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999B1 -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 Google Patents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999B1
KR101389999B1 KR1020120015281A KR20120015281A KR101389999B1 KR 101389999 B1 KR101389999 B1 KR 101389999B1 KR 1020120015281 A KR1020120015281 A KR 1020120015281A KR 20120015281 A KR20120015281 A KR 20120015281A KR 101389999 B1 KR101389999 B1 KR 101389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leaning
casing
wall
typ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379A (ko
Inventor
함세영
조희남
최성욱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5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에 관한 것으로, 브러쉬의 직경을 지하수 관정(나공, 케이싱 등)의 내경보다 작게 하여 브러쉬형 세척구의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지하수 관정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는, 세척구 몸체(11) 및 상기 세척구 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브러쉬모(12)를 포함하되, 외경이 지중 심정 또는 상기 지중 심정에 삽입되는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구동부를 구동원으로 하여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하면서 지중 심정의 내벽 또는 상기 지중 심정의 내부에 삽입되어 케이싱의 내벽을 청소하며, 상기 세척구 몸체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할 때 유연성을 통해 구부러지면서 상기 브러쉬모가 상기 케이싱의 내벽을 청소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APPARATUS FOR CLEANING WELL USING BRUSH}
본 발명은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쉬의 직경을 지하수 관정(나공, 케이싱 등)의 내경보다 작게 하여 브러쉬의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지하수 관정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 심정은 통상 지표층 아래 암반부분을 굴착하여 암반대수층의 지하수를 지하수용 심정펌프를 지하수 심정 내부에 설치하여 지하수를 양수하여 사용하여 오고 있다. 지하수 심정은 대체적으로 풍화암이나 연암층등에 형성된 파쇄 절리층에 흐르고 있는 지하수가 지하수 심정 내부로 흘러 들어와 이를 펌핑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처럼 지하수가 파쇄 절리층에서 유입되면서 모래나 점토성분들이 지하수 심정 내부로 흘러 들어와 지하수 심정 바닥에 쌓이게 되어 슬라임이 된다. 또한, 일부 지하수 심정은 굴착된 공벽으로부터 박리된 암석 가루가 지하수 심정 바닥에 쌓임으로서 슬라임을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장기간 지하수 심정을 사용 유지하게 되면 부유물질이나 이물질들이 지하수 심정의 굴착 공벽에 엉겨 붙게 되고 이에 따라 지하수 심정 펌프의 가동에 따른 지하수의 수위 변동에 따라 수위가 변화되는 전 구간에 엉겨 붙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로가에 설치된 지하수 심정의 경우는 지하수 심정 펌프가 가동될 때 지하수위가 내려가면서 체적 보상을 위한 공기가 흡입되어지게 되고 이런 이유로 인해 자동차 매연이 자연스럽게 지하수 심정 내부로 유입하면서 양수파이프나 지하수 굴착공벽 표면에 검은 매연이 누적되어 엉겨 붙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일부 지하수 심정의 굴착공벽이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내부 우물자재에 이끼류가 형성되고 이들로부터 박리된 이물질들이 지하수 심정 바닥에 쌓여 슬라임을 형성하기도 한다. 극히 일부이긴 하나 귀뚜라미가 다량 서식하면서 이들의 사체로 인해 침전물이 형성되어 슬라임이 형성되기도 하며 부패된 찌꺼기가 심정 벽체에 붙어 지속적으로 지하수의 수질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이들 슬라임이나 엉겨 붙은 이물질 등은 모두 지하수 심정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지하수의 수질을 변질 오염시켜 위생적인 지하수 심정의 유지관리가 어렵게 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중인 지하수 심정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지하수 심정 내부를 청소하여 굴착공벽은 물론이거니와 지하수 심정 바닥의 슬라임을 제거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인은 이러한 지하수 심정의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내부 청소를 위하여 많은 기술개발을 진행해 온 바 있으며 이는 특허등록 제10-0338257호(특허명칭 :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수맥청소장치 및 청소방법)와 특허등록 제10-0714431호(브러쉬와 세척수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방법), 특허등록 제 10-0856784호(냉각장치와 고정브레이커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지하수 심정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기술개발의 성과를 이루어내고 산업 현장에서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있다. 또한, 일부 지하수 심정 내부 청소를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특허등록 제10-0531470호(평면분사 및 진공흡입을 통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및 그 청소방법)가 있으며 또한, 일반적인 지하수 심정의 내부 청소는 일명 써징공사라 명명되고 있으며 이 경우 다수의 지하수 심정은 압축공기를 주입 공급할 수 있는 공기파이프를 지하수 심정 바닥에까지 내린 다음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축공기와 지하수가 함께 지상으로 배출되면서 지하수 심정 바닥에 있는 슬라임도 함께 배츨되도록 함은 물론 배출되는 지하수와 압축공기에 의해 지하수 굴착공벽도 세척될 수 있도록 시행하고 있다.
