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407B1 -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407B1
KR101388407B1 KR1020120063585A KR20120063585A KR101388407B1 KR 101388407 B1 KR101388407 B1 KR 101388407B1 KR 1020120063585 A KR1020120063585 A KR 1020120063585A KR 20120063585 A KR20120063585 A KR 20120063585A KR 101388407 B1 KR101388407 B1 KR 10138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electrical steel
oriented electrical
grain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0319A (ko
Inventor
이강노
오종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407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4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 C21D8/125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heat treatment(s) being of interest with diffusion of elements, e.g. decarburising, nitr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21D1/76Adjusting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1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the working step(s) being of interest
    • C21D8/1233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강판 제조 방법은 (a) 강판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박을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을 냉간압연하여 상기 알루미늄박을 압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알루미늄박의 알루미늄을 상기 냉간압연된 강판 내부로 확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HIGH EFFICIENCY USING ALUMINIUM FOIL}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박(Al foil)을 이용한 고효율 저철손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각종 변압기, 전동기, 발전기와 같은 대형 회전기 및 기타 전자기기의 철심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성 전기강판은 일반적으로 강판면의 결정방위가 (110)면이고 압연방향의 결정방위는 [001]축에 평행한 일명 고스 집합조직(Goss Texture)을 갖는 결정립들로 이루어져 압연방향으로 자기특성이 우수한 연자성 재료이다.
이러한 방향성 전기강판에 요구되는 특성은 높은 자속밀도와 낮은 철손이다. 자속밀도는 1축이 압연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자속밀도가 높으면 철심재료를 적게 사용하더라도 같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전기기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철손이란 철심재료에 의한 전기기기의 에너지 손실인데, 자속밀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며 제품의 두께, 강내의 불순물의 함량, 비저항, 결정립 크기 등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서, 철손값이 작아지면 전기기기의 에너지 효율이 높아진다.
방향성 전기강판 소재에 있어, 실리콘(Si)의 함량이 높을수록 비저항을 높혀 철손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3.5중량% 이상의 실리콘이 첨가될 경우, 냉간압연을 수행하기 어렵다. 이에 최근에는 실리콘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알루미늄(Al)을 첨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역시 함량이 1.0% 이상으로 높아지면 냉간압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3187호 (2011.06.10. 공개)에 개시된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이 있다.
본 발명은 강판 모재의 실리콘(Si) 함량을 3.5중량% 미만으로 조절하고, 알루미늄(Al) 함량을 1.0중량% 미만으로 조절하여 냉간압연을 용이하게 하면서, 아울러 최종 제조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에는 알루미늄 함량이 증가되어 저철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은 (a) 강판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박을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을 냉간압연하여 상기 알루미늄박을 압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알루미늄박의 알루미늄을 상기 냉간압연된 강판 내부로 확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판 모재는 Si : 3.5중량% 미만 및 Al : 1.0중량% 미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강판 모재는 중량%로, C : 0.001~0.5%, Si : 2.0% 이상 내지 3.5% 미만, Mn : 0.01~1.0%, P : 0.001~0.1%, S : 0.001~0.05%, Al : 0.01% 이상 내지 1.0% 미만 및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열연강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간압연은 70~90%의 압하율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상자소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열처리는 850~105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1~7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처리를 상자소둔 방식으로 850~1050℃에서 수행하는 경우, 알루미늄박의 용융에 의하여 강판 코일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융점이 상기 (c) 단계의 열처리 온도보다 높은 비금속 물질을 상기 알루미늄박이 적층된 강판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추가로 적층한 상태에서 냉간압연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융점이 상기 (c) 단계의 열처리 온도보다 높은 비금속 물질을 상기 냉간압연된 결과물의 적어도 일면에 추가로 부착한 상태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비금속 물질은 실리카 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은 실리콘 및 알루미늄의 함량을 제한하여 냉간압연성을 확보하고, 아울러 알루미늄박(Al foil)을 이용하여 열처리시에 알루미늄이 강판 내부로 확산되도록 함으로서, 최종 제조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알루미늄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저철손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방향성 전기강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은 알루미늄박 적층 단계(S110), 냉간압연 단계(S120) 및 열처리 단계(S130)를 포함한다.
알루미늄박 적층 단계(S110)에서는 (a) 강판 모재의 적어도 일면, 즉 강판 모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박을 적층한다.
알루미늄박의 경우, 후술하는 열처리 단계(S130)에서 알루미늄의 두께방향으로의 균일한 확산을 위해서, 강판 모재 양면에 적층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강판 모재는 실리콘(Si) : 3.5중량% 미만 및 알루미늄(Al) : 1.0중량% 미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철손 발휘 측면에서 Si : 2.0% 이상 내지 3.5% 미만 및 Al : 0.01% 이상 내지 1.0% 미만으로 실리콘 및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로, 중량%로, C : 0.001~0.5%, Si : 2.0% 이상 내지 3.5% 미만, Mn : 0.01~1.0%, P : 0.001~0.1%, S : 0.001~0.05%, Al : 0.01% 이상 내지 1.0% 미만 및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열연강판을 제시할 수 있다.
