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542B1 - 화상회의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회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542B1
KR101387542B1 KR1020120088802A KR20120088802A KR101387542B1 KR 101387542 B1 KR101387542 B1 KR 101387542B1 KR 1020120088802 A KR1020120088802 A KR 1020120088802A KR 20120088802 A KR20120088802 A KR 20120088802A KR 101387542 B1 KR101387542 B1 KR 101387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screen
projector
con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580A (ko
Inventor
신성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5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75Constructional details of television projec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화상회의 장치가 개시된다. 스크린에는 적어도 하나의 핀홀(pinhole)이 형성된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의 정면에 영상을 투사하여, 스크린의 정면에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회의자에게 투사된 영상의 상이 보이도록 한다.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핀홀을 통해 보이는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회의 장치{VIDEO CONFERENCE DEVICE}
본 발명은 화상회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의 회의자간에 화상회의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회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화의 장치는 서로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화의자들이 각기의 실내에 설치된 스크린에 비친 화상 및 음향 등을 통하여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화상을 제공하기 위해, 화상회의 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한다. 화상회의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회의자의 화상을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을 다른 화상회의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화상회의 장치는 다른 화상회의 장치가 전송한 화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회상 회의 장치는 서로 원거리에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거리감을 느끼기 쉬운 난점이 있으므로, 회의자가 다 같이 실장감 및 몰입감을 가질 수 있도록, 화상회의 장치의 개발에 있어서 화상 및 음향의 효과적인 연출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상회의에 참석한 회의자 간에 대면감을 향상시켜, 회의자의 실장감 및 대면감을 높일 수 있는 화상회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회의자 간에 높은 대면감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대형화면 구현시에도 작은 크기를 유지하며, 화질을 저하 없이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화상회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장치는,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화상회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핀홀(pinhole)이 형성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정면에 영상을 투사하여, 상기 스크린의 정면에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회의자에게 상기 투사된 영상의 상이 보이도록 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홀을 통해 보이는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의 정면을 기준으로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카메라가 포착하는 장면의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투사된 영상의 입사각은 상기 카메라의 화각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입사각을 갖는 광 또는 소정의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파장을 갖는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가 투사한 광을 필터링하기 위한 보호 글라스 및 투사한 광을 필터링하기 위해 반사코팅처리된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렌즈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을 기준으로 반사코팅처리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크린에 내장 또는 외장될 수 있다.
상기 회의자의 위치 및 눈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에서 상기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메인 카메라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에서 상기 결정된 메인 카메라와 같은 수평 면상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서브 카메라로 결정되고, 상기 메인 카메라 및 상기 서브 카메라는 각각 상기 회의자의 이미지가 촬상된 시점 이미지를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시점 이미지 중 하나는 좌안 시점 이미지이고 나머지 시점 이미지는 우안 시점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장치는, 화상회의에 참석한 회의자의 눈과 대면한 위치에서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므로, 회의자 간의 눈 맞춤(eye contact)을 가능하게 하여, 회의자 간의 대면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의자의 실장감 및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스크린 사이에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와 같은 별도의 광학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대형화면 구현시에도 화면 사이즈에 관계없이 슬림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화질 저하 없이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장치의 대한 바람직한 일실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스크린에 내장된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카메라의 화각과 프로젝터가 투사한 영상의 입사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카메라에 포함된 렌즈의 배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카메라에 포함된 렌즈의 배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100)은 서버(110) 및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 및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사설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설 네트워크 통신망은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및 이더넷(Ethernet)과 같은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는 무선 랜을 통해 인터넷 또는 사설 네트워크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랜은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일 수 있다.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는 서로 서버(110)의 중계 없이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10)는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에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10)는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 간의 연결을 중계하고 각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를 통합하여 각 화상회의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각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기초로 각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에 전송될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10)는 SKYPE system 의 서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장치(200)는 음성 수신부(210), 음성 처리부(22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 카메라부(260), 영상 처리부(2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0) 및 저장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는 화상회의 장치(200)일 수 있다. 