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706B1 -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706B1
KR101390706B1 KR1020120111844A KR20120111844A KR101390706B1 KR 101390706 B1 KR101390706 B1 KR 101390706B1 KR 1020120111844 A KR1020120111844 A KR 1020120111844A KR 20120111844 A KR20120111844 A KR 20120111844A KR 101390706 B1 KR101390706 B1 KR 101390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olymer composite
permanent magnets
polymer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636A (ko
Inventor
우삼용
송한욱
양태헌
김민석
박연규
최인묵
이성준
이기성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11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706B1/ko
Priority to PCT/KR2013/002315 priority patent/WO2014058115A1/en
Publication of KR2014004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20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out armatures
    • H01F7/202Electromagnets for high magnetic field str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압력감응을 위한 폴리머 복합체에 있어서, 비전도성 폴리머;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제 1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제 2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에 혼합된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POLYMER COMPOSITE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COMPOSITE}
본 발명은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고무, 실리콘 등은 일반적으로 절연재료이지만, 금속이나 탄소 등 도전재료를 배합함으로써 도전성(導電性) 고무 또는 실리콘이 될 수 있다.
이때, 고무 내지 실리콘에 섞는 재료 및 비율에 따라 항상 전기가 통하는 도전성 고무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누르는 압력에 따라 도전율이 변화되는 압력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카본 블랙이나 금속 섬유 등을 고무 내지 실리콘에 섞으면 전기가 통하게 되고, 대전(帶電) 방지 재료로서 실용화되고 있다.
더 나아가, 일렉트로닉스(electronics)기술의 진보에 따라 접점(接點) 재료, 도전성 접착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도전성 고무 등은 누르는 압력에 따라 도전율이 변화되는 압력감응재료(Pressure-Sensitive Material)로도 활용가능하다.
한편, 압력감응재료는 고무 내지 실리콘 내부에 도전성 입자들의 분포를 균일하게 제작하기 어려워, 균일한 성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압력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 감지하는 전극사이의 수평간격이 가까울 경우 수평방향의 전기가 흘러 간섭이 발생되어 작은 다수의 배열로 만들기가 용이하지 않아 집적 어레이로 제작할 경우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밀한 영역과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소한 영역으로 구성된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압력감응을 위한 폴리머 복합체에 있어서, 비전도성 폴리머;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제 1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제 2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에 혼합된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는 상기 제 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의 분포보다 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보다 소하게 분포된 입자를 포함하는 제 2-1 영역; 및 밀하게 분포된 입자와 소하게 분포된 입자를 랜덤(random)하게 포함하는 제 2-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는 소정 형태로 정렬되어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는 상기 제 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의 분포보다 밀하고, 소정 형태로 정렬되어 분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생성된 전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강자성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강자성 코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자기장을 전달하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강자성 코어의 일단과 타단은 복수의 서브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코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일단의 서브 코어와 상기 타단의 서브 코어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 근접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은 자기패스를 형성하기 위해, 강자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강자성코어는 철, 코발트, 니켈, 스테인리스스틸(SUS) 중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은 상하 대칭으로 위치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상하 대칭으로 위치된 복수의 영구자석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장을 생성하는 전압소스; 및 상기 생성된 전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여 대칭으로 구성된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되,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도성 금속의 일단은 복수의 금속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금속 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서브 금속 돌기와 상기 전도성 금속의 타단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항의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코일이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강자성 코어가 상기 생성된 전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강자성 코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자기장을 전달하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강자성 코어의 일단과 타단은 복수의 서브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코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이 생성하는 전자기장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형태 또는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와 전자기장을 전달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폴리머 복합체가 상기 일단의 서브 코어와 상기 타단의 서브 코어 중간에 위치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영구자석이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 근접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복수의 영구자석이 강자성 코어에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은 상하 대칭으로 위치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가 상기 상하 대칭으로 위치된 복수의 영구자석 중간에 위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압소스가 전기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전도성 금속이 상기 생성된 전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도성 금속은 상기 생성된 전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여 대칭으로 구성되고,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도성 금속의 일단은 복수의 금속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금속 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서브 금속 돌기와 상기 전도성 금속의 타단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솔레노이드 코일이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강자성 코어가 상기 생성된 전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강자성 코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자기장을 전달하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강자성 코어의 일단과 타단은 복수의 서브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코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복수의 영구자석이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 근접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압소스가 전기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전도성 금속이 상기 생성된 전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도성 금속은 상기 생성된 전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여 대칭으로 구성되고,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도성 금속의 일단은 복수의 금속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금속 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밀한 영역과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소한 영역으로 구성된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b를 밀한 영역, 소한영역, 랜덤영역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밀한 영역에서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소한 영역에서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1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제 1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7b는 도 5의 제 1 장치와 도전성 고무 간의 위치에 따른 결과를 그래프로 비교한 것이다.
