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902B1 -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902B1
KR102061902B1 KR1020180083735A KR20180083735A KR102061902B1 KR 102061902 B1 KR102061902 B1 KR 102061902B1 KR 1020180083735 A KR1020180083735 A KR 1020180083735A KR 20180083735 A KR20180083735 A KR 20180083735A KR 102061902 B1 KR102061902 B1 KR 10206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de
service server
product
advertisem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태성
Original Assignee
원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태성 filed Critical 원태성
Priority to KR102018008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902B1/ko
Priority to PCT/KR2018/008319 priority patent/WO202001768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광고 요청자로부터 수신된 광고 서비스 의뢰 정보에 따라 광고를 QR 코드에 맵핑하는 과정, 상기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품 제조자에게 송신하는 과정, 상기 상품 제조자에 의해 생산된 상기 QR 코드를 부착한 상품을 이용하여, 광고 소비자로부터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의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 소비자의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GOODS BASED ADVERTISEMENT SERVICE USING QUICK RESPONSE CODE}
본 발명은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이용하여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QR 코드가 부착된 상품을 이용하여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누군가는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누군가는 이를 소비한다. 소비자는 보다 우수한 상품을 선택하고자 하며, 이에 따라 상품 및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상품 등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마케팅 활동의 하나로, 광고(advertisement)가 있다. 광고는 다양한 매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는 TV(television), 신문, 인터넷 등과 같은 미디어를 통해, 또는 광고판, 현수막, 포스터 등과 같은 구조물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수많은 광고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넘쳐나는 광고에 큰 관심을 가지지 아니하며, 심지어 불필요한 광고의 소비를 기피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품 및 서비스 제공자 및 광고 대행업자들은 자신의 광고에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방안을 끊임없이 연구·개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품 기반의 새로운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이용하여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를 소비한 소비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광고 요청자로부터 수신된 광고 서비스 의뢰 정보에 따라 광고를 QR(Quick Response) 코드에 맵핑(mapping)하는 과정, 상기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품 제조자에게 송신하는 과정, 상기 상품 제조자에 의해 생산된 상기 QR 코드를 부착한 상품을 이용하여, 광고 소비자로부터 상기 QR 코드를 통해 상기 광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의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 소비자의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광고주의 상품 및 서비스 특성에 부합하는 수요자 층에게 광고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 광고 소비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광고주 및 수요자 모두가 높은 만족도를 가지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위한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 연동 절차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QR 코드 DB(DataBase)의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DB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위한 QR 코드의 상태를 전환하는 맵핑(mapping)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위해 광고 콘텐츠 및 일반 QR 코드를 맵핑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위해 광고 콘텐츠 및 보상을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에서 동일 QR 코드에 맵핑된 광고 서비스들의 제공 방식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소비한 소비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다 구체적인 절차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상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를 이용하는 광고 서비스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식별 코드는 약속된 규칙에 따라 시각적인 방식으로 일정량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도형 또는 그래픽으로서, 일 예로, QR(Quick Response) 코드가 있다. QR 코드는 2차원 형식을 가지는 시각적 형태의 코드로서, 사각형의 가로 세로 격자무늬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일반적으로, QR 코드는 약 7,089자의 숫자, 약 4,296자의 문자, 약 2,953 바이트의 이진 문자, 약 1,817자의 한자 등을 저장할 수 있다. QR 코드는 빠른 인식속도 및 우수한 인식률, 그리고, 오류 복원 기능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하 설명에서 QR 코드가 예로서 제시되나, 다른 종류의 식별 코드에 대하여도 후술하는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위한 환경을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가 존재한다.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다양한 상품들(105a 내지 105c)에 부착된 다수의 QR 코드들(100a 내지 100c)에 대한 권한을 가진다. 여기서, 권한을 가짐은 해당 QR 코드들(100a 내지 100c)에 의해 제공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통해 연결 가능한 웹페이지를 관리함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QR 코드들(100a 내지 100c)을 통해 연결되는 웹페이지를 통해 특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가 보유한 장치(예: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QR 코드들(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를 판독하면, 해당 QR 코드에 담긴 URL 정보에 의해, 소비자는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의해 관리되는 웹페이지 중 하나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전 설정에 따라, 그 웹페이지를 통해 특정 광고 요청자의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다.
