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746B1 -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746B1
KR100915746B1 KR1020080058369A KR20080058369A KR100915746B1 KR 100915746 B1 KR100915746 B1 KR 100915746B1 KR 1020080058369 A KR1020080058369 A KR 1020080058369A KR 20080058369 A KR20080058369 A KR 20080058369A KR 100915746 B1 KR100915746 B1 KR 10091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 glider
glider
return
board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이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섭 filed Critical 이창섭
Priority to KR102008005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글라이더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출발지에 위치하는 탑승대(2)와 반환지에 위치하는 반환대(3) 상부에 구비되는 로울러부(4)(4')에 이송와이어(10)를 경사 연결 설치하여 구동수단(5)의 정,역 구동에 의해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송 와이어(10)에는 이송 와이어에 고정 설치되어 전,후 이동하는 고정장착부(20)와, 상기 고정장착부 하부에 설치되는 모형 행글라이더(30)를 구성하여 이용자가 안전복(40)의 안전 와이어(42)로 모형 행글라이더(30)에 연결한 상태로 탑승하여 이송 와이어를 따라 탑승대(2)와 반환대(3)의 스토퍼(7)(7') 위치까지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출발지와 반환지를 경사 연결하는 이송 와이어에 의해 모형 행글라이더를 전후 이동하면서 이용자가 실제 행글라이더를 타는 것과 같은 경험을 행하되, 일정하게 전후 이동하면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행글라이더 놀이기구{Playing apparatus using hang-glider}
본 발명은 출발지와 반환지를 경사 연결하는 이송 와이어에 의해 모형 행글라이더를 전후 이동하면서 이용자가 실제 행글라이더를 타는 것과 같은 경험을 행하되, 일정하게 전후 이동하면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행글라이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행글라이더는 높은 산이나 언덕에 올라서서 자연으로 발생하는 바람을 타고 하늘을 날다가 지면으로 착륙하게 되는 레포츠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실제 행글라이더는 이를 즐기기 위해서 행글라이더를 메고 높은 산이나 언덕에 올라서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행글라이더를 타는데 많은 숙련성이 필요하므로 누구나 손쉽게 이용하지는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행글라이더가 바람의 영향이나 착륙지의 여건에 의해 각종 추락이나 충돌 등의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 행글라이더가 갖는 즐거움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출발지와 반환지를 경사 연결하는 이송 와이어에 의해 모형 행글라이더를 전후 이동하면서 이용자가 실제 행글라이더를 타는 것과 같은 경험을 행하되, 일정하게 전후 이동하면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행글라이더 전방에 조명등을 설치하여 야간에도 지상을 관광하며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출발지와 반환지의 정치 위치에 모형 행글라이더의 정지 충격을 완충스프링에 의해 완충하여 더욱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출발지에 위치하는 탑승대와 반환지에 위치하는 반환대 상부에 구비되는 로울러부에 이송와이어를 연결 설치하여 구동수단의 정,역 구동에 의해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송 와이어에는 이송 와이어에 고정 설치되어 전,후 이동하는 고정장착부와, 상기 고정장착부 하부에 설치되는 모형 행글라이더를 구성하여 이용자가 안전복의 안전 와이어로 모형 행글라이더에 연결한 상태로 탑승하여 이송 와이어를 따라 탑승대와 반환대의 스토퍼 위치까지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탑승대와 반환대 상부의 이송와이어는 탑승대를 시작으로 반환대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를 이루어 모형 행글라이더에 탑승한 이용자의 시야를 점차 넓게 확보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모형 행글라이더 전방에는 야간에도 지상을 조명에 의해 식별하여 관광하도록 조명등을 장착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탑승대와 반환대의 스토퍼에는 모형 행글라이더의 정지시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완충 스프링을 설치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출발지와 반환지를 경사 연결하는 이송 와이어에 의해 모형 행글라이더를 전후 이동하면서 이용자가 실제 행글라이더를 타는 것과 같은 경험을 행하되, 일정하게 전후 이동하면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행글라이더 전방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의해 야간에도 지상을 관광하며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형 행글라이더를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형 행글라이더 정면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탑승대 3: 반환대
4,4': 로울러부 10: 이송와이어
5: 구동수단 20: 고정 장착부
30: 모형 행글라이더 40: 안전복
7,7': 스토퍼 35: 조명등
