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638B1 -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638B1
KR101386638B1 KR1020130041139A KR20130041139A KR101386638B1 KR 101386638 B1 KR101386638 B1 KR 101386638B1 KR 1020130041139 A KR1020130041139 A KR 1020130041139A KR 20130041139 A KR20130041139 A KR 20130041139A KR 101386638 B1 KR101386638 B1 KR 101386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electromagnetic wave
electromagnetic
chamber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규
김인선
박영주
이병남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4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04B7/18506Communications with or from aircraft, i.e. aeronautical mobile ser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와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전자기 적합성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항공기의 비행 안정성과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고, 전자기 환경 영향성 검증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공기, 탑승자 및 시험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은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항공기가 진입, 수용되고 외부 전자파를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를 흡수하도록 구성된 전자파 무반사챔버;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의 바닥면으로부터 항공기가 이격되어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항공기 안착수단; 항공기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내에 구성되어 상기 항공기 안착수단으로부터 이탈 및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항공기 고정유지수단; 상기 전자파송수신장치의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지상정보처리부; 및 항공기의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항공기점검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전자파송수신장치 및 항공기가 전자파 차폐 특성을 갖는 전자파 무반사챔버 내부에서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가 이루어지고, 항공기 안착수단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전자파 흡수체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반사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항공기와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전자기 적합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항공기의 비행 안정성과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SYSTEM FOR ELECTROMAGNAETIC ENVIRONMENTAL EFFECTS TEST AND EVALUATION OF AIRPLANE EQUIPPED WITH ELECTROMAGNAETIC WAVES TRANSMISSION AND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와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전자기 적합성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항공기의 비행 안정성과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고, 전자기 환경 영향성 검증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공기, 탑승자 및 시험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투기와 같은 항공기는 적 전자파 방사체에 대한 위협 자료를 수집, 분석, 식별하고 데이터 링크를 이용하여 지상처리장비에 실시간 전송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파송수신장치의 데이터 송신장치는 지상처리장비에 고출력 전자파 신호를 지속적으로 방사하게 되므로 항공기에 오작동이나 성능저하를 유발할 우려가 있고, 역으로 항공기의 전자장비가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운용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으므로 안정적인 운용 및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지상점검 절차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항공기의 비행안전과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정상적인 운용을 위해 항공기 및 전자파송수신장치가 전자기환경(EME, Electromagnetic Environment)에 어떤 경로로 노출될 수 있으며, 어떤 영향을 주는지와 관련된 충분한 사전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까지 전자기간섭(EMI,Electromagnetic interferance) 및 전자기적합성(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을 고려한 군용 체계에 대한 전자기환경(E3,Electromagnetic Environment Effect)평가는 대부분 미 국방규격 MIL-STD-464(Reference:Requirements for the Control of Electromagnetic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Subsystems and Equipment, Aug. 1999)를 준용한다.
