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225B1 -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 Google Patents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225B1
KR101390225B1 KR1020120041556A KR20120041556A KR101390225B1 KR 101390225 B1 KR101390225 B1 KR 101390225B1 KR 1020120041556 A KR1020120041556 A KR 1020120041556A KR 20120041556 A KR20120041556 A KR 20120041556A KR 101390225 B1 KR101390225 B1 KR 10139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cable
lever
winch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797A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1020120041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22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1/00Ski lift, sleigh lift or like trackless systems with guided towing cabl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 B61B12/127Cable grippers; Haulage clips for ski lift, sleigh lift or like trackl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높이가 다른 두 지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케이블(1); 상기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10); 윈치(3)에 의해 상기 캐리지(10)를 견인하는 견인케이블(2); 상기 캐리지(10)에서 하강되며 상기 윈치(3) 또는 캐리지(10)에 구비된 보조윈치에 의해 캐리지(10)로 견인되는 하강로프(2a); 및 상기 하강로프(2a)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하네스 또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카(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 또는 탑승카(70)가 캐리지(10)를 통해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면서 고정케이블(1)의 소정위치에서 캐리지(10)로부터 수직강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Zip U.F.O for leisure}
본 발명은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따라 활강하는 도중 소정위치에서 정지함과 동시에 수직하강되어 활강과 번지점프와 같은 낙하가 함께 이루어지고 수직하강된 상태에서도 전후진되어 재미를 더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서로 이격된 두 지점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설치하고 이 케이블을 트롤리를 타고 내려오면서 속도감과 스릴을 느끼는 일명 짚 라인(Zip Line)이 하나의 익스트림 레저스포츠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짚 라인은 계곡이나 해안가, 해수욕장, 스키장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며, 두 지점이 높이차가 형성되도록 출발타워와 도착타워 등을 인위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짚 라인을 이용하는 라이더들은 트롤리에 장착되는 하네스를 착용하고 활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짚 라인은 트롤리가 단순히 경사진 케이블을 따라 낮은 곳으로 이동되는 형태에 불과하여, 라이더가 높은 곳에서 출발하면 쉬지 않고 낮은 곳에 도착하므로 속도감과 스릴을 느끼기에 너무 시간이 짧아 아쉬운 점이 있다. 또한, 번지점프가 낙하 후 끈의 반동에 의해 승강이 여러 번 반복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짚 라인은 일방향으로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활강한다는 점에서 매우 단조롭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781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을 따라 활강하는 도중 소정위치에서 정지함과 동시에 수직하강되어 활강과 번지점프와 같은 낙하가 함께 이루어지고 낙하된 상태에서도 전후진되어 재미를 더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높이가 다른 두 지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케이블(1); 상기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10); 윈치(3)에 의해 상기 캐리지(10)를 견인하는 견인케이블(2); 상기 캐리지(10)에서 하강되며, 상기 윈치(3)에 의해 캐리지(10)로 견인되거나 또는 캐리지(10)에 구비된 보조윈치에 의해 캐리지(10)로 견인되는 하강로프(2a); 및 상기 하강로프(2a)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하네스 또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카(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 또는 탑승카(70)가 캐리지(10)를 통해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면서 고정케이블(1)의 소정위치에서 캐리지(10)로부터 수직강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윈치(3)에는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의 소정위치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윈치(3)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80)가 구비되고, 상기 캐리지(10)에는 상기 컨트롤러(80)에서 발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보조윈치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캐리지(10)에 클램핑된 상기 하네스 또는 탑승카(70)의 클램핑상태를 해제시키는 수신제어부(8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캐리지(10)에는 