Si : 3.5중량% 이상 혹은 Al : 1.0중량% 이상을 함유하면, 강판의 취성이 증가하여 냉간압연시 강판이 깨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따라 충분한 압하율로 냉간압연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강판의 소재에 포함되는 탄소(C)는 고용 상태로 철(Fe) 원자 격자구조 내에 존재하다가 성형과정에서 이동하여 전위 부분에 자리 잡음으로서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여 제품의 성형특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자기시효현상은 수요자가 방향성 전기강판을 변압기로 가공 조립하여 사용할 때에 변압기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재 내부에 있던 잔존 탄소성분이 Fe3C 등의 탄화물로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탄화물이 결정입계에 석출되어 자구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자기적특성이 열화되어서 생기는 것이며, 이는 열처리 전에 탈탄소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다만, 탄소 함량이 0.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탈탄소둔 공정에도 불구하고 자기시효 현상이 현저해질 수 있다. 다만, 탄소 함량을 0.001중량% 미만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강 단계에서 비용 소요가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탄소는 강판 모재 전체 중량의 0.001~0.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기시효 현상 억제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01%를 제시할 수 있다.
망간(Mn)은 재가열시 석출물의 고용온도를 낮추며 열간압연시 소재 양 끝 부분에 생성되는 크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많이 첨가할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망간의 첨가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열간압연시 크랙에 의한 불량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반대로, 망간의 첨가량이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포스테라이트피막의 밀착성이 악화되므로 그 첨가 함량은 강판 모재 전체 중량의 0.01~1.0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P)은 탄소와 마찬가지로 원자반경이 작아서 철(Fe) 결정 내에서 이동도가 높으며 이러한 원자크기로 인하여 이 원소가 결정입계의 결함부위에 우선적으로 자리잡는 특성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결함부위에 우선적으로 자리잡은 인(P)은 결정입계를 통한 폭발적인 철(Fe)확산을 차단시킴으로써, 초기 합금화 과정에서 감마-합금상 형성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인(P)함량이 필요 이상으로 높으면 반대로 철(Fe)의 확산이 억제되어 과도한 합금화 온도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온도 상승에 따라 감마-합금상 생성이 촉진되어 파우더링 현상을 야기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인은 강판 모재 전체 중량의 0.001~0.1%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은 망간(Mn)과 유화물의 석출물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나, 황의 함량이 과다하면 열연공정에서 재가열시 중심편석부의 고용 및 확산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황의 함량은 강판 모재 전체 중량의 0.001~0.05%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냉간압연 단계(S120)에서는 알루미늄박이 적층된 강판 모재를 냉간압연한다. 냉간압연 과정에서 알루미늄박은 강판 모재에 압착된다.
냉간압연은 70~90%의 압하율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간압연의 압하율이 70% 미만일 경우는 열처리 후 방향성 전기강판에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고스 집합조직이 발달하지 못할 수 있으며, 또한 알루미늄박의 압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압하율이 90%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이상의 효과없이 과도한 압연으로 인해 공정 비용만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처리 단계(S130)에서는 냉간압연된 결과물을 열처리하여, 고스 집합조직(Goss Texture)을 발달시킨다.
열처리 과정에서 알루미늄박의 알루미늄은 냉간압연된 강판 내부로 확산되어, 최종 제조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알루미늄의 함량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알루미늄 함량 증대에 의하여, 저철손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열처리는 연속소둔 방식 및 상자소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고스 집합조직의 충분한 발달 및 알루미늄의 충분한 확산을 고려할 때, 상자소둔 방식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자소둔 방식은 강판을 권취한 상태에서 실시된다.
상자소둔 방식으로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열처리는 850~105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850℃ 미만일 경우, 충분한 고스 집합조직이 발달하기 어렵다. 반대로, 열처리 온도가 1050℃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 향상없이 전기강판 생산 비용만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열처리는 상기 온도에서 1~7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 충분한 고스 집합조직 발달 및 알루미늄 확산이 불충분할 수 있다. 반대로, 열처리 시간이 7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 향상없이 전기강판 생산 비용만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열처리는 질소(N2)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강판 표면의 불필요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자소둔 방식으로 850~1050℃에서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열처리 온도가 알루미늄의 융점(대략 660℃)보다 높기 때문에 알루미늄이 용융되어 권취된 강판이 들러붙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융점이 열처리 온도보다 높은 비금속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금속 물질은 융점이 1100℃ 이상인 실리카 섬유를 제시할 수 있다.
고융점 비금속 물질을 알루미늄박이 적층된 강판 모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추가로 적층한 상태에서 냉간압연할 수 있다.
또한, 고융점 비금속 물질을 냉간압연된 결과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추가로 부착한 상태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실시예 1
중량%로, C : 0.003%, Si : 3.0%, Mn : 0.2%, P : 0.01%, S : 0.005%, Al : 0.05% 및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열연강판의 양면에 두께 50㎛의 알루미늄박(동부 알미늄 제조)을 적층한 후 실리카 섬유(한솔신소재 제조)를 적층하고, 8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였다.
