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528B1 - 통신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528B1
KR101390528B1 KR1020117024715A KR20117024715A KR101390528B1 KR 101390528 B1 KR101390528 B1 KR 101390528B1 KR 1020117024715 A KR1020117024715 A KR 1020117024715A KR 20117024715 A KR20117024715 A KR 20117024715A KR 101390528 B1 KR101390528 B1 KR 101390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pecific information
information
unit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022A (ko
Inventor
아난드 라가와 프라사드
틸로 에발트
도시유키 다무라
슈테판 슈미트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8Message addressing, e.g. address format or anonymous messages, ali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6Screening of IP real time communications, e.g. spam over Internet telephony [SPIT]
    • H04L65/1079Screening of IP real time communications, e.g. spam over Internet telephony [SPIT] of unsolicited session attempts, e.g. SP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은,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의 다른 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공유하고,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등록하는 등록부와,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발신 단말의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정보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이 스팸 전화를 발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팸 전화 판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처리 방법{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 상에서 음성 서비스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이 되는 통신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IP (Internet Protocol) 화의 흐름에 의해, 전화망으로 대표되는 음성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도, 예외없이 IP 화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체 통신에 관한 표준화 단체인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에서는, IP 네트워크 상에서 음성 서비스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으로서 IMS (Internet Multimedia Subsystem) 의 표준화를 실시하고 있다. 3GPP 에서는, 최근에는 NGN (Next Generation Network) 으로서 알려진 고정계의 IP 화 검토도 포함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오늘날의 전자 메일 서비스에서는, SPAM 이나 스팸 메일로 불리는, 수신자가 바라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송신자가 일방적으로 메일을 보내는 행위가 사회 문제로 되고 있다. 이들 문제의 배경에는, 인터넷의 일반화에 수반하는 통신 비용의 대폭적인 저하나, PC 등의 용이하게 입수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단말로부터 대량의 전자 메일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같은 이유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MS 에 있어서도, 장래의 보급에 수반하여, 오늘날의 전자 메일 서비스가 놓여져 있는 상황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들 SPIT (SPAM over IP Telephony) 로부터 사용자를 지키기 위한 기술의 검토가, 3GPP 등의 장 (場) 에 있어서 PUCI (Preventing against Unsolicited Communication for IMS) 라는 명칭으로 개시되고 있다.
블랙 리스트를 사용하여 호가 SPIT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9/0052648호 명세서
그러나, 종래에는 네트워크 사업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SPIT 의 특정 정보를 갱신하였으므로,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동일한 SPIT 의 특정 정보를 파악할 때까지의 시간의 어긋남이 길어질 가능성이 높았다. 예를 들어, 어느 네트워크 사업자가 새롭게 SPIT 의 발신 단말을 특정하였다 하더라도, 네트워크 사업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SPIT 의 특정 정보를 갱신한다. 이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는, 그 발신 단말의 특정을 실시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었다. 또, 어느 네트워크 사업자가 어느 발신 단말에 대한 SPIT 지정을 해제하였다 하더라도,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가 그 발신 단말에 대한 SPIT 지정을 해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발신 단말이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게 될 때까지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SPIT 의 특정 정보의 어긋남이 존재하는 시간을 줄이는 통신 시스템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은,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의 다른 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공유하고,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등록하는 등록부와,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발신 단말의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정보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이 스팸 전화를 발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팸 전화 판정부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처리 방법은,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다른 통신 시스템과 상기 단말 특정 정보를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고, 송신부는,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송신하고, 수신부는,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등록하고, 스팸 전화 판정부는,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발신 단말의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정보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이 스팸 전화를 발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팸 전화 판정부는, 수신부가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이 스팸 전화를 발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로써, 통신 시스템은, 다른 통신 시스템이 갱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스팸 전화의 판정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단말 특정 정보의 어긋남이 존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 는 통신 시스템끼리를 접속시키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단말 특정 정보의 공유를 실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이 부정 단말의 특정을 실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는 통신 시스템끼리를 접속시키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 은 통신 시스템끼리를 접속시키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통신 시스템끼리를 접속시키는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통신 시스템 (10) 은, 메세지 취득부 (11), 해시화부 (12), 기억부 (13), 판정부 (14) (스팸 전화 판정부), 메세지 전송부 (15), 정보 송신부 (16) (송신부), 정보 수신부 (17) (수신부), 및 등록부 (18) 를 구비한다.