상측에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는 롤러(21a, 21b)가 구비되고 하측에 보조롤러(51)가 구비되고, 상기 하강로프(2a)는 상기 견인케이블(2)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캐리지(10)의 보조롤러(51)에 걸려서 하향 연장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하네스의 연결잭 또는 탑승카(70) 상단의 돌출결합부(71)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캐리지(10)에는 롤러(21a, 21b)에 편심 결합된 편심핀(22)과, 이 편심핀(22)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26)에 의해 유체가 펌핑되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23)와, 이 유압실린더(23)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23)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또는 승강되는 승강레버(30)와, 가압면이 상기 고정케이블(1)을 중심으로 대향배치되며 서로 근접됨에 따라 고정케이블(1)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프(40)와, 상기 승강레버(30)와 록킹되며 승강레버(30)의 작동에 의해 록킹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40)를 서로 근접되도록 가압하는 클램프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동유닛; 및 상기 캐리지(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네스의 연결잭 또는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캐리지(10)가 제동유닛(B)에 의해 고정케이블(1)의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면, 상기 클램핑유닛의 작동에 의해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 또는 탑승카(70)가 캐리지(10)에서 수직강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단턱(7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유닛은 일단이 캐리지(10)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의 단턱(72)에 걸려지는 걸림턱(58)이 형성된 회동레버(56)와, 상기 캐리지(10)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레버(56)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레버(56)는 상기 제동유닛의 승강레버(3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거나 또는 윈치(3)에 의해 견인케이블(2)이 상승하면서 상기 돌출결합부(71)에 의해 스토퍼(63)가 가압되어 회동레버(56)가 스토퍼(63)의 구속에서 벗어남에 따라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케이블(1)을 주행하는 캐리지(10)에 클램핑된 하강로프(2a)에 사용자가 하네스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탑승카(70)가 연결되어 사용자 또는 탑승카(70)가 캐리지(10)에서 수직강하되므로, 종래 활강만 이루어지던 짚 라인과 달리 활강과 번지점프와 같은 수직강하가 동시에 이루어져서 단조롭지 않고 신선하며, 활강도중 수직강하가 이루어져서 수직강하 위치가 예측불허이므로 좀 더 스릴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리지(10)를 견인하는 견인케이블(2)을 권취하는 윈치(3)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80)를 구비하고 캐리지(10)에 수신제어부(81)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케이블(1)에서 캐리지(10)의 정지 및 탑승카(70) 등의 수직강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자연지형에 따라 낙하거리가 짧아 수직강하의 위치가 부적절할 경우 컨트롤러(80)에 의해 위치조정이 이루어져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전기적 접속 등에 의해 컨트롤하지 않더라도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을 주행하는 도중 기계적인 매커니즘을 통해 캐리지(10)를 정지시키는 제동유닛을 구비하고, 제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캐리지(10)에 클램핑된 탑승카(70)를 기계적인 매커니즘을 통해 수직강하시키는 클램핑유닛을 구비하여, 전자장비를 설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실시예 중 요부를 확대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서 제동유닛의 제1작동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제동유닛의 제2작동을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서 클램핑유닛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실시예 중 요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도 4b 및 도 5는 도 2에서 제동유닛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서 클램핑유닛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는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높이가 다른 두 지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케이블(1)과, 이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10)와, 윈치(3)에 의해 상기 캐리지(10)를 견인하는 견인케이블(2)과, 상기 캐리지(10)에 구비되어 캐리지(10)를 고정케이블(1)에서 위치 고정시키는 제동유닛과, 상단에 구비된 돌출결합부(71)가 상기 견인케이블(2)의 단부에 결합된 탑승카(70)와, 상기 캐리지(10)에 구비되어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견인케이블(2)은 캐리지(10)를 통과하면서 절곡되어 하향 연장되는데, 이 하향 연장된 부분이 청구항에 언급된 하강로프(2a)를 나타내며, 결국 하강로프(2a)는 견인케이블(2)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명칭에서 U.F.O는 탑승카(70)를 의미한다.
