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141A -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141A
KR20110106141A KR1020100025389A KR20100025389A KR20110106141A KR 20110106141 A KR20110106141 A KR 20110106141A KR 1020100025389 A KR1020100025389 A KR 1020100025389A KR 20100025389 A KR20100025389 A KR 20100025389A KR 20110106141 A KR20110106141 A KR 2011010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nswer
test
terminal device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산
Original Assignee
(주)비에스지파트너스
주식회사 유웨이중앙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스지파트너스, 주식회사 유웨이중앙교육 filed Critical (주)비에스지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10002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6141A/ko
Publication of KR2011010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16User authentication by observing the pattern of computer usage, e.g. typical user behavi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부, 인증부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이 허용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답안 입력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하고, 제공된 답안 입력 UI를 통해 답안을 입력받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자 답안의 작성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Terminal device for examine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답안 형태로 답안의 작성이 가능한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는 무수히 많은 종류의 시험이 시행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시행되는 시험들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시험, 및 입사를 위한 시험 등 다양한 이유로 무수히 많은 종류의 시험들이 시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무수히 많은 종류의 시험들은 대부분 필기 시험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필기 시험은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들을 특정 장소에 모이게 한 후, 한 명 이상의 감독관이 시험 문제지와 답안지를 배포함으로써, 응시자들이 시험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작성하여 제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최초의 시험 형태는 응시자들이 수기로 답안지에 답안을 작성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수기로 작성된 답안지는 채점자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답안을 확인하여 채점을 하여야 했기 때문에, 채점을 위한 노력을 필요로 함은 물론, 채점 결과가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답안지를 수기로 작성하는 시험 형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OMR(Optical Mark Reader) 카드가 도입되었다. OMR 카드를 이용할 경우, 감독관은 응시자들에게 시험 문제지와 OMR 카드를 배포하고, 응시자는 OMR 카드용 전용펜을 이용하여 OMR 카드에 답안을 작성한 후, 시험이 완료되면 OMR 카드를 제출한다.
응시자가 OMR 카드에 작성한 답안은 OMR 카드 리더기에 의해 자동으로 채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채점자들의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문제 유형이 주관식일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채점자들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답안을 확인하여 채점을 하여야 한다. 이에, 객관식 문제와 주관식 문제에 대하여 별도로 채점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채점자들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응시자들로부터 회수한 OMR 카드는 채점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일정 시간동안 보관되거나 혹은 OMR 카드의 판독이 가능한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응시자가 제출한 OMR 카드가 관계자에 의해 다른 OMR 카드로 교체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OMR 카드의 조작에 따른 성적 조작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응시자용 단말장치를 통해 전자 답안의 작성이 가능하도록 한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부, 인증부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이 허용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답안 입력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하고, 제공된 답안 입력 UI를 통해 답안을 입력받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복수의 응시자들에 대한 응시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인증부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된 응시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응시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채점 서버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인증부는, 통신부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채점 서버로 송신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고, 채점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답안 입력 UI는, 시험 문제의 유형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답안 입력 UI를 제공할 때, 표시 화면의 일측에 시험 진행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시험 진행정보는 현재 진행중인 시험의 교시, 및 남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답안 입력 UI는, 시험 문제의 유형이 객관식일 경우, 문항별로 답안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답안 입력 UI는, 시험 문제의 유형이 주관식일 경우,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항별 답안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필기로 입력한 답안을 인식하는 필기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답안 입력 UI는, 시험 문제의 유형이 주관식일 경우, 사용자가 답안을 필기로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감독관이 소지하고 있는 감독관용 단말장치로 감독관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저장부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답안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답안을 채점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인증이 허용되면, 답안 입력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답안 입력 UI를 통해 답안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복수의 응시자들에 대한 응시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된 응시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응시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채점 서버로 송신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채점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공하는 단계는, 답안 입력 UI를 제공할 때, 표시 화면의 일측에 시험 진행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시험 진행정보는 현재 진행중인 시험의 교시, 및 남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답안 입력 UI는, 복수의 응시자들에게 주어지는 시험 문제의 유형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답안 입력 UI는, 시험 문제의 유형이 객관식일 경우, 문항별로 답안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답안 입력 UI는, 시험 문제의 유형이 주관식일 경우,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항별 답안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형태, 및 사용자가 답안을 필기로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감독관이 소지하고 있는 감독관용 단말장치로 감독관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입력받은 답안을 응시자용 단말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입력받은 답안을 채점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시험장에 입실한 응시자들에게 응시자용 단말장치를 배포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전자 답안의 작성이 가능하고, 응시자별로 작성된 전자 답안을 일괄적으로 채점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채점이 가능하며, 채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시자용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함에 따라, 기존의 OMR 카드사용으로 인한 물적 자원 및 인적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적인 시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응시자용 단말장치를 통해 작성된 응시자의 답안은 전자 답안 형태로 저장되므로, 답안지의 유출 및 조작에 따른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험 답안의 채점 결과에 대한 증빙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응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응시자용 단말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응시자용 단말장치에서 사용자가 시험에 응시를 시작하도록 유도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한 응시자용 단말장치에서 답안 입력 UI를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응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 응시 시스템은 응시자용 단말장치(100), 채점 서버(300), 및 감독관용 단말장치(400)를 포함한다. 