도 8a 및 도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2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도 8a 및 도8 b의 제 2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흐름도이다.
도 10는 도 8a 및 도8 b의 제 2 장치와 도전성 고무 간의 위치에 따른 결과를 그래프로 비교한 것이다.
도 11a 및 도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3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4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 4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고무, 실리콘 등은 일반적으로 절연재료이지만, 금속이나 탄소 등 도전재료를 배합함으로써 도전성(導電性) 고무 또는 실리콘이 될 수 있다.
이때, 고무 내지 실리콘에 섞는 재료 및 비율에 따라 항상 전기가 통하는 도전성 고무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누르는 압력에 따라 도전율이 변화되는 압력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카본 블랙이나 금속 섬유 등을 고무 내지 실리콘에 섞으면 전기가 통하게 되고, 대전(帶電) 방지 재료로서 실용화되고 있다.
더 나아가, 일렉트로닉스(electronics)기술의 진보에 따라 접점(接點) 재료, 도전성 접착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전성 고무(conductive rubber) 상단에 전기적 접점을 위치시키고 아래에는 적어도 하나의 행, 열 또는 면으로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촉각센서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스위치(Multi Switch), 압력감지장치 등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에 위치되는 접점은 개별적인 전극을 형성하지 않고 자유롭게 접점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접점은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에 위치되는 접점은 끝이 구형 또는 뾰족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표면전하밀도가 높으면서 적절한 거리까지 고 전기장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단에 전기적 접점을 위치시키고 아래에는 적어도 하나의 행, 열 또는 면으로 전극을 형성하는 도전성 고무(conductive rubber)를 스마트 도전성 고무(smart conductive rubber)라고 호칭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는 전술한 것과 같이, 카본 파이버, 메탈, 파우더 등을 내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도전성 고무를 누르는 압력 정도에 따라 저항이 변화되고, 이를 이용하여 더 미세한 촉각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위치에 따라 성능이 변화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는 작게 만들기 어렵고, 전극 사이의 수평 간격이 가까우면 간섭이 발생되어 수직방향의 전류 흐름에서만 바람직하고 집적시에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 등의 폴리머 복합체와 이러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리머 복합체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촉각센서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폴리머 복합체에 본 발명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a 및 도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1b에서 스마트 도전성 고무는 비전도성 폴리머,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비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된 밀한 영역(100),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비전도성 폴리머에 혼합된 소한 영역(200) 및 밀한 영역의 특징과 소한 영역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랜덤영역(300)을 포함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전성 고무는 비전도성 폴리머, 밀한 영역(100) 및 소한 영역(200)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밀한 영역(100) 및 소한 영역(20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밀한 영역(100)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는 소한 영역(200)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의 분포보다 밀할 수 있다.
이때, 소한 영역(200)은 밀한 영역(100)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보다 소하게 분포된 입자를 포함하는 영역과 밀하게 분포된 입자와 소하게 분포된 입자를 랜덤(random)하게 포함하는 랜덤 영역(300)을 구분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밀한 영역(100)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는 소정 형태로 정렬되어 분포될 수 있다.