우선, 상기 고정케이블(1)은 산악 등에 설치되며 일단이 타단에 비해 높은 곳에 설치되어 경사진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해안 등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견인케이블(2)은 고정케이블(1)의 하측을 따라 설치되며, 윈치(3)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캐리지(10)를 견인하게 된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강로프(2a)가 견인케이블(2)의 단부에서 일체로 하향 연장되며, 이 하강로프(2a)는 윈치(3)에 의해 견인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하강로프(2a)가 견인케이블(2)과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캐리지(10)에 도시안된 보조윈치가 구비되어 하강로프(2a)가 상기 보조윈치에 의해 견인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캐리지(10)는 상측 및 하측프레임(20, 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프레임(20)은 대략'∩'형상 또는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내측 전후단에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는 제1 및 제2롤러(21a, 21b)가 구비된다. 하측프레임(50)의 내측에는 견인케이블(2)이 걸려져서 하향 연장되는 제3롤러(51)가 구비된다. 이때, 하측프레임(50)은 상측프레임(20)에 링크(52)로 결합되어 상측프레임(2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동유닛은 캐리지(10)에 구비되는 것으로, 편심핀(22), 유압실린더(23), 커넥팅로드(29a, 29b), 승강레버(30), 클램프작동수단 및 클램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램프작동수단은 인출레버(53), 탄성스프링(54), 작동레버(33), 스크류(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편심핀(22)은 상측프레임(20)의 제1 또는 제2롤러(21a, 21b)의 회전축에 편심되게 결합된다. 상기 유압실린더(23)는 상측프레임(20)에 구비되며, 제1 및 제2챔버(24, 25)가 구비되고 제1챔버(24)에는 편심핀(22)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26)이 구비되며, 이 피스톤(26)의 승강에 따라 유체가 제2챔버(25)로 펌핑된다. 이때, 유체가 제1챔버(24)에서 제2챔버(25)로 흐르는 제1유로(28a)에는 체크밸브(28)가 구비되고, 제2챔버(25)에 유입된 유체는 펌핑이 중단되면 제2유로(28b)를 통해 제1챔버(24)로 유출된다.
그리고, 제2챔버(25)에는 제2챔버(25)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승하는 실린더로드(27)가 구비된다. 이 실린더로드(27)의 상단은 유압실린더(23) 하측에 구비된 회동축(29)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커넥팅로드(29a, 29b, 29c)의 일단과 링크결합되며, 이 커넥팅로드(29a, 29b, 29c)의 타단에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회동되는 승강레버(30)가 링크결합된다. 이에 따라, 커넥팅로드(29a, 29b, 29c)의 회동에 의해 승강레버(30)가 승강되는데, 이 승강레버(30)는 가이더(31)를 따라 승강되며 이 가이더(31)에는 승강레버(3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2)이 구비된다. 또한, 승강레버(30)는 하강된 상태에서는 그 하단면이 단부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인출레버(53)는 바아 형상으로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하측프레임(50)에 구비되며 상단이 승강레버(30)에 의해 가압되어, 하측프레임(50)이 상측프레임(20)에서 슬라이드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탄성스프링(54)은 일단이 상측프레임(20)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측프레임(50)의 링크(52)에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스프링(54)은 인출레버(53)가 승강레버(30)의 하강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서 탄성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스크류(34)는 제1 및 제2롤러(21a, 21b) 사이에 구비되며 고정케이블(1)과 직교되게 상측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스크류(34)의 둘레면에 상기 한 쌍의 클램프(40)를 서로 근접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면(35)이 형성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면(35)은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암나사산(37)과 수나사산(36)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스크류(34)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을 이루는 돌기 또는 홈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작동레버(33)는 상단이 스크류(34)의 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이 하측프레임(50)에 결합된다. 이때, 작동레버(33)의 상단은 작동레버(33)가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스크류(34)가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클램프(40)는 고정케이블(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하단부에 단면이 서로 마주보는 반원형상의 고정홈(44)이 고정케이블(1)을 중심으로 대향배치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이때, 각 클램프(40)의 일면 중앙부에는 스크류(34)가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블록(42)이 구비된다. 이동블록(42)에는 스크류(34)의 암나사부(37) 및 수나사부(36)가 각각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43)이 구비된다. 스크류(34)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이동블록(42)은 서로 근접되거나 멀어지도록 왕복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40)의 상단에는 서로 근접되는 가이드블록(45)이 가이드힌지축(4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가이드블록(45)과 이동블록(42)에는 각각 테이퍼면(42a, 45a)이 형성된다. 한편, 하단이 이동블록(42)의 테이퍼면(42a)과 면접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단이 가이드블록(45)의 테이퍼면(45a) 사이에 삽입되는 승강블록(46)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5의 (a),(b)에서와 같이, 스크류(34)가 회전되어 이동블록(42)이 서로 근접됨에 따라 승강블록(46)이 승강되면서 가이드블록(45)을 서로 멀어지도록 밀어낸다. 이에 따라, 클램프(40)의 하단부는 서로 근접되어 고정케이블(1)을 가압함으로써,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에 위치 고정된다. 이때, 클램프(40) 하단부의 고정홈(44)들 사이에 고정케이블(1)이 삽입된다.