그리고, 전자기 환경 영향성 검증은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체계개발 사업의 경우 체계조립이 완료되고 세부 계통별 기능시험이 종료된 이후에 최종 단독 지상시험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전자파송수신장치와 같이 플랫폼(항공기)에 탑재되는 경우 플랫폼 개조, 장착에 따라 연동, 변경, 추가 부분에 대한 최종 지상시험을 실시하여 장비들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비행안전에 필수적인 기능과 장비 운용성능을 저하 시키는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여 장비의 고장점검 및 원인제거를 수행하고, 필요시 장비의 운용제한 요소를 도출하여 운용 교범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첨부도면, 도1은 종래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지상에 항공기(p)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항공기의 저부에 전자파송수신장치(f)를 탑재한 후 그대로 시행하거나 지면에 면상의 전자파 차폐패드(미도시)를 설치한 후에 전자기 환경 영향성 검증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자기 환경 영향성 검증을 시행하게 되면, 전자파송수신장치(f)의 테이터링크 안테나가 지면과 근접되어 있으므로 고출력 데이터링크 송신신호가 지면 및 주변 구조물에 난반사(도1의 파선으로 표시됨)되어 전자기 적합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직접파 보다 반사파가 항공장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항공기의 일부 방사신호나 외부 입사신호도 지면에 난반사(도1의 일점쇄선으로 표시됨)되어 전자파송수신장치(f)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조건에서 외부로부터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향해 단일의 모의 신호를 방사하고, 전자파송수신장치로 신호를 수신했을 때 항공기의 다기능전시기(MFD) 위협장에 나타나는 결과가 도2(반사파의 영향 이미지, The effects of reflective wav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모의 신호를 방사함에도 불구하고 마치 여러 신호처럼 표시(s1)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전자파송수신장치(f)를 탑재한 항공기(p)의 전자기 환경 영향성 검증할 경우 반사파의 영향으로 실질적인 검증이 불가능하고, 검증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항공기와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전자기 적합성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항공기의 비행 안정성과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기 환경 영향성 검증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항공기, 탑승자 및 시험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은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항공기가 진입, 수용되고 외부 전자파를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를 흡수하도록 구성된 전자파 무반사챔버;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의 바닥면으로부터 항공기가 이격되어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항공기 안착수단; 항공기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내에 구성되어 상기 항공기 안착수단으로부터 이탈 및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항공기 고정유지수단; 상기 전자파송수신장치의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지상정보처리부; 및 항공기의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항공기점검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항공기 고정유지수단은 항공기와 연결, 접속되는 안전로프, 및 상기 안전로프를 풀거나 감으면서 지지하는 권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는, 항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챔버본체; 상기 챔버본체의 내면에 설치되는 흡수체설치내장재; 및 상기 흡수체설치내장재의 내면에 설치되는 전자파 흡수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공기 안착수단은, 항공기의 휠 배치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부착되는 다수의 전자파 흡수체; 및 항공기의 휠이 고정되도록 상기 장착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휠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대는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면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파 흡수체가 설치되는 흡수체설치판; 및 상기 전자파 흡수체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흡수체설치판과 상기 전자파 흡수체 사이에 설치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판이 안착, 고정되도록 형강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상지지부; 상기 전자파 무반사 챔버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형강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하지지부; 및 상기 상지지부 및 상기 하지지부 사이에 형강에 의해 종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를 포함하는 한편, 전도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하지지부의 모서리부에 형강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상기 지지판의 처짐에 대한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상지지부와 상기 하지지부 중심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지주; 및 상기 하지지부에 이동수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운반구 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 고정수단은, 상기 장착대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고 항공기의 휠이 안착되는 접촉 경사면이 형성된 한 쌍의 고일목; 상기 고일목을 상기 장착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일목를 전후진 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일목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일목은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이동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일목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고일목에 설치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조정바와 핸들이 구비된 위치조정핸들, 및 상기 조정바가 접속되어 전후 이동되도록 상기 장착대에 형성되는 핸들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은 항공기의 엔진 시동시에 엔진을 냉각하는 항공기 냉각장치; 항공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항공기 외부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전자파송수신장치의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냉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전자파송수신장치 및 항공기가 전자파 차폐 특성을 갖는 전자파 무반사챔버 내부에서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가 이루어지고, 전자파송수신장치가 장착된 항공기를 항공기 안착수단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전자파 흡수체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반사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항공기와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전자기 적합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어서 항공기의 비행 안정성과 전자파송수신장치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휠 고정수단에 의해 항공기가 항공기 안착수단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항공기 고정유지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어 항공기의 이탈, 추락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전자기 환경 영향성 검증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항공기, 탑승자 및 시험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종래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4a 내지 도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항공기 안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4a 내지 도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항공기 안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4a는 항공기 안착수단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4b는 항공기 안착수단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4c는 항공기 안착수단의 운반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4d는 항공기 안착수단의 휠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e는 항공기 안착수단의 휠 고정수단의 전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4f는 항공기 안착수단의 휠 고정수단의 후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 내지 도4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은 항공기와 이 항공기에 장착된 전자파송수신장치 상호간에 전자기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파 무반사챔버(1), 항공기 안착수단(2), 항공기 고정유지수단(3), 지상정보처리부(4), 및 항공기점검처리부(5)가 구비되어 있다.