화상회의 장치(200)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 Digital Information Display) 및 상호 반응 기능을 제공하는 게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수신부(210)는 음성을 녹취하고 녹취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수신부(210)는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처리부(220)는 음성 수신부(210)가 출력한 음성신호를 압축한다. 여기서, 음성 처리부(220)는 음성신호를 국제 표준 알고리즘인 H.261, H.263 및 H.264를 이용하여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2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0)가 수신한 음성신호를 복원한다. 여기서, 음성 처리부(220)는 음성신호가 압축된 알고리즘에 따라 해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26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270)는 생성된 촬상 화상 신호를 압축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만일 카메라부(260)가 출력한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영상 처리부(270)는 A/D 변환부를 구비하여, 카메라부(260)가 출력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압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270)는 촬상 화상 신호를 국제 표준 알고리즘인 H.261, H.263 및 H.264를 이용하여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2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0)가 출력한 영상신호를 복원한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270)는 영상신호가 압축된 알고리즘에 따라 해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복원할 수 있고, 압축 알고리즘으로 H.261, H.263 및 H.264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음성 수신부(210) 또는 음성 처리부(220)가 출력한 음성신호 및 영상 처리부(270)가 출력한 영상신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된 다른 화상회의 장치 또는 화상회의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는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0)가 수신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가 각각 음성 처리부(220) 및 영상 처리부(270)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 조치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조치는 화상회의 장치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면 상의 소정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 및 촬상 장치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제스처의 실시 및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는 터치 제스처와 공간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0)는 음성 처리부(220)가 출력한 음성신호 및 영상 처리부(270)가 출력한 영상신호를 서버(110) 또는 화상회의 장치(121, 123, 125)로 전송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0)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각각 다른 회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멀티플레싱하여 하나의 회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0)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IP 패킷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80)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는 서로 다중화된 것일 수 있고, 개별적으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는 각각 전용회선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IP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저장부(290)는, 제어부(23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할 수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90)는 음성 처리부(220) 및 영상 처리부(27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9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회의 장치의 대한 바람직한 일실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회의 장치(200)는 스크린(310), 프로젝터(320) 및 카메라(3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40)는 스크린(310) 및 프로젝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60)는 카메라(3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310)은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영상을 반사한다.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영상(325)은 스크린(310)의 정면(311)에 입사되고, 정면(311)은 입사된 영상(325)을 반사하고, 반사된 영상은 사용자(201)에게 관찰된다. 스크린(310)의 정면(311)은 지향각이 좋은 반사형 스크린면일 수 있다.
스크린(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핀홀(pinhole)(3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홀은 사람 눈으로 인식하기 쉽지 않은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스크린(310)의 정면(311)에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스크린에 내장된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핀홀(311)의 사이즈(s)는 1 mm 내지 100 mm 범위 내 일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mm 범위 내일 수 있다. 사이즈(s)는 시청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핀홀(311)은 사용자(201)의 이미지가 스크린(310)의 정면(311)을 통과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핀홀(311)을 통과한 사용자(201)의 이미지는 카메라(360)로 입사될 수 있다.
스크린(310)은 카메라(360)를 내장할 수 있다. 스크린(310)의 깊이(d)는 1mm 내지 1000mm 범위 내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100mm 범위 내 일 수 있다. 스크린(310)의 깊이(d)는 카메라(36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카메라(360)는 스크린(310)에 외장될 수 있다.
프로젝터(320)는 스크린(310)의 정면(311)에 영상(325)을 투사한다. 투사된 영상(325)은 스크린(310)의 정면(311)에 결상이 된다. 결상된 영상(325)은 회의자들에게 보일 수 있다.
도 5는 카메라의 화각과 프로젝터가 투사한 영상의 입사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325)이 정면(311) 또는 카메라(360)에 입사된 입사각(φ)은 카메라(360)의 화각(θ)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영상(325)의 입사각(φ)은 카메라(360)의 화각(θ)의 이분의 일보다 클 수 있다. 영상(325)의 입사각이 카메라(360)의 화각의 이분의 일보다 큰 경우에는,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영상(325)이 카메라(360)에 입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영상(325)이 카메라(360)에 의해 다시 촬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젝터(320)는 스크린(310)의 정면(311)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영역(320)에 위치할 수 있다. 영역(320)은 사용자(201)와 정면(31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프로젝터(320)는 사용자(201) 보다 스크린(310)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로젝터(320)는 스크린(310) 바로 앞에서 투사할 수 있는 쇼트 스로우 프로젝터(short throw projector)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프로젝터(320)는 스크린(310)의 정면(311)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320')에 위치할 수 있다. 영역(320')은 사용자(201)와 정면(31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로, 프로젝터(320)는 카메라(360)가 포착하는 장면(315)의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60)는 핀홀(313)을 통해 보이는 사용자(201)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카메라(360)는 멀티 포커싱할 수 있고, 영상 크기를 확대/축소할 수 있는 줌 기능을 갖는다. 또한 카메라(360)는 팬(Pan) 및 틸트(Tilt)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360)는 회의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추적된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여기서 회의자의 이미지는 회의자의 화상일 수 있다.