본 발명은 브러쉬형 세척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 기술에 관련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브러쉬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브러쉬형 세척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 장치는, 심정에 설치되는 케이싱(1)(또는 심정)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케이싱(1)의 벽면을 긁어 세척하는 브러쉬형 세척구(2), 브러쉬형 세척구(2)를 상하 또는 회전시키는 구동부(3)로 구성된다.
브러쉬형 세척구(2)는 유연성이 없는 세척구 몸체(2a) 및 세척구 몸체(2a)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브러쉬모(2b)로 구성된다.
브러쉬모(2b)는 스테인레스 강선이나 철선, 동선 및 가는 플라스틱 봉선 등으로서 일정 길이로 재단되어 사용되고, 예를 들어 띠선에 삽입되어 세척구 몸체(2a)의 둘레부에 밴딩으로 설치되거나, 세척구 몸체(2a)에 홀을 가공하여 상기 홀에 삽입 고정하는 방식 등으로 제작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브러쉬형 세척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브러쉬형 세척구(2)는 브러쉬모(2b)가 케이싱(1)의 내벽을 긁는 방법으로 청소하는 것이기 때문에 브러쉬형 세척구(2)의 외경이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으면 브러쉬모(2b)가 케이싱(1)의 내벽에 닿지 않기 때문에 케이싱(1)을 세척할 수 없다. 물론 브러쉬형 세척구(2)의 외경이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더라도 브러쉬형 세척구(2)를 케이싱(1) 내부에서 여러번 이동하는 방법으로 케이싱(1)을 세척할 수 있겠지만 이는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고 비용이 상승된다.
따라서, 브러쉬형 세척구(2)의 외경을 케이싱(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브러쉬형 세척구(2)를 케이싱(1)에 삽입할 때 브러쉬모(2b)의 일부분이 케이싱(1)에 걸리게 되어 브러쉬형 세척구(2)의 삽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브러쉬모(2b)가 강성이더라도 외력에 의해 꺽일 수는 있기 때문에 브러쉬형 세척구(2)를 케이싱(1)에 삽입할 수 있지만, 억지로 삽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청소를 위한 브러쉬형 세척구(2)의 승강이나 회전이 매우 어렵고 브러쉬모(2b)와 케이싱(1) 모두 큰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싱(1)에는 지하수의 채수를 위한 다수의 채수공이 형성되거나 스트레이너가 설치되는데, 브러쉬모(2b)가 상기 채수공이나 스트레이너를 통과할 때 브러쉬모(2b)가 상기 채수공과 스트레이너의 개구부에 끼워지게 되고, 특히 상기 채수공과 스트레이너의 개구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따라서, 세척구 몸체(2a)의 둘레부에 있는 모든 브러쉬모(2b)의 단부가 상기 채수공과 스트레이너의 개구부에 끼워지기 때문에 브러쉬형 세척구(2)의 동작(상하, 회전운동)이 어렵고 브러쉬형 세척구(2)의 구동력(상하, 회전운동)이 케이싱(1)이나 스트레이너에 전달되므로 케이싱(1)과 스트레이너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85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44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67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82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브러쉬형 세척구의 직경을 지하수 관정(나공, 케이싱 등)의 내경보다 작게 하여 브러쉬형 세척구의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지하수 관정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는, 세척구 몸체 및 상기 세척구 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브러쉬모를 포함하되, 외경이 지중 심정 또는 상기 지중 심정에 삽입되는 케이싱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구동부를 구동원으로 하여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하면서 지중 심정의 내벽 또는 상기 지중 심정의 내부에 삽입되어 케이싱의 내벽을 청소하며, 상기 세척구 몸체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할 때 유연성을 통해 구부러지면서 상기 브러쉬모가 상기 케이싱의 내벽을 청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에 의하면, 브러쉬형 세척구의 외경이 케이싱이나 심정의 내경보다 작아 삽입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삽입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브러쉬형 세척구의 외경이 케이싱 등의 내경보다 작아도 브러쉬형 세척구의 세척을 위한 구동시에는 브러쉬형 세척구의 브러쉬모가 케이싱의 내벽을 긁을 수 있으므로 케이싱의 모든 내벽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특히, 종래 브러쉬형 세척구의 구동방식을 동일하게 이용하여도 청소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설비투자없이 쉽게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의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의 다른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의 작동 상태도.
