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621B1 -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621B1
KR101386621B1 KR1020130060317A KR20130060317A KR101386621B1 KR 101386621 B1 KR101386621 B1 KR 101386621B1 KR 1020130060317 A KR1020130060317 A KR 1020130060317A KR 20130060317 A KR20130060317 A KR 20130060317A KR 101386621 B1 KR101386621 B1 KR 101386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andidate
terminal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 이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 이 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 이 에스
Priority to KR102013006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RFID를 이용하여 테스트 응시자의 부정출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은, 테스트 문제 및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관리하고, 테스트가 시작되면 상기 테스트 문제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테스트를 통해 수집된 답안 및 상기 답안을 이용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테스트가 시작되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테스트 문제들을 출력하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응시자 단말기; 상기 응시자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응시자가 소지한 RFID태그로부터 수집된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RFID리더; 및 상기 관리 서버 및 상기 응시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응시자와 맵핑되어 있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출력하며, 감독관에 의해 입력된 응시자 확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감독관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TEST SYSTEM AND TEST METHOD USING AN INTERNET}
본 발명은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용 및 시간 절약을 위해, 컴퓨터 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테스트가 이용되고 있다.
즉, 컴퓨터 기반의 테스트(CBT : computer Based Test) 및 인터넷 기반의 테스트(IBT : Internet Based Test) 등을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테스트들을 수행하고자 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컴퓨터 기반의 테스트(CBT) 또는 인터넷 기반의 테스트(IBT)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테스트들에는, TOEIC(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EPS(Test of English Proficiency develop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TOEFL(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JPT(Japanese Proficiency Test), CPT(Chinese Proficiency Test), JLPT(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등과 같은 어학관련 테스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는, 응시자에 대한 출석여부 확인 및 부정출석 여부 등이, 상기 테스트 방법과 개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는, 테스트 응시자 출석여부 확인, 부정응시 여부 확인, 테스트 실시 등과 같은 테스트 방법의 전체 과정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RFID를 이용하여 테스트 응시자의 부정출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은, 테스트 문제 및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관리하고, 테스트가 시작되면 상기 테스트 문제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테스트를 통해 수집된 답안 및 상기 답안을 이용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테스트가 시작되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테스트 문제들을 출력하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응시자 단말기; 상기 응시자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응시자가 소지한 RFID태그로부터 수집된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RFID리더; 및 상기 관리 서버 및 상기 응시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응시자와 맵핑되어 있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출력하며, 감독관에 의해 입력된 응시자 확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감독관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방법은, 테스트 문제,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가, 응시자 단말기 및 감독관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연결 단계; 응시자가 이용하는 응시자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RFID리더를 통해 상기 응시자가 소지한 상기 RFID태그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출용 응시자 정보와, 상기 응시자와 맵핑되어 있는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응시자를 인증하는 응시자 인증 단계; 상기 응시자가 인증되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 테스트 시작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상기 테스트 문제를 전송하여 테스트를 실시하는 테스트 실시 단계; 및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답안을 평가하며, 상기 평가에 따라 생성된 상기 응시자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테스트 평가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이 연결되는 곳이라면 어디서든지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응시자들은 보다 편리하게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하여 응시자의 출석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응시자의 얼굴을 촬영한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부정출석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출석 및 부정출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관리 서버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컴퓨터 기반의 테스트(CBT : computer Based Test) 및 인터넷 기반의 테스트(IBT : Internet Based Test)가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별도의 서비스로 각기 다른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기반의 테스트(CBT), 상기 인터넷 기반의 테스트(IBT) 및 상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통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학생증(RFID태그)을 보유한 학생이 테스트 응시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가 배치되어 있는 책상의 의자에 앉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RFID리더와 상기 학생증(RFID태그)를 통하여 자동 출석체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석체크와 동시에, 상기 테스트를 감독하는 감독관(교수)이 이용하는 감독관 단말기의 모니터에, 각 좌석에 앉은 학생의 이름, 사진 등의 정보를 출력하여, 감독관이 학생들 각각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정출석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RFID리더가 장착되어 있는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단말기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어떠한 장소든지 테스트 장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응시자들은, 테스트를 위해 별도의 전용 강의실 등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자신이 평상시에 이용하는 강의실에서, 자신이 이용하던 단말기를 이용하여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문제 및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관리하고, 테스트가 시작되면 상기 테스트 문제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테스트를 통해 수집된 답안 및 상기 답안을 이용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20), 상기 관리 서버(2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테스트가 시작되면, 상기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테스트 문제들을 출력하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는 응시자 단말기(10),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장착되어, 상기 응시자가 소지한 RFID태그(50)로부터 수집된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RFID리더(40); 및 상기 관리 서버(20) 및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응시자와 맵핑되어 있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출력하며, 감독관에 의해 입력된 응시자 확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는 감독관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테스트 문제, 테스트에 응시하고자 하는 응시자들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 상기 테스트 실시에 따라 생성된 테스트 결과 정보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서버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문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생성되어 상기 관리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는, 상기 테스트에 응시하고자 하는 응시자들의 신상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는, 본 발명이 대학교 또는 초중고등학교 단위로 실행되는 테스트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학교 또는 상기 초중고등학교에 등록된 학생들의 정보가 될 수 있고, 각 대학교의 학과 단위로 실행되는 테스트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각 학과의 학생들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테스트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테스트에 응시하기 위해 지원서 등을 접수한 응시자들의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는, 상기 응시자의 이름, 나이, 주소, 학력 등의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응시자의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응시자의 얼굴 이미지는, 상기 응시자가 상기 테스트에 참가하기 위해 제출된 지원서 또는 학교 등에 제출한 서류 등에 포함되어 있는 얼굴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것이다.