전자파 무반사챔버(1)는 검증을 위한 전투기와 같은 항공기(p)가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파를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를 흡수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10kHz ~ 40GHz 주파수 범위에서 희망하는 차폐성능을 갖는다면 제한 없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챔버본체(11), 흡수체설치내장재(미도시), 및 전자파 흡수체(12)에 의해 100dB의 차폐성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챔버본체(11)는 항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건축물로서 전자파송수신장치(f)가 탑재된 항공기(p)와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각종 장비들이 내장 가능한 수용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면 구조, 형상, 크기 등에 제한 없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흡수체설치내장재는 챔버본체(11)의 내벽면 및 바닥면 등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전자파의 흡수 및 차폐 특성을 갖는 도체 판재라면 제한 없이 선택,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강판을 챔버본체(11)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전자파 흡수체(12)는 흡수체설치내장재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희망하는 전자파 흡수효율을 만족한다면 제한 없이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는 항공기와, 이와 관련된 전자장비 및 전자파송수신장치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대역과 신호세기 등을 고려하여 통상 피라미드형 흡수체로 호칭되고 있고 카본을 함유한 전파흡수재료를 이용하여 대략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적용한다. 그리고, 전자파 흡수체(12)는 전고(全高) 사이즈에 따라 정해진 규격인 24인치(24"), 36인치(36"), 48인치(48") 중에서 24인치 규격을 흡수체설치내장재 표면에 조밀하게 설치하여 구성한다.
그 외에도 전자파 흡수체(12)는 자기 손실이 큰 페라이트(Ni-Zn 페라이트, Co2Z를 포함하는 육방정계 페라이트 등)분말과, 성형성이 우수한 결합재 등을 혼합한 복합재료를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항공기 안착수단(2)은 도4a 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 무반사챔버(1)의 바닥면으로부터 항공기가 이격되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장착대(21), 전자파 흡수체(22), 및 휠 고정수단(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대(21)는 지지프레임(211), 지지판(212), 흡수체설치판(213), 및 결속부재(214)로 이루어지고 항공기의 저부에 설치된 휠(바퀴)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바퀴 수량과 동일한 수량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휠을 가지고 있는 항공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3개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11)은 전자파 무반사챔버(1)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장착대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부에 지지판(212)이 안착, 고정되도록 H-빔 또는 I-빔과 같은 형강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상지지부(211a), 전자파 무반사 챔버(1)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H-빔 또는 I-빔과 같은 형강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하지지부(211b), 및 상지지부(211a) 및 하지지부(211b) 사이에 형강에 의해 종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211c)를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11)의 하지지부(211b)에는 전도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모서리부에 형강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211d)가 마련되어 있고, 지지판(212)의 처짐에 대한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지지부(211a)와 하지지부(211b) 중심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지주(211e)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보강지주(211e)는 상지지부(211a) 및 하지지부(211b)에 교차되게 설치된 보강바(211f)의 중심에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하지지부(211b)에는 운반수단(v)을 삽입할 수 있도록 운반구 삽입구(211g)가 형성되어 있다. 운반구 삽입구(211g)는 운반수단의 구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포오크를 갖는 유압식 또는 기계식 이동대차와 같은 운반수단(v)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지지부(211b)를 구성하는 형강에 포오크가 삽입되는 홈이 절개되어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11)의 전고(형성높이)는 지지판(212)에 항공기의 휠이 안착된 상태에서 전자파 무반사챔버(1)의 바닥면에 설치된 전자파 흡수체(22)가 항공기(p)의 동체 및 부속장치나 전자파송수신장치와 접촉되지 않는다면 제한 없이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12)은 지지프레임(212)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안착되는 항공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판재라면 제한 없이 선택되어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는 3개의 바퀴를 가지고 있고 하중이 15 내지 20톤(t)인 항공기의 하중을 3개의 장착대가 지지하게 되므로 10톤 이상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판을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흡수체설치판(213)은 지지프레임(211)의 외면 둘레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자파의 흡수 및 차폐 특성을 갖는 판재라면 제한 없이 선택, 설치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강판을 지지프레임의 둘레에 설치하여 4개의 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결속부재(214)는 전자파 흡수체(22)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흡수체설치판(213)과 전자파 흡수체(22)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장착대(21)의 이동, 보관, 설치시에 전자파 흡수체(22)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결속수단이라면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 매직테이프, 찍찍이 등으로 호칭되고 있는 암,수 벨크로 화스너를 흡수체설치판(213)의 표면과 전자파흡수체(22)의 저면에 마주보게 부착되도록 하여 구성한다.
