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215B1 -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215B1
KR101392215B1 KR1020120011692A KR20120011692A KR101392215B1 KR 101392215 B1 KR101392215 B1 KR 101392215B1 KR 1020120011692 A KR1020120011692 A KR 1020120011692A KR 20120011692 A KR20120011692 A KR 20120011692A KR 101392215 B1 KR101392215 B1 KR 10139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advertisement
information
ur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504A (ko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주)디오티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오티컴퍼니 filed Critical (주)디오티컴퍼니
Priority to KR102012001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2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7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 G06K7/10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 G06K7/1009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the directional field being used for pinpointing the location of the record carrier, e.g. for finding or locating an RFID tag amongst a plurality of RFID tags, each RFID tag being associated with an object, e.g. for physically locating the RFID tagged object in a ware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바코드, QR코드와 같은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정보를 서비스받을 때, 정보 로딩 시간 동안 광고를 송출해주어 광고 효율을 높이도록 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인식부와; 상기 코드 인식부와 연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제1 URL을 추출하거나 판독한 코드 정보로부터 제2 URL을 추출하는 URL추출부와; 상기 URL추출부에서 추출한 제1 URL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되는 광고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제2 URL에 따라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고정보 또는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Advertising System using ID code}
본 발명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코드, QR코드와 같은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정보를 서비스받을 때, 정보 로딩 시간 동안 광고를 송출해주어 광고 효율을 높이도록 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식별코드(1차원 코드인 바코드, 2차원 코드인 QR코드)를 스캔한 후, 정보를 서비스받는 방식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에 저장된 코드 스캔 및 리드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코드를 판독하여 코드에 저장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URL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 자원의 위치를 찾아서 해당 정보를 서비스받게 된다.
상기에서 스캔 및 리드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QR코드를 스캔하면 웹브라우저 열기 버튼, 메일공유버튼, SNS공유 버튼 등이 화면에 표시되며, 바코드를 스캔하면 제품검색버튼, 인터넷검색버튼, shopper버튼이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버튼을 눌러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받으면 된다. 상기에서 정보를 서비스받기 위한 아이콘(버튼)은 코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URL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수많은 정보 자원의 위치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그 형식은 프로토콜://서버주소/정보의 경로로 이루어진다.
주지한 바와 같이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받는 종래의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85887호(2010.7.29. 공개)(발명의 명칭: 큐알코드를 이용한 숲길안내 시스템 및 안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 컨텐츠 서버(20) 및 사인 보드(3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은 스마트폰(10)의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을 조작하여 숲길에 설치된 사인 보드(30)에 표시된 QR코드(31)를 스마트폰(10)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11)을 통해 촬영하면, 스마트폰(10)의 애플리케이션은 촬영된 QR코드를 디코딩한다. 이후 애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종류 필드, 컨텐츠 시리얼넘버 필드 값을 획득하고, 통신모듈(12)을 가동하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컨텐츠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기존의 정표에 QR코드를 표시하여 등산객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를 디코딩하여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이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QR코드를 이용하고, 등산객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QR코드를 촬영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숲길안내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QR코드 스캔부터 콘텐츠 서버와의 접속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기까지의 일정 로딩 시간 동안에는 정보를 제공해주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정보를 제공받기까지의 로딩 시간에 다른 콘텐츠를 제공해주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85887호(2010.7.29. 공개)(발명의 명칭: 큐알코드를 이용한 숲길안내 시스템 및 안내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QR코드 스캔부터 콘텐츠 서버와의 접속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기까지의 로딩 시간 동안에도 콘텐츠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바코드, QR코드와 같은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정보를 서비스받을 때, 정보 로딩 시간 동안 광고를 송출해주어 광고 효율을 높이도록 한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인식부와;
상기 코드 인식부와 연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제1 URL을 추출하거나 판독한 코드 정보로부터 제2 URL을 추출하는 URL추출부와;
상기 URL추출부에서 추출한 제1 URL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되는 광고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제2 URL에 따라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고정보 또는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 서버는 시간별, 날짜별, 월별로 서로 다른 광고를 제공해주되, 시간대 별로 복수의 광고중 특정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 서버는 고객이 광고 서버를 방문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결과 정보를 광고효율 정보로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인식부와;
상기 코드 인식부에서 판독한 코드 정보로부터 제1 URL 및 제2 URL을 추출하는 URL추출부와;
상기 URL추출부에서 추출한 제1 URL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되는 광고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제2 URL에 따라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고정보 또는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 서버는 시간별, 날짜별, 월별로 서로 다른 광고를 제공해주되, 시간대 별로 복수의 광고중 특정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 서버는 고객이 광고 서버를 방문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결과 정보를 광고효율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QR코드 스캔부터 콘텐츠 서버와의 접속을 통해 정보를 제공 받기까지의 로딩 시간 동안에도 콘텐츠를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코드, QR코드와 같은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정보를 서비스받을 때, 정보 로딩 시간 동안 광고를 송출해주어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QR코드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광고 서버의 실시 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코드(100), 광고단말기(200), 네트워크(300), 광고 서버(400) 및 메인 서버(500)를 포함한다.
