1㎥ 규모의 모형시설에, T시의 하폐수 처리시설 실제 유입수를 이용하여 전형적인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식 즉,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프레임에 통공을 형성하는 방식과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하부에 탈리 배관을 설치하는 방식을 병행시킨 방식으로 각각 접촉포기조 용적의 50 % 수준으로 충진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ypical activated slu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ctual influent water of a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t T is applied to a model facility having a daily treatment capacity of 1 m < 3 > I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to 5, that is, a method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rame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attaching device and a method in which a tear pipe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attaching device , Respectively, and 50% of the volume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평가항목은 각각의 방식에 의해 설치된 접촉여재에 부착된 고정 미생물의 농도(Bio Mass), 접촉포기조에 부유하는 미생물의 농도(MLSS), 접촉포기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으로 약 6개월간 6회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The evaluation items are the concentration of immobilized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contact media installed by each method, the concentration of microorganisms suspended in the contact aeration tank (MLSS), th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of influent flowing into the contact aeration tank, (SS),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for 6 months.

전체 6회의 걸쳐 본 발명의 방식으로 접촉여재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미생물(Bio mass)농도와 부유미생물(MLSS)농도를 아래 표 1과 도 6에 각각 나타내었다.      The biomass concentration and the suspended microorganism (MLSS) concentration attached to the contact media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he entire six times are shown in Tables 1 and 6, respectively.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접촉여재 부착미생물 농도 및 부유 미생물 농도The microbial concentration and the suspended microbial concentration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항목
Item
month
생체량
(mg/L)
Biomass
(mg / L)
MLSS
(mb/L)
MLSS
(mb / L)
1One 12.50012.500 3.3153.315 22 12.39312.393 3.2873.287 33 12.37112.371 3.2173.217 44 12.39512.395 3.2943.294 55 12.43412.434 3.3083.308 66 12.69212.692 3.3773.377 평균Average 12.46412.464 3.3003.300 최소at least 12.37112.371 3.2173.217 최대maximum 12.69212.692 3.3773.377

미생물 농도를 분석한 결과 최저 12,371 ㎎/ℓ 이며, 최대 12,692 ㎎/ℓ로 평균 12,464 ㎎/ℓ를 보여 6개월 연속 운전에도 부착미생물의 농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초기 접촉여재에 미생물의 부착 후에도 안정적으로 접촉여재의 원래 기능을 충실히 함을 나타낸다.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icrobial concentration, it was 12,371 ㎎ / ℓ at the maximum and 12,464 ㎎ / ℓ at the maximum with a maximum of 12,692 ㎎ / ℓ, Indicating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contact media is faithfully maintained even after attachment of microorganisms to the filter media.

아래 표 2와 도 7은 전형적인 활성슬러지 공정에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하여 접촉여재를 설치한 후 실제 하폐수의 유입수와 방류수, 처리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의 경우 평균 7.5 ㎎/ℓ로 방류되어 97.4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부유물질(SS)의 경우에도 95.9 %의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형적인 활성슬러지공정에서 질소와 인의 처리효율이 20 ~ 30 % 인것에 비해 본 기술의 적용에 의해서는 총질소(T-N)와 총인(T-P)이 각각 52.7 %와 48.4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어, 접촉여재의 안정적인 설치로 접촉여재에 부착된 미생물들이 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 결과로 해석이 가능하다. Tables 2 and 7 below show the effluent water, effluent water, and treatment efficiency of the actual wastewater after the contact media was install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ypical activated sludge process. The averag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was 7.5 mg / (97.4%), and the suspended solids (SS) showed a high treatment efficiency of 95.9%. In addition, the treatment efficiency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typical activated sludge process is 20 ~ 30%, whereas that of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is 52.7% and 48.4% , It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faithful performance of microorganisms attached to contact media by stable installation of contact media.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유입수 및 방류수 성상The influent and discharged wat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항목Item 유입수Influent 방류수Effluent 처리효율Treatment efficiency BODBOD 286.5286.5 7.57.5 97.497.4 SSSS 211.9211.9 8.78.7 95.995.9 T-NT-N 45.745.7 21.621.6 52.752.7 T-PT-P 3.13.1 1.61.6 48.448.4

그리고 비교예로서 기존의 방식으로 운전한 결과를 아래 표 3 및 4 그리고 도 8 및 9에 각각 나타내었다..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results of the conventional operation are shown in Tables 3 and 4 and 8 and 9, respectively.