메세지 취득부 (11) 는, 발신 단말 (20) 로부터 접속 요구 메세지를 취득한다.
해시화부 (12) 는, 접속 요구 메세지에 부여되는 발신 단말 (20) 의 단말 정보 및 부정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소정의 해시 함수에 의해 해시화한다. 접속 요구 메세지에 부여되는 단말 정보란, 예를 들어, 발신 단말 (20) 의 전화 번호나 단말 ID, 단말의 기종 등, 발신 단말 (20) 을 나타내는 복수의 정보를 구성 요소로 하는 정보이다. 부정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란, 예를 들어,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인 것으로 판정하기 위한 블랙 리스트나,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기 위한 화이트 리스트 등에 등록되는 정보이다. 단말 특정 정보는, 단말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 중 1 개 또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된다.
해시화부 (12) 는, 단말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중, 전화 번호나 단말 ID 등, 단말을 일의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한다. 이것은, 발신 단말 (20) 을 일의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개인 정보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처리에 의해 다른 통신 시스템이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한 후, 그 정보가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다. 해시화부 (12) 가 해시화를 실시하는 정보의 종류는, 미리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 설정된다.
기억부 (13) 는, 스팸 전화 (SPIT) 를 발신하는 부정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는, 해시화부 (12) 에 의해 해시화된 정보이다.
판정부 (14) 는, 접속 요구 메세지에 부여되는 발신 단말 (20) 의 단말 정보와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세지 전송부 (15) 는, 판정부 (14) 에 의해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착신 단말 (30) 에 접속 요구 메세지를 전송한다.
정보 송신부 (16) 는,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송신한다.
정보 수신부 (17) 는,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부정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한다.
등록부 (18) 는, 정보 수신부 (17) 가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부 (13) 에 등록한다.
통신 시스템 (10) 에 있어서, 정보 송신부 (16) 는,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송신한다. 정보 수신부 (17) 는,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한다. 등록부 (18) 는, 정보 수신부 (16) 가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부 (13) 에 등록한다. 판정부 (14) 는,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발신 단말 (20) 의 단말 정보와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발신 단말 (20) 이 스팸 전화를 발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로써,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부정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의 어긋남이 존재하는 시간을 줄인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 (10) 이 다른 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단말 특정 정보의 공유를 실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는 통신 시스템끼리를 접속시키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은, 상이한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 시스템 (10-1 ∼ 10-3) 이 각각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 (10-1 ∼ 10-3) 은, 상기 서술한 통신 시스템 (10) 과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는 정보 공유 시스템이 통신 시스템 (10-1 ∼ 10-3) 의 3 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정보 공유 시스템은 3 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다.
도 3 은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단말 특정 정보의 공유를 실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먼저, 통신 시스템 (10-1) 의 기능이나 오퍼레이터의 조작 등에 의해 통신 시스템 (10-1) 에 대하여 부정 단말을 특정하는 단말 특정 정보의 갱신 처리가 실시되면, 통신 시스템 (10-1) 의 해시화부 (12) 는, 새롭게 등록되는 단말 특정 정보 중 해시화의 대상으로서 설정된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한다 (단계 S1). 이 때, 해시화부 (12) 가 해시화에 사용하는 해시 함수는, 통신 시스템 (10-1 ∼ 10-3) 에서 공통이다. 이로써, 통신 시스템 (10-1) 에서 해시화된 정보를 다른 통신 시스템 (10-2, 10-3) 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1 에서, 해시화부 (12) 가 단말 특정 정보의 일부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하면, 등록부 (18) 는, 기억부 (13) 에 일부를 해시화한 단말 특정 정보를 등록한다 (단계 S2). 정보 송신부 (16) 는, 등록된 단말 특정 정보를 브로드캐스트로 통신 시스템 (10-2, 10-3) 에 송신한다 (단계 S3). 단말 특정 정보의 송신은, 단말 특정 정보를 등록한 직후에 실시해도 되고, 소정의 송신 타이밍으로 실시해도 되고, 통신 시스템 (10-2, 10-3) 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된다. 이 때, 정보 송신부 (16) 는, 단말 특정 정보에 대하여 전자 서명을 부여해 두면 좋다. 이로써, 송신하는 단말 특정 정보의 송신원을 보증할 수 있다.