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각 응시자들의 얼굴 이미지는 이하에서 간단히 관리용 얼굴 이미지라 한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테스트가 시작되기에 앞서,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 전송하여,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를 이용하는 감독관이 상기 관리용 응시장 정보를 이용하여 각 응시자들의 부정출석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영상 수집부(6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 수집부(60)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와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와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테스트가 시작되면 상기 테스트 문제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즉,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테스트의 시작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상기 테스트 문제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테스트를 통해 수집된 답안 및 상기 답안을 이용하여 생성된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한다. 즉,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테스트의 종료를 알리는 테스트 종료 신호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답안을 평가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답안의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한편, 상기 응시자에게 상기 테스트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관리 서버(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1), 상기 관리 서버(20)의 관리자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들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3), 상기 테스트 문제와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와, 상기 답안과 상기 테스트 결과 정보 등을 관리하기 위한 저장부(24), 각종 모니터링 정보들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5)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를 포함한다.
둘째,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관리 서버(2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테스트가 시작되면, 상기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테스트 문제들을 출력하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는 상기 관리 서버(20)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테스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응시자 단말기(10)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 설치를 요청하면,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관리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테스트 문제를 상기 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RFID리더(4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감독관 단말기(30) 또는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통신장치,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 테블릿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감독관 단말기(30) 또는 상기 관리 서버(20)로부터 상기 테스트의 종료를 알리는 테스트 종료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문제들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테스트의 종료를 알리는 테스트 종료 신호가 전송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테스트를 종료시키는 한편, 상기 테스트를 위해 입력된 답안을 자동으로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셋째, 상기 RFID리더(40)는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RFID리더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RFID리더(4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태그(5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RFID태그(50)에 저장되어 있는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RFID리더(40)는 상기 RFID태그(5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은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설치될 때,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은 상기 RFID리더(40)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상태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응시자가 상기 RFID리더(40)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연결을 위해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상기 RFID리더(40)는 상기 RFID태그(50)로부터 제출용 응시자 정보가 수신되면,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관리 서버(20) 및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응시자와 맵핑되어 있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출력하며, 감독관에 의해 입력된 응시자 확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와 마찬가지로,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통신장치,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 테블릿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즉, 감독관이, 자신이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를 통해 감독관 ID 등을 입력하여, 상기 관리 서버(20)에 접속하면,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감독관이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를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 인식한다.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관리 서버(20)로부터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감독관은,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와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이용하여 응시자의 부정출석여부를 확인한 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응시자 확인 정보를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 입력한다.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입력된 상기 응시자 확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장착되어, 상기 응시자의 얼굴을 촬영한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수집하기 위한 영상 수집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집부(60)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수집부(6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별도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수집부(6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응시자 촬영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응시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상기 영상 수집부(60)는 촬영된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은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설치될 때,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은 상기 영상 수집부(60)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상태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응시자가 상기 영상 수집부(60)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 간의 통신연결을 위해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상기 영상 수집부(60)는 촬영된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은,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응시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RFID리더(40)를 통해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감독관 단말기(30) 또는 상기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응시자 단말기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의 출력부(모니터)를 통해 얼굴 이미지 촬영이 진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메시지 출력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영상 수집부(60)를 구동시켜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생성된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상기 감독관 단말기(30) 또는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시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메시지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를 통해 출력되면, 자신의 얼굴 이미지가 명확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수집부(60)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메시지 출력후,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의 입력부를 통해 촬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시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응시자는, 상기 메시지를 확인하면, 얼굴을 촬영할 준비를 한 후, 상기 응시자 단말기에 촬영 요청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촬영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상기 감독관 단말기(30) 또는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방법이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 중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거나 또는 간단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문제,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관리 서버(20)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 및 상기 감독관 단말기(30)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연결 단계(S302), 상기 응시자가 이용하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연결되어 있는 RFID리더(40)를 통해 상기 응시자가 소지한 상기 RFID태그(50)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출용 응시자 정보와, 상기 응시자와 맵핑되어 있는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20)가 상기 응시자를 인증하는 응시자 인증 단계(S304); 상기 응시자가 인증되면, 상기 관리 서버(20)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테스트 시작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상기 테스트 문제를 전송하여 테스트를 실시하는 테스트 실시 단계(S306); 및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관리 서버(20)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답안을 평가하며, 상기 평가에 따라 생성된 상기 응시자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테스트 평가 단계(S308)를 포함한다.