8: 완충 스프링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출발지와 반환지를 연결하는 이송와이어를 따라 모형 행글라이더가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하므로 이용자가 상기 모형 행글라이더에 탑승하여 일정하게 전후 이동하므로 실제 행글라이더를 타는 것과 같은 경험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행글라이더 놀이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지에 위치하는 탑승대(2)와 반환지에 위치하는 반환대(3) 상부에 구비되는 로울러부(4)(4')에 이송와이어(10)를 연결 설치하여 구동수단(5)의 정,역 구동에 의해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송 와이어(10)에는 이송 와이어에 고정 설치되어 전,후 이동하는 고정장착부(20)와, 상기 고정장착부 하부에 설치되는 모형 행글라이더(30)를 구성하여 이용자가 안전복(40)의 안전 와이어(42)로 모형 행글라이더(30)에 연결한 상태로 탑승하여 이송 와이어를 따라 탑승대(2)와 반환대(3)의 스토퍼(7)(7') 위치까지 전후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탑승대(2)와 반환대(3) 상부의 이송와이어(10)는 점차 상향 경사를 이루어 모형 행글라이더(30)에 탑승한 이용자의 시야를 점차 넓게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형 행글라이더(30) 전방에는 조명등(35)을 장착하여 야간에도 지상을 조명에 의해 식별하여 관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탑승대(2)와 반환대(3)의 스토퍼(7)(7')에는 모형 행글라이더(30)의 정지시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완충 스프링(8)이 각각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형 행글라이더(30)는 이용자가 실제 행글라이더를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실제 행글라이더와 같은 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삼각형의 날개(31) 하부에 지지프레임(32)과 하부 파지프레임(33) 등이 마련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착부(20)에는 이송 와이어(10) 및 상기 이송와이어와 평행하게 연결 설치되는 지지와이어(12)에 안내하도록 케이싱 내부에 전후 상하에 다수의 안내롤러(21)를 마련하고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M은 구동수단(5)의 구동모터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이용자는 탑승대(2) 위치에서 안전복(40)을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복의 안전 와이어(42)를 모형 행글라이더(30)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형 행글라이더(30)의 하부 파지 프레임(33)을 파지하여 탑승 완료한다.
이와 같이 이용자의 탑승이 완료된 후, 작동 스위치(미도시) 누르면 구동모터(M)가 정회전하면서 이송와이어(10)가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 와이어(10)에 고정 설치된 고정장착부(20)가 이송 와이어(10)와 함께 전진 이송하면서 모형 행글라이더(30)가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진 이동하는 모형 행글라이더(30)는 이송 와이어(10)가 점차 상향 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점차 지면에서 멀어지는 높이로 이동하면서 이용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하여 실제 행글라이더를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모형 행글라이더(30)는 이송 와이어(10)에 의해 일정하게 이동하면서 안전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모형 행글라이더(30)가 이송 와이어(10)에 의해 탑승대(2)에서 출발하여 반환대(3)에 이르게 되면 반환대 측에 설치된 센서의 감지에 의해 모형 행글라이더(30)가 멈추게 되고, 스토퍼(7')에 의해 스톱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에는 완충 스프링(8)이 설치되어 정지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형 행글라이더(30)의 전진 이동이 완료되면, 하강 스위치를 눌려 다시 구동모터(M)가 역회전하면서 이송와이어(10)가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 와이어(10)에 고정 설치된 고정장착부(20)가 이송 와이어(10)와 함께 후진 이송하면서 모형 행글라이더(30)가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모형 행글라이더(30)가 이송 와이어(10)에 의해 반환대(3)에서 출발하여 다시 출발대(2)에 이르게 되면 출발대 측에 감지센서(미도시)에 감지되어 구동모터(M)가 작동이 멈추게 되고, 모형 행글라이더(30)는 스토퍼(7)에 의해 스톱 작동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스토퍼에는 완충 스프링(8)이 설치되어 정지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한편, 승,하강 작동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모형 행글라이더(30)가 승,하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승후, 5~10초가 지나면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모터가 역회전하여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이용자의 탑승이 완료되면 하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행글라이더 놀이기구는 상기 모형 행글라이더(30) 전방에 조명등(35)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야간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모형 행글라이더를 즐기면서 조명등에 의해 지상을 조명하여 관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출발지와 반환지를 경사 연결하는 이송 와이어를 따라 모형 행글라이더를 전후 이동하면서 이용자가 실제 행글라이더를 타는 것과 같은 경험을 행하되, 일정하게 전후 이동하면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출발지에 위치하는 탑승대(2)와 반환지에 위치하는 반환대(3) 상부에 구비되는 로울러부(4)(4')에 이송와이어(10)를 연결 설치하여 구동수단(5)의 정,역 구동에 의해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이송 와이어(10)에는 이송 와이어에 고정 설치되어 전,후 이동하는 고정장착부(20)와, 상기 고정장착부 하부에 설치되는 모형 행글라이더(30)를 구성하여 이용자가 