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916B1 -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916B1
KR101386916B1 KR1020130017897A KR20130017897A KR101386916B1 KR 101386916 B1 KR101386916 B1 KR 101386916B1 KR 1020130017897 A KR1020130017897 A KR 1020130017897A KR 20130017897 A KR20130017897 A KR 20130017897A KR 101386916 B1 KR101386916 B1 KR 10138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nufacturing
pillar
outer mold
s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생
박찬희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A61F2240/004Using a positive or negative model, e.g. moul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탈 재질의 스텐트를 얇게 제작할 수 있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은, 중심에 속이 빈 제1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스텐트 모양의 양각돌기가 돌출 형성된 중공기둥 형상의 외부금형부를 준비하는 외부금형준비단계와; 상기 외부금형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금속으로 이루진 기둥형상의 내부금형부를 준비하는 내부금형준비단계와; 상기 외부금형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금형부의 외주면의 어느 일부분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이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금형부의 제1중공부에 상기 내부금형부를 삽입 배치하는 삽입배치단계와; 상기 이격부에 물에 녹는 수용성물질을 주입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수용성물질을 건조하여 성형부를 형성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외부금형부를 제거하여 상기 양각돌기에 의해 상기 성형부의 외주면에 스텐트 모양의 음각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외부금형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 MANUFACTURING METHOD OF MOLD FOR METAL STENT }
본 발명은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탈 재질의 스텐트를 얇게 제작할 수 있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내에 발생되는 질병 등에 의하여 체내의 내강(內腔)은 협착(狹窄)되거나 폐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장기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 아무런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저부암에 의하여 위장 입구가 폐색(閉塞)되거나, 식도암으로 인한 식도의 일부분이 협착될 때, 동맥경화증에 의해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또는 간으로부터 나오는 담즙이 흐를 수 있는 담관이 협착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이 내강이 폐색되거나 협착되면, 음식물이나 혈액 또는 담즙 등이 각 기관으로 원활히 흐를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증상이나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협착된 내강을 확장시키거나 확장된 내강이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해주어야 하는데, 협착된 내강의 통로를 확장하고 확장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예컨대 스텐트(stent)라 불려지는 의료용 도관을 내강의 협착부위에 삽입하는 것이 시술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스텐트는 탄성력을 보유한 금속 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꼬아 메쉬(mesh) 형상을 갖는 원통형의 구조로 제작하게 되며, 소재 자체가 탄성력을 갖추어 외력을 가하여 수축시킬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카테터와 같은 의료기구를 이용하여 내강에 삽입하면 자체 탄력에 의하여 팽창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내강에 삽입된 스텐트는 팽창하면서 협착된 내강을 확장시켜 내강의 통로를 원래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는, 탄성력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로 제작되는 특성상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스텐트는 다수개의 금속 와이어를 꼬아서 제작되기 때문에 그 두께를 얇게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특히 생분해성 스텐트인 마그네슘재질의 스텐트의 경우에는 그 두께가 약 5mm미만으로는 아직까지 개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5434호(2004.04.2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5608호(2012.05.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9743호(2011.11.0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두께가 얇은 메탈 재질의 스텐트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은, 중심에 속이 빈 제1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스텐트 모양의 양각돌기가 돌출 형성된 중공기둥 형상의 외부금형부를 준비하는 외부금형준비단계와; 상기 외부금형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금속으로 이루진 기둥형상의 내부금형부를 준비하는 내부금형준비단계와; 상기 외부금형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금형부의 외주면의 어느 일부분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이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금형부의 제1중공부에 상기 내부금형부를 삽입 배치하는 삽입배치단계와; 상기 이격부에 물에 녹는 수용성물질을 주입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수용성물질을 건조하여 성형부를 형성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외부금형부를 제거하여 상기 양각돌기에 의해 상기 성형부의 외주면에 스텐트 모양의 음각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외부금형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각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이격부의 간격과 동일하여 상기 삽입배치단계에서 상기 양각돌기는 상기 내부금형부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금형부에는 속인 빈 제2중공부와, 상기 제2중공부를 상기 이격부와 연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주입단계에서는 상기 제2중공부를 통해 수용성물질을 주입하고, 상기 제2중공부에 주입된 수용성물질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이격부로 주입된다.