한편, 전자파 흡수체(22)는 장착대(21)의 둘레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자파 흡수효율을 만족한다면 제한 없이 선택,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는 전술한 전자파 무반사챔버(1)에 설치되는 전자파 흡수체와 동일한 24인치(24") 피라미드형 흡수체를 흡수체설치판(213)의 표면에 조밀하게 설치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전자파 흡수체(22)는 복수 개가 행과 열을 이루도록 흡수체부착판(22a)에 부착되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된 후 흡수체부착판(22a)의 내면에 결합된 복수의 벨크로 화스너가 흡수체설치판(213)에 결합된 벨크로 화스너에 결속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휠 고정수단(23)은 장착대(21)에 올려진 항공기의 휠(t)을 요동없이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지지프레임(211)에 설치된 지지판(212)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일목(231)과 이 고일목(231)을 지지판(212)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32)로 구성되어 있다.
고일목(231)은 항공기의 휠(t)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고일목본체에 휠(t)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접촉 경사면(231a)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고일목(231)은 반사파가 발생되지 않도록 목재로 형성되는 한편 항공기의 휠(t)이 밀착되는 접촉 경사면(231a)이 길게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돌부(231b)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고일목(231)은 고정부재(232)를 기준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이동방향을 따라 한 쌍의 이동장공(231c)이 평행하게 천공되어 있다.
고정부재(232)는 고일목(231)을 장착대(21)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고일목(231)의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체결수단이라면 형태나 구조에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는 볼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휠 고정수단(23)은 항공기의 휠(t)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일목(231)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는 고일목 위치조정수단(233)이 구비되어 있다.
고일목 위치조정수단(233)은 고일목(231)에 설치되는 가압판(233a), 가압판(233a)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위치조정핸들(233b), 및 위치조정핸들(233b)이 접속되도록 장착대(21)에 결합되는 핸들고정브라켓(233c)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판(233a)은 고일목(231)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판부와 고일목의 후면에 안착되는 후판부가 형성되도록 판재를 대략 "ㄱ" 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하되, 상판부에는 고정부재(232)에 끼워지는 한 쌍의 안내장공(233d)이 고일목(231)의 안내장공(231c)과 연통되도록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위치조정핸들(233b)은 일단 부분이 가압판(233a)의 후판부에 접촉되는 스크류봉으로 형성된 조정바(233e)와, 이 조정바(233e)의 타단 부분에 결합되고 손잡이가 형성된 원형의 핸들(233f)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고정브라켓(233c)은 대략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장착대(21)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에 조정바(233e)가 나사결합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항공기 고정유지수단(3)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시 항공기의 이탈 및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파 무반사챔버(1)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항공기 안착수단(2)으로부터 항공기가 전도 또는 이탈되더라도 항공기가 추락하지 않도록 매달아 지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항공기와 연결, 접속되는 안전로프(31)와, 이 안전로프(31)를 풀거나 감으면서 지지하는 권상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때 권상장치는 호이스트(Hoist), 크레인(Crane), 윈치 등 권상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상정보처리부(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송수신장치(f)의 데이터 송신장치(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데이터 송신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링크 안테나(41), 데이터링크 안테나(41)를 매개로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을 수행하는 지상데이터 송수신기(42), 및 전자파송수신장치(f)와의 데이터 송수신과정을 제어하고 처리하는 정보처리 컴퓨터(43) 등을 구비한다.
