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791B1 -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 Google Patents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791B1
KR101605791B1 KR1020130163147A KR20130163147A KR101605791B1 KR 101605791 B1 KR101605791 B1 KR 101605791B1 KR 1020130163147 A KR1020130163147 A KR 1020130163147A KR 20130163147 A KR20130163147 A KR 20130163147A KR 101605791 B1 KR101605791 B1 KR 101605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teel
slab
oriented electrical
aggregate structure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914A (ko
Inventor
고현석
주형돈
서진욱
임재수
한규석
박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Abstract

철손과 자속밀도가 동시에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브1.0중량% 내지 4.0중량%의 실리콘(Si), 0.1중량% 내지 0.4중량%의 탄소(C),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제조한 다음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을 실시한 다음 최종 마무리 소둔공정에서 탈탄소둔을 실시한다. 탈탄소둔은 위의 조성을 갖는 슬라브의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변태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여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보다 높게 한다.

Description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MANUFACTURING METHOD FOR GRAI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AND GRAI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속밀도와 철손이 모두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에 관한 것이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결정방위가 {100}<uvw>인 일명 큐브-파이버(cube-fiber) 방위를 주로 갖는 결정립들로 이루어진 압연 방향뿐만 아니라 압연 직각 방향의 자기적 특성도 뛰어난 연자성 재료이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슬라브 가열 후 열간압연, 열연판 소둔, 및 냉각 압연을 거쳐 통상 0.15 내지 0.50mm의 최종 두께로 압연된 다음 최종 연속 소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무방향 전기강판에서 자성에 유리한 큐브-파이버 결정립들의 분율은 통상 20 내지 30% 이내로 비슷하므로 자속밀도와 철손이 동시에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데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철손을 낮추기 위하여 비저항 증가 물질을 다량으로 첨가할 경우 자속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자속밀도와 철손이 동시에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강판 내의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결정립 형성을 촉진하고, 자성에 불리한 γ-파이버 집합조직의 결정립 형성을 억제해야 한다.
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 10-0294352호 선행문헌 2: 한국 등록특허 10-0797895호 선행문헌 3: 한국 등록특허 10-1203791호
본 발명은 열연판 소둔 과정을 생략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자속밀도와 철손이 모두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에서, 1.0중량% 내지 4.0중량%의 실리콘(Si), 0.1중량% 내지 0.4중량%의 탄소(C),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제조한 다음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을 실시한 다음 최종 마무리 소둔공정에서 탈탄소둔을 실시한다. 탈탄소둔은 위의 조성을 갖는 슬라브의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변태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여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보다 높게 한다.
슬라브는 실리콘과 탄소의 함량 비(Si/C)가 7.5 내지 10일 수 있다.
탈탄소둔은 850℃ 내지 1000℃의 온도 및 수소와 질소의 혼합가스 분위기에서 실시할 수 있다. 탈탄소둔은 이슬점 온도 70℃ 이하의 습윤 분위기에서 실시할 수 있다. 탈탄소둔은 900℃ 내지 950℃의 온도 범위에서 5분 이하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슬라브 가열온도는 1100℃ 내지 1350℃일 수 있다.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은 42% 이상일 수 있고,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은 6%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1.0중량% 내지 4.0중량%의 실리콘(Si), 0.1중량% 내지 0.4중량%의 탄소(C),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제조한 다음,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을 실시한 다음 최종 마무리 소둔공정에서 탈탄소둔을 실시하여 제조되며, 탈탄소둔은 전술한 조성을 갖는 슬라브의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변태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여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보다 높다.
전술한 슬라브 조성에서 실리콘과 탄소의 함량 비(Si/C)는 7.5 내지 10일 수 있다.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은 42% 이상일 수 있고,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은 6% 이하일 수 있다.
전기강판에서 결정립은 관통형(columnar)의 미세 조직을 가질 수 있다. 관통형의 미세 조직은 90% 이상이고, 결정립들의 폭은 200㎛ 이하이며, 결정립의 크기는 0.5t(t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두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탈탄소둔에 의해 표면 결정립을 내부로 확산시킴으로써 자성에 불리한 γ-파이버 집합조직을 억제하고 자성에 유리한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을 늘려 철손과 자속밀도가 동시에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단면 사진이다.
도 2는 관통형 미세 조직의 오디에프(ODF, Orientation Distribution Fuction) 사진이다.
도 3은 탈탄소둔 과정에서 집합조직의 변화에 따른 미세조직 및 오디에프(ODF) 분석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은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 후 열연판 소둔 공정 없이 냉간압연하여 목적하는 두께를 형성하고, 최종 마무리 소둔 시에 탈탄소둔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슬라브는 1.0중량% 내지 4.0중량%의 실리콘(Si), 0.1중량% 내지 0.4중량%의 탄소(C),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탈탄소둔은 이슬점 온도 70℃ 이하의 수소 및 질소의 혼합가스 습윤 분위기에서 실시된다. 이때 탈탄소둔은 오스테나이트 단상 또는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복합상이 존재하는 온도에서 실시되어 표면의 페라이트 결정립을 성장시킨다.
여기서 슬라브는 실리콘과 탄소의 함량 비(Si/C)가 7.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과 탄소의 함량 비가 이 범위일 때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변태 온도 범위를 만족하기 용이하여 자성에 유리한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을 형성하기 유리하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상변태 온도가 850℃ 내지 1000℃가 되도록 적정량의 실리콘과 탄소를 함유한 열연판을 냉간압연 후 최종 마무리 소둔 시에 탈탄소둔 과정을 실시하여 강판 내에 자성에 불리한 γ-파이버 집합조직은 억제되고, 자성에 유리한 큐브-파이버 집합조적을 가지는 결정립들이 다수를 점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탈탄소둔은 바람직하게 900℃ 내지 950℃에서 실시되며, 슬라브는 소강 성분상에서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변태 온도가 탈탄소둔 온도가 되는 최적의 실리콘 및 탄소 함량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γ-파이버 집합조직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을 가지는 결정립들의 분율을 높임으로써 자속밀도와 철손이 모두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은 42% 이상이고, γ-파이저 집합조직의 분율은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γ-파이버 집합조직은 편차 15도 내의 (111)<uvw> 집합조직이며,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은 편차 15도 내의 (100)<uvw> 집합조직이다.