QR 코드들(100a 내지 100c)은 다양한 상품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들(100a 내지 100c)은 가구(105a), 옷(105b), 가전제품(105c)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상품에 부착되는 QR 코드들(100a 내지 100c)은 공장에서 상품 제조 고정 중 부착되거나, 또는 해당 상품의 제조 완료 후, 추가 공정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100b)는 옷(105b)의 소매, 전면, 후면, 어깨, 가슴 등 다양한 위치에 인쇄의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광고 및 QR 코드의 맵핑(mapping), QR 코드의 부착, 광고 콘텐츠 제공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 연동 절차를 도시한다. 도 2는 광고 및 QR 코드의 맵핑, QR 코드의 부착, 광고 콘텐츠의 제공을 아우르는 광고 서비스의 전반적인 절차로서, 광고 서비스 서버(110), 광고 요청자(220), 상품 제조자(230), 소비자(240) 간 이루어지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여기서, 광고 요청자(220)는 광고 서비스를 의뢰하는 주체를, 상품 제조자(230)는 QR 코드가 부착된 상품을 생산하는 주체를, 소비자(240)는 광고를 소비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광고 서비스 서버(110)의 운영 주체 및 상품 제조자(2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협력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광고 요청자(220)는 광고 서비스 서버(110)에 광고 서비스를 의뢰한다(S201 단계). 이에 따라,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22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220)를 위한 광고 서비스를 설정한다(S202 단계). 즉,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220)의 광고를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에 맵핑한다. 이때, 광고 서비스 서버(110)의 운영 주체 및 광고 요청자(220)는 광고가 맵핑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어느 상품에 부착할지 협의할 수 있다. 예컨데, 광고 요청자(220)의 상품이 면도기인 경우, 면도기 광고가 맵핑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는 남성용 셔츠에 부착되는 것으로 협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 상품 제조자(230)는 남성용 셔츠를 제조 및 판매하는 주체일 수 있다.
이후,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상품 제조자(230)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제공한다(S203 단계).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상품 제조자(230)의 장치로 웹페이지 또는 이메일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에 대한 정보(예: 이미지 파일, 데이터 값)를 송신한다. 이때, QR 코드는 하나이거나 다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품 제조자(230)는 QR 코드가 부착된 상품을 제조한다. 여기서, 동일 모델의 상품들에 동일 QR 코드가 부착되거나, 또는 동일 모델의 상품이더라도 개개 상품마다 구분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QR 코드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이후, 소비자(240)는 QR 코드가 부착된 상품 제조자(230)의 상품을 구매한다(S204 단계). 경우에 따라, S203 단계 및 S204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오프라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소비자(240)는 상품에 부착된 QR 코드를 통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에 광고를 요청한다(S205 단계). 이는, 소비자(240)가 보유한 장치를 통해 QR 코드를 판독함으로써 해당 URL에 의해 지시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동작이다. 이에 따라,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콘텐츠를 송신한다(S206 단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제어부(302), 통신부(304), QR 코드 DB(DataBase)(306), 광고 DB(308)를 포함한다.
제어부(302)는 광고 서비스 서버(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2)는 QR 코드를 발행하고, QR 코드 및 광고를 맵핑하고, 광고 콘텐츠 및 보상을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들을 처리한다. 제어부(3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04)는 외부 통신망에 접속하고, 데이터/신호/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04)는 인터넷 망, 무선 통신망, 모바일 통신망 등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04)는 신호의 변복조, 증폭, 필터링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QR 코드 DB(306)는 광고 서비스 서버(110)가 관리하는 QR 코드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새로운 QR 코드 생성 시, 제어부(302)는 QR 코드 DB(306)에 생성된 QR 코드에 대한 레코드를 추가한다. 그리고, 광고가 QR 코드에 맵핑시, 제어부(302)는 해당 QR 코드의 레코드에 맵핑 정보를 추가한다. 또한, QR 코드에 맵핑된 광고에 대한 설정 변경 시, 제어부(302)는 해당 QR 코드의 레코드의 설정 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QR 코드 DB(306)는 이하 도 4a와 같이 구축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QR 코드 DB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와 같이, QR 코드 DB(306)는 각 QR 코드에 대하여 ID(identifier)(411), URL(412), 상품 ID(413), 현재 상태(414), 맵핑된 광고 ID(415), 광고 요청자 ID(416)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광고 DB(308)는 QR 코드들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신규 광고 서비스 의뢰 시, 제어부(302)는 광고 DB(308)에 새로운 광고에 대한 레코드를 추가한다. 그리고, 광고가 QR 코드에 맵핑시, 제어부(302)는 해당 광고의 레코드에 맵핑 정보를 추가한다. 또한, 광고에 대한 설정 변경 시, 제어부(302)는 해당 광고의 레코드의 설정 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광고 DB(306)는 이하 도 4b와 같이 구축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DB의 예를 도시한다. 도 4b와 같이, 광고 DB(308)는 각 광고에 대하여 ID(421), 맵핑된 QR 코드 ID(422), 콘텐츠 소스(423)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하나의 광고에 대하여 다수의 QR 코드들이 맵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220)의 의뢰에 따라 QR 코드를 발행하고, QR 코드 및 광고를 맵핑한다(S501 단계). 즉,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220)의 의뢰 정보를 수신한다. 