아래 표 3과 도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방식을 적용하였을 때, 접촉여재 부착미생물 농도는 최저 9,537 ㎎/ℓ 이며, 최대 15,211 ㎎/ℓ로 평균 11,756 ㎎/ℓ를 보여 6개월 연속 운전을 하는 동안 5,674 ㎎/ℓ의 농도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접촉포기조가 운영되는 동안 접촉여재 사이의 적층현상과 부패로 인한 탈리 등이 원인이라 할 수 있겠다. As shown in Table 3 and FIG. 8, when the conventional method was applied, the concentration of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contact media was 9,537 mg / L and the maximum was 15,211 mg / L, which was 11,756 mg / L. , Which is caused by lamination between contact media and decay due to corrup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종래 방식에 의한 접촉여재 부착미생물 농도 및 부유 미생물 농도Microbial concentration and floating microbial concentration on contact media by conventional method 항목
Item
month
생체량
(mg/L)
Biomass
(mg / L)
MLSS
(mb/L)
MLSS
(mb / L)
1One 10,23510,235 2,9882,988 22 10,14710,147 3,3233,323 33 15,12115,121 4,0614,061 44 14,61514,615 3,6563,656 55 9,5379,537 3,0083,008 66 10,88110,881 3,1113,111 평균Average 11,75611,756 3,3583,358 최소at least 9,5379,537 2,9882,988 최대maximum 15,12115,121 4,0614,061

아래 표 4와 도 9에서는 전형적인 활성슬러지 공정에 종래의 방식에 의하여 접촉여재를 설치한 후 실제 하폐수의 유입수와 방류수, 처리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의 경우 평균 27.5 ㎎/ℓ로 방류되어 90.4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부유물질(SS)의 경우에도 85.9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다. 총질소(T-N)와 총인(T-P)의 경우 각각 24.3 %와 22.6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어, 이는 전형적인 활성슬러지공정의 운전으로도 제거가 가능한 수준이며, 접촉여재의 불안정적인 설치로 인하여 접촉여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Table 4 and Figure 9 show the effluent, effluent and treatment efficiency of the actual wastewater after the contact media wa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averag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was 27.5 mg / l The effluent showed a treatment efficiency of 90.4%, and the suspended solids (SS) showed a treatment efficiency of 85.9%. The treatment efficiencies of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were 24.3% and 22.6%, respectively, which can be removed by the operation of a typical activated sludge process. It is thought that it is not able to exert its function.

종래 방식에 의한 유입수 및 방류수 성상Influent and effluent characteristics by the conventional method 항목Item 유입수Influent 방류수Effluent 처리효율Treatment efficiency BODBOD 286,5286,5 27,527,5 90,490,4 SSSS 211,9211,9 29,829,8 89,989,9 T-NT-N 45,745,7 34,634,6 24,324,3 T-PT-P 3,13.1 2,42,4 22,622,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정적인 접촉여재 설치방식과 원활한 공기공급 및 탈리를 위한 탈리배관의 설치로 접촉여재의 혐기화에 의한 악취 발생 및 접촉여재간 적층현상 방지, 접촉여재 부착미생물의 안정적인 농도 유지 등으로 접촉포기조에서 접촉여재의 충실한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여 하폐수 처리 효율의 극대화뿐만 아니라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dor generation due to anaerobicization of the contact media by the stable contact material installation method and the removal of the contact material due to the smooth air supply and desorption, It is possible to optimize not only the efficiency of the wastewater treatment but also the efficiency of the contact wastewater treatment.

Claims (7)