이하, 슬라브의 조성비에 대한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실리콘: 1.0중량% 내지 4.0중량%]
실리콘은 전기강판 소재의 자기 이방성을 떨어뜨리고 비저항을 증가시키므로 철손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실리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비저항 감소가 크지 않으므로 철손이 열위하게 되며, 4.0중량%를 초과하면 취성이 증가하므로 냉간압연이 어려워진다.
[탄소: 0.1중량% 내지 0.4중량%]
탄소는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 상변태 온도가 900℃ 내지 1000℃ 범위가 되도록 실리콘 함량에 따라 탄소 함량을 조절하여 첨가된다. 실리콘을 2.0중량% 첨가하고 탄소를 각각 0.13중량% 및 0.26중량% 첨가 시 상변태 온도를 약 1000℃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변태 온도를 900℃로 낮추기 위해서는 탄소 함량을 이보다 높여야 하므로 탄소 함량은 0.1중량% 내지 0.4중량%가 바람직하다. 제조가 완료된 무방향성 전기강판에서 탄소의 함량은 20ppm 미만이다.
이하, 공정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가열로에서 재가열할 때 1100℃ 내지 1350℃ 조건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압연을 거쳐 2.0mm 내지 3.0mm 두께의 열연판으로 제작한다. 여기서 슬라브의 가열온도가 너무 낮으면 열간압연이 잘 실행되지 않고, 반대로 너무 높으면 열연 조직이 조대화되어 자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술한 슬라브의 조성에서는 소강 탄소의 함량이 높으므로 열연 조직의 미세화 측면에서 슬라브의 온도를 통상의 조건보다 높은 1150℃ 내지 1350℃로 높여 작업하여도 문제가 없으며, 열간압연의 작업성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열간압연 후에는 열연판 소둔 공정을 생략하고 바로 1회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두께 0.15mm 내지 0.35mm의 냉연판을 제작한다.
통상의 무방항성 전기강판의 최종 마무리 소둔 공정은 결정립의 형성 및 성장을 위하여 드라이 가스 분위기에 실시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에 형성된 페라이트 결정립을 내부로 빠르게 확산시키는 과정 중 자성에 불리한 γ-파이버 조직을 제거하기 위하여 850℃ 내지 1000℃의 온도 범위와 이슬점 온도 70℃ 이하의 습윤 가스 분위기에서 탈탄소둔 공정을 실시한다.
이때 탈탄소둔의 온도 범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조성에서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상변태 온도에 해당하는 900℃ 내지 950℃ 범위가 바람직하며, 5분 이하의 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실험 1]
실리콘과 탄소의 함유량을 각각 1.0중량% 내지 3.0중량%, 0.05중량 내지 0.30중량% 범위를 갖고, 잔부 철,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1200℃의 온도에서 가열한 다음 2.3mm 두께로 열간압연하고, 열연판 소둔 없이 8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여 두께 0.35mm의 냉연판을 제작하였다. 냉연판을 다시 900℃의 온도에서 수소 및 질소의 습윤 혼합가스 분위기에서 150초간 재결정 및 최종 마무리 소둔 과정에서 탈탄소둔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의 조건과 이에 따른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 및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118642190-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과 탄소의 함량에 따라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과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에 차이가 생겨 철손 및 자속밀도가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인 탄소와 페라이트 형성 원소인 실리콘에 의해 상변태 분율이 적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자기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는 비교예 1 대비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높아지고,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가운데 실리콘/탄소 함량 비가 7.5 내지 10의 조건을 만족하는 실시예 2, 3, 4에서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42%보다 높고,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6%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슬라브에서 실리콘/탄소 함량 비는 7.5 내지 10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실험 2]
실리콘 2.0중량%, 탄소 0.2중량%, 잔부 철,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1200℃의 온도에서 가열한 다음 2.3mm 두께로 열간압연하고, 8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여 0.35mm 두께의 냉연판을 제작하였다. 냉연판을 다시 850℃ 내지 1050℃의 온도 범위에서 수소 및 질소의 습윤(이슬점 온도 60℃) 혼합가스 분위기에서 150초간 최종 마무리 소둔에 의해 재결정 및 탈탄소둔을 진행하였다.
Figure 112013118642190-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탈탄소둔 온도가 850℃ 내지 1000℃ 범위인 실시예 6, 7, 8, 9에서 비교예 대비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높아지고,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종 탈탄소둔 온도가 900℃ 내지 950℃인 실시예 6, 7에서 γ-파이버 접합조직이 억제되고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이 잘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6, 7에서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은 49%보다 높으며, γ-파이버 접합조직의 분율은 4%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단면 사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통상의 재결정 조직과 다르게 관통형(columnar)의 미세 조직을 가진다.
이는 최종 마무리 소둔의 승온 과정 중 표면에서 탈탄 및 재결정이 먼저 일어난 후 결정립 성장이 일어나는 반면 내부에는 탈탄이 늦게 일어날 뿐만 아니라 탈탄량이 작아 탄소가 남아 있기 때문에 주로 작은 결정립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즉 표면에서 탈탄 과정 중 형성된 페라이트 결정립은 탈탄이 진행되는 동안 내부의 미세한 결정립을 잠식하면서 성장하여 관통형의 미세 조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무방향성 전기강판에서 90% 이상의 결정립들은 폭 200㎛ 이하 및 두께 0.5t(t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두께)의 결정립 크기를 가진다.
도 2는 관통형 미세 조직의 오디에프(ODF, Orientation Distribution Fuction) 사진이다. 도 2의 실험에서는 실리콘 2중량%와 탄소 0.2중량%를 함유하여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변태 온도가 약 950℃인 열연판을 사용하였다. 열간압연 후 열연판 소둔 공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냉간압연 후 탈탄소둔을 진행한 실시예의 무방향성 전기강판에서 관통형 미세 조직은 (100)<uvw> 방위가 강하게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탈탄소둔 과정에서 집합조직의 변화에 따른 미세조직 및 오디에프(ODF) 분석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주로 (100)<011> 방위인 표면층 결정립들은 강한 γ-파이버 조직에서 미세한 재결정이 일어난 내부 조직을 잠식하면서 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의 결과로부터 다량의 탄소가 함유되어 결정립의 크기가 작은 중심부 조직은 탈탄 공정을 거치면서 표면에 형성된 큰 결정립에 의하여 잠식되면서 집합조직이 전체적으로 표면의 집합조직을 따르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2)