의뢰 정보는 광고 요청자(220)로부터 송신되거나(예: 웹페이지를 통한 전달 등), 또는 광고 서비스 서버(110)에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의뢰 정보는 광고에 대한 정보(예: 대상 상품/서비스, 광고 콘텐츠 등), QR 코드를 부착하고자 하는 상품, 상품에서 QR 코드가 부착될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상품 제조자(230)에게 QR 코드를 송신한다(S502 단계).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QR 코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웹사이트를 통해 또는 이메일을 통해 송신한다. 경우에 따라, QR 코드의 전달은 오프라인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S502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나아가,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해당 QR 코드를 부착할 상품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가 맵핑된 QR 코드를 부착할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광고 요청자(220)에 의해 상품이 지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서비스 의뢰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지정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광고 요청자(220)에 의해 상품이 지정되지 아니한 경우,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의 특성(예: 상품 종류, 수요자 층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적절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용품에 대한 광고인 경우, 운동복, 운동화 등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상품에서 해당 QR 코드를 부착할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QR 코드를 부착할 위치를 선택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광고 요청자(220)에 의해 위치가 지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220)의 서비스 의뢰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광고 요청자(220)에 의해 위치가 지정되지 아니한 경우,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의 특성(예: 상품 종류, 수요자 층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적절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S503 단계). 광고 콘텐츠에 대한 요청은 광고가 맵핑된 QR 코드에 의해 지시되는 웹페이지로의 소비자(240)의 접속을 의미한다. 이때, 소비자(240)는 광고 서비스 서버(110)를 위해 설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소비자(240)에게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다(S504 단계). 이를 위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DB(308)에서 광고에 대한 광고 콘텐츠 소스 정보를 확인한다. 광고 콘텐츠는 광고 서비스 서버(110)에 저장되거나 또는 연동되는 다른 서버에 저장될 수 있고, 이 경우,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직접 또는 다른 서버에 요청하여 광고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광고 콘텐츠가 광고 요청자(220), 광고주 중 연동되지 아니하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경우,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그 외부 서버로 소비자(240)의 접속을 리디렉션(redirection)할 수 있다. 즉, 광고 콘텐츠는 광고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직접 스트리밍되거나, 또는 다른 서버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직접 광고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거나, 다른 서버에 요청함으로써, 광고 콘텐츠를 소비자(240)의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220)의 광고 특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QR 코드를 부착할 상품 및 QR 코드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미리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과거 제공된 광고 서비스들에 기반하여, 다양한 상품들에 대한 QR 코드의 부착 위치 별 광고 소비의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의 소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품 및 위치를 파악하고, 그 상품 및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에 QR 코드를 부착하고, 부착된 QR 코드를 통해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품 제조자(230)는 광고 요청자(220)로부터 대가를 지급받고, 그 대가의 정도에 따라 상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소비자(240)는 낮아진 상품의 가격을 경험하게 되고, 이에 따라 QR 코드가 부착된 상품을 기꺼이 구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240)가 가격의 이득을 얻기는 하나, 추가적인 이익이 없다면 QR 코드를 통해 광고를 소비할 동기 부여가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품에 부착된 QR 코드를 통한 광고의 소비 횟수를 카운팅하고, 그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함을 조건으로,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일정 보상(예: 페이백)을 추가 제공할 수 있다. 보상은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현금(예: 카카오페이™, 토스™, 네이버페이™ 등 현존하는 서비스를 이용), 포인트, 모바일 상품권 등의 다양한 형태의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보상은 광고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직접 제공되거나, 또는 광고 요청자(23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즉,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직접 보상을 처리하거나, 다른 주체에게 요청함으로써, 소비자(240)에게 광고의 소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가 요청될 시 해당 광고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 QR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어느 상품을 통해 광고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광고 소비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보상의 제공을 위해, 소비자(240)가 광고의 요청 시 광고 서비스 서버(110)로 개인정보(예: 전화번호 등)를 제공하는 동작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단, QR 코드의 판독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된다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별도의 절차 없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위한 QR 코드의 상태를 전환하는 맵핑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특정 QR 코드에 대하여, 상품 생산 시 맵핑된 광고를 위한 전용 QR 코드로 사용한다(S601 단계). 