단계 S3 에서 통신 시스템 (10-1) 이 단말 특정 정보를 송신하면, 통신 시스템 (10-2, 10-3) 의 정보 수신부 (17) 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4). 이 때,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에 전자 서명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전자 서명의 검증을 실시하여, 단말 특정 정보가 정당한지의 여부를 검증한다.
정보 수신부 (17) 가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등록부 (18) 는, 정보 수신부 (17) 가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부 (13) 에 등록한다 (단계 S5). 이로써, 통신 시스템 (10-1) 에 등록된 단말 특정 정보를 신속하게 다른 통신 시스템 (10-2, 10-3) 에 등록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10-2, 10-3) 이 단말 특정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및 통신 시스템 (10-1) 이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도 동일한 처리에 의해 실시된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 (10) 이 부정 단말의 특정을 실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4 는 통신 시스템이 부정 단말의 특정을 실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발신 단말 (20) 이 착신 단말 (30) 에 대한 접속 요구 메세지를 발신하면, 통신 시스템 (10) 의 메세지 취득부 (11) 는, 발신 단말 (20) 의 접속 요구 메세지를 취득한다 (단계 S11). 다음으로, 해시화부 (12) 는, 메세지 취득부 (11) 가 취득한 접속 요구 메세지에 포함되는 단말 정보 중 해시화의 대상으로서 설정된 정보에 대하여, 다른 통신 시스템과 공통의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해시화를 실시한다 (단계 S12).
해시화부 (12) 가 해시화를 실시하면, 판정부 (14) 는,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와 해시화부 (12) 가 일부를 해시화한 단말 정보를 비교하여,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3).
판정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해시화부 (12) 가 일부를 해시화한 단말 정보에 포함되는 해시화된 전화 번호가,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판정부 (14) 는,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또, 예를 들어, 해시화부 (12) 가 일부를 해시화한 단말 정보에 포함되는 해시화된 단말 ID 가,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블랙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판정부 (14) 는,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 예를 들어, 해시화부 (12) 가 일부를 해시화한 단말 정보에 포함되는 발신 단말 (20) 의 기종이나 OS (Operation System), 인스톨된 소프트웨어 등에 관한 정보 (이들 정보는 해시화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가,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그레이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와 소정의 수 이상 일치하는 경우, 판정부 (14) 는,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인 것으로 판정한다.
단계 S13 에서, 판정부 (14) 가,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 (단계 S13 : NO), 메세지 전송부 (15) 는 발신 단말 (20) 이 발신한 접속 요구 메세지를 착신 단말 (30) 에 전송한다 (단계 S14). 이로써, 발신 단말 (20) 과 착신 단말 (30) 사이에 착신이 성립한다.