이후, 냉간압연된 강판을 권취한 상태에서 900℃에서 5시간동안 상자소둔 방식으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때, 열처리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중량%로, C : 0.005%, Si : 3.3%, Mn : 0.1%, P : 0.02%, S : 0.005%, Al : 0.02% 및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열연강판의 양면에 두께 50㎛의 알루미늄박(동부 알미늄 제조)을 적층한 후 실리카 섬유(한솔신소재 제조)를 적층하고, 8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였다.
이후, 냉간압연된 강판을 권취한 상태에서 1000℃에서 4시간동안 상자소둔 방식으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때, 열처리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중량%로, C : 0.01%, Si : 3.0%, Mn : 0.2%, P : 0.01%, S : 0.005%, Al : 0.9% 및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열연강판의 양면에 두께 50㎛의 알루미늄박(동부 알미늄 제조)을 적층한 후, 8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였다.
이후, 냉간압연된 강판 양면에 실리카 섬유(한솔신소재 제조)를 부착하여 권취한 상태에서, 950℃에서 3시간동안 상자소둔 방식으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때, 열처리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중량%로, C : 0.003%, Si : 3.0%, Mn : 0.2%, P : 0.01%, S : 0.005%, Al : 0.05% 및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열연강판을 8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였다.
이후, 냉간압연된 강판을 권취한 상태에서 900℃에서 5시간동안 상자소둔 방식으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때, 열처리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였다.
2. 철손값 측정
상기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1에 따라 제조된 방향성 전기강판을 시료로 사용하여 자속밀도 1.7T 및 주파수 50Hz 에서의 철손값(w/kg)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2047241915-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실시예 1~3의 경우, 그렇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철손이 현저히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다른 요인이 거의 비슷함을 고려할 때, 이러한 실시예 1~3의 낮은 철손은 제조된 방향성 전기강판 내의 알루미늄 함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열처리시 알루미늄박의 알루미늄이 강판 내부로 확산되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10 : 알루미늄박 적층 단계
S120 : 냉간 압연 단계
S130 : 열처리 단계

Claims (13)

  1. (a) 강판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박을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을 냉간압연하여 상기 알루미늄박을 압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을 열처리하여, 상기 알루미늄박의 알루미늄을 상기 냉간압연된 강판 내부로 확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모재는
    Si : 0중량% 초과 내지 3.5중량% 미만 및 Al : 0중량% 초과 내지 1.0중량% 미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압연은
    70~90%의 압하율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상자소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850~10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7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은
    융점이 상기 (c) 단계의 열처리 온도보다 높은 비금속 물질을 상기 알루미늄박이 적층된 강판 모재의 적어도 일면에 추가로 적층한 상태에서 냉간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물질은
    실리카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은
    융점이 상기 (c) 단계의 열처리 온도보다 높은 비금속 물질을 상기 냉간압연된 결과물의 적어도 일면에 추가로 부착한 상태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물질은
    실리카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모재는
    중량%로, C : 0.001~0.5%, Si : 2.0% 이상 내지 3.5% 미만, Mn : 0.01~1.0%, P : 0.001~0.1%, S : 0.001~0.05%, Al : 0.01% 이상 내지 1.0% 미만 및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열연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 강판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전기 강판.
KR1020120063585A 2012-06-14 2012-06-14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KR10138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85A KR101388407B1 (ko) 2012-06-14 2012-06-14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85A KR101388407B1 (ko) 2012-06-14 2012-06-14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319A KR20130140319A (ko) 2013-12-24
KR101388407B1 true KR101388407B1 (ko) 2014-04-22

Family

ID=4998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585A KR101388407B1 (ko) 2012-06-14 2012-06-14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785B1 (ko) * 2013-03-08 2014-11-14 주식회사 포스코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저철손 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방법
KR102462682B1 (ko) * 2020-12-18 2022-11-02 주식회사 포스코 저소음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430B2 (ja) 1990-06-08 1996-10-16 東洋鋼板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積層鋼板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430B2 (ja) 1990-06-08 1996-10-16 東洋鋼板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積層鋼板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319A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708B1 (ko) 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5668460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505300B1 (ko)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KR101707539B1 (ko)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71321B1 (ko) 방향성 전자 강판과 그의 제조 방법
WO2013137092A1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WO2014129034A1 (ja) 磁気特性に優れるセミプロセス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WO2014017590A1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EP3095887B1 (e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magnetic properties
CA2974618C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40084770A (ko) 철손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88407B1 (ko)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고효율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JP2020084303A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605791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JP6206633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6623795B2 (ja) 電磁鋼板、および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4608562B2 (ja) 著しく磁束密度が高い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467062B1 (ko)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저철손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JP6622919B2 (ja) 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131747B2 (ja) 二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477383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200433B2 (ja) {100}集合組織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6519725B1 (ja) 複層型電磁鋼板
KR100530047B1 (ko) 응력제거소둔후 철손이 개선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1179021B1 (ko) 저탄소 열연강판을 이용한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