이에 따라, 해당 QR 코드에 대하여, 도 5을 참고하여 설명된 실시 예가 수행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계약 기간이 만료되는지 확인한다(S602 단계). 즉, 광고 요청자(220)와의 상품 제조에 따른 광고 의뢰 시, 일정 계약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계약 기간이 만료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해당 QR 코드를 일반 QR 코드로 전환한다(S603 단계). 이에 따라, 해당 QR 코드는 다른 광고 요청자의 광고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QR 코드의 상태가 전용 QR 코드에서 일반 QR 코드로 전환된다. 이를 위해, 도 4a를 참고하여 설명한 QR 코드 DB(306)는 전용 또는 일반을 나타내는 필드(예:'전용/일반'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기간의 경과에 따라 QR 코드가 일반 QR 코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현재 전용 QR 코드로서 사용되는 동안의 광고 제공 실적에 기반하여 일반 QR 코드로의 전환 여부가 지연될 수 있다. 예컨데, 전용 QR 코드로서 전용적으로 매핑된 광고의 요청이 빈번하다면, 전용 QR 코드를 유지하는 것이 광고주에게 유리할 것이고, 광고 서비스 서버(110)의 운영자는 추가 광고비를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계약 기간 만료 시, 해당 QR 코드를 즉시 일반 QR 코드로 전환하지 아니하고, 전환 여부를 문의하는 동작을 수행할 있다. 예를 들어, 전환 여부를 문의하는 동작은 광고 서비스 서버(110)에 연결된 출력 장치(예: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전환 여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 또는 운영자의 장치로 전환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환 여부를 문의하기 위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기간 만료 시 해당 QR 코드에 매핑된 광고에 대한 통계 정보(예: 월별/일별 광고 제공 횟수, 월단위/일단위 광고 제공 횟수 변화량 등)를 수집한다. 그리고,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전환 지연의 필요성에 대한 등급을 결정한다. 여기서 등급은 단위 기간 동안 광고 소비가 감소하는 제1 등급, 유지되는 제2 등급, 증가하는 제3 등급으로 나뉠 수 있고, 제3 등급은 증가량에 따라 다시 세분화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수집된 통계 정보, 결정된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대응 광고 요청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 또는 메시지를 생성 후, 이를 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운영자의 장치로 송신한다.
나아가, 결정된 등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즉,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전환 지연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예: 3등급 이상),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에게도 전환 지연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QR 코드 DB(306)에서 해당 QR 코드에 대응하는 광고 요청자 ID를 확인하고, 광고 요청자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QR 코드가 일반 QR 코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품에 부착되어 소비자들에게 배포된 QR 코드들이 일반 QR 코드들로 전환되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의 운영자는 소비자들과 가까운 거리에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시설(infrastructure)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광고 서비스 서버(110)의 운영자는 이러한 기반 시설을 통해 추가적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단 QR 코드로 전환된 QR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요청자의 의뢰에 따라 광고와 맵핑될 수 있다. 이때, 전용 QR 코드와 달리,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다양한 설정(예: 시간대 설정, 횟수 제한 등)을 부가할 수 있으며, 광고를 소비한 소비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설정을 부가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광고 DB(308)은 광고에 부가된 설정 사항들을 나타내는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이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위해 광고 콘텐츠 및 일반 QR 코드를 맵핑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구매 가능한 광고 서비스 옵션 정보 송신한다(S701 단계). 다시 말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220)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광고 의뢰를 위한 페이지를 선택하면, 웹사이트를 통해 현재 구매 가능한 광고 서비스의 옵션들을 표시하기 위해, 옵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옵션은 구매 가능한 QR 코드들에 관련된 상품 정보(예: 상품 종류, 상품 판매 시기, QR 코드가 부착된 위치 등), 광고 제공에 대한 설정(예: 제공 횟수 제한, 제공 시간대 제한 등) 등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S701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의뢰 정보 수신한다(S702 단계). 광고 의뢰 정보는 광고 요청자(220)에 대한 정보,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 광고 대상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광고 의뢰 정보는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상품에 대한 정보, 광고 제공에 대한 설정 내용(예: 횟수, 시간대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의 제공 방식을 결정한다(S703 단계). 다시 말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를 어느 상품의 QR 코드를 이용하여 제공할지, 어느 시간대에 제공할지, 횟수 제한을 부여할지, 횟수 제한이 있다면 몇 회로 제한할지 등 광고의 제공 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결정한다. 결정되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고 요청자(220)에 의해 지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결정되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고 서비스 서버(110)의 광고 요청자(220)의 광고에 관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 용품에 관련된 광고 서비스가 의뢰된 경우, QR 코드를 부착한 상품으로서 축구와 관련된 상품(예: 축구화, 축구 유니폼 등)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직장인 남성들에게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예: 넥타이)에 관련된 광고 서비스가 의뢰된 경우, QR 코드를 부착한 상품으로서 남성용 셔츠가 선택될 수 있다.