또한, 밀한 영역(100)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는 소한 영역(200)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의 분포보다 밀하고, 소정 형태로 정렬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밀한 영역(100), 소한 영역(200) 및 랜덤 영역(300)을 이용하는 경우, 밀한 영역(100)의 감도는 최대로 높이고, 소한 영역(200)의 감도는 최소로 낮추며, 랜덤 영역(300)의 감도는 중간으로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성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소한 영역(200)은 결핍영역으로, 완전히 절연된 장소가 될 수 있어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집중영역으로 밀한 영역(100)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더 정확한 촉감 감지 및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때, 랜덤 영역(300)은 일반적인(Normal) 영역으로 상기 소한 영역(200)과 밀한 영역(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전성 고무는 얇게 제조가 가능하므로, 집적화된 장치를 만드는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도전성 고무는 두께가 어느 정도 보장되어야 하므로 반도체 공정상의 문제가 존재하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전성 고무는 얇으면서도 높은 감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100 X 100개 이상의 촉각센서 제작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적화된 촉각 센서 생성이 가능하고, 비용도 저렴해지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며, 더 나아가 집적화된 플렉서블 촉각 센서의 제조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 도전성 고무는 누르는 힘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결핍영역에 해당하는 소한 영역(200)의 범위를 미세하게 함으로써, 정밀 센서의 집적화도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오염방지 목적 달성을 위해, 얇은 도전성 고무를 만든 다음, 후 공정에서 원하는 두께만큼 적층함으로써 두꺼운 스마트 도전성 고무 층을 만들 수도 있다. 공정 상에서 스마트 도전성 고무 층 사이에 다이오드 등의 소자를 별도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위치에 따라 성능이 변화될 수 있는 도전성 고무의 문제 및 집적화가 어렵다는 문제 등은 본 발명이 제시하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를 이용하여 해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밀한 영역(100), 소한 영역(200) 및 랜덤 영역(300)을 반복하여 나타나게 하는 패턴을 반복함으로써, 스마트 도전성 고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밀한 영역(100), 소한 영역(200) 및 랜덤 영역(300)이 반복적 패턴을 통해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집적화된 센서 생성을 위해, 소한 영역(200) 및 랜덤 영역(300)을 최소 영역으로 하여 스마트 도전성 고무가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은 도 1b를 밀한 영역, 소한영역, 랜덤영역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랜덤 영역(300)을 기초로 3X3으로 구성된 밀한 영역(100) 및 소한영역(200)을 나타내었다.
도 3에 표시된 구성이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밀한 영역(100)이 가장 감도가 높으므로, 보다 정확한 촉감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밀한 영역에서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소한 영역에서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그래프 및 도 4b에 도시된 그래프를 상호 비교하면, 스마트 도전성 고무 내의 Metal Power가 Magnetic Field를 따라 정렬되어 있는 밀한 영역(100)의 성능이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밀한 영역(100)의 Particle들이 균일하고 일정한 밀도로 정렬됨으로 드리프트(Drift) 및 히스테리시스(Hysteresis)가 개선되고, 감도(Sensitivity)가 좋아진다는 사실을 도 4a 및 도4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스마트 도전성 고무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1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제 1 장치는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솔레노이드 코일(510)과 상기 생성된 전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강자성 코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강자성 코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자기장을 전달하도록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강자성 코어의 일단과 타단은 복수의 서브 코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 코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스마트 도전성 고무의 밀한 영역(1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브 코어와 근접한 스마트 도전성 고무 부분이 밀한 영역(100)으로 처리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제 1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솔레노이드 코일(510)이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S610)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510)이 생성하는 전자기장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형태 또는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강자성 코어(520)가 생성된 전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620).
또한, 강자성 코어(520)의 복수의 서브 코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폴리머 복합체의 밀한 영역이 결정되는 단계가 수행된다(S630).