항공기점검처리부(5)는 항공기의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항공기의 계통별 데이터를 인가받아 항공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항공기 계통별 점검장치(51), 스펙트럼 분석기, 오실로스코프 등과 같은 계측장비(52), 수신안테나(53) 등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은 전자파 무반사챔버(1)내에서 항공기의 엔진 시동시 엔진을 냉각하기 위해 외부에 마련되는 항공기 냉각장치(6), 항공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 마련되는 항공기 외부전원공급장치(7), 및 전자파송수신장치(f)를 냉각시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송수신부 냉각장치(8)가 구비되어 있다.
항공기 외부전원공급장치(7)는 전자파 무반사챔버(1) 내부에 구비되어 항공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로 구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군용기의 외부전원공급장치로 널리 사용되는 GTG(Gas Turbine Generator)로 구성된다. GTG는 발전기와 항공기 시동용 공기압장치로 구성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공기압장치에 의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항공기의 팬브레이드를 회전시켜 엔진의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장치이다.
항공기 냉각장치(6) 및 송수신부 냉각장치(8)는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기를 생성하는 냉각부와 이 냉각부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항공기와 접속되는 덕트를 통해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중에서 군용기의 냉각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것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군에서 사용하고 있고 C-5 또는 C-10으로 호칭되고 있는 냉각장치 등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 무반사챔버(1)를 구성하되,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반수단(v)의 포오크를 항공기 안착수단(2)의 운반구 삽입구(211g)에 삽입하여 탑재한 다음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고 운반대차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시행한다. 이때, 항공기 안착수단(2)은 항공기의 휠 수량에 대응하도록 3개를 휠 배치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항공기 안착수단(2)은 운반시 전자파 흡수체(22)를 흡수체설치판(213)으로부터 분리하고 장착대(21)를 정위치 시킨 후 결속부재(214)를 이용하여 전자파 흡수체(22)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공기 안착수단(2)이 정위치 되면 항공기를 전자파 무반사챔버(1) 내부로 진입시키고 항공기 고정유지수단(3)의 안전로프(31)를 항공기의 여러 개소에 매달아 고정한 후 권상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킨 다음 항공기 안착수단(2)의 상면에 항공기의 휠(t)이 안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휠 고정수단(23)은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의 휠 삽입이 용이하도록 고일목(231)이 서로간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에 있도록 조정하고, 항공기의 휠이 지지판(212)에 안착 완료된 후 가압판(233a)이 전진 되도록 위치조정핸들(233b)를 조작하게 되면 고정부재(232)에 안내되면서 양쪽 고일목(231)이 모아지는 형태로 이동되고 항공기의 휠(t)의 외주면에 접촉 경사면(231a)이 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항공기가 정위치 완료되면, 전자파 흡수체(22)를 결속부재(214)를 이용하여 흡수체설치판(213)에 부착시켜 항공기 안착수단(2)의 조립을 완료하고, 데이터링크 안테나(41), 지상데이터 송수신기(42), 및 정보처리 컴퓨터(43) 등을 정위치시켜 지상정보처리부(4)를 구성하고, 항공기 계통별 점검장치(51), 스펙트럼 분석기, 오실로스코프 등과 같은 계측장비(52), 수신안테나(53) 등을 배치하여 항공기점검처리부(5)를 구성한다. 이후, 항공기의 진입이나 각종 장비의 설치를 위해 전자파 무반사챔버(1)의 바닥면에 제거되어 있던 일부 전자파 흡수체(12)를 설치하여 마감하게 되면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파 무반사챔버(1) 내부에 항공기 안착수단(2), 항공기 고정유지수단(3), 지상정보처리부(4), 및 항공기점검처리부(5)의 배치가 완료되면, 전자기 복사 위해성(EMFADHAZ:Electromagnetic Radiation Hazards) 시험과, 항공기 외부의 EME 영향을 배제한 상태에서 항공기에 장착된 각종 계통 및 장비들 간에 존재하는 내부적인 전자기 상호작용으로 정의되는 체계 내 EMC/RFC(Intra-System EMC/RFC) 시험, 외부 RF 전자기 환경(External RF EME) 시험, 부체계 및 장비 EMI(Subsystem and Equipment EMI) 시험 등을 시행하여 전자기 환경 영향성 검증을 시행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기 복사 위해성(EMFADHAZ) 시험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EID(Electrically Initiated Device)에 또는 EED(Electro-Explosive Device)에 있어서의 전자기 방사체에 의한 위해성으로 정의되는 HERO(Hazard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to Ordnance), 인체에 대한 위해성으로 정의되는 HERP(Hazard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to Personnel), 연료에 대한 위해성으로 정의되는 HERF(Hazard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to Fuel)로 구분된다.