상기 외부금형부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져 있어, 상기 외부금형제거단계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외부금형부를 상기 내부금형부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제거한다.
상기 수용성물질은 PVA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금형부는 Ti6Al4V 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1차기둥의 외주면에 스텐트 모양의 기초음각홈을 형성하는 음각홈형성단계와; 상기 1차기둥을 감싸도록 1차외장몰드를 형성하는 1차외장몰드형성단계와; 상기 1차외장몰드로부터 상기 1차기둥을 제거하여 상기 1차외장몰드에 기초중공부를 형성하는 1차기둥제거단계와; 상기 기초중공부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는 기초물질을 넣어 2차기둥을 형성하는 2차기둥형성단계와; 상기 1차외장몰드를 제거하는 1차외장몰드제거단계와; 상기 2차기둥을 감싸도록 2차외장몰드를 형성하는 2차외장몰드형성단계와; 상기 2차외장몰드로부터 상기 2차기둥을 제거하는 2차기둥제거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2차기둥제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상기 2차외장몰드는 상기 외부금형부이다.
상기 1차외장몰드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기둥은 왁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기둥제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상기 외부금형부는 다수개로 가공 분할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형을 이용하여, 두께가 얇은 메탈 재질의 스텐트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외부금형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내부금형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서 주입단계 및 건조단계를 마친 상태의 과정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서 외부금형제거단계를 마친 상태의 과정도,
도 7은 도 6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중 외부금형부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기둥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외장몰드형성단계를 마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기둥형성단계를 마친 상태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외장몰드형성단계를 마친 상태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외부금형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내부금형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서 주입단계 및 건조단계를 마친 상태의 과정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에서 외부금형제거단계를 마친 상태의 과정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은, 외부금형준비단계(S10), 내부금형준비단계(S20), 삽입배치단계(S30), 주입단계(S40), 건조단계(S50) 및 외부금형제거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금형준비단계(S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외부금형부(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외부금형부(10)는 중심에 속이 빈 제1중공부(11)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스텐트 모양의 양각돌기(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중공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금형부(1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부금형부(10)는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금형준비단계(S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내부금형부(2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내부금형부(20)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금형부(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부금형부(20)는 Ti6Al4V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내부금형부(20)가 Ti6Al4V 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해도금 후 상기 내부금형부(2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삽입배치단계(S30)는 상기 외부금형부(10)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금형부(20)의 외주면의 어느 일부분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이격부(25)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금형부(10)의 제1중공부(11)에 상기 내부금형부(20)를 삽입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주입단계(S40)는 상기 이격부(25)에 물에 녹는 수용성물질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용성물질은 PVA(polyvinyl alcohol)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단계(S40)에서는 상기 이격부(25)에 직접적으로 상기 수용성물질을 주입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내부금형부(20)에 제2중공부(21) 및 관통공(22)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주입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부금형부(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속이 빈 상기 제2중공부(21)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2)은 상기 내부금형부(20)의 길이방향을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중공부(21)를 외부와 연통시킨다.
이러한 상기 내부금형부(20)가 상기 외부금형부(10)의 제1중공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중공부(21)와 상기 이격부(25)를 상호 연통시킨다.
도 4는 상기 주입단계(S40) 및 건조단계(S50)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실질적으로는 상기 외부금형부(10)가 분할되어 있지 않아야 하지만 도면에서는 상기 외부금형부(10)가 분할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5에서는 상기 외부금형부(10)가 분할되지 않은 상태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주입단계(S40)에서는 상기 제2중공부(21)를 통해 수용성물질을 주입한다.