삭제delete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접촉여재를 상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해 상하측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대들을 가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대쌍들;
상기 가대쌍들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 프레임 및 표면에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평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
상기 가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접촉여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여재 연결고리들;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표면에 설치된 통공을 통하여 공기를 분출시켜 상기 접촉여재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탈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여재 설치장치
A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for fixing a contact filter medium,
A plurality of pairs of fingers each having a pair of fingers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sides to support the contact material at upper and lower sides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frame of a lattic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for supporting the pair of fusebole pair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the frame having a hollow tube sha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contact filter connecting ring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ase to support the contact filter media; And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to the vertical frame; / RTI >
Characterized in that air is blown through the through ho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to remove the sludge adhering to the contact mediu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
상기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접촉여재 설치장치에 고정된 상기 접촉여재에 소정 압력의 수류를 인가하기 위한 탈리 배관;
상기 탈리 배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 및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탈리 배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산기관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산기관은 상기 탈리 배관측으로 개방되는 제1직경의 제1개구부 및 상기 접촉여재측으로 개방되며 제1개구부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제2개구부를 가지는 디스크형 산기관이고,
상기 접촉여재 설치 장치는
각각이 접촉포기조 내부에 상하측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대들을 가지며, 상기 접촉포기조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대쌍들;
상기 가대쌍들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들을 구비하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 및
상기 가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여재 연결고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포기조.
Contact filter media mounting device for fixing contact media;
A tear pipe disposed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and adapted to apply a predetermined flow of water to the contact material fixed to the contact material filter attachment device;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to the desorption line; And
And a plurality of acid engines installed in the desorption pipe at predetermined intervals,
Here, the diffusing pipe is a disk-shaped diffusing pipe having a first opening of a first diameter opened to the side of the desorbing pipe, and a second opening which is opened to the contact material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opening,
The contact filter medium setting device
A plurality of pairs of fingers each having a pair of fingers installed up and down inside the contact aeration tank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ct aeration tank;
A grid-lik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vertical frames for supporting the pair of fusers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And a plurality of contact medium connection ring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mou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복수의 통공들을 가지는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수직 프레임의 표면에 설치된 통공을 통하여 분출시켜 소정 압력의 수류를 얻고, 이 수류를 상기 접촉여재에 인가하여 상기 접촉여재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포기조.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vertical frame is formed of a hollow tub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pipe is jetted through a through hol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to obtain a water flow of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he water stream is applied to the contact medium to thereby desorb the sludge adhering to the contact medium. Contact aeration tank.
KR20100039445A 2010-04-28 2010-04-28 Apparatus for setting porous filtering media and aeration tank KR101392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9445A KR101392719B1 (en) 2010-04-28 2010-04-28 Apparatus for setting porous filtering media and aeration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9445A KR101392719B1 (en) 2010-04-28 2010-04-28 Apparatus for setting porous filtering media and aeration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85A KR20110119985A (en) 2011-11-03
KR101392719B1 true KR101392719B1 (en) 2014-05-28

Family

ID=4539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9445A KR101392719B1 (en) 2010-04-28 2010-04-28 Apparatus for setting porous filtering media and aeration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7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394B1 (en) * 2012-05-18 2013-12-06 다정영농조합법인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 was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63Y1 (en) * 2001-09-26 2001-12-29 김원중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0375330B1 (en) * 2002-04-16 2003-03-15 Hang Ku Kang Aerator capable of maximizing oxygen adsorption rate of water to be treated and sewage/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the same aerator and fixed bed
KR200393728Y1 (en) * 2005-06-13 2005-08-30 송성환 Hold unit for contact 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63Y1 (en) * 2001-09-26 2001-12-29 김원중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0375330B1 (en) * 2002-04-16 2003-03-15 Hang Ku Kang Aerator capable of maximizing oxygen adsorption rate of water to be treated and sewage/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the same aerator and fixed bed
KR200393728Y1 (en) * 2005-06-13 2005-08-30 송성환 Hold unit for contact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85A (en)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769B2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6423229B1 (en) Bioreactor systems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JP2009028720A (en) Aeration-less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16161151A1 (en) Enhanced membrane bioreactor process for treatment of wastewater
KR101927520B1 (en) System for treating sewage and wastewater based on media constant level continuous flow sequencing batch reactor process
CN211595374U (en) Sewage treatment equipment combining suspended biological membrane with deep filtration
KR100937482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wage disposal using the submersible hollow media
JP2008246483A (en) Apparatus for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KR101392719B1 (en) Apparatus for setting porous filtering media and aeration tank
JP2009297625A (en) Microorganism carrier and biological denitrification device
JP2012005971A (en)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0738568B1 (en) Advanced sewage an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fixed-movable type bio contactor media
CN101514051B (en) Self-demoulding biologic-carrier internal circulation filtering technology and a device thereof
KR101268064B1 (en) Device for sewage disposal using the improved hollow composite media
JP2609192B2 (en) Biological dephosphorization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treatment method of organic wastewater
CN213112947U (en) AO is biochemical-MBR integration effluent treatment plant
KR20030097075A (en) Hybrid Submerged Plate Type Membrane Bioreactor Using microfilter Combined With Biofilm-Activated Carbon for Advanced Treatment of Sewage and Wastewater
CN207330494U (en) A kind of biological aerated filter
CN201272715Y (en) Integral film biological sewage treating device
JP2004223320A (en) Aeration treatment device
CN216141336U (en) MBR domestic sewage treatment device
CN111908603A (en) Novel anaerobic biological filter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thereof
CN210764860U (en) AO biochemical pond that sewage treatment used
KR100619254B1 (en) Biological denitrification process using sulfur-utilizing chemolithoautotroph
KR101419850B1 (en) Treatment system of wastewater having package type biore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