첨부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에 나타난 영상은 외부로부터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향해 단일의 모의 신호를 방사하고, 전자파송수신장치로 신호를 수신했을 때, 항공기의 다기능전시기(MFD) 위협장에 나타나는 영상으로서 이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향해 단일의 모의 신호를 방사하고, 전자파송수신장치(f)로 신호를 수신했을 때 종래(도2 참조)와 같이 여러 개의 신호가 표시되지 않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신호만이 표시(s2) 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적용하여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 영향성을 검증할 경우 반사파의 영향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므로 실질적인 검증이 가능하게 되고, 검증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무반사챔버 11:챔버본체
12,22:전자파 흡수체 2:항공기 안착수단
21:장착대 211:지지프레임
211a:상지지부 211b:하지지부
211c:지주 211d:연장부
211e:보강지주 211f:보강바
211g:운반구 삽입구 212:지지판
213:흡수체설치판 214:결속부재
22:전자파 흡수체 23:휠 고정수단
231:고일목 232:고정부재
233:고일목 위치조정수단 233a:가압판
233b:위치조정핸들 233c:핸들고정브라켓
3:항공기 고정유지수단 31:안전로프
4:지상정보처리부 41:데이터링크 안테나
42:지상데이터 송수신기 43:정보처리 컴퓨터
5:항공기점검처리부 51:계통별 점검장치
52:계측장비 53:수신안테나

Claims (9)

  1.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항공기가 진입, 수용되고 외부 전자파를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를 흡수하도록 구성된 전자파 무반사챔버;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의 바닥면으로부터 항공기가 이격되어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항공기 안착수단;
    항공기를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내에 구성되어 상기 항공기 안착수단으로부터 이탈 및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항공기 고정유지수단;
    상기 전자파송수신장치의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지상정보처리부; 및
    항공기의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하는 항공기점검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고정유지수단은 항공기와 연결, 접속되는 안전로프, 및 상기 안전로프를 풀거나 감으면서 지지하는 권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는,
    항공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챔버본체;
    상기 챔버본체의 내면에 설치되는 흡수체설치내장재; 및
    상기 흡수체설치내장재의 내면에 설치되는 전자파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안착수단은,
    항공기의 휠 배치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부착되는 다수의 전자파 흡수체; 및
    항공기의 휠이 고정되도록 상기 장착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휠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는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면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파 흡수체가 설치되는 흡수체설치판; 및
    상기 전자파 흡수체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흡수체설치판과 상기 전자파 흡수체 사이에 설치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판이 안착, 고정되도록 형강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상지지부;
    상기 전자파 무반사 챔버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형강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하지지부; 및
    상기 상지지부 및 상기 하지지부 사이에 형강에 의해 종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를 포함하고,
    전도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하지지부의 모서리부에 형강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상기 지지판의 처짐에 대한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상지지부와 상기 하지지부 중심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지주; 및
    상기 하지지부에 이동수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운반구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 고정수단은,
    상기 장착대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고 항공기의 휠이 안착되는 접촉 경사면이 형성된 한 쌍의 고일목;