상기 제2중공부(21)로 주입된 수용성물질은 상기 제2중공부(21)에 수용된 후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이격부(25)로 이동하여 상기 이격부(25)를 메우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금형부(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양각돌기(12)의 돌출길이는 상기 이격부(25)의 간격과 동일하여, 상기 삽입배치단계(S30)에서 상기 양각돌기(12)가 상기 내부금형부(20)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주입단계(S40)에서 상기 이격부(25)로 주입된 상기 수용성물질은 상기 양각돌기(12)가 상기 내부금형부(2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충진되게 된다.
상기 건조단계(S50)는 상기 주입단계(S40)에서 상기 이격부(25)에 주입된 상기 수용성물질을 건조하여 성형부(3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주입단계(S40) 및 건조단계(S50)를 마친 상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제2중공부(21)에 및 이격부(25)에 충진되어 건조된 상기 성형부(30)는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건조되어 있다.
상기 외부금형제거단계(S60)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상기 외부금형부(1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외부금형부(10)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외부금형제거단계(S60)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외부금형부(10)를 상기 내부금형부(20)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제거한다.
위와 같이 상기 외부금형부(10)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내부금형부(20)의 외주면과 접하고 있던 양각돌기(12)에 의해 상기 성형부(30)의 외주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 모양의 음각홈(32)이 형성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은 메탈 스텐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금형을 마그네슘 등의 금속전해액이 수용된 전해용기 넣고, 상기 내부금형부(20)를 음극에 연결하여 상기 음각홈(32)에 마그네슘 등의 금속이 충진되도록 한다.
그 후 수용성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성형부(30)를 물에 녹여 제거하여, 상기 음각홈(32)에 충진된 금속으로 형성된 스텐트를 상기 성형부(30) 및 내부금형부(20)로부터 분리한 후, 연마 등을 통해 메탈 스텐트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성형된 상기 스텐트가 상기 내부금형부(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부금형부(20)의 외주면에는 이형성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표면처리가 이루어져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상기 외부금형부(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양각돌기(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양각돌기(12)는 상기 외부금형부(10)를 분할한 후 레이저 등을 통해 가공할 수도 있고,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중 외부금형부(10)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기둥(1)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외장몰드형성단계(S2)를 마친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기둥형성단계(S4)를 마친 상태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외장몰드형성단계(S6)를 마친 상태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금형부(10)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홈형성단계(S1), 1차외장몰드형성단계(S2), 1차기둥제거단계(S3), 2차기둥형성단계(S4), 1차외장몰드제거단계(S5), 2차외장몰드형성단계(S6), 2차기둥제거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음각홈형성단계(S1)는 금속재질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1차기둥(1)의 외주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 모양의 기초음각홈(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기둥(1)의 외주면에 상기 기초음각홈(2)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1차외장몰드형성단계(S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기둥(1)을 감싸도록 1차외장몰드(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외장몰드(3)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상기 1차기둥(1)의 둘레를 감싸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1차외장몰드(3)의 내주면에는 상기 기초음각홈(2)에 의해 양각이 형성된다.
상기 1차기둥제거단계(S3)는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1차외장몰드(3)로부터 상기 1차기둥(1)을 제거하여 상기 1차외장몰드(3)에 기초중공부(4)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1차기둥(1)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1차외장몰드(3)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개로 분할 절개하여 상기 1차외장몰드(3)를 상기 1차기둥(1)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1차기둥(1)을 제거하고 다시 분할된 상기 1차외장몰드(3)를 결합하여 기초중공부(4)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2차기둥형성단계(S4)는 상기 기초중공부(4)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는 기초물질을 넣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기둥(5)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기초물질은 왁스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물질이 상기 기초중공부(4)에 주입됨으로 인해, 상기 기초중공부(4)의 외주면에는 음각이 형성된다.
상기 1차외장몰드제거단계(S5)는 상기 1차외장몰드(3)를 상기 2차기둥(5)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외장몰드(3)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2차기둥(5)이 손상되지 않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하면 충분하다.