상기 탑승카(70)는 내부에 탑승객들이 탑승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탑승카(70)의 상단에는 하강로프(2a)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돌출결합부(71)가 구비되고, 이 돌출결합부(71)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단턱(7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클램핑유닛은 캐리지(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55)와, 상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55)의 제1힌지축(5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의 단턱(72)에 걸려지는 걸림턱(58)이 구비된 한 쌍의 회동레버(56)와, 일단이 상기 회동레버(56)의 타단에 링크결합되며 타단이 고정플레이트(55)의 제2힌지축(6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링크(59)와, 이 연결링크(59)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링크(59)는 제2힌지축(60)과 회동레버(56)의 걸림턱(58)과의 사이에 연결핀(6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토퍼(63)는 고정플레이트(55)의 일측부의 제3힌지축(6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제1힌지축(57)의 상측에 수평하게 구비된다.
한편, 제2힌지축(60)에는 연결링크(59)와 일정각을 유지하는 레버(62)가 상향 돌출되며, 이 레버(62)는 스토퍼(63)가 수평인 상태가 되도록 스토퍼(63)의 회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탑승카(70)의 상단에는 돌출결합부(71)가 수납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55) 사이로 입출입되는 작동플레이트(65)가 구비된다. 이 작동플레이트(65)와 견인케이블(2)은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토퍼(63)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작동플레이트(65)의 하측부 양단에는 고정플레이트(55)의 연결링크(59)의 연결핀(61)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가압핀(66)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작동플레이트(65)가 승강되면 돌출결합부(71)의 상단이 스토퍼(63)를 상측으로 밀어올림과 동시에 작동플레이트(65)의 가압핀(66)이 고정플레이트(55)의 연결핀(61)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므로, 한 쌍의 회동레버(56)가 제1힌지축(57)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돌출결합부(71)의 클램핑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탑승카(70)가 수직강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윈치(3)를 작동시켜 견인케이블(2)에 의해 견인되던 캐리지(10)를 고정케이블(1)의 소정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고정케이블(1)을 따라 회전되던 캐리지(10)의 제1 및 제2롤러(21a, 21b)의 회전이 멈추게 되므로, 상기 제1롤러(21a)에 축결된 편심핀(22)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26)이 승강됨에 따라 유체가 펌핑되어 제2챔버(25)로 유입되던 작동이 정지된다.
이때, 피스톤(26)의 승강이 멈추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제2챔버(25)로 유입된 유체가 제2유로(28b)를 통해 제1챔버(24)로 유출되면서 실린더로드(27)가 하강된다. 실린더로드(27)가 하강되면 커넥팅로드(29a, 29b, 29c)의 회동에 의해 승강레버(30)가 승강되어 인출레버(53)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탄성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프레임(50)이 상측프레임(20)에서 슬라이드된다. 이에 따라, 작동레버(33)가 회동되어 스크류(34)가 회전되므로, 클램프(40)가 고정케이블(1)을 가압하여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프레임(50)이 상측프레임(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됨에 따라, 도 6b에서와 같이 보조롤러(51)가 이동되면서 하강로프(2a)가 약간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가 고정플레이트(55)의 스토퍼(63)를 상측으로 밀어내며 작동플레이트(65)의 가압핀(66)이 고정플레이트(55)의 연결핀(61)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회동레버(56)가 제1힌지축(57)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의 클램핑상태가 해제되면서 탑승카(70)가 하측프레임(50)에서 수직하강된다.