카메라(360)의 화각(θ)은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영상(325)의 입사각(φ)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360)의 화각(θ)은 영상(325)의 입사각(φ)의 두배 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360)는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입사각을 갖는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기 소정의 범위는 영상(325)의 입사각(φ)의 범위일 수 있다. 영상(325)의 입사각(φ)이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영상(325)이 필터링되어 카메라(360)에 촬상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영상(325)이 카메라(360)에 의해 다시 촬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360)는 소정의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파장을 갖는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기 소정의 파장 범위는 프로젝터(310)가 출사하는 광의 파장 대역일 수 있다. 영상(325)의 파장이 상기 소정의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영상(325)이 필터링되어 카메라(360)에 촬상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영상(325)이 카메라(360)에 의해 다시 촬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카메라에 포함된 렌즈의 배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360)는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광을 필터링하기 위해 반사코팅처리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프런트 렌즈(610)일 수 있고, 프런트 렌즈(610)의 면(611)에서는 입사각에 따른 반사 코팅처리가 되어 있어, 프로젝터(320)로부터 들어오는 특수 입사각의 영상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카메라(360)의 화각(θ)을 기준으로 반사코팅처리될 수 있다. 즉, 면(611)은 카메라(360)의 화각(θ)을 기준으로 반사코팅처리될 수 있다.
도 7은 카메라에 포함된 렌즈의 배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360)는 프로젝터(320)가 투사한 광을 필터링하기 위한 보호 글라스(7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글라스(710)는 프로젝터(310)가 출사하는 광의 파장 대역에 속하는 광을 차단한다.
카메라(360)는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입사각을 갖는 광 및 소정의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파장을 갖는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카메라(360)는 도 6의 프런트 렌즈(610) 및 도 7의 보호 글라스(7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렌즈(720)가 도 6의 프런트 렌즈(610)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핀홀(811 내지 819)이 스크린(310)에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핀홀(811 내지 819) 각각에 대하여 카메라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들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360)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회의자의 위치 및 눈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복수의 카메라(811 내지 819) 중에서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메인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회의자(201)에 대해 카메라(812)가 메인 카메라로 결정된 경우에, 메인 카메라(812)는 핀홀(812)을 통해 보이는 회의자(201)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또한 메인 카메라(912)는 회의자(201)의 위치에 맞추어 틸트하거나 팬할 수 있고, 줌인 또는 줌 아웃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의자의 위치 및 눈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메인 카메라를 결정하므로, 회의자 간에 실시간 눈 맞춤(eye contact)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230)는 복수의 카메라(811 내지 819) 중에서 메인 카메라를 결정하고, 결정된 메인 카메라와 같은 수평 면상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서브 카메라로 결정할 수 있다. 메인 카메라 및 서브 카메라는 하나의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여 시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시점 이미지 중 하나는 좌안 시점 이미지이고 나머지 시점 이미지는 우안 시점 이미지가 될 수 있고, 좌안 시점 이미지 및 우아 시점 이미지는 하나의 입체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회의자에 대한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상대방의 화상회의 장치로 입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812)가 회의자(201)에 대한 메인 카메라로 결정된 경우에는, 제어부(230)는 메인 카메라(812)와 같은 수평 면상에 위치하는 카메라(811) 및 카메라(813) 중에서 하나를 서브 카메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카메라(811)가 서브 카메라로 결정된 경우에, 메인 카메라(812)는 회의자(201)의 이미지를 촬상하여 좌안 시점 이미지를 생성하고, 서브 카메라(811)는 회의자(201)의 이미지를 촬상하여 우안 시점 이미지를 생성한다. 만일 카메라(813)가 서브 카메라로 결정된 경우에, 메인 카메라(812)는 회의자(201)의 이미지를 촬상하여 우안 시점 이미지를 생성하고, 서브 카메라(813)는 회의자(201)의 이미지를 촬상하여 좌안 시점 이미지를 생성한다.