상기 2차외장몰드형성단계(S6)는 상기 2차기둥(5)을 감싸도록 2차외장몰드(6)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2차외장몰드(6)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기둥제거단계(S7)는 상기 2차외장몰드(6)로부터 상기 2차기둥(5)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기둥(5)은 왁스로 이루어져 있는바, 왁스를 녹여 상기 2차기둥(5)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공의 상기 2차외장몰드(6)를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상기 2차외장몰드(6)의 내주면에는 양각이 형성된다.
위와 같은 상기 2차기둥제거단계(S7)에 의해 제조된 상기 2차외장몰드(6)가 상기 외부금형부(10)가 된다.
즉, 상기 2차기둥제거단계(S7)의 의해 제작된 상기 2차외장몰드(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금형부(10)가 되고, 상기 2차외장몰드(6)의 내주면에 형성된 양각은 상기 외부금형부(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양각돌기(12)가 된다.
그리고, 상기 2차기둥제거단계(S7)에 의해 제조된 상기 외부금형부(10)는 그 조립 및 분리의 편의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가공 분할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금형을 이용하여 두께가 얇은 메탈 스텐트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특히, 두께가 매우 얇은 초박막 혈관용 스텐트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1차기둥, 2 : 기초음각홈, 3 : 1차외장몰드, 4 : 기초중공부, 5 : 2차기둥, 6 : 2차외장몰드,
10 : 외부금형부, 11 : 제1중공부, 12 : 양각돌기, 20 : 내부금형부, 21 : 제2중공부, 22 : 관통공, 25 : 이격부, 30 : 성형부, 32 : 음각홈,
S1 : 음각홈형성단계, S2 : 1차외장몰드형성단계, S3 : 1차기둥제거단계, S4 : 2차기둥형성단계, S5 : 1차외장몰드제거단계, S6 : 2차외장몰드형성단계, S7 : 2차기둥제거단계,
S10 : 외부금형준비단계, S20 : 내부금형준비단계, S30 : 삽입배치단계, S40 : 주입단계, S50 : 건조단계, S60 : 외부금형제거단계,

Claims (9)

  1. 중심에 속이 빈 제1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스텐트 모양의 양각돌기가 돌출 형성된 중공기둥 형상의 외부금형부를 준비하는 외부금형준비단계와;
    상기 외부금형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금속으로 이루진 기둥형상의 내부금형부를 준비하는 내부금형준비단계와;
    상기 외부금형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금형부의 외주면의 어느 일부분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이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금형부의 제1중공부에 상기 내부금형부를 삽입 배치하는 삽입배치단계와;
    상기 이격부에 물에 녹는 수용성물질을 주입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수용성물질을 건조하여 성형부를 형성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외부금형부를 제거하여 상기 양각돌기에 의해 상기 성형부의 외주면에 스텐트 모양의 음각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외부금형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양각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이격부의 간격과 동일하여 상기 삽입배치단계에서 상기 양각돌기는 상기 내부금형부의 외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내부금형부에는 속인 빈 제2중공부와, 상기 제2중공부를 상기 이격부와 연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주입단계에서는 상기 제2중공부를 통해 수용성물질을 주입하고, 상기 제2중공부에 주입된 수용성물질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이격부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외부금형부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져 있어,
    상기 외부금형제거단계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외부금형부를 상기 내부금형부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물질은 PV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내부금형부는 Ti6Al4V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7. 청구항1 내지 청구항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차기둥의 외주면에 스텐트 모양의 기초음각홈을 형성하는 음각홈형성단계와;
    상기 1차기둥을 감싸도록 1차외장몰드를 형성하는 1차외장몰드형성단계와;
    상기 1차외장몰드로부터 상기 1차기둥을 제거하여 상기 1차외장몰드에 기초중공부를 형성하는 1차기둥제거단계와;
    상기 기초중공부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는 기초물질을 넣어 2차기둥을 형성하는 2차기둥형성단계와;
    상기 1차외장몰드를 제거하는 1차외장몰드제거단계와;
    상기 2차기둥을 감싸도록 2차외장몰드를 형성하는 2차외장몰드형성단계와;