한편, 수직하강된 탑승카(70)는 윈치(3)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며,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핀(61)과 회동레버(56) 및 스토퍼(63)가 자중에 의해 하강 및 회동되어, 탑승카(70)가 클램핑유닛에 의해 클램핑된다. 또한, 제동유닛은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작동해제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동유닛에 가이드블록(45)이 서로 근접되도록 해주는 가압수단이 구비되어 클램프(40)가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케이블(1)의 클램핑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캐리지(10)가 다시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한편, 탑승카(70)가 캐리지(10)에서 수직강하된 상태에서 컨트롤러에 의해 제동유닛의 한 쌍의 클램프(40)가 고정케이블(1)에서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탑승카(70)가 캐리지(10)에서 수직강하된 상태에서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80)에 의해 윈치(3)의 작동을 제어하며, 캐리지(10)에 컨트롤러(80)의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제어부(81)를 구비한다. 이 수신제어부(81)는 컨트롤러(80)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전번 실시예서와 같이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가 클램핑유닛에 의해 클램핑된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제동유닛과 클램핑유닛이 컨트롤러(80)에 의해 컨트롤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의 소정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됨은 물론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 또는 탑승카(70)가 자동으로 수직강하된다.
한편, 상기 캐리지(10)에 도시안된 보조윈치가 수납되는 케이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신제어부(81)는 보조윈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편, 상기 두 실시예에서 탑승카(70)가 하강로프(2a)에 연결되어 수직강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착용하는 하네스의 연결잭이 하강로프(2a)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잭이 클램핑유닛에 의해 클램핑될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동유닛(B)의 유압실린더, 커넥팅로드 및 제1롤러의 편심핀은 도시생략하였다. 이번 실시예에서는 하강로프(2a)가 상승함에 따라 제동유닛의 한 쌍의 클램프(40)가 서로 이격되어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에서 주행할 수 있게 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캐리지(10)는 전번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스토퍼(63)의 상단은 캐리지(10)의 하측에 구비된 회동암(90)의 일단과 제3롤러(51)의 테두리부에 힌지축(63a)으로 고정된다. 스토퍼(63)가 승강함에 따라 힌지축(63a)이 원호형상을 따라 이동되어 회동암(90)의 타단부는 하강된다.
그리고, 회동암(90)의 타단에는 수평로드(91)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수평로드(91)의 타단에는 쐐기부재(97)를 타격하는 푸쉬로드(96)를 탄지가압하는 탄지레버(95)가 회전레버(94)를 통해 연결된다. 수평로드(91)에는 로드스프링(92)이 가압레버(93)에 의해 탄성가압된 상태로 유지되며, 회동암(90)의 타단이 하강되면서 가압레버(93)가 수평로드(91)에서 이탈되어 로드스프링(92)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로드(91)가 신장된다. 이에 따라, 수평로드(91)의 타단에 구비된 회전레버(94)가 회전되면서 탄지레버(95)를 회동시켜 탄지가압된 푸쉬로드(96)가 인출되면서 쐐기부재(97)를 타격한다.
한편, 쐐기부재(97)는 한 쌍의 클램프(40a, 40b) 중 도면에서 하측의 클램프(40b)를 상측 클램프(40a)쪽으로 가압하는 슬라이더(98) 측방으로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더(98)는 가압스프링(99)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쐐기부재(97)가 슬라이더(98)의 측방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가압스프링(99)이 슬라이더(98)를 가압하는 것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윈치(3)에 의해 하강로프(2a)가 상승되면서 하강로프(2a) 상단의 돌출결합부(71)가 스토퍼(63)를 상측으로 가압하면, 회동암(90)이 원호형상을 따라 하강함에 따라 레버(93)가 수평로드(91)에서 이탈됨으로써, 수평로드(91)가 로드스프링(92)의 신장에 의해 신장되어 회전레버(94)와 탄지레버(95)가 회동되므로 푸쉬로드(96)가 쐐기부재(97)를 타격한다. 타격된 쐐기부재(97)가 슬라이더(98)로 삽입되면서 가압스프링(99)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더(98)가 상측으로 가압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하측의 클램프(40a)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상측의 클램프(40b)와 멀어진다. 이에 따라, 제동유닛(B)에 의해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에 클램핑된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제동유닛에서 윈치(3)에 의해 캐리지(10)가 정지하면 도시생략된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는 하강되면서 커넥팅로드에 의해 탄지가압된 타격스프링(100)의 레버를 인출시켜 타격스프링(100)이 신장되어 상기 쐐기부재(97)를 왼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쐐기부재(97)가 슬라이드(98)에서 이탈되면서 가압스프링(99)이 하측의 클램프(40a)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한 쌍의 클램프(40a, 40b)가 고정케이블(1)을 가압 고정하게 된다.