회의자가 여러 명인 경우에는, 제어부(230)는 회의자의 위치 및 눈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각 회의자에 대하여 메인 카메라 및 서브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카메라부(260)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다중 인원에 대한 실시간 눈 접촉(eye contact)을 가능하게 하므로, 본 발명은 회의자의 입장감, 실장감 및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811 내지 819)를 이용하여 좌우 시점 영상을 생성하므로, 본 발명은 3차원 촬영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화상회의 장치가 회의자에게 3차원 입체 영상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화상회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핀홀(pinhole)이 형성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정면에 영상을 투사하여, 상기 스크린의 정면에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회의자에게 상기 투사된 영상의 상이 보이도록 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핀홀을 통해 보이는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은,
    상기 카메라의 화각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의 입사각으로 입사되고,
    상기 영상의 입사각은,
    상기 카메라의 화각의 1/2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의 정면을 기준으로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카메라가 포착하는 장면의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입사각을 갖는 광 또는 소정의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파장을 갖는 광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가 투사한 광을 필터링하기 위한 보호 글라스 및 투사한 광을 필터링하기 위해 반사코팅처리된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 내에 포함되는 표면 영역이 반사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크린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자의 위치 및 눈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에서 상기 회의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메인 카메라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에서 상기 결정된 메인 카메라와 같은 수평 면상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서브 카메라로 결정되고,
    상기 메인 카메라 및 상기 서브 카메라는 각각 상기 회의자의 이미지가 촬상된 시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점 이미지 중 하나는 좌안 시점 이미지이고 나머지 시점 이미지는 우안 시점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장치.
KR1020120088802A 2012-08-14 2012-08-14 화상회의 장치 KR10138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02A KR101387542B1 (ko) 2012-08-14 2012-08-14 화상회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02A KR101387542B1 (ko) 2012-08-14 2012-08-14 화상회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580A KR20140022580A (ko) 2014-02-25
KR101387542B1 true KR101387542B1 (ko) 2014-04-21

Family

ID=5026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802A KR101387542B1 (ko) 2012-08-14 2012-08-14 화상회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5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419A (ja) * 2000-07-05 2002-01-25 Hitachi Ltd 画像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通信システム
JP2002049367A (ja) * 2000-08-04 2002-02-15 Yamaha Corp 映像投影装置および映像システム
JP2011160313A (ja) * 2010-02-03 2011-08-18 Bunka Shutter Co Ltd 投影装置及び投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419A (ja) * 2000-07-05 2002-01-25 Hitachi Ltd 画像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通信システム
JP2002049367A (ja) * 2000-08-04 2002-02-15 Yamaha Corp 映像投影装置および映像システム
JP2011160313A (ja) * 2010-02-03 2011-08-18 Bunka Shutter Co Ltd 投影装置及び投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580A (ko)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66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pth adaptive video conferencing
US9774896B2 (en) Network synchronized camera settings
US9179098B2 (en) Video conferencing
CN109413359B (zh) 摄像跟踪方法、装置及设备
JP2006333301A (ja) テレビ通信装置
WO2018214746A1 (zh) 一种视频会议实现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50068299A (ko) 다면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WO2005002201A2 (en) Visual teleconferencing apparatus
WO2000031974A2 (en) Improved teleconferencing system
JP2008118589A (ja) テレビ電話装置
JP2010524295A (ja) 第1の携帯可能な通信装置
CN110324553B (zh) 基于视频通信的实景窗系统
WO2015198964A1 (ja) 音声入出力機能付き撮像装置および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2001136501A (ja) 視線一致テレビ会議装置
TW202005366A (zh) 視頻通信裝置及方法
KR20120040622A (ko) 영상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0822817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
EP4106326A1 (en) Multi-camera automatic framing
KR101387542B1 (ko) 화상회의 장치
JP3389102B2 (ja) ネットワーク会議画像処理装置
JP2010004480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700933B (zh) 視頻通信裝置及方法
JP3081377B2 (ja) 立体テレビ電話装置
KR100703713B1 (ko) 3차원 영상 획득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3차원 모바일 장치
JP2004153674A (ja) 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