  1. 슬라브1.0중량% 내지 4.0중량%의 실리콘(Si), 0.1중량% 내지 0.4중량%의 탄소(C), 잔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제조한 다음 상기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을 실시한 다음 최종 마무리 소둔공정에서 탈탄소둔을 실시하며,
    상기 탈탄소둔은 상기 조성을 갖는 슬라브의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변태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여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이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보다 높으며,
    상기 탈탄소둔은 900℃ 내지 950℃의 온도 범위에서 5분 이하 동안 이슬점 온도 70℃ 이하의 습윤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것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는 실리콘과 탄소의 함량 비(Si/C)가 7.5 내지 10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탄소둔은 850℃ 내지 1000℃의 온도 및 수소와 질소의 혼합가스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것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가열온도는 1100℃ 내지 1350℃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은 42% 이상이고, 상기 γ-파이버 집합조직의 분율은 6% 이하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163147A 2013-12-24 2013-12-24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KR101605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147A KR101605791B1 (ko) 2013-12-24 2013-12-24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147A KR101605791B1 (ko) 2013-12-24 2013-12-24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914A KR20150074914A (ko) 2015-07-02
KR101605791B1 true KR101605791B1 (ko) 2016-03-23

Family

ID=5378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147A KR101605791B1 (ko) 2013-12-24 2013-12-24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2678B2 (en) 2017-12-26 2022-11-08 Posco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281B1 (ko) 2014-11-27 2016-07-25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086354A (zh) * 2016-07-18 2016-11-09 华南理工大学 一种发蓝涂层无取向电工钢50w600的生产方法
CN115369407A (zh) * 2021-05-19 2022-11-22 四川瑞致电工钢有限公司 一种高效无取向电工钢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95B1 (ko) * 2006-12-22 2008-01-24 성진경 표면 (100) 면 형성 방법, 이를 이용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95B1 (ko) * 2006-12-22 2008-01-24 성진경 표면 (100) 면 형성 방법, 이를 이용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2678B2 (en) 2017-12-26 2022-11-08 Posco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914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8460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419638B1 (ko) 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
JP6496411B2 (ja)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64450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505300B1 (ko) 방향성 전기강판 제조 방법
JP5679090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647655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4928A (ko) 철손 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기 강판의 제조 방법
JP2013139629A (ja) 低鉄損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KR101605791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KR101707451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06679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8070974A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2017106059A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56633A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並びに方向性電磁鋼板用表面ガラスコーティング
KR101594597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77383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62245A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599A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3841B1 (ko)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1263843B1 (ko)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1318275B1 (ko)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101263846B1 (ko)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7446B1 (ko)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68020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