코드(100)는 정보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1차원 코드인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인 QR코드를 의미한다.
광고단말기(200)는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100)를 리딩하고, 광고 서버(400) 접속용 URL(이하, "제1 URL"이라고 약칭함)과 메인 서버(500) 접속용 URL(이하, "제2 URL"이라고 약칭함)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1 및 제2 URL을 기반으로 광고 서버(400) 및 메인 서버(500)와 접속하여 코드(100)에 대응하는 정보의 로딩시까지 미리 광고 정보를 재생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고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 PDA와 같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광고단말기(200)는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인식부(210)와; 상기 코드 인식부(210)와 연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제1 URL을 추출하거나 판독한 코드 정보로부터 제2 URL을 추출하는 URL추출부(220)와; 상기 URL추출부(220)에서 추출한 제1 URL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서버(400)와 접속하여 제공되는 광고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제2 URL에 따라 메인 서버(500)와 접속하여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240)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광고정보 또는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2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고단말기(200)는 상기 광고 서버(400) 및 메인 서버(500)와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하기 위한 통신 장치(230)와; 상기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250)와; 기능 선택과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URL추출부(220)는 제1 실시 예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제1 URL을 추출하거나 판독한 코드 정보로부터 제2 URL을 추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URL추출부(220)는 제2 실시 예로서 판독한 코드 정보로부터 제1 및 제2 URL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광고 시스템을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2개의 URL을 코드(100)에 기록하거나, 하나의 URL은 애플리케이션에 저장하고 다른 하나의 URL은 코드(100)에 저장하여 사용하게 된다.
광고 서버(400)는 광고정보를 제공해주는 서버로서, 시간별, 날짜별, 월별로 서로 다른 광고를 제공해주며, 시간대별로 복수의 광고중 특정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해주고, 고객이 광고 서버를 방문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결과 정보를 광고효율 정보로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한 광고효율 정보는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에게 제공해주어, 광고주가 의뢰한 광고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광고 서버(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단말기(200)와 접속하여 광고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통신부(410)와; 광고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고, 광고주로부터 수신한 광고를 저장을 제어하며, 광고효율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420)와; 상기 제어부(420)와 연계하여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를 온라인 상에서 다운로드 받아 광고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하는 광고 저장부(440)와; 상기 제어부(420)와 연계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된 무수한 광고로부터 시간별, 날짜별, 월별 서로 다른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해주는 광고 선택부(450)와; 상기 제어부(420)와 연계하여 고객이 광고정보를 요청할 경우 광고 서버에 접속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결과 정보를 상기 제어부(420)에 전달해주는 카운트부(460)를 포함한다.
메인 서버(500)는 코드(100)에 기록된 URL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URL코드를 추출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제1 및 제2 실시 예로 대별되어 동작을 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 예>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제1 URL을 애플리케이션에 저장하고, 제2 URL을 코드(100)에 저장한 경우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한 광고단말기(200)의 입력장치(270)를 통해 코드(100) 스캔 및 리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명령한다.
코드 스캔 및 리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인출하여 코드 인식부(210)를 제어하게 된다.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코드 인식부(210)는 코드(100)를 스캔하고, 스캔한 코드를 판독하여 코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코드(100)는 통상의 1차원 코드인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인 QR코드이다.
코드(100)가 QR코드라고 가정하면 코드 인식부(210)는 QR코드를 스캔하고, 이를 판독하여 코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URL추출부(220)는 상기 코드 인식부(210)로부터 판독한 코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코드 정보에 포함된 제2 URL을 추출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코드 정보를 전달받기 이전에 상기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코드 인식부(201)를 통해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전달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1 URL을 먼저 추출하여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이후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추출한 제2 URL을 추출하여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1 URL은 광고 서버(400)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며, 제2 URL은 메인 서버(500)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다.