한편, 상기 S620 단계와 S630 단계 사이에 폴리머 복합체가 상기 일단의 서브 코어와 상기 타단의 서브 코어 중간에 위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7b는 도 5의 제 1 장치와 도전성 고무 간의 위치에 따른 결과를 그래프로 비교한 것이다.
도 7a는 폴리머 복합체가 상기 일단의 서브 코어와 상기 타단의 서브 코어 중간에 위치된 경우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b는 폴리머 복합체가 타단의 서브 코어에 더 가깝도록 배치된 경우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가 제조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8a 및 도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2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8b에 도시된 제 2 장치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의 영구자석(6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복수의 영구자석은 자기패스를 형성하기 위해, 강자성 코어(6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강자성코어는 철, 코발트, 니켈, 스테인리스스틸(SUS) 중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 2 장치에서 복수의 영구자석은 상하 대칭으로 위치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상하 대칭으로 위치된 복수의 영구자석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 근접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밀한 영역(100)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도 8a 및 도8 b의 제 2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영구자석이 배치되는 단계(S91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구자석이 강자성 코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은 상하 대칭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후, 폴리머 복합체가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 근접 위치될 수 있다(S920).
여기서, 폴리머 복합체가 상기 상하 대칭으로 위치된 복수의 영구자석 중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영구자석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S930)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응하여 폴리머 복합체의 밀한 영역(100)이 결정될 수 있다(S940).
도 10은 폴리머 복합체가 상기 상하 대칭으로 위치된 복수의 영구자석 중간에 위치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가 제조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1a 및 도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3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순철 베이스(710) 및 순철 스페이서(720)이 개시되어 있고, 이와 결합되어 전체 제 3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영구자석 어레이(730)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b는 도 11a의 제 3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도가 제시되어 있다.
한편, 제 3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를 도 12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 4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제 4 장치는 전기장을 생성하는 전압소스(810)와 상기 생성된 전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여 대칭으로 구성된 전도성 금속(8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도성 금속의 일단은 복수의 금속 돌기(8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서브 금속 돌기(830)의 위치에 대응하여 폴리머 복합체의 밀한 영역(100)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서브 금속 돌기(830)와 상기 전도성 금속의 타단의 중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3은 도 12의 제 4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전압소스가 전기장을 생성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310).
다음으로, 전도성 금속이 상기 생성된 전기장을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320).
이때,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서브 금속 돌기와 상기 전도성 금속의 타단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금속의 일단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금속 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폴리머 복합체의 밀한 영역이 결정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1330).
따라서 전술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도전성 고무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4)

  1. 압력감응을 위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생성된 전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강자성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강자성 코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자기장을 전달하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강자성 코어의 일단과 타단은 복수의 서브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코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비전도성 폴리머;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제 1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제 2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에 혼합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일단의 서브 코어와 상기 타단의 서브 코어 중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장치.
  3. 압력감응을 위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 근접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은 자기패스를 형성하기 위해, 강자성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비전도성 폴리머;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제 1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제 2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에 혼합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의 강자성코어는 철, 코발트, 니켈, 스테인리스스틸(SUS) 중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은 상하 대칭으로 위치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상하 대칭으로 위치된 복수의 영구자석 중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는 상기 제 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의 분포보다 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보다 소하게 분포된 입자를 포함하는 제 2-1 영역; 및
    밀하게 분포된 입자와 소하게 분포된 입자를 랜덤(random)하게 포함하는 제 2-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장치.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는 소정 형태로 정렬되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장치.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는 상기 제 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의 분포보다 밀하고, 소정 형태로 정렬되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장치.
  10. 압력감응을 위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코일이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강자성 코어가 상기 생성된 전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강자성 코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자기장을 전달하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강자성 코어의 일단과 타단은 복수의 서브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코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비전도성 폴리머;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제 1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제 2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에 혼합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이 생성하는 전자기장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형태 또는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와 전자기장을 전달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폴리머 복합체가 상기 일단의 서브 코어와 상기 타단의 서브 코어 중간에 위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방법.