<실시예 1>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10)는, 세척구 몸체(11) 및 세척구 몸체(11)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브러쉬모(12)로 구성되며, 지중 심정에 삽입되는 케이싱(1)[본 발명은 지중 심정의 내벽 또는 케이싱(1)의 내벽을 청소하며 케이싱(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의 내벽을 청소한다.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브러쉬형 세척구(10)는 외경이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케이싱(1)에 삽입될 때 브러쉬모(12)의 꺽임, 브러쉬모(12)와 케이싱(1)의 손상을 방지한다. 즉, 브러쉬모(12)의 단부와 케이싱(1)의 사이에는 간극(d)이 존재한다. 이 간극은 세척구 몸체(11)의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간극(d)은 브러쉬형 세척구(10)가 세척을 위하여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형성되는 것이며, 구동부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상하, 회전 등)하면 브러쉬모(12)가 케이싱(1)의 내벽을 긁어 청소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세척구 몸체(11)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에 의한 구동시 세척구 몸체(11)의 길이로 인하여 중심 값이 달라지게 되어 도 4에서처럼 불규칙적이지만 구부러짐 변형(길이에 따라 사행형상으로 구부러짐 변형)되어 브러쉬모(12)가 케이싱(1)의 내벽에 닿도록 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연성 또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 고무 재질이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제작된 벨로우즈형태일 수도 있다.
세척구 몸체(11)는 전술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재질이면서 외형이 종항??을 따라 일직선형일 수도 있고 벨로우형일 수도 있다. 전자와 같이 일직선이더라도 구동시 구부러짐 변형이 발생되고, 후자와 같이 벨로우즈형인 경우 구조상 절첩되면서 구부러짐 변형이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세척구 몸체(11)는 내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통구조일 수도 있고, 또는 내부가 외부와 밀폐되도록 막힌 구조일 수도 있다.
상하가 개방된 통구조인 경우 케이싱(1) 내부에 지하수가 있더라도 계획 깊이까지 부드럽게 내려갈 수 있고, 밀폐형이면서 벨로우즈형인 경우 지하수의 수압에 의해 세척구 몸체(11)가 접히면서 외경이 확대되어 브러쉬모(12)가 케이싱(1)의 내벽에 닿도록 한다. 지하수가 세척구 몸체(11)와 브러쉬모(12)의 사이, 브러쉬모(12)들 사이를 통과하므로 브러쉬형 세척구(10)는 부드럽게 계획 깊이까지 내려간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유연성이 있는 세척구 몸체(11)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관(13)이 결합된다. 지지관(13)은 유연성이 없는 또는 세척구 몸체(11) 보다 유연성이 강한 재질(고무, 합성수지 등)로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세척구 몸체(11)와의 결합은 다양하게 가능(밴딩, 체결구 등)할 것이므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브러쉬모(12)는 항시 일정한 길이와 간격으로 세척구 몸체(11)에 설치되지 않고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을 번갈아 가면서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싱(1) 내면에서의 세척시 움직임에 장애가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에에 의한 브러쉬형 세척구(10)는 지상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상하, 회전 운동 등)하며, 이는 공지의 브러쉬형 세척장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브러쉬형 세척구(10)를 구동부에 연결한 후 케이싱(1) 내부에 삽입한다.
브러쉬형 세척구(10)의 연결과 삽입시에는 브러쉬형 세척구(10)의 외경이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브러쉬모(12)의 단부와 케이싱(1)의 내벽 사이에는 간극(d)이 형성되므로 브러쉬모(12)의 단부가 케이싱(1)에 간섭되지 않는다.
브러쉬형 세척구(10)가 일정 심도로 삽입된 후 세척을 개시하거나 브러쉬형 세척구(10)를 계획 심도까지 삽입한 후 상승시키면서 세척하며,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면, 브러쉬형 세척구(10)가 상하 또는 회전 운동한다.
