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20B1 -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20B1
KR101392020B1 KR1020120128019A KR20120128019A KR101392020B1 KR 101392020 B1 KR101392020 B1 KR 101392020B1 KR 1020120128019 A KR1020120128019 A KR 1020120128019A KR 20120128019 A KR20120128019 A KR 20120128019A KR 101392020 B1 KR101392020 B1 KR 101392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ing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종
김인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는 사출 성형기용 하우징을 덮는 덮개부; 및 덮개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탄성 부재로 구성된 잠금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LOCK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신속한 개폐가 가능하고, 떨림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기는 플라스틱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재료 공급 장치, 공급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용융시키는 사출 장치 및 용융된 재료를 사출하여 금형에 주입함으로써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게 하는 형체 장치 등으로 다양한 장치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료 공급 장치, 사출 장치 및 형체 장치 등의 다양한 장치들은 하우징에 마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내부에서 일련의 사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재료 공급을 위해서 하우징 내부의 재료 공급 장치에 접근할 있고 또는 각 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개별적인 해당 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우징에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을 개폐할 수 있는 잠금 장치가 마련된다.
하우징의 잠금을 위하여, 종래에는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하여 잠그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볼트로 체결하는 경우 잠금 장치를 개폐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볼트 장치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잠금 장치와 하우징이 볼트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사출 공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의 충격에 의하여 떨림과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KR10-1040807 B1 (2010.10.1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 성형기의 하우징을 개폐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사출 성형기의 외관을 개선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출 공정 동안의 하우징의 떨림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는 사출 성형기용 하우징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탄성 부재로 구성된 잠금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일 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는 사출 성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며, 고정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잠금 구조물로 구성된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일 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 구조물의 제2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일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방향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출 성형기를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잠금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 및 사출 성형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1)는 내부에 사출 성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하우징(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에는 사출 성형을 위한 플라스틱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재료 공급 장치, 공급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용융시키는 사출 장치 및 용융된 재료를 사출하여 금형에 주입함으로써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게 하는 형체 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장치들이 내부에 탑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된 상태로 탑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우징(10)은 4개의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역에 잠금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출 성형기(1)는 각각의 구역에 탑재된 장치를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하여 해당 잠금 장치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사출 성형기(1)의 어느 한 구역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잠금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1)는 하우징(10)과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잠금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H) 상에서 잠금 장치가 고정됨으로써 사출 성형기(1)의 어느 한 구역이 잠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H)과 그에 대응하는 수의 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구역에서도 하나 이상의 잠금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덮개부(20)와 상기 덮개부(20)에 형성되는 잠금 구조물(30)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구조물(30)은 제1 프레임(31), 제2 프레임(32) 및 탄성 부재(33)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하우징(10) 내부에 탑재되는 장치들을 관찰하거나, 집어넣거나, 꺼내거나, 또는 수리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마련된 오픈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20)에서 상기 하우징(10)의 고정홀(H)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 구조물(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덮개부(20)가 하우징(10)을 덮음으로써 고정홀(H)에 잠금 구조물(30)이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 구조물(30)은 상기 덮개부(20)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고정홀(H)을 관통하는 제1 프레임(3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31)은 상기 덮개부(20)에서 하우징(10)의 고정홀(H)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H)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잠금 구조물(30)의 제2 프레임(32)은 상기 제1 프레임(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덮개부(20)가 하우징(10)을 덮는 상태에 상기 제2 프레임(32)은 상기 하우징(10)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과 제2 프레임(32) 사이에는 탄성 부재(33)가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덮개부(20)가 상기 하우징(10)을 덮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과 제2 프레임(32)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덮개부(20)가 상기 하우징(10)을 덮는 상태의 경우 상기 덮개부(20)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덮개부(20)와 상기 하우징(10)을 고정시켜 잠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33)는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덮개부(2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두 부재 사이의 진동, 충격 등의 이유로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흡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덮개부(20)가 직접 접촉하여 체결되는 볼트 장치의 경우, 진동 등의 떨림이 발생되면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덮개부(20)가 직접 접촉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33)가 잠금 장치와 하우징(1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떨림 등을 탄성 부재(33)에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사출 공정이 진행을 이유로 또는 제품의 운반, 수리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진동과 떨림을 감소시켜 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출 성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33)는 일 단이 상기 제2 프레임(32)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덮개부(20)가 하우징(10)을 덮는 상태에서는 일 단은 제2 프레임(32)에 고정되고, 타 단 또는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서 하우징(10)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20)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상기 하우징(10) 상에 덮개부(20)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H)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20)에 상기 고정홀(H)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 구조물(3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H)과 상기 잠금 구조물(30)은 하우징(10) 또는 덮개부(20) 상에 어떠한 위치에도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우징(10)에 어떠한 위치에 고정홀(H)을 형성하더라도 그에 대응하는 덮개부(20)에 잠금 구조물(30)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잠금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수의 잠금 장치가 형성된 사출 성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20)의 일 면에 하나 이상의 잠금 구조물(3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덮개부(20)의 타 면에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손잡이(40)를 사용하여 상기 하우징(10) 상에 덮개부(20)를 덮음으로써 간단하게 사출 성형기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고, 덮개부(20)를 잡아당김으로써 간단하게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은 소정의 각을 형성하도록,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 구조물(30)의 제2 프레임(32)은 어느 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그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가하여야만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의 잠금 장치는 상기 덮개부(20)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향하여 끌어올리거나 위로 잡아당김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에 하우징(10)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20)를 단순히 평행하게 잡아당기는 경우와 같이 다른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이 하우징(10)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결국, 덮개부(20)를 위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해야만 상기 잠금 구조물(30)은 상기 고정홀(H)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만 덮개부(20)가 오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2 프레임(32)이 위를 향하도록 형성하여, 아래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해야만 잠금 구조물(30)이 이탈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프레임(32)의 배치 방향을 바꾸어 잠금 구조물(30)이 이탈되어 해제되는 방향을 바꿀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만 잠금 구조물(30)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임의로 잠금 구조물(30)이 해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덮개부(20)를 하우징(10) 상에 고정할 수 있는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고, 신속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잠금 장치 및 사출 성형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접근성이 향상된 사출 성형기를 제공할 수 있다. 결국, 간편하게 사출 성형기를 개방시키고 잠글 수 있어, 유지 및 보수가 보다 간편한 사출 성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볼트 장치의 일부분이 외부로 반드시 노출되게 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 잠금 장치가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출 성형기의 외관에 로고를 형성하는 등, 더욱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품의 사용성 및 상품성이 증대된 사출 성형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사출 성형기
10: 하우징
20: 덮개부
30: 잠금 구조물
31: 제1 프레임
32: 제2 프레임
33: 탄성 부재