    상기 고일목을 상기 장착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일목를 전후진 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일목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일목은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이동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일목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고일목에 설치되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조정바와 핸들이 구비된 위치조정핸들, 및 상기 조정바가 접속되어 전후 이동되도록 상기 장착대에 형성되는 핸들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 내에 구비되어, 항공기의 엔진 시동시에 엔진을 냉각하는 항공기 냉각장치;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 내에 구비되어, 항공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항공기 외부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전자파 무반사챔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파송수신장치의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KR1020130041139A 2013-04-15 2013-04-15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KR101386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39A KR101386638B1 (ko) 2013-04-15 2013-04-15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39A KR101386638B1 (ko) 2013-04-15 2013-04-15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638B1 true KR101386638B1 (ko) 2014-04-18

Family

ID=5065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139A KR101386638B1 (ko) 2013-04-15 2013-04-15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6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2715A (zh) * 2018-09-06 2019-03-01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机载通信射频接收设备量化指标电磁干扰测试系统及方法
JPWO2021192876A1 (ko) * 2020-03-27 2021-09-30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2383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원격 비행체를 이용한 전자파 강도 측정장치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2383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원격 비행체를 이용한 전자파 강도 측정장치 및 그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2715A (zh) * 2018-09-06 2019-03-01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机载通信射频接收设备量化指标电磁干扰测试系统及方法
CN109412715B (zh) * 2018-09-06 2021-06-08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机载通信射频接收设备量化指标电磁干扰测试系统及方法
JPWO2021192876A1 (ko) * 2020-03-27 2021-09-30
WO2021192253A1 (ja) * 2020-03-27 2021-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供試機器保持装置、及びemc試験システム
WO2021192876A1 (ja) * 2020-03-27 2021-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供試機器保持装置、及びemc試験システム
JP7062148B2 (ja) 2020-03-27 2022-05-02 三菱電機株式会社 供試機器保持装置、及びemc試験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638B1 (ko)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시스템
CN103901290A (zh) 电磁兼容性测试系统
CN106990300A (zh) 一种同步实现天线方向图与散射像测试的装置及方法
KR101408074B1 (ko)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항공기 장착장치
CN105823935A (zh) 一种半电波暗室场均匀性测试装置及其方法
KR20140113922A (ko) 항공 전자 센서용 검사 장치 및 항공 전자 센서의 검사 방법
JP2012510204A (ja) 一体型電磁放射経路を有するサンドイッチ輸送手段構造物
CN108287275A (zh) 一种基于透波副舱和屏蔽暗室的电推力器电磁特性测试方法和系统
CN109655671A (zh) 低电平扫掠电流的高强辐射场效应试验系统及试验方法
CN107918703A (zh) 一种宽频段射频接收卫星无意辐射发射限值的设计方法
EP2355236A2 (en) Circularly polarized antennas for a wireless sensor system
CN208818193U (zh) 一种电磁离合器平面度检测装置
JP6235834B2 (ja) 電磁波吸収層を利用した電磁波損失の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CN115902428A (zh) 一种低电平扫描场校准测试装置和方法
JP2003307536A (ja) 電磁波影響検査システム
CN105929255A (zh) 一种用于通信电子设备仿真测试的模型修正装置
Fanning Improving monopole radiated emission measurement accuracy; RF chamber influences, antenna height and counterpoise grounding (CISPR 25 & MIL-STD-461E vs MIL-STD-461F)
JP3800241B1 (ja) 電磁界測定システムおよび放射イミュニティシステム
CN107666030B (zh) 包括执行模式转换的波导的设备和执行模式转换的方法
Johnson et al. Phase II demonstration test of the electromagnetic reverberation characteristics of a large transport aircraft
US763069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cale model correction to account for antenna coupling loss
CN205844419U (zh) 一种用于通信电子设备仿真测试的模型修正装置
Heidemann et al. Using TEM waveguides according to the new IEC 61000-4-20
JP6052355B1 (ja) 試験装置
US20230364566A1 (en) Electromagnetic stirrer, electromagnetic measuring system, mounting method and associated meas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