제어부(240)는 먼저 전달되는 제1 URL을 기반으로 통신 장치(23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광고 서버(400)와 접속하게 되고, 광고 서버(400)는 광고단말기(200)가 접속되면 광고 선택부(450)를 통해 현재 월별, 날짜별 및 시간별로 광고하는 광고 정보를 광고 데이터베이스(430)로부터 선택하여 통신부(410)를 통해 광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광고 서버(400)는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다수의 광고정보를 광고 저장부(440)를 통해 광고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한 것으로 가정을 한다.
아울러 광고 서버(400)의 카운트부(460)는 상기 광고단말기(200)를 통해 광고 정보의 요청이 발생하면, 해당 광고의 횟수를 카운팅하여 누적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광고의 횟수를 누적 저장할 경우에는 고객에게 제공해준 광고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정보와 횟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의 구분은 각각의 광고마다 이를 구분하기 위한 ID를 설정해 놓음으로써, 용이하게 광고를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A광고 150회, B광고 270회, C광고 180회와 같이 광고의 횟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저장한 광고 횟수 정보는 제어부(420)에 의해 광고효율정보로 생성되어, 추후 광고주에게 제공됨으로써,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에 대한 효율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광고단말기의 정보(ID, 전화번호, 기타)를 통해 고객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특정 고객이 광고 서버를 얼마나 방문했는지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광고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통신 장치(230)를 통해 광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표시장치(260)에 제공하여 광고 정보를 표시해주게 된다. 여기서 표시해주는 광고 시간은 광고 서버를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제어부(240)에서 메인 서버(500)로부터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광고를 종료하는 방식으로도 광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40)는 URL추출부(220)로부터 제2 URL이 전달되면 상기 통신장치(23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2 URL에 대응하는 메인 서버(500)를 접속하여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 메인 서버(500)는 광고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하고자 하는 정보를 제공해주게 된다. 여기서 메인 서버(500)에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식은 기존의 QR코드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메인 서버(500)로부터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 장치(260)에 전달하여, 해당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단말기(200)를 소유한 사용자가 코드를 스캔할 경우,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다운받기까지의 로딩 시간 동안에 광고 정보를 먼저 제공해주고, 이후 메인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실시 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2개의 URL(제1 URL 및 제2 URL)을 코드(100)에 저장한 경우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한 광고단말기(200)의 입력장치(270)를 통해 코드(100) 스캔 및 리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명령한다.
코드 스캔 및 리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인출하여 코드 인식부(210)를 제어하게 된다.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코드 인식부(210)는 코드(100)를 스캔하고, 스캔한 코드를 판독하여 코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코드(100)는 통상의 1차원 코드인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인 QR코드이다.
코드(100)가 QR코드라고 가정하면 코드 인식부(210)는 QR코드를 스캔하고, 이를 판독하여 코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URL추출부(220)는 상기 코드 인식부(210)로부터 판독한 코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코드 정보에 포함된 URL을 추출하게 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드에 2개의 URL을 저장하게 되므로, 2개의 URL을 추출하여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이때 제1 및 제2 URL은 각각의 URL에 별도의 구분 정보를 부가하여 광고 URL과 일반 URL을 구분하거나, 제1 URL에만 구분 정보를 부가하여 광고 URL을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URL은 광고 서버(400)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며, 제2 URL은 메인 서버(500)와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다.
제어부(240)는 전달되는 2개의 URL중 제1 URL을 기반으로 통신 장치(23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광고 서버(400)와 접속하게 되고, 광고 서버(400)는 광고단말기(200)가 접속되면 광고 선택부(450)를 통해 현재 월별, 날짜별 및 시간별로 광고하는 광고 정보를 광고 데이터베이스(430)로부터 선택하여 통신부(410)를 통해 광고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광고 서버(400)는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다수의 광고정보를 광고 저장부(440)를 통해 광고 데이터베이스(430)에 등록한 것으로 가정을 한다.