이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의 광고 콘텐츠 및 QR 코드를 맵핑한다(S704 단계). 즉,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DB(308)에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하고, QR 코드 DB(306) 및 광고 DB(308)의 해당 레코드들에 맵핑 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하나의 QR 코드에 시간대 별로 서로 다른 광고들이 맵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위해 광고 콘텐츠 및 보상을 제공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QR 코드를 통한 광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S801 단계). 요청은 QR 코드에 의해 지시되는 URL을 이용한 웹페이지의 접속 요청으로, HTTP REQUEST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QR 코드에 맵핑된 광고를 확인한다(S802 단계). 즉,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QR 코드 DB(306)에서 URL에 대응되는 QR 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QR 코드에 맵핑된 광고를 확인한다. 추가적으로,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DB(308)를 이용하여 확인된 광고에 부여된 옵션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QR 코드에 맵핑된 광고를 확인한 후,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요청을 송신한 소비자(240)의 장치로 광고를 제공한다(S802 단계). 광고 콘텐츠는 광고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직접 스트리밍되거나, 또는 다른 서버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직접 광고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거나, 다른 서버에 요청함으로써, 광고 콘텐츠를 소비자(240)의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보상에 대한 조건이 충족되는지 확인한다(S803 단계). 즉, 보상은 단순히 광고 콘텐츠를 수신함만으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조건이 충족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보상은 광고 콘텐츠의 일정양 이상을 소비함(예: 정해진 비율 이상의 시간 동안 소비, 정해진 값 이상의 시간 동안 소비)을 조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일 장치에서의 동일 광고 콘텐츠 소비를 제한하는 것에 관련된 조건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보상에 대한 조건이 충족됨이 확인되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보상을 제공한다(S804 단계).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요청자(220)에게 보상 제공을 요청하거나, 또는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소비자(240)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도 8에 미도시되었으나,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소비자(240)에게 필요한 정보(예: 전화번호, ID 등)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소비자(240)가 광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광고 소비 과정에서 가입 절차 등이 선행되며,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가입 절차를 통해 소비자(240)에 대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절차에 의하면, QR 코드에 맵핑된 광고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하나의 QR 코드에 복수의 광고들이 맵핑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고들은 이하 도 9a 및 도 9b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QR 코드를 공유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에서 동일 QR 코드에 맵핑된 광고 서비스들의 제공 방식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9a는 시간대에 따라 다른 광고가 제공되는 예이다. 도 9a를 참고하면, 하나의 QR 코드에 광고A, 광고B, 광고C가 맵핑되어 있다. 이때, 3개의 광고들, 즉, 광고A, 광고B, 광고C는 시간대를 구분하여 QR 코드를 공유한다. 즉, 시간대#1(911) 동안 해당 QR 코드를 판독하면, 광고A가 제공되고, 시간대#2(912) 동안 해당 QR 코드를 판독하면, 광고B가 제공된다. 그리고, 시간대#3(913) 동안 해당 QR 코드를 판독하면, 광고C가 제공된다.