한편, 단계 S13 에서, 판정부 (14) 가, 발신 단말 (20) 이 부정 단말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단계 S13 : YES), 메세지 전송부 (15) 는 발신 단말 (20) 이 발신한 접속 요구 메세지를 착신 단말 (30) 에 전송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로써, 통신 시스템 (10) 은, 부정 단말로 판정된 발신 단말 (20) 로부터의 착신을 거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신 시스템 (10) 에 있어서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가 갱신되면, 정보 송신부 (16) 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 갱신된 단말 특정 정보를 송신한다. 또,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특정 정보가 송신되면, 통신 시스템 (10) 의 정보 수신부 (17) 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부 (18) 가 기억부 (13) 에 단말 특정 정보를 등록한다. 이로써,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단말 특정 정보의 어긋남이 존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신 시스템 (10) 이 다른 통신 시스템에 단말 특정 정보를 송신할 때, 해시화부 (12) 가 단말 특정 정보 중 발신 단말 (20) 을 일의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하여, 다른 통신 시스템과 공통의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해시화를 실시한다. 정보 송신부 (16) 는, 그 해시화를 실시한 단말 특정 정보를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송신한다. 이로써, 단말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개인 정보의 악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해시화부 (12) 는, 메세지 취득부 (11) 가 취득한 접속 요구 메세지에 포함되는 단말 정보 중, 해시화의 대상으로서 설정된 부분에 대하여, 다른 통신 시스템과 공통의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해시화를 실시한다. 판정부 (14) 는, 해시화부 (12) 가 해시화를 실시한 단말 정보와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비교한다. 이로써, 다른 통신 시스템이 해시화를 실시한 단말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부정 단말의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시화부 (12) 는, 단말 정보 및 단말 특정 정보의 일부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부의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해도 되고, 개인 정보의 악용에 대한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해시화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 (10-1) 이 브로드캐스트로 다른 통신 시스템 (10-2, 10-3) 에 단말 특정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특정 정보의 공유를 실시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다른 방법으로 단말 특정 정보를 공유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통신 시스템끼리를 접속시키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은, 상이한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 시스템 (10-1 ∼ 10-3) 이 각각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 (10-1 ∼ 10-3) 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 (10) 과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는 정보 공유 시스템이 통신 시스템 (10-1 ∼ 10-3) 의 3 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정보 공유 시스템은 3 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다. 정보 공유 시스템은,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를 복수 구비해도 된다.
통신 시스템 (10-1) 의 기능, 또는 오퍼레이터의 조작 등에 의해 통신 시스템 (10-1) 에 대하여 부정 단말을 특정하는 단말 특정 정보의 갱신 처리가 실시되면, 통신 시스템 (10-1) 의 해시화부 (12) 는, 새롭게 등록되는 단말 특정 정보 중, 해시화의 대상으로서 설정된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한다. 해시화부 (12) 가 해시화에 사용하는 해시 함수는, 통신 시스템 (10-1 ∼ 10-3) 에서 공통이다.
해시화부 (12) 가 단말 특정 정보의 일부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하면, 등록부 (18) 는, 기억부 (13) 에 일부를 해시화한 단말 특정 정보를 등록한다. 그리고, 정보 송신부 (16) 는,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에 갱신된 단말 특정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 특정 정보의 송신은, 단말 특정 정보를 갱신한 직후에 실시해도 되고, 소정의 송신 타이밍으로 실시해도 되고,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된다.
통신 시스템 (10-1) 이 단말 특정 정보를 송신하면,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는,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통신 시스템 (10-2, 10-3) 에 전송한다. 단말 특정 정보의 전송은, 단말 특정 정보를 취득한 직후에 실시해도 되고, 소정의 송신 타이밍으로 실시해도 되고, 통신 시스템 (10-2, 10-3) 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된다.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가 단말 특정 정보를 송신하면, 통신 시스템 (10-2, 10-3) 의 정보 수신부 (17) 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한다. 정보 수신부 (17) 가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등록부 (18) 는, 정보 수신부 (17) 가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부 (13) 에 등록한다.
이로써, 통신 시스템 (10-1) 에 등록된 단말 특정 정보를 신속하게 다른 통신 시스템 (10-2, 10-3) 에 등록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10-2, 10-3) 이 단말 특정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및 통신 시스템 (10-1) 이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도 동일한 처리에 의해 실시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6 은 통신 시스템끼리를 접속시키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은, 상이한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 시스템 (10-1 ∼ 10-3) 이 각각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 (10-1 ∼ 10-3) 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 (10) 과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는 정보 공유 시스템이 통신 시스템 (10-1 ∼ 10-3) 의 3 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정보 공유 시스템은 실제로는 3 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다.