아울러 광고 서버(400)의 카운트부(460)는 상기 광고단말기(200)를 통해 광고 정보의 요청이 발생하면, 해당 광고의 횟수를 카운팅하여 누적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광고의 횟수를 누적 저장할 경우에는 고객에게 제공해준 광고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정보와 횟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의 구분은 각각의 광고마다 이를 구분하기 위한 ID를 설정해 놓음으로써, 용이하게 광고를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A광고 150회, B광고 270회, C광고 180회와 같이 광고의 횟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저장한 광고 횟수 정보는 제어부(420)에 의해 광고효율정보로 생성되어, 추후 광고주에게 제공됨으로써,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에 대한 효율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광고단말기의 정보(ID, 전화번호, 기타)를 통해 고객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특정 고객이 광고 서버를 얼마나 방문했는지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광고단말기(200)의 제어부(240)는 통신 장치(230)를 통해 광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표시장치(260)에 제공하여 광고 정보를 표시해주게 된다. 여기서 표시해주는 광고 시간은 광고 서버를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제어부(240)에서 메인 서버(500)로부터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광고를 종료하는 방식으로도 광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40)는 제2 URL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장치(23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2 URL에 대응하는 메인 서버(500)를 접속하여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 메인 서버(500)는 광고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하고자 하는 정보를 제공해주게 된다. 여기서 메인 서버(500)에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식은 기존의 QR코드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메인 서버(500)로부터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 장치(260)에 전달하여, 해당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단말기(200)를 소유한 사용자가 코드를 스캔할 경우,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다운받기까지의 로딩 시간 동안에 광고 정보를 먼저 제공해주고, 이후 메인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내며, 이러한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단말기(200)의 제어부(240)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코드 스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코드를 촬영하는 단계(S101 ~ S103)와; (b) 상기 촬영한 코드를 판독하고, 제1 및 제2 URL을 추출하는 단계(S105 ~ S107)와; (c) 상기 추출한 제1 URL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되는 광고정보를 표시해주는 단계(S109 ~ S111)와; (d) 상기 추출한 제2 URL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해주는 단계(S113 ~ S11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단계S101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270)를 통해 코드 스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명령하면, 제어부(24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코드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인출하여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된다.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계 S103에서 코드를 촬영하게 되고, 단계 S105 및 단계 S107에서는 상기 촬영한 코드를 판독하여 코드 정보를 추출하게 되고, URL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에서 코드는 1차원 코드인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인 QR코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URL은 광고를 위한 제1 URL과 메인 정보 제공을 위한 제2 URL로 대별되며, 실시 예에 따라 제1 URL은 상기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추출하고, 제2 URL은 상기 코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및 제2 URL을 코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코드 정보로부터 제1 및 제2 URL을 전부 추출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 URL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 정보를 부가하여, 각각의 URL을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09에서는 추출한 제1 URL을 기반으로 광고 서버와 접속을 하고, 단계 S111에서는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해주어, 광고를 실행하게 된다.
이후 단계 S113에서는 상기 추출한 제2 URL을 기반으로 메인 서버와 접속을 하고, 단계 S115에서는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코드 스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광고 서버 접속용 제1 URL을 추출하여 광고 서버와 접속하여 광고 정보를 수행하고, 제2 URL을 추출하여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메인 정보를 제공해주게 된다.
