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033B1 -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033B1
KR101388033B1 KR1020120032545A KR20120032545A KR101388033B1 KR 101388033 B1 KR101388033 B1 KR 101388033B1 KR 1020120032545 A KR1020120032545 A KR 1020120032545A KR 20120032545 A KR20120032545 A KR 20120032545A KR 101388033 B1 KR101388033 B1 KR 101388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level
sewage
unit
w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519A (ko
Inventor
한종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03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44Automatic controllers pneumatic only
    • G05B11/48Automatic controllers pneumatic only with auxiliary power
    • G05B11/52Automatic controllers pneumatic only with auxiliary power in which the output signal represents a discontinuous function of the deviation from the desired value, i.e. discontinuous controllers
    • G05B11/56Multi-step cont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i.e. from the production, refining or treatment of metals, e.g. galvanic w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3Downstream control, i.e. outlet monitoring, e.g. to check the treating agents, such as halogens or ozone, leaving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기로부터 떨어지는 오수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탱크와, 탱크에 설치되고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탱크에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송신하는 수위감지부와, 수위감지부로부터 송신되는 수위신호가 설정수위를 초과하면 배출부에 배수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권취기에서 떨어지는 오수를 담아 저장하고,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가 설정수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SEWAGE DISPOSAL APPARATUS FOR COILER}
본 발명은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권취기에서 떨어지는 오수를 담아 저장하고,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가 설정수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인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공정 중간 또는 압연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압연제품을 코일 모양으로 권취하여 이송하거나 보관하면서 냉각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1577호(2008년 5월 13일 공개, 발명의 명칭 : 피압연 박판의 권취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권취기에서 떨어지는 오수를 담아 저장하고,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가 설정수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권취기로부터 떨어지는 오수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송신하는 수위감지부; 및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송신되는 수위신호가 설정수위를 초과하면 상기 배출부에 배수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탱크에 연결되고 제1펌프가 설치되는 제1배수관; 상기 탱크에 연결되고 제2펌프가 설치되는 제2배수관; 및 상기 탱크에 연결되고 제3펌프가 설치되는 제3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탱크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탱크에 담수되는 오수의 수면에 뜨는 부레부재;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센싱부; 및 상기 부레부재의 위치를 상기 센싱부에 전달하는 위치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탱크의 센싱홀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전달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기둥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롤러; 상기 기둥부를 따라 승강되고 상기 센싱부에 접촉되어 상기 부레부재의 위치를 전달하는 센싱블록;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기둥부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롤러에 권취되며 상기 부레부재와 상기 센싱블록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는 권취기에서 떨어지는 오수를 받아 저장하고,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가 설정수위를 넘지 않도록 하므로 권취기 주변이 오수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는 수위감지부가 탱크 외부에 설치되므로 오수에 의해 수위감지부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의 수위감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의 수위감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는, 권취기로부터 떨어지는 오수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탱크(30)와, 탱크(30)에 설치되고 탱크(30)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34)와, 탱크(30)에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송신하는 수위감지부(50)와, 수위감지부(50)로부터 송신되는 수위신호가 설정수위를 초과하면 배출부(34)에 배수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은 이송롤러(14)를 따라 권취장치 측으로 이동되고, 작업 대상물이 벤딩롤러(20)를 통과하면 작업 대상물의 진행방향이 권취롤러(10) 측으로 변경된다.
벤딩롤러(20)를 통과하는 작업 대상물의 단부는 상부롤러(22)와 하부롤러(24)의 작동에 의해 권취롤러(10) 측으로 굴곡되며, 굴곡된 작업 대상물의 단부는 권취롤러(10)의 둘레면에 권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작업 대상물에 냉각수가 분사되며, 각각의 롤러(56a)에 도포되는 윤활유가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권취기 하측으로 떨어지는 오수는 탱크(30)에 담수되는데, 수위감지부(50)에서 송신되는 오수의 수위가 설정수위를 초과하면 제어부(70)에서 송신되는 배수신호에 따라 배출부(34)가 구동되어 탱크(30)에 담수된 오수가 탱크(30)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부(34)는, 탱크(30)에 연결되고 제1펌프(36a)가 설치되는 제1배수관(34a)과, 탱크(30)에 연결되고 제2펌프(36b)가 설치되는 제2배수관(34b)과, 탱크(30)에 연결되고 제3펌프(36c)가 설치되는 제3배수관(34c)을 포함한다.
수위감지부(50)로부터 송신되는 수위신호가 제1설정수위를 초과하면 제1펌프(36a)를 구동시켜 탱크(30)에 저장된 오수를 배출하기 시작한다.