  13. 압력감응을 위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영구자석이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 근접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되며,
    상기의 복수의 영구자석이 강자성 코어에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비전도성 폴리머;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제 1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제 2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에 혼합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은 상하 대칭으로 위치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가 상기 상하 대칭으로 위치된 복수의 영구자석 중간에 위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방법.
  15. 제 10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는 상기 제 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의 분포보다 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보다 소하게 분포된 입자를 포함하는 제 2-1 영역; 및
    밀하게 분포된 입자와 소하게 분포된 입자를 랜덤(random)하게 포함하는 제 2-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방법.
  17. 제 10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는 소정 형태로 정렬되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방법.
  18. 제 10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particle)의 분포는 상기 제 2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입자의 분포보다 밀하고, 소정 형태로 정렬되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체 제조방법.
  19. 압력감응을 위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솔레노이드 코일이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강자성 코어가 상기 생성된 전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강자성 코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자기장을 전달하도록 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빈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강자성 코어의 일단과 타단은 복수의 서브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코어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비전도성 폴리머;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제 1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제 2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에 혼합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0. 압력감응을 위한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복수의 영구자석이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상기 폴리머 복합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에 근접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자석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폴리머 복합체의 제 1 영역이 결정되며,
    상기의 복수의 영구자석이 강자성 코어에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복합체는,
    비전도성 폴리머;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제 1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와 혼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자기장 및 전기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제 2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도성 폴리머에 혼합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20111844A 2012-10-09 2012-10-09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90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844A KR101390706B1 (ko) 2012-10-09 2012-10-09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3/002315 WO2014058115A1 (en) 2012-10-09 2013-03-21 Polymer composi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844A KR101390706B1 (ko) 2012-10-09 2012-10-09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636A KR20140046636A (ko) 2014-04-21
KR101390706B1 true KR101390706B1 (ko) 2014-05-07

Family

ID=5047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844A KR101390706B1 (ko) 2012-10-09 2012-10-09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0706B1 (ko)
WO (1) WO201405811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7399A1 (en) 2010-08-16 2012-02-16 Core Precision Material Corporatio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8862A (en) * 1984-09-04 1985-10-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exible tape having bridge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articles extending across it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P0207450B1 (en) * 1985-07-03 1990-09-12 Mitsuboshi Belting Ltd. Pressure-sensitive conductive rubber material
EP2389410A1 (en) * 2009-01-23 2011-11-30 Shocking Technologies Inc Dielectric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7399A1 (en) 2010-08-16 2012-02-16 Core Precision Material Corporatio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8115A1 (en) 2014-04-17
KR20140046636A (ko)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852B1 (ko) 복합 기능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8183860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fluencing and/or detecting magnetic particles in a region of action
JP2012123019A (ja) フレキシブル電磁音響変換器センサ
ATE363719T1 (de) Magnetisches element mit isolierenden beuteln und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KR20150012984A (ko)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용 커버 레이 부재 및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의 제법
JP2012104482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8249406A (ja) 磁気インピーダンス効果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03536A (ja)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入力検出装置
KR101681405B1 (ko) 파워 인덕터
CA2667170A1 (en) Temperature system with magnetic field suppression
KR101390706B1 (ko) 폴리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09343A1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KR101887891B1 (ko) 휴대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백커버 일체형 안테나모듈
KR102060065B1 (ko) 에너지 수확 장치
JP2002158051A (ja) 異方導電性シート
US20090035556A1 (en) Electrical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299001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JP2004525378A (ja) パッシブ型磁気位置センサ
JP2005027186A (ja) 超音波変換装置
CN114301328B (zh) 一种超弹性微纳能源采集和传感一体化微系统、制作方法和使用方法
JP5665422B2 (ja) 磁束検出装置および磁束検出装置の製造方法
US7649352B2 (en) Magnetic field sensor
KR20190005787A (ko) 절연 구조를 포함하는 스트레인 센서 및 스트레인 센서의 제조방법
US11456562B2 (en)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5900921A (zh) 柔性振动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