< 1. 통신 연결 단계(S302) >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방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 및 상기 감독관 단말기(30)에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테스트 응용프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 또는 상기 감독관 단말기(30)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상기 테스트 응용프로그램의 설치를 요청하면, 상기 관리 서버(20)로부터 상기 응시자 단말기(10) 또는 상기 감독관 단말기(30)에 인스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RFID리더(40) 또는 상기 영상 수집부(60)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자동으로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설치할 수 있다.
기 저장된 프로세스에 의해, 또는 상기 감독관의 요청에 의해, 테스트 시행이 요청되면, 상기 관리 서버(20)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감독관은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를 통해 감독관 아이디 등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가 실시될 교실 또는 강의실 또는 테스트실(이하, 간단히 '테스트실'이라 함)(90)에 구비된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20) 및 상기 감독관 단말기(30)와 연결된다.
< 2. 응시자 인증 단계(S304) >
상기 테스트실(90)에 입장하여, 자신이 원하는 자리에 앉은 응시자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RFID태그(50)를 상기 RFID리더(40)에 근접시키면, 상기 RFID리더(40)는 상기 RFID태그(5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RFID태그(5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상기 응시자 단말기(10)가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감독관 단말기(30) 또는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면,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자체적으로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와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시자를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제1실시예), 또는,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부터 응시자 확인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응시자를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
즉, 상기 응시자가 이용하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연결되어 있는 RFID리더(40)를 통해 상기 응시자가 소지한 상기 RFID태그(50)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출용 응시자 정보와, 상기 응시자와 맵핑되어 있는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를 인증하는 응시자 인증 단계(S304)를 수행한다.
상기 응시자 인증 단계(S304)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와,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 전송한 후,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부터 상기 응시자에 대한 응시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시자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성별, 이름, 주소 등의 신상정보와,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성별, 이름, 주소 등의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시자의 부정출석 여부를 일차적으로 검증한다.
또한,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상기 출력한다. 상기 감독관은 상기 감독관 단말기(30)의 출력부(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와, 상기 응시자 단말기가 배치되어 있는 좌석에 앉아 있는 응시자의 얼굴을 직접 확인하여, 상기 응시자의 부정출석 여부를 이차적으로 검증한다.
상기 일차 검증 결과 및 상기 이차 검증 결과, 부정출석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감독관은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 인증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인증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응시자 확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응시자를 정상적인 응시자로서 인증한다.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상기 영상 수집부(6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영상 수집부(6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응시자의 얼굴을 촬영한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와 분석하여,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와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응시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부터는 상기에서 설명된 상기 일차 검증 결과가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일차 검증 결과 및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와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의 일치 여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응시자가 정상적인 응시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성별, 이름, 주소 등의 신상정보와,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성별, 이름, 주소 등의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시자의 부정출석 여부를 일차적으로 검증한다.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상기 영상 수집부(6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영상 수집부(6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응시자의 얼굴을 촬영한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와 분석하여,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와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응시자의 부정출석 여부를 이차적으로 검증한다.
상기 일차 검증 결과 및 상기 이차 검증 결과, 부정출석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감독관은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 인증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인증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응시자 확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응시자를 정상적인 응시자로서 인증한다.
즉,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와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를 수신한 상기 감독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와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가 일치한다는 응시자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를 정상적인 응시자로서 인증할 수 있다.
< 3. 테스트 실시 단계(S306) >
상기 응시자 인증 결과, 정상적인 응시자로 판단되면,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테스트 시작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상기 테스트 문제를 전송하여 테스트를 실시한다.