한편, 탑승카(70)의 상단에 구비된 돌출결합부(71)는 탑승카(70) 상단에 구비되며 상측에 삽입홈(74)이 형성된 하우징(73)과, 하단이 이 하우징(73)의 삽입홈(7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이 하강로프(2a)에 연결 설치되는 수직봉(7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우징(73)의 삽입홈(74)에는 베어링(75)이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봉(76)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단턱(72)이 형성되어 클램핑유닛의 회동레버(56)가 단턱(72)에 걸려진다.
이에 따라, 탑승카(70)의 자중 및 바람에 의해 탑승카(70)가 수직봉(76)을 중심으로 자전하게 되므로, 탑승객들은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도 사면을 감상할 수 있다. 한편, 탑승카(70)의 공간부에는 중앙의 축을 중심으로 원형을 따라 배치된 좌석이 구비된 도시안된 좌석테이블이 구비되며, 이 좌석테이블은 모터에 의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탑승카(70)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카(70)가 하강로프(2a)를 중심으로 자중과 바람에 의해 자전하면서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고, 탑승카(70)가 수직강하되거나 또는 수직강하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레저 스포츠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좌석테이블도 탑승카(70)에서 회전될 수 있어, 기존에 접할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레저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저용 짚 라인 설비를 이용하면 활강과 번지점프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즉,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을 따라 활강하다가 캐리지(10)의 제동유닛이 작동하여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면, 클램핑유닛에 의해 클램핑된 탑승카(70)의 클램핑상태가 해제되면서 탑승카(70)가 수직하강되므로, 종래 활강만 이루어지던 것에 비해 단조로움에서 벗어나서 신선할 뿐만 아니라 활강에 번지점프만의 짜릿함을 더할 수 있어서 처음 접하는 레저스포츠로 각광받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높이가 다른 두 지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케이블(1); 상기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10); 윈치(3)에 의해 상기 캐리지(10)를 견인하는 견인케이블(2); 상기 캐리지(10)에서 하강되며, 상기 윈치(3)에 의해 캐리지(10)로 견인되거나 또는 캐리지(10)에 구비된 보조윈치에 의해 캐리지(10)로 견인되는 하강로프(2a); 및 상기 하강로프(2a)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하네스 또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카(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 또는 탑승카(70)가 캐리지(10)를 통해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면서 고정케이블(1)의 소정위치에서 캐리지(10)로부터 수직강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3)에는 캐리지(10)가 고정케이블(1)의 소정위치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윈치(3)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80)가 구비되고, 상기 캐리지(10)에는 상기 컨트롤러(80)에서 발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보조윈치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캐리지(10)에 클램핑된 상기 하네스 또는 탑승카(70)의 클램핑상태를 해제시키는 수신제어부(8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0)에는 상측에 고정케이블(1)을 따라 주행하는 롤러(21a, 21b)가 구비되고 하측에 보조롤러(51)가 구비되고, 상기 하강로프(2a)는 상기 견인케이블(2)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캐리지(10)의 보조롤러(51)에 걸려서 하향 연장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하네스의 연결잭 또는 탑승카(70) 상단의 돌출결합부(71)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캐리지(10)에는 롤러(21a, 21b)에 편심 결합된 편심핀(22)과, 이 편심핀(22)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피스톤(26)에 의해 유체가 펌핑되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23)와, 이 유압실린더(23)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23)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또는 승강되는 승강레버(30)와, 가압면이 상기 고정케이블(1)을 중심으로 대향배치되며 서로 근접됨에 따라 고정케이블(1)을 클램핑하는 한 쌍의 클램프(40)와, 상기 승강레버(30)와 록킹되며 승강레버(30)의 작동에 의해 록킹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40)를 서로 근접되도록 가압하는 클램프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동유닛; 