먼저, 통신 시스템 (10-1 ∼ 10-3) 에 있어서의 단말 특정 정보의 등록 동작을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 (10-1 ∼ 10-3) 의 기능, 또는 오퍼레이터의 조작 등에 의해 통신 시스템 (10-1 ∼ 10-3) 에 대하여 부정 단말을 특정하는 단말 특정 정보의 갱신 처리가 실시되면, 통신 시스템 (10-1 ∼ 10-3) 의 해시화부 (12) 는, 새롭게 등록되는 단말 특정 정보 중, 해시화의 대상으로서 설정된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한다. 이 때, 해시화부 (12) 가 해시화에 사용하는 해시 함수는, 통신 시스템 (10-1 ∼ 10-3) 에서 공통이다.
해시화부 (12) 가 단말 특정 정보의 일부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하면, 등록부 (18) 는, 기억부 (13) 에 일부를 해시화한 단말 특정 정보를 등록한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 (10-1) 에 의한 단말 특정 정보의 취득 방법을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 (10-1) 은, 오퍼레이터의 조작 또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단말 특정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 (이하, 보트로 표기) 을 실행한다. 보트는, 다른 통신 시스템 (10-2, 10-3) 각각에 대한 인증 키를 갖고, 다른 통신 시스템 (10-2, 10-3) 과 상호 인증을 실시하여, 단말 특정 정보를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통신 시스템 (10-1) 이 보트를 실행하면, 보트는 통신 시스템 (10-2) 에 액세스하여, 통신 시스템 (10-2) 과의 상호 인증을 실시한다. 통신 시스템 (10-2) 의 정보 수신부 (17) 는, 보트가 갖는 인증 키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검증한다. 정보 수신부 (17) 에 의해 인증 키가 올바른 것으로 판정되면, 정보 송신부 (16) 는,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보트에 출력한다. 보트는, 통신 시스템 (10-2) 이 출력한 단말 특정 정보를 취득하여, 암호화한다.
보트에 의해, 통신 시스템 (10-1) 의 정보 수신부 (17) 가 암호화된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등록부 (18) 는,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복호 (復號) 하고, 정보 수신부 (17) 는, 복호한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부 (13) 에 등록한다. 통신 시스템 (10-3) 으로부터의 단말 특정 정보의 취득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이로써, 통신 시스템 (10-1) 은, 다른 통신 시스템 (10-2, 10-3) 에 등록된 단말 특정 정보를 신속하게 등록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10-2, 10-3) 이 단말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도 동일한 처리에 의해 실시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7 은 통신 시스템끼리를 접속시키는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 공유 시스템은, 상이한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 시스템 (10-1 ∼ 10-3) 이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 (10-1 ∼ 10-3) 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 (10) 과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는 정보 공유 시스템이 통신 시스템 (10-1 ∼ 10-3) 의 3 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정보 공유 시스템은 실제로는 3 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다. 정보 공유 시스템은,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를 복수 구비해도 된다.
통신 시스템 (10-1 ∼ 10-3) 에 있어서의 단말 특정 정보의 등록 동작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에 의한 단말 특정 정보의 취득 방법을 설명한다.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는, 오퍼레이터의 조작 또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보트 (단말 특정 정보 수집 어플리케이션) 를 실행한다. 보트는, 통신 시스템 (10-1 ∼ 10-3) 각각에 대한 인증 키를 갖고, 통신 시스템 (10-1 ∼ 10-3) 과 상호 인증을 실시하여, 단말 특정 정보를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가 보트를 실행하면, 보트는 통신 시스템 (10-1) 에 액세스하여, 통신 시스템 (10-1) 과의 상호 인증을 실시한다. 통신 시스템 (10-1) 의 정보 수신부 (17) 는, 보트가 갖는 인증 키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검증한다. 정보 수신부 (17) 에 의해 인증 키가 올바른 것으로 판정되면, 정보 송신부 (16) 는, 기억부 (13) 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보트에 출력한다. 보트는, 통신 시스템 (10-1) 이 출력한 단말 특정 정보를 취득하여, 암호화한다.