즉, 상기 관리 서버(20)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상기 테스트 문제를 전송하면, 상기 응시자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의 출력부(모니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테스트 문제를 확인한 후,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의 입력부(마우스 또는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를 통해 상기 테스트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입력한다.
이 경우,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마다 서로 다른 테스트 문제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한 테스트 문제들을 서로 다른 번호에 맵핑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응시자 단말기(10)로는 서로 다른 형태의 테스트 문제가 출력되기 때문에, 컨닝과 같은 부정한 행위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감독관은 상기 응시자들의 시험 태도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다가, 부정한 행위를 한다고 판단되는 학생이 발견되면, 경고 메시지 등을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는 상기 경고 메시지와 함께 입력된 응시자 단말기(10)의 정보 또는 상기 경고 메시지와 함께 입력된 응시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를 해당 응시자가 이용하는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 4. 테스트 평가 단계(S308) >
기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답안을 평가하며, 상기 평가에 따라 생성된 상기 응시자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한다(S308).
즉,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테스트를 통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들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답안을 상기 응시자별로 분류하여 평가하는 한편, 상기 평가에 따라 생성된 상기 응시자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응시자에게 메일 등을 통해 전송해 줄 수 있다.
상기 테스트 결과 정보는, 상기 테스트의 시험점수, 상기 테스트에 응시한 응시자들의 전체 성적들과 비교한 상기 응시장의 등수, 상기 응시자가 틀린 문제에 대한 모범 답안, 또는 상기 응시자가 틀린 문제에 대한 해석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응시자의 전자메일로 상기 테스트 결과 정보를 전송해 줄 수도 있으며, 우편을 통해 상기 테스트 결과 정보를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가 자신의 개인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경우, 상기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개인 단말기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답안은 상기 응시자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를 통해 전송요청을 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될 수도 있으나, 상기 응시자 단말기(10)가 상기 테스트 종료 후 강제로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예로서, 상기 테스트 종료시간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테스트를 통해 제시된 모든 문제를 푼 응시자는,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기 이전이라도, 상기 답안의 전송요청을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답안은 매 문제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으나, 일괄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매 문제마다 입력된 답안을 임시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전송요청이 입력되면, 일괄적으로 상기 답안들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종료시간이 완료된 후, 강제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응시자가 상기 전송요청을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입력하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예로서, 상기 테스트 종료시간이 완료되면,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 및 상기 감독관 단말기로 상기 테스트의 종료를 알리는 테스트 종료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테스트 종료 신호가 전송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부터 상기 답안이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상기 답안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테스트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는 답안을 강제로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강제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의 출력부(모니터)를 통해, 강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강제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에 대한 상기 메시지 전송 이력을 관리하고 있다가, 상기 응시자가 상기한 바와 같은 행위(테스트 종료 후 강제 전송 메시지에 의해 답안을 전송하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그에 따른 제재를 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응시자의 테스트 결과에 감점을 주거나, 또는 상기 응시자의 테스트 응시를 제한하는 제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 및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 상기 테스트의 종료를 알리는 테스트 종료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감독관 단말기(30)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상기 테스트의 최종 종료를 알리는 테스트 최종 종료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 서버(20)는 상기 응시자 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는 답안을 강제로 전송받을 수도 있다.