이후에, 권취기로부터 떨어지는 오수의 양이 갑자기 증가하여 탱크(30)의 수위가 제2설정수위를 초과하면 제2펌프(36b)를 추가로 구동시키고, 탱크(30)의 수위가 제3설정수위를 초과하면 제3펌프(36c)를 추가로 구동시킨다.
따라서 탱크(30)의 수위에 따라 오수의 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배수관과 펌프(36)의 개수는 3개를 초과하여 더 설치할 수 있다.
수위감지부(50)는, 탱크(30)에 설치되는 본체(52)와, 탱크(30)에 담수되는 오수의 수면에 뜨는 부레부재(54)와, 본체(52)에 구비되는 센싱부(58)와, 부레부재(54)의 위치를 센싱부(58)에 전달하는 위치전달부(56)를 포함한다.
탱크(30)의 수위가 가변되면 오수의 수면에 뜨는 부레부재(54)의 높이가 가변되고, 부레부재(54)의 높이가 가변되면 위치전달부(56)의 작동에 의해 부레부재(54)의 높이가 센싱부(58)에 전달된다.
센싱부(58)에서는 제어부(70)에 부레부재(54)의 높이신호를 송신하므로 제어부(70)에서 오수의 수위를 판단하여 배출부(34)에 배수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본체(52)는, 탱크(30)의 센싱홀부(30a)에 설치되는 지지대(51)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52a)와, 가이드부(52a) 일측에 배치되도록 지지대(51)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기둥부(52b)를 포함한다.
가이드부(52a) 및 기둥부(52b)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부(52a)와 기둥부(52b)는 지지대(51)의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된다.
위치전달부(56)는, 가이드부(52a)와 기둥부(52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롤러(56a)와, 기둥부(52b)를 따라 승강되고 센싱부(58)에 접촉되어 부레부재(54)의 위치를 전달하는 센싱블록(56c)과, 가이드부(52a)와 기둥부(52b)를 따라 이동되고, 롤러(56a)에 권취되며 부레부재(54)와 센싱블록(56c)을 연결하는 와이어(56b)를 포함한다.
롤러(56a)는 가이드부(52a)와 기둥부(52b)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롤러(56a)에 권취되는 와이어(56b)의 일측은 가이드부(52a)를 따라 연장되어 탱크(30) 내부에 위치되는 부레부재(54)와 연결되며, 와이어(56b)의 타측은 기둥부(52b)를 따라 연장되어 센싱블록(56c)에 연결된다.
따라서 부레부재(54)가 상승되면 센싱블록(56c)이 하강하고, 부레부재(54)가 하강하면 센싱블록(56c)이 상승되면서 부레부재(54)의 위치가 센싱부(58)에 전달된다.
센싱부(58)는, 기둥부(52b)에 설치되는 제1접촉감지센서(58a), 제2접촉감지센서(58b), 제3접촉감지센서(58c), 제4접촉감지센서(58d) 및 제5접촉감지센서(58e)를 포함한다.
센싱블록(56c)이 기둥부(52b)를 따라 승강될 때에 제1접촉감지센서(58a), 제2접촉감지센서(58b), 제3접촉감지센서(58c), 제4접촉감지센서(58d) 및 제5접촉감지센서(58e)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면 제어부(70)에 위치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2는 권취롤러(10)에 권취되는 작업 대상물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12)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 대상물의 권취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권취기 하측으로 떨어지는 오수는 탱크(30)의 상측에 설치되는 호퍼(32)를 따라 탱크(3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탱크(30) 내부에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가 상승되어 부레부재(54)의 높이가 상승하면 센싱블록(56c)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56b)가 상승으로 당겨지면서 센싱블록(56c)이 하강하게 된다.
기둥부(52b)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5접촉감지센서(58e)와 센싱블록(56c)이 접촉되면 제5접촉감지센서(58e)로부터 위치신호가 제어부(70)에 송신되어 제어부(70)에서는 오수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오수의 수위가 계속하여 증가되면 부레부재(54)는 상승하고 센싱블록(56c)이 하강하면서 센싱블록(56c)이 제4접촉감지센서(58d), 제3접촉감지센서(58c), 제2접촉감지센서(58b) 및 제1접촉감지센서(58a)와 차례로 접촉된다.