및 상기 캐리지(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네스의 연결잭 또는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캐리지(10)가 제동유닛에 의해 고정케이블(1)의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면, 상기 클램핑유닛의 작동에 의해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하네스를 착용한 사용자 또는 탑승카(70)가 캐리지(10)에서 수직강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단턱(7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유닛은 일단이 캐리지(10)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탑승카(70)의 돌출결합부(71)의 단턱(72)에 걸려지는 걸림턱(58)이 형성된 회동레버(56)와, 상기 캐리지(10)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레버(56)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레버(56)는 상기 제동유닛의 승강레버(3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거나 또는 윈치(3)에 의해 견인케이블(2)이 상승하면서 상기 돌출결합부(71)에 의해 스토퍼(63)가 가압되어 회동레버(56)가 스토퍼(63)의 구속에서 벗어남에 따라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KR1020120041556A 2012-04-20 2012-04-20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KR10139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556A KR101390225B1 (ko) 2012-04-20 2012-04-20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556A KR101390225B1 (ko) 2012-04-20 2012-04-20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797A KR20130126797A (ko) 2013-11-21
KR101390225B1 true KR101390225B1 (ko) 2014-04-30

Family

ID=4985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556A KR101390225B1 (ko) 2012-04-20 2012-04-20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806A (ja) * 1996-06-05 1997-12-16 Nippon Kinzoku Co Ltd 搬送装置
KR200329169Y1 (ko) 2003-06-30 2003-10-08 이강동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KR100915746B1 (ko) 2008-06-20 2009-09-04 이창섭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KR101032886B1 (ko) 2009-12-21 2011-05-06 짚라인코리아 (주)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806A (ja) * 1996-06-05 1997-12-16 Nippon Kinzoku Co Ltd 搬送装置
KR200329169Y1 (ko) 2003-06-30 2003-10-08 이강동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KR100915746B1 (ko) 2008-06-20 2009-09-04 이창섭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KR101032886B1 (ko) 2009-12-21 2011-05-06 짚라인코리아 (주)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797A (ko)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700B1 (ko) 짚라인 브레이킹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주행트롤리
EP1391227A1 (en) Static tensioned cable ride
CN203714110U (zh) 滑板车擦地式刹车装置
JP2009148570A (ja) 吊り下げられたゴンドラ車を有する観覧車タイプの遊戯用乗り物装置
KR101390225B1 (ko)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CN106185207B (zh) 一种可调速的楼梯运输装置及方法
CN102160927B (zh) 一种拔河比赛用的装置
CN201737551U (zh) 一种适用于非刚性导轨电梯的轿厢超速失速保护系统
KR102505777B1 (ko) 이탈방지 및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 방지가 가능한 반자동 탑승카트
KR20180013347A (ko) 롤러 썰매
CN2609617Y (zh) 双向牵引飞人设备
CN213262359U (zh) 一种煤矿井下猴车用保护器
EP3472017B1 (en) Second-generation binary track safety traverse system
KR102067659B1 (ko) 승마 연습용 안전장치
CN212928591U (zh) 一种安全、高效、智能的滑道安全系统
CN107224030B (zh) 一种基于重力控制的防滑鞋
KR200392906Y1 (ko) 구름판
CN217246690U (zh) 天空秋千可行走小车装置
US20040074415A1 (en) Method for detaching towable device from ski lift and detaching member
CN221713549U (zh) 一种单轨滑车娱乐设备
KR20120000910A (ko) 자전거 페달 및 이 페달용 신발
KR200380754Y1 (ko) 구름판
CN2489839Y (zh) 代步滚环滑行轨道
US552692A (en) Pleasure-railway
KR100646130B1 (ko) 구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