즉, 상기 테스트실(90)의 특수한 상황에 의해, 상기 테스트 실시 기간이 연장되어야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 서버(20)로부터 상기 테스트의 종료를 알리는 테스트 종료 신호가 전송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감독관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응시자에게 추가시간을 부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시간 이후, 상기 감독관 단말기(30)로부터 상기 테스트 최종 종료 신호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로 전송되면, 상기 응시자 단말기(1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응시자의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응시자 단말기 20 : 관리 서버
30 : 감독관 단말기 40 : RFID리더
50 : RFID태그 60 : 영상 수집부
90 : 테스트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테스트 문제,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포함하는 관리용 응시자 정보,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가, 응시자 단말기 및 감독관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연결 단계;
    응시자가 이용하는 응시자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RFID리더를 통해 상기 응시자가 소지한 RFID태그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출용 응시자 정보와, 상기 응시자 단말기에 장착된 영상 수집부로부터 전송되어온 응시자 얼굴 이미지와, 상기 응시자와 맵핑되어 있는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시자를 인증하는 응시자 인증 단계;
    상기 응시자가 인증되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 테스트 시작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상기 테스트 문제를 전송하여 테스트를 실시하는 테스트 실시 단계;
    상기 감독관 단말기가, 상기 테스트 실시 단계 동안,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답안을 평가하며, 상기 평가에 따라 생성된 상기 응시자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테스트 평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시자 인증 단계는,
    상기 감독관 단말기가, 상기 관리용 응시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신상정보와, 상기 제출용 응시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시자의 부정출석 여부를 검증한 후 상기 검증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영상 수집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와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응시자 얼굴 이미지와 상기 관리용 얼굴 이미지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와, 상기 감독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검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응시자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종료시간이 완료되면,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응시자 단말기 및 상기 감독관 단말기로 상기 테스트의 종료를 알리는 테스트 종료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테스트 종료 신호가 전송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답안이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 상기 답안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신호와 함께 강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응시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응시자 단말기가 상기 답안을 상기 관리 서버로 강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응시자에 대한 상기 메시지 전송 이력을 관리하며, 또 다른 테스트들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응시자의 테스트 결과에 감점을 주거나, 또는 상기 응시자의 테스트 응시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30060317A 2013-05-28 2013-05-28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317A KR101386621B1 (ko) 2013-05-28 2013-05-28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317A KR101386621B1 (ko) 2013-05-28 2013-05-28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621B1 true KR101386621B1 (ko) 2014-04-17

Family

ID=5065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317A KR101386621B1 (ko) 2013-05-28 2013-05-28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6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981B1 (ko) * 2016-01-05 2017-07-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렌돔 방식의 시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43596B1 (ko) * 2017-09-27 2019-01-30 넷플라이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인터넷 평가 방법
KR102446135B1 (ko) * 2021-11-04 2022-09-22 주식회사 휴먼텍소프트 온라인 네트워크 기반의 시험 감독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958A (ko) * 2006-05-26 2007-11-29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전자 시험 시스템
KR20100060555A (ko) * 2008-11-27 2010-06-07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 기술 및 퍼지이론을 이용한 가상대학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학사 관리 방법
KR20110108137A (ko) * 2010-03-26 2011-10-05 (주)비에스지파트너스 시험 관리 시스템 및 시험 관리를 위한 관리 서버
KR20120090492A (ko) * 2011-02-08 2012-08-17 이언주 스마트 폰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시험 관리 시스템과 공인인증시험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958A (ko) * 2006-05-26 2007-11-29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전자 시험 시스템
KR20100060555A (ko) * 2008-11-27 2010-06-07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알에프아이디 기술 및 퍼지이론을 이용한 가상대학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학사 관리 방법
KR20110108137A (ko) * 2010-03-26 2011-10-05 (주)비에스지파트너스 시험 관리 시스템 및 시험 관리를 위한 관리 서버
KR20120090492A (ko) * 2011-02-08 2012-08-17 이언주 스마트 폰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시험 관리 시스템과 공인인증시험 관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981B1 (ko) * 2016-01-05 2017-07-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렌돔 방식의 시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43596B1 (ko) * 2017-09-27 2019-01-30 넷플라이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인터넷 평가 방법
KR102446135B1 (ko) * 2021-11-04 2022-09-22 주식회사 휴먼텍소프트 온라인 네트워크 기반의 시험 감독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kada et al. e‐Authentication for online assessment: A mixed‐method study
US11205349B2 (en) System for online automated exam proctoring
CN107251033B (zh) 用于在在线教育中进行实时用户验证的系统和方法
KR100838170B1 (ko) e-러닝 학습인증 방법과 관련 시스템
US20120135388A1 (en) Online Proctoring
US9536440B2 (en) Question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US9875348B2 (en) E-learning utilizing remote proctoring and analytical metrics captured during training and testing
KR101441196B1 (ko) 학습효과 확인기능이 구비된 교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839708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n examination
KR100927054B1 (ko) 모바일 환경에서의 강의 출결 관리 방법
KR10138662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3519A (ko) 웹 자격증 시험에서 문제 은행식 평가 및 동일 난이도유지를 위한 모듈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180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ye tracking-based exam proctoring
US8543148B2 (en) Wireless assessment administration system and process
JP2005258364A (ja) 遠隔試験・講習システム
KR20020010949A (ko)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WO20111156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online, proctored examination
JP2009276950A (ja) 生体認証を活用したe−learning学習時の本人確認方法
KR101903910B1 (ko)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3298A (ko) 블록체인기술기반의 온라인 시험출제 시스템에 대한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시스템
KR101709319B1 (ko) 학습자의 집중력을 개선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및 학습 제공 방법
KR20020032010A (ko) 인증키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 시스템 및 그 확인 방법
KR20160020813A (ko) 시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10106141A (ko)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90098931A (ko) 모바일 단말기와 동영상 강의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문제풀이형 학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