Claims (8)

  1. 사출 성형기용 하우징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탄성 부재로 구성된 잠금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일 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4. 사출 성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며, 고정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잠금 구조물로 구성된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일 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서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 구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구조물의 제2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일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방향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
KR1020120128019A 2012-11-13 2012-11-13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KR101392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019A KR101392020B1 (ko) 2012-11-13 2012-11-13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019A KR101392020B1 (ko) 2012-11-13 2012-11-13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020B1 true KR101392020B1 (ko) 2014-05-07

Family

ID=5089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019A KR101392020B1 (ko) 2012-11-13 2012-11-13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0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514A (ja) 2003-07-31 2005-03-03 Yoshino Kogyosho Co Ltd 容易に開閉可能な密閉蓋体を有する密閉容器
JP2009133392A (ja) 2007-11-30 2009-06-18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の付属保護カ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514A (ja) 2003-07-31 2005-03-03 Yoshino Kogyosho Co Ltd 容易に開閉可能な密閉蓋体を有する密閉容器
JP2009133392A (ja) 2007-11-30 2009-06-18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の付属保護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17B1 (ko) 연료도어의 하우징 장치
JP2005270643A5 (ko)
JP2013173613A (ja) エレベータ用機器箱
KR101392020B1 (ko) 사출 성형기용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CN105291392A (zh) 注射成型机的防止树脂飞散罩
ITTO20120606A1 (it) Dispositivo fermaporta con una porzione di fissaggio senza viti
JP4433277B2 (ja) 基板ボックスの取付構造
US20120074606A1 (en) Injection moulding method for optional manufacturing of moulded parts with or without a breakthrough
ATE499275T1 (de) DIEBSTAHLSCHUTZ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UND BEFESTIGEN EINES KOFFERS AN EINEM MOTORRAD- GEPÄCKTRÄGER
JP2006230696A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100604369B1 (ko) 글러브 박스의 개폐장치
KR101250689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KR200494479Y1 (ko) 제빙기용 트레이 걸림장치 및 이를 갖는 제빙기
JP3958309B2 (ja) 射出成形機
KR102193236B1 (ko) 잠금장치를 갖는 가이드레일을 미닫이 창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KR200466249Y1 (ko) 냉장 및 냉동고의 캣쳐에 구비된 스트라이커 커버캡
KR102178493B1 (ko) 사출 성형기의 형체장치
JP3137207U (ja) 標本ボックス
KR200379167Y1 (ko) 산업 기계장비의 도어고정용 마그넷 홀더
TWM500667U (zh) 工具盒扣具防鬆脫構造
JP4283206B2 (ja) 遊技機
KR20180001536U (ko) 투명창과 손잡이가 공용화된 고정 구조를 가지는 산업용 기계의 안전문
KR101204544B1 (ko) 보호커버가 구비된 안전 자물쇠
JP2004267341A (ja) 遊技機
JP5476113B2 (ja) ロック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