따라서 제어부(70)에서 오수의 수위가 증가함을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오수의 수위가 제1설정수위를 초과하면 제1펌프(36a)를 구동시키고, 제2설정수위를 초과하면 제2펌프(36b)를 추가로 구동시키고, 제3설정수위를 초과하면 제3펌프(36c)를 구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오수의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탱크(30)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의 배출량이 증가하므로 탱크(30) 외부로 오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싱부(58)가 탱크(30)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오염이 심한 오수에 의해 센싱부(58)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센싱부(58)의 오작동에 의해 탱크(30) 외부로 오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구성 및 작동에 의해 본 실시예는 권취기 주변이 오수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오수에 의해 수위감지부(50)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권취기에서 떨어지는 오수를 담아 저장하고,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가 설정수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오수처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벤딩롤러 12 : 가이드롤러
20 : 벤딩롤러 22 : 상부롤러
24 : 하부롤러 30 : 탱크
30a : 센싱홀부 32 : 호퍼
34 : 배출부 34a : 제1배수관
34b : 제2배수관 34c : 제3배수관
36 : 펌프 36a : 제1펌프
36b : 제2펌프 36c : 제3펌프
50 : 수위감지부 51 : 지지대
52 : 본체 52a : 가이드부
52b : 기둥부 54 : 부레부재
56 : 위치전달부 56a : 롤러
56b : 와이어 56c : 센싱블록
58 : 센싱부 58a : 제1접촉감지센서
58b : 제2접촉감지센서 58c : 제3접촉감지센서
58d : 제4접촉감지센서 58e : 제4접촉감지센서
70 : 제어부

Claims (5)

  1. 권취기로부터 떨어지는 오수를 포집하여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송신하는 수위감지부; 및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송신되는 수위신호가 설정수위를 초과하면 상기 배출부에 배수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탱크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탱크에 담수되는 오수의 수면에 뜨는 부레부재;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센싱부; 및
    상기 부레부재의 위치를 상기 센싱부에 전달하는 위치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탱크의 센싱홀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탱크에 연결되고 제1펌프가 설치되는 제1배수관;
    상기 탱크에 연결되고 제2펌프가 설치되는 제2배수관; 및
    상기 탱크에 연결되고 제3펌프가 설치되는 제3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전달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기둥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롤러;
    상기 기둥부를 따라 승강되고 상기 센싱부에 접촉되어 상기 부레부재의 위치를 전달하는 센싱블록;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기둥부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롤러에 권취되며 상기 부레부재와 상기 센싱블록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KR1020120032545A 2012-03-29 2012-03-29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KR101388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545A KR101388033B1 (ko) 2012-03-29 2012-03-29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545A KR101388033B1 (ko) 2012-03-29 2012-03-29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19A KR20130110519A (ko) 2013-10-10
KR101388033B1 true KR101388033B1 (ko) 2014-04-22

Family

ID=4963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545A KR101388033B1 (ko) 2012-03-29 2012-03-29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0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373A (ja) * 1991-09-30 1993-06-15 Noritz Corp 浴槽装置
KR19980018496U (ko) * 1996-09-30 1998-07-06 김종진 섬프의 폐수레벨 측정장치
KR200166591Y1 (ko) 1998-12-18 2000-02-15 최대열 수위조절 자동제어기의 다단 및 교번 콘트롤러
KR20100087471A (ko) * 2009-01-28 2010-08-05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 배가스를 이용한 압연 폐수의 슬러지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373A (ja) * 1991-09-30 1993-06-15 Noritz Corp 浴槽装置
KR19980018496U (ko) * 1996-09-30 1998-07-06 김종진 섬프의 폐수레벨 측정장치
KR200166591Y1 (ko) 1998-12-18 2000-02-15 최대열 수위조절 자동제어기의 다단 및 교번 콘트롤러
KR20100087471A (ko) * 2009-01-28 2010-08-05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 배가스를 이용한 압연 폐수의 슬러지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19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6464C (zh) 生产薄钢板或带钢的方法及装置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88033B1 (ko) 권취기용 오수처리장치
KR20130047796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20130046573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320127B1 (ko) 압연기용 윤활유 정화장치
KR101225780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159776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101225795B1 (ko) 스트립의 상향 방지 장치
KR101225796B1 (ko) 소재의 상향 방지 장치
KR101399861B1 (ko)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48949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KR101424475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37068B1 (ko) 연원료 불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7508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193858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20130023682A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247749B (zh) 组合式铸造和轧制设备以及用于操作组合式铸造和轧制设备的方法
KR101424442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193860B1 (ko) 스트립 선단부의 상향 방지 장치
US20030230663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reatment of a band product
KR20130023683A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0453A (ko)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KR101377509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828690B1 (ko) 냉각수 수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