도 9b는 횟수에 따라 광고가 전환되는 예이다. 도 9b를 참고하면, 하나의 QR 코드에 광고A, 광고B, 광고C가 맵핑되어 있다. 이때, 3개의 광고들, 즉, 광고A, 광고B, 광고C는 횟수의 만족에 따라 전환된다. 즉, 최초 광고A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광고A가 N회 제공되면, 해당 QR 코드는 더이상 광고A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지 아니하고, 광고B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사하게, 광고B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광고B가 M회 제공되면, 해당 QR 코드는 더이상 광고B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지 아니하고, 광고C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광고의 제공 횟수는 광고 콘텐츠의 송신 횟수를 기준으로 카운팅되거나, 또는 보상의 제공 횟수를 기준으로 카운팅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소비한 소비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다 구체적인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은 보상에 대한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 소비량을 확인한다(S1001 단계). 즉,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소비자(240)의 장치로 어느 정도 양의 광고 콘텐츠가 송신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양은 전체 시간 대비 소비된 시간의 비율, 소비된 시간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일정량 이상의 광고가 소비되었는지 확인한다(S1002 단계). 여기서, 일정량은 광고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일정량은 광고의 효과가 예상되는 정도의 양으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80% 이상의 러닝타임에 해당하는 양이 소비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정량 이상의 광고가 소비되지 않았으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보상을 제공하지 아니하고 종료한다.
일정량 이상의 광고가 소비되었으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광고를 요청한 소비자(240)의 장치의 광고 소비 이력을 확인한다(S1003 단계). 즉,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소비자(240)의 장치가 과거에 본 서비스를 통해 광고 콘텐츠를 수신한 경험을 가지는지, 광고 콘텐츠를 수신한 시각은 언제인지 확인한다. 이에 따라,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소비자(240)의 장치에서 발생한 광고의 소비 패턴 또는 빈도, 소비된 광고의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동일한 장치에서 동일 광고를 일정 기간 내 소비하였는지 확인한다(S1004 단계). 이는 보상의 부당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반복적 광고 소비를 방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여기서, 일정 기간은 광고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날 동일 장치에서 1회 이상의 광고 소비가 금지되거나, 연속된 2회의 광고 소비 간 시간 간격이 임계 시간 이상일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동일한 장치에서 동일 광고를 일정 기간 내 소비하였으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보상을 제공하지 아니하고 종료한다.
동일한 장치에서 동일 광고를 일정 기간 내 소비하지 않았으면, 광고 서비스 서버(110)는 보상을 제공한다(S1005 단계).
도 10의 실시 예는 2개의 조건들을 조합한다. 일정량 이상의 광고 소비, 이전 광고 소비와 일정 시간 이상의 간격 등의 조건이 요구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조건들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른 조건이 더 추가되거나, 다른 조건이 2개의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대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고 서비스 서버가, 광고 요청자의 장치로부터 수신된 광고 서비스 의뢰 정보에 따라 광고를 일반 QR(Quick Response) 코드에 맵핑(mapping)함으로써, 상기 광고 서비스 의뢰 정보에 포함되는 계약 기간 동안 상기 일반 QR 코드를 상기 광고를 위한 전용 QR 코드로 상태 전환하는 과정;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용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품 제조자의 장치에게 송신하는 과정;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계약 기간이 만료되기 전, 상기 상품 제조자에 의해 생산된 상품에 부착된 상기 전용 QR 코드를 판독한 광고 소비자의 장치로부터 상기 광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광고의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 소비자의 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상기 계약 기간이 만료되면,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용 QR 코드에 맵핑된 광고에 대한 통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일반 QR 코드로의 복원을 지연할 필요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등급을 결정하는 과정, 등급은 단위 기간 동안 광고 소비가 감소하는 제1 등급, 광고 소비가 유지되는 제2 등급, 광고 소비가 증가하는 제3 등급 중 하나이고;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계 정보 및 상기 등급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등급이 제3 등급인 경우,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광고 요청자의 장치로 상기 일반 QR 코드로의 복원의 지연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용 QR 코드를 부착할 상기 상품 및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 및 상기 위치는, 과거 제공된 광고 서비스에 대한 통계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의 운영자의 장치로 상기 통계 정보 및 상기 등급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용 QR 코드를 통한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 소비자의 장치에서 일정량 이상의 광고 소비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일정량 이상의 광고 소비가 발생하면,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일정 기간 내에 동일 장치에 의한 동일 광고의 소비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