안전복(40)의 안전 와이어(42)로 모형 행글라이더(30)에 연결한 상태로 탑승하여 이송 와이어를 따라 탑승대(2)와 반환대(3)의 스토퍼(7)(7') 위치까지 전후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대(2)와 반환대(3) 상부의 이송와이어(10)는 탑승대(2)를 시작으로 반환대(3)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를 이루어 모형 행글라이더(30)에 탑승한 이용자의 시야를 점차 넓게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행글라이더(30) 전방에는 조명등(35)을 장착하여 야간에도 지상을 조명에 의해 식별하여 관광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대(2)와 반환대(3)의 스토퍼(7)(7')에는 모형 행글라이더(30)의 정지시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완충 스프링(8)이 각각 설치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KR1020080058369A 2008-06-20 2008-06-20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KR10091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69A KR100915746B1 (ko) 2008-06-20 2008-06-20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69A KR100915746B1 (ko) 2008-06-20 2008-06-20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746B1 true KR100915746B1 (ko) 2009-09-04

Family

ID=4135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369A KR100915746B1 (ko) 2008-06-20 2008-06-20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7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460A1 (ko) * 2009-12-21 2011-06-30 주식회사 짚라인코리아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KR101390225B1 (ko) 2012-04-20 2014-04-30 김병열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KR101854388B1 (ko) * 2012-02-17 2018-06-20 주식회사 모텍스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KR102091337B1 (ko) 2018-11-14 2020-03-19 김진태 행글라이더 운동 장치
KR102594088B1 (ko) 2023-03-14 2023-10-26 어드벤처 주식회사 스카이 글라이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9388A (en) * 1980-07-29 1982-02-17 Toyo Gorakuki Kk Descent game device
KR200200450Y1 (ko) * 1998-06-30 2001-04-02 임식천 낙하용놀이기구
KR20040100840A (ko) * 2002-03-25 2004-12-02 쿠르트 헨네 고정된 트랙을 활주하는 비행기 훈련 및 오락기구
KR100505184B1 (ko) * 2003-06-30 2005-07-29 이강동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9388A (en) * 1980-07-29 1982-02-17 Toyo Gorakuki Kk Descent game device
KR200200450Y1 (ko) * 1998-06-30 2001-04-02 임식천 낙하용놀이기구
KR20040100840A (ko) * 2002-03-25 2004-12-02 쿠르트 헨네 고정된 트랙을 활주하는 비행기 훈련 및 오락기구
KR100505184B1 (ko) * 2003-06-30 2005-07-29 이강동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460A1 (ko) * 2009-12-21 2011-06-30 주식회사 짚라인코리아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KR101854388B1 (ko) * 2012-02-17 2018-06-20 주식회사 모텍스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KR101390225B1 (ko) 2012-04-20 2014-04-30 김병열 레저용 유희시설 짚 u.f.o
KR102091337B1 (ko) 2018-11-14 2020-03-19 김진태 행글라이더 운동 장치
KR102594088B1 (ko) 2023-03-14 2023-10-26 어드벤처 주식회사 스카이 글라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746B1 (ko) 행글라이더 놀이기구
KR101122520B1 (ko) 짚 트렉 시스템
KR101635940B1 (ko) 활강 레포츠 장치
AU5004693A (en) Amusement ride
US9120023B1 (en) Human flying apparatus
US20180257773A1 (en) System for Tethered Airboarding
CN109646879B (zh) 一种动感单车
KR101686209B1 (ko) 패러글라이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CN204601603U (zh) 一种悬挂过山车动感轨道系统
CN202807108U (zh) 固定翼飞机开阔水域水上迫降试验装置
KR102191731B1 (ko)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CN106422336A (zh) 一种三自由度轨道车
US20050288109A1 (en) Fun-ride and a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fun-ride
CN106114237B (zh) 一种轨道车的取电装置
KR101276711B1 (ko) 글라이더 모션 시뮬레이터
KR102517866B1 (ko) 공중이동용 탑승카트 입출고 주차시스템
JPH09505230A (ja) 振り子制振手段付き揺動式娯楽乗物装置
KR101839530B1 (ko) 보드형 짚라인
KR20150098714A (ko)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CN105031926A (zh) 悬挂过山车动感轨道系统及其提升用户体验的方法
CN209237325U (zh) 一种全地轨胶囊式飞行影院载客机构
CN104842727A (zh) 电动自行车(摩托车)飞行器
CN110152269B (zh) 一种模拟跳台滑雪运动的滑雪台组合体
KR100866074B1 (ko) 공중부양 놀이기구
CN202147683U (zh) 活动抱索器拐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