도 2는 브러쉬형 세척구(10)가 구동하기 전의 상태이며, 도 4는 브러쉬형 세척구(10)의 구동시이다. 브러쉬형 세척구(10)의 세척구 몸체(11)는 유연성이기 있고 위치에 따라 중심이 다르기 때문에 부분별로 불규칙적으로 요동하며 도 4는 요동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도 4 기준으로 브러쉬모를 3개의 높이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세척구 몸체(11)의 구부러짐을 따라 제1 내지 제3브러쉬모(12a,12b,12c)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며, 따라서, 제1,3브러쉬모(12a,12c)의 우측이 케이싱(1)의 우측 내벽에 닿고 제1,2브러쉬모(12a,12c)의 좌측이 케이싱(1)의 좌측 내벽에 닿지 않지만 제2브러쉬모(12b)의 좌측이 케이싱(1)의 좌측 내벽에 닿기 때문에 케이싱(1)의 모든 내벽을 청소한다.
본 실시예는 종방향의 케이싱(1)(또는 종방향 심정)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6에처럼, 횡방향의 케이싱(4)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형 세척구(10)를 공지의 윈치(100)에 연결하여 횡방향의 케이싱(4)에 삽입한 후 윈치(100)를 작동함으로써 브러쉬형 세척구(10)를 이동시켜 횡방향의 케이싱(4) 내벽을 세척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브러쉬형 세척구(10)의 외경이 횡방향의 케이싱(4)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브러쉬형 세척구(10)의 삽입이 용이하고, 브러쉬형 세척구(10)의 이동시 부분별로 불규칙적인 요동(구부러짐)이 발생되어 횡방향의 케이싱(4) 모든 내벽을 청소한다.
<실시예 2>
도 7과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20)는, 2개 이상(도면에는 4개로 도시됨)의 단위 세척구(20-1,20-2,20-3,20-4)가 연결부재(30-1,30-2,30-3)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단위 세척구(20-1,20-2,20-3,20-4)는 동일하게 구성되며 세척구 몸체(21) 및 세척구 몸체(21)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브러쉬모(22)로 구성된다.
세척구 몸체(21)와 브러쉬모(22)는 유연성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세척구 몸체(21)는 지하수의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상하로 관통하는 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단위 세척구(20-1,20-2,20-3,20-4)는 외경이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며, 구동부를 구동원으로 하여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하면서 케이싱(1) 내벽을 세척한다.
제1 내지 제3연결부재(30-1,30-2,30-3)는 이웃하는 단위 세척구(20-1,20-2,20-3,20-4)들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연결하며 물론 이탈되지 않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고, 연결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형 세척구(20)는 단위 세척구(20-1,20-2,20-3,20-4)의 삽입을 돕고 흔들림의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무게추(40)가 적용된다.
무게추(40)는 브러쉬형 세척구(20)의 최하단에 연결될 수도 있고, 단위 세척구(20-1,20-2,20-3,20-4)들의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형 세척구(20)도 실시예 1처럼 횡방향의 케이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브러쉬형 세척구(20)를 구동부에 연결한 후 케이싱(1) 내부에 삽입한다.
브러쉬형 세척구(20)의 연결과 삽입시에는 브러쉬형 세척구(20)의 외경이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브러쉬모(22)의 단부와 케이싱(1)의 내벽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므로 브러쉬모(22)의 단부가 케이싱(1)에 간섭되지 않는다.
브러쉬형 세척구(20)가 일정 심도로 삽입된 후 세척을 개시하거나 브러쉬형 세척구(20)를 계획 심도까지 삽입한 후 상승시키면서 세척하며,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면, 브러쉬형 세척구(20)가 상하 또는 회전 운동한다.
도 7은 브러쉬형 세척구(20)가 구동하기 전의 상태이며, 도 8는 브러쉬형 세척구(20)의 구동시이다. 브러쉬형 세척구(20)의 단위 세척구(20-1,20-2,20-3,20-4)는 연결부재(30-1,30-2,30-3)를 통해 요동가능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단위 세척구와 다른 방향으로 불규칙적으로 요동하며 도 8은 요동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도 8 기준으로 제1,3단위 세척구(20-1,20-3)와 제2,4단위 세척구(20-2,20-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서로 높이차는 있지만 케이싱(1)의 모든 내벽을 청소한다.