    일정 기간 내에 동일 장치에 의한 동일 광고의 소비가 발생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광고 소비자의 장치로 상기 광고의 소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의류에 속하는 상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상기 일반 QR 코드에 맵핑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 서비스 의뢰 정보에 의해 지정된 상품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상품에 부착된 복수의 QR 코드들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QR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상기 일반 QR 코드에 맵핑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QR 코드 DB(database)에서 상기 일반 QR 코드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상품 ID, 현재 상태, 맵핑된 광고 ID, 광고 요청자 ID의 값들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광고 DB에 상기 광고에 ID, 맵핑된 QR 코드 ID, 콘텐츠 소스를 포함하는 새로운 광고 레코드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상기 일반 QR 코드에 맵핑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광고를 제공할 시간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결정된 시간대에 요청이 수신되는 때 상기 광고의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를 상기 일반 QR 코드에 맵핑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광고를 제공할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결정된 횟수만큼 상기 광고의 광고 콘텐츠를 제공되면, 상기 광고의 제공이 중단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용 QR 코드를 부착할 상기 상품 및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 및
    광고 서비스 서버가, 상기 상품 제조자의 장치에게 상기 상품 및 상기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KR1020180083735A 2018-07-18 2018-07-18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6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35A KR102061902B1 (ko) 2018-07-18 2018-07-18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18/008319 WO2020017681A1 (ko) 2018-07-18 2018-07-24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35A KR102061902B1 (ko) 2018-07-18 2018-07-18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902B1 true KR102061902B1 (ko) 2020-01-02

Family

ID=6915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735A KR102061902B1 (ko) 2018-07-18 2018-07-18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1902B1 (ko)
WO (1) WO20200176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367A (ko) 2020-08-28 2022-03-08 임복희 암호화 매체를 이용한 상품 포장재의 광고 매칭 서비스 및 광고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광고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215B1 (ko) * 2012-02-06 2014-05-21 (주)디오티컴퍼니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101718991B1 (ko) 2016-09-25 2017-03-23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Ar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00163B1 (ko) * 2016-08-25 2017-11-22 김종진 에너지 절약 이동식 화장실을 이용한 소통형 광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489A (ko) * 2010-11-26 2012-07-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코드 기반의 가격 비교 서비스 및 프로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333070B2 (ja) * 2014-05-29 2018-05-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41471A (ko) * 2014-10-07 2016-04-18 김상백 고객 성향을 이용한 광고 및 포인트 보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215B1 (ko) * 2012-02-06 2014-05-21 (주)디오티컴퍼니 식별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101800163B1 (ko) * 2016-08-25 2017-11-22 김종진 에너지 절약 이동식 화장실을 이용한 소통형 광고 시스템
KR101718991B1 (ko) 2016-09-25 2017-03-23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Ar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367A (ko) 2020-08-28 2022-03-08 임복희 암호화 매체를 이용한 상품 포장재의 광고 매칭 서비스 및 광고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광고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681A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12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advertising campaign optimization
KR101901840B1 (ko)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데이터 교환
US8694367B2 (en) Coupon social networking platform
KR20150130282A (ko) 실시간 비딩용 지능형 플랫폼
JP6381646B2 (ja) 広告のタイプおよび配置に基づく値引きを用いた広告選択および価格設定
CA2854348A1 (en) Management of dynamic email content
KR20090118844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상품
US201002870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oupon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network
KR20170004251A (ko) 인터넷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JP2014527653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に於けるプロダクト及びサービス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20120075612A (ko) 타겟팅 및 효과분석을 이용한 양방향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43094A1 (en) Presenting a content item to an online system user including content dynamically generated by the online system for the user
KR20160027575A (ko) 푸쉬 메시지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
KR102061902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US10395265B2 (en) Crowd sourcing coupon redemption information
US8935327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nterfacing assets of an entity with a social media service
KR102433693B1 (ko) 다양한 컨텐츠 마케팅 제작을 구비한 온라인 마케팅광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064144A (ja) 中継サーバ、及び広告配信システム
JP202106420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486302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管理装置
KR101970355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장소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043084A1 (en) Applying a competitiveness value in determining a content item to present to a user of an online system
KR102427356B1 (ko) Dsp 서비스 장치
KR101687366B1 (ko) 인터넷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JP2013037577A (ja) 情報表示面イメージ表示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方法、装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