통상, 식별코드(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스캔하면 URL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데 소정의 시간 즉, 정보 로딩 시간이 필요한 데, 본 발명은 이러한 정보 로딩 시간 도중에 광고 서버와 먼저 접속하여 특정 광고를 수행해주고, 이후 로딩된 메인 정보를 제공해주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코드를 스캔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는 대부분 화면을 보는 상태가 되며, 이때 메인 정보가 표시되기 이전에 광고가 먼저 표출되므로 사용자는 대부분 광고를 시청하게 되어,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효율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코드
200… 광고단말기
210… 코드 인식부
220… URL추출부
240… 제어부
260… 표시장치
300… 네트워크
400… 광고 서버
420… 제어부
430… 광고 데이터베이스
440… 광고 저장부
450… 광고 선택부
460… 카운트부
500… 메인 서버

Claims (7)

  1.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인식부와;
    상기 코드 인식부와 연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제1 URL을 추출하거나 판독한 코드 정보로부터 제2 URL을 추출하는 URL추출부와;
    상기 URL추출부에서 추출한 제1 URL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되는 광고정보의 표시를 상기 제2 URL을 통해 정보를 로딩하는 시간 동안 제어하고, 그 후에 상기 제2 URL에 따라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고정보 또는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시간별, 날짜별, 월별로 서로 다른 광고를 제공해주되, 시간대별로 복수의 광고중 특정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해주며,
    상기 광고 서버는,
    고객이 광고 서버를 방문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결과 정보를 광고효율 정보로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2. 스캔 및 리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인식부와;
    상기 코드 인식부에서 판독한 코드 정보로부터 제1 URL 및 제2 URL을 추출하는 URL추출부와;
    상기 URL추출부에서 추출한 제1 URL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되는 광고정보의 표시를 상기 제2 URL을 통해 정보를 로딩하는 시간 동안 제어하고, 그 후에 상기 제2 URL에 따라 메인 서버와 접속하여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광고정보 또는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시간별, 날짜별, 월별로 서로 다른 광고를 제공해주되, 시간대별로 복수의 광고중 특정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해주며,
    상기 광고 서버는,
    고객이 광고 서버를 방문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결과 정보를 광고효율 정보로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11692A 2012-02-06 2012-02-06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10139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692A KR101392215B1 (ko) 2012-02-06 2012-02-06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692A KR101392215B1 (ko) 2012-02-06 2012-02-06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504A KR20130090504A (ko) 2013-08-14
KR101392215B1 true KR101392215B1 (ko) 2014-05-21

Family

ID=4921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692A KR101392215B1 (ko) 2012-02-06 2012-02-06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902B1 (ko) * 2018-07-18 2020-01-02 원태성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3225B (zh) * 2014-07-21 2021-07-30 艾利丹尼森零售信息服务公司 用于显示快速响应(qr)代码内的专有信息的系统、方法和设备
KR20160032346A (ko) * 2014-09-15 2016-03-24 주식회사 제이투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54900A (ko) 2015-11-10 201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6922B1 (ko) * 2017-03-30 2019-07-05 박소은 화투 광고 시스템
CN109523304B (zh) * 2018-10-22 2024-03-0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广告的预览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549B1 (ko) 2003-04-22 2005-01-15 주식회사 윌코리아닷컴 티켓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2466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엠지티이씨에이치 바코드를 이용한 인터넷 정보전달장치
KR20080090583A (ko) * 2006-12-26 2008-10-09 화신씨앤아이(주)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시간대별 광고 예약 제어 시스템 및광고 예약 제어 방법
KR20100012541A (ko) * 2008-07-29 2010-02-08 주식회사 아이콘랩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549B1 (ko) 2003-04-22 2005-01-15 주식회사 윌코리아닷컴 티켓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2466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엠지티이씨에이치 바코드를 이용한 인터넷 정보전달장치
KR20080090583A (ko) * 2006-12-26 2008-10-09 화신씨앤아이(주)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시간대별 광고 예약 제어 시스템 및광고 예약 제어 방법
KR20100012541A (ko) * 2008-07-29 2010-02-08 주식회사 아이콘랩 기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902B1 (ko) * 2018-07-18 2020-01-02 원태성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017681A1 (ko) * 2018-07-18 2020-01-23 원태성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504A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215B1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US10380170B2 (en) Integrated image sear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US9697558B2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said program
KR101729938B1 (ko)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113151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documents
EP24188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pplic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CN111026950B (zh) 页面访问方法及其装置、服务器及页面访问系统
KR101574241B1 (ko) Qr 코드 인식 처리 시스템
KR101522394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6773344B2 (ja) ギフト・システム
KR101514039B1 (ko) 태그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303391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9135648B2 (en) Method, terminal,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US10521710B2 (en) Method of identifying, locating, tracking, acquiring and selling tangible and intangible objects utilizing predictive transpose morphology
KR101360615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43991B1 (ko) 방송연계 큐알코드를 이용한 식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CN103763372B (zh) 用户生成内容ugc信息的显示及处理的方法和装置
KR20140093850A (ko) 콘텐츠 통합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83944A (ko) 스마트 단말에 보상을 지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랜딩 페이지 서버
KR102249997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59798A (ko) 피규어와 그를 이용한 정보 전송 시스템
KR20170050232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17948B1 (ko) 모바일 통화 기반의 제품정보 열람 제공 방법
KR20230007787A (ko) 사용자-점포 1:1 매칭 디지털 스탬프 쿠폰 서비스 제공을 통한 사용자 위치 기반 점포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21553A (ko) 콘텐츠 통합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