보트에 의해,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가 암호화된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는,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복호하고, 복호한 단말 특정 정보를 축적한다. 동일하게, 통신 시스템 (10-2, 10-3) 으로부터도 단말 특정 정보를 취득한다.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는, 통신 시스템 (10-1 ∼ 10-3) 으로부터 단말 특정 정보를 수집하면, 수집한 단말 특정 정보를 통신 시스템 (10-1 ∼ 10-3) 에 송신한다. 단말 특정 정보의 송신은, 단말 특정 정보를 수집한 직후에 실시해도 되고, 소정의 송신 타이밍으로 실시해도 되고, 통신 시스템 (10-1 ∼ 10-3) 으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실시해도 된다.
이로써,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는, 통신 시스템 (10-1 ∼ 10-3) 이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통신 시스템 (10-1 ∼ 10-3) 및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40) 는 내부에 컴퓨터 시스템을 갖고 있다. 상기 서술한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출력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가 실시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자기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DVD-ROM, 반도체 메모리 등을 가리킨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에 배신하고, 이 배신을 받은 컴퓨터가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 (차분 프로그램) 이어도 된다.
본 출원은, 2009년 4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9-110817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여, 그 개시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10, 10-1 ∼ 10-3 : 통신 시스템
11 : 메세지 취득부
12 : 해시화부
13 : 기억부
14 : 판정부
15 : 메세지 전송부
16 : 정보 송신부
17 : 정보 수신부
20 : 발신 단말
30 : 착신 단말
40 : 단말 특정 정보 관리 장치

Claims (6)

  1. 다른 네트워크 사업자의 다른 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등록하는 등록부와,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발신 단말의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정보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이 스팸 전화를 발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팸 전화 판정부와,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과 공통의 해시 함수에 의해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 특정 정보의 해시화를 실시하는 해시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공통의 해시 함수에 의해 해시화된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팸 전화 판정부는, 상기 해시화부에 의해 해시화된 상기 발신 단말의 단말 정보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해시화된 단말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이 스팸 전화를 발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화부는,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 특정 정보의 일부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하는, 통신 시스템.
  4.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다른 통신 시스템과 상기 단말 특정 정보를 공유하는 통신 시스템을 사용한 처리 방법으로서,
    송신부는,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송신하고,
    수신부는,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스팸 전화를 발신하는 단말의 특정에 사용하는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등록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단말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등록하고,
    스팸 전화 판정부는,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발신 단말의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정보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단말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이 스팸 전화를 발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해시화부는, 상기 다른 통신 시스템과 공통의 해시 함수에 의해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 특정 정보의 해시화를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공통의 해시 함수에 의해 해시화된 단말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팸 전화 판정부는, 상기 해시화부에 의해 해시화된 상기 발신 단말의 단말 정보와 상기 기억부가 기억하는 해시화된 단말 특정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이 스팸 전화를 발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화부는, 상기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 특정 정보의 일부 정보에 대하여 해시화를 실시하는, 처리 방법.
KR1020117024715A 2009-04-30 2010-04-22 통신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390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0817 2009-04-30
JPJP-P-2009-110817 2009-04-30
PCT/JP2010/002925 WO2010125777A1 (ja) 2009-04-30 2010-04-22 通信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22A KR20120006022A (ko) 2012-01-17
KR101390528B1 true KR101390528B1 (ko) 2014-04-30

Family

ID=4303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715A KR101390528B1 (ko) 2009-04-30 2010-04-22 통신 시스템 및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06396B2 (ko)
EP (1) EP2426905A4 (ko)
JP (1) JP5488592B2 (ko)
KR (1) KR101390528B1 (ko)
CN (1) CN102405635B (ko)
WO (1) WO2010125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7379B2 (ja) * 2009-04-30 2014-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正呼検出装置、不正呼検出方法、及び不正呼検出用プログラム