    상기 2차외장몰드로부터 상기 2차기둥을 제거하는 2차기둥제거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2차기둥제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상기 2차외장몰드는 상기 외부금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1차외장몰드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기둥은 왁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9.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2차기둥제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상기 외부금형부는 다수개로 가공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KR1020130017897A 2013-02-20 2013-02-20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KR101386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897A KR101386916B1 (ko) 2013-02-20 2013-02-20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897A KR101386916B1 (ko) 2013-02-20 2013-02-20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916B1 true KR101386916B1 (ko) 2014-04-18

Family

ID=5065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897A KR101386916B1 (ko) 2013-02-20 2013-02-20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215A (ko) * 2015-02-26 2016-09-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비혈관용 이동방지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55B1 (ko) 2009-02-20 2010-11-25 주식회사 몰텍스 패턴 형성용 다공성 전주 쉘의 제조방법
KR20110003886A (ko) * 2009-07-06 2011-01-13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2621A (ko) * 2010-11-16 2012-05-24 정분미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13054A1 (en) 2009-04-17 2013-01-10 Medtronic Vascular, Inc. Endovascular Implant Having an Integral Graft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55B1 (ko) 2009-02-20 2010-11-25 주식회사 몰텍스 패턴 형성용 다공성 전주 쉘의 제조방법
US20130013054A1 (en) 2009-04-17 2013-01-10 Medtronic Vascular, Inc. Endovascular Implant Having an Integral Graft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10003886A (ko) * 2009-07-06 2011-01-13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2621A (ko) * 2010-11-16 2012-05-24 정분미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215A (ko) * 2015-02-26 2016-09-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비혈관용 이동방지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4009B1 (ko) 2015-02-26 2016-10-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비혈관용 이동방지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6538B (zh) 微针阵列、制造该微针阵列的模铸方法及所使用的模具
JP2008511382A (ja) 成形微小針
JP6255014B2 (ja) 玩具ブリック、玩具ブリックを製造する方法、玩具ブリックの製造に用いる成形型
US3601178A (en) Method of making a wax model of a ring with hollow crown
KR101386916B1 (ko) 메탈 스텐트 제조금형의 제조방법
CN108290206B (zh) 在型芯喷射机中制造冒口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芯盒
JP2007247070A5 (ja) 陽極酸化ポーラスアルミナの製造方法および陽極酸化ポーラスアルミナ
US7790087B2 (en) Apparatus for the fabrication of a lipstick lead with two components
JP2011239877A (ja) 金属製装飾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金属製装飾品
MX168784B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a pieza en forma de cuerpo hueco y pieza asi obtenida
TWI621751B (zh) 紙漿模塑成型模具組件的製作方法
JPH02125404A (ja) 磁芯の製造方法
KR101454331B1 (ko) 메탈 스텐트 제조방법
CN210904587U (zh) 一种介入医疗双球囊的模具芯模
KR101133089B1 (ko) 특별문양표면이 구비된 장신구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EP3108847A1 (en)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JP6857634B2 (ja) 歯科補綴物成型用器具、歯科補綴物の製造方法
CN105522747B (zh) 一种多色圈立体填粉模具
JPWO2020217406A5 (ko)
CN215315004U (zh) 圆珠立体图案膨胀成型模具及自动设备
KR200442838Y1 (ko) 코어 없는 주형 성형용 금형
KR20110097347A (ko) 치아 트레이를 이용한 의치용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 구조
RU215102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устотелых ювелирных изделий
JP2016159093A (ja) 水晶体嚢拡張ディバイスの製造方法
JP5035988B2 (ja) 医療用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