1 : 케이싱, 2 : 브러쉬형 세척구
3 : 구동부, 4 : 횡방향의 케이싱
10,20 :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11,21 : 세척구, 몸체, 12,22 : 브러쉬모
13 : 지지관,
20-1,20-2,20-3,20-4 : 단위 세척구,
30-1,30-2,30-3 : 연결부재, 40 : 무게추

Claims (7)

  1. 삭제
  2. 세척구 몸체(11) 및 상기 세척구 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브러쉬모(12)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쉬모(12)의 외경이 지중 심정 또는 상기 지중 심정에 삽입되는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구동부를 구동원으로 하여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하면서 지중 심정의 내벽 또는 상기 지중 심정의 내부에 삽입되어 케이싱의 내벽을 청소하며,
    상기 세척구 몸체는 내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이 구비된 유연성 있는 재질의 벨로우즈형이며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할 때 유연성을 통해 구부러지면서 상기 브러쉬모가 상기 지중 심정의 내벽 또는 상기 지중 심정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케이싱의 내벽을 청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3. 세척구 몸체(11) 및 상기 세척구 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브러쉬모(12)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쉬모(12)의 외경이 지중 심정 또는 상기 지중 심정에 삽입되는 케이싱(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구동부를 구동원으로 하여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하면서 지중 심정의 내벽 또는 상기 지중 심정의 내부에 삽입되어 케이싱의 내벽을 청소하며,
    상기 세척구 몸체는 내부가 밀폐된 유연성 있는 재질의 벨로우즈형으로 형성되며 상하 또는 회전 운동을 할 때 지하수의 수압에 의해 접히면서 외경이 확대되어 상기 브러쉬모가 상기 지중 심정 또는 상기 지중 심정에 삽입된 케이싱의 내벽에 접촉되어 청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유연성이 없는 재질의 지지관(1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15281A 2012-02-15 2012-02-15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KR10138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81A KR101389999B1 (ko) 2012-02-15 2012-02-15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81A KR101389999B1 (ko) 2012-02-15 2012-02-15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379A KR20130094379A (ko) 2013-08-26
KR101389999B1 true KR101389999B1 (ko) 2014-05-19

Family

ID=4921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281A KR101389999B1 (ko) 2012-02-15 2012-02-15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9342A (zh) * 2016-04-11 2016-06-22 常州气弹簧有限公司 气弹簧压力管清洗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21023C1 (ru) * 2016-04-05 2017-05-30 Владимир Степанович Григорьев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ливных колодцев дождевой канализации от дорожных загрязнений
CN107511372B (zh) * 2017-09-26 2023-01-10 西安东仪海博机电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深筒筒壁自动清洗机
CN110495443A (zh) * 2019-07-30 2019-11-26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曲靖局 一种除苔装置
CN111420945A (zh) * 2020-04-28 2020-07-17 西南石油大学 一种高含硫天然气集输管道硫沉积清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516B1 (ko) 2007-04-05 2008-01-03 이순하 지하수 관정의 청소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88472A (ko)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상하 구동형 브러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516B1 (ko) 2007-04-05 2008-01-03 이순하 지하수 관정의 청소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88472A (ko)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상하 구동형 브러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9342A (zh) * 2016-04-11 2016-06-22 常州气弹簧有限公司 气弹簧压力管清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379A (ko) 201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999B1 (ko) 지하수 심정 청소용 브러쉬형 세척구
KR101048037B1 (ko) 상하 구동형 브러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CA1088417A (en) Device for cleaning widening and repairing of wells
CN207260226U (zh) 一种卷筒式南水北调渠坡清污装置
CN210753953U (zh) 一种定向井有线侧斜电缆导出装置
CA2817638C (en) Modular tool for wellbore cleaning
KR100835138B1 (ko) 지하수공 세척장치
JP2006291467A (ja) 既存井における目詰り清掃法
JP2012062696A (ja) 浸透フィルター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02453B1 (ko) 필터백 청소용 노즐
JP6166218B2 (ja) 井戸底の堆積物吸上げ方法及び吸上げ装置
KR100808980B1 (ko) 세정 장치가 구비된 하수, 오수관
KR100821980B1 (ko) 파이프 내부의 소독 및 청소장치
CN210816689U (zh) 应用于土壤多相抽提的具有防堵塞功能的抽提井系统
KR101222608B1 (ko) 지하수 관정 청소장치
CN111827887A (zh) 一种利用气流附壁作用的岩石开采无尘钻头
CN206860189U (zh) 一种顶管排污结构
JP2005120738A (ja) 取水装置
CN201982037U (zh) 井下管柱冲砂解堵一体化装置
KR100821642B1 (ko) 지하수공 세척장치
JP2002242240A (ja) 井戸の揚水方法及び井戸の揚水ポンプ装置
CN110369398A (zh) 建筑植筋用清孔机
JP6569248B2 (ja) 清掃装置
CN220522516U (zh) 一种用于城区地表钻孔的环保排放辅助系统
CN214914005U (zh) 一种污水处理用清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