US9014359B1 (en) * 2013-01-11 2015-04-2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Generation of phone number lists and call filtering
FR3006845B1 (fr) * 2013-06-10 2015-07-03 Viaccess Sa Procede d'identification de terminal dans un systeme de fourniture de contenus multimedia
JP6224927B2 (ja) * 2013-07-03 2017-11-01 トビラシステムズ株式会社 着信管理装置及び着信管理システム
JP7192267B2 (ja) * 2018-06-27 2022-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利用制限情報管理システム、利用制限情報管理装置、利用制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39273A (ja) * 2021-03-11 2022-09-26 アイホン株式会社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4782A (ja) 2002-12-27 2004-07-29 Nec Corp 通信規制システム、交換ノードおよび通信規制方法
US20040148506A1 (en) * 2003-01-23 2004-07-29 Prince Matthew B.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n-revealing do-not-contact list system
KR20060048713A (ko) * 2004-06-29 2006-05-1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증분적 안티 스팸 룩업 및 업데이트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08048484A2 (en) * 2006-10-18 2008-04-24 First Orion Corp. Automatic complaint registration for violations of telephonic communication regulations with call rej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9955A (ja) * 2002-02-06 2003-08-15 Shinko Electric Ind Co Ltd 通話方法及び通話システム
US20040111480A1 (en) * 2002-12-09 2004-06-10 Yue Jonathan Zhanjun Message screening system and method
US8266215B2 (en) * 2003-02-20 2012-09-11 Sonicwall, Inc. Using distinguishing properties to classify messages
JP2006261918A (ja) * 2005-03-16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通信制御装置、及び機能解除方法
DE102005014524B3 (de) 2005-03-30 2006-12-07 Siemens Ag Verfahren zur Abwehr unerwünschter Telefonwerbung für Kommunikationsnetze
DE102005029287B4 (de) * 2005-06-22 2014-05-08 Nec Europe Ltd. Verfahren zum Unterbinden einer Vermittlung von unerwünschten Telefonanrufen
US20070165811A1 (en) * 2006-01-19 2007-07-19 John Reumann System and method for spam detection
US20080292077A1 (en) * 2007-05-25 2008-11-27 Alcatel Lucent Detection of spam/telemarketing phone campaigns with impersonated caller identities in converged networks
JP2008294974A (ja) * 2007-05-28 2008-12-04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監視装置
JP2009110817A (ja) 2007-10-30 2009-05-21 Toyota Motor Corp 気液分離器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90147936A1 (en) * 2007-12-05 2009-06-11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FRAMEWORK FOR COUNTERING VoIP SP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4782A (ja) 2002-12-27 2004-07-29 Nec Corp 通信規制システム、交換ノードおよび通信規制方法
US20040148506A1 (en) * 2003-01-23 2004-07-29 Prince Matthew B. Method and apparatus for a non-revealing do-not-contact list system
KR20060048713A (ko) * 2004-06-29 2006-05-1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증분적 안티 스팸 룩업 및 업데이트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08048484A2 (en) * 2006-10-18 2008-04-24 First Orion Corp. Automatic complaint registration for violations of telephonic communication regulations with call rej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4484A1 (en) 2012-05-31
US8406396B2 (en) 2013-03-26
JPWO2010125777A1 (ja) 2012-10-25
WO2010125777A1 (ja) 2010-11-04
CN102405635A (zh) 2012-04-04
KR20120006022A (ko) 2012-01-17
JP5488592B2 (ja) 2014-05-14
EP2426905A4 (en) 2013-05-22
EP2426905A1 (en) 2012-03-07
CN102405635B (zh)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6244B2 (ja) 送信者を識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90528B1 (ko) 통신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281882B1 (ko) 피싱 방지를 위한 발신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9356953B2 (en)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spoofed communication through out-of-band verification
KR101109817B1 (ko) 이메일 메시지 인증 방법 및 장치
CN102171991A (zh) 保护互联网协议多媒体子系统以避免未请求通信
JP5477379B2 (ja) 不正呼検出装置、不正呼検出方法、及び不正呼検出用プログラム
US10284504B2 (en) Address couplet communication filtering
Mustafa et al. End-to-end detection of caller ID spoofing attacks
JP5363342B2 (ja) セルラ電話のメッセージを濾波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0778732B2 (en) Method of detecting a spoofing of identity belonging to a domain
JP5336262B2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認証方法
JP2007110213A (ja) 携帯電話機、利用者情報管理装置、ワン切り電話着信防止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AU2013204385B2 (en) Send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AU2012203330B2 (en) Send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12075011A (ja) 着信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