또한, 응시자용 단말장치(100), 채점 서버(300), 및 감독관용 단말장치(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는 시험시 복수의 응시자들에게 제공되는 단말기로,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 수에 대응하게 구비되어 시험장에서 복수의 응시자들에게 배포된다.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는 복수의 응시자들에 대한 응시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시자 수에 대응하게 구비된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는 복수의 응시자들에게 특정 규칙 없이 배포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시험에 응시하는 전체 응시자에 대한 응시자 정보를 저장하여야 한다.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기저장된 응시자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며, 사용자가 인증될 경우에만 답안 입력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답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은 후, 채점 서버(300)로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여 채점 서버(30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에는 응시자 정보가 저장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응시자는 시험에 응시하는 모든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이고, 사용자는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를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를 일컫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응시자 중 하나이나, 시험에 응시하는 모든 사람들과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를 실제 사용하는 응시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응시자와 사용자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는 표시 화면과 키패드를 별도로 구비한 형태일 수 있고, 혹은 터치 패널과 같이 별도의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표시 화면상에 필요시 키패드가 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채점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와 연결되어 소정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채점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로부터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채점 서버(300)는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받은 답안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둘 수 있다.
감독관용 단말장치(400)는 시험장 내의 감독관에게 배포되는 단말장치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와 연결되어 소정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독관용 단말장치(400)는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에서 감독관 호출 신호를 송신할 경우, 이 감독관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감독관이 사용자의 호출에 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는 저장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인증부(130), 필기 인식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10)는 시험시 유의사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정보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저장부(110)는 복수의 응시자들에 대한 응시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는 복수의 응시자 수에 대응하게 구비되어 시험장 내에서 복수의 응시자에게 랜덤하게 배포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증부(130)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서는 저장부(110)에 복수의 응시자들에 대한 모든 응시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응시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저장부(110)에 복수의 응시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130)에서 사용자를 인증할 때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응시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200)에 이상이 발생하여 채점 서버(300)와의 통신이 두절될 경우에도 응시자용 단말장치(100) 자체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며, 채점 서버(300)와의 통신으로 인한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답안의 입력이 완료되었을 경우, 작성 완료된 답안을 저장한다. 저장부(110)에 작성 완료된 답안을 저장해 둘 경우, 추후 시험 문제 풀이에 대한 채점 결과의 증빙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본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즉, 인터페이스부(120)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위한 화면, 시험에 응시를 시작하도록 유도하는 화면, 및 답안 입력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5c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상술한 화면 이외에도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 화면에 더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인증부(13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인증부(130)에서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은 여러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첫째로, 저장부(110)에 복수의 응시자에 대한 응시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인증부(130)는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인증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인증부(13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부(110)에 기저장된 응시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0)에는 복수의 응시자에 대한 모든 응시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인증부(13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가 기저장된 복수의 응시자 정보 중에서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사용자가 시험에 응시한 사용자가 맞는다는 사실을 인증하는 것이다.
둘째로, 저장부(110)에 복수의 응시자에 대한 응시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응시자 정보를 채점 서버(300)에서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인증부(130)는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채점 서버(300)로 송신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것으로, 채점 서버(3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필기 인식부(140)는 사용자가 필기로 입력한 답안을 인식한다. 필기 인식부(140)에서는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 및 일본어와 같이 다양한 언어로 필기한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는 여러 외국어 시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소정 패널 상에 사용자가 필기로 입력한 내용을 텍스트로 읽어들이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사항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150)는 응시자용 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채점 서버(300) 및 감독관용 단말장치(400)와 소정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50)는 사용자가 감독관을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감독관 호출 신호를 감독관용 단말장치(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인증부(130)의 요청에 따라 채점 서버(300)로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채점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의한 사용자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이 완료된 답안을 채점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저장부(110), 인터페이스부(120), 인증부(130), 필기 인식부(140), 및 통신부(15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인증부(130)가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하고, 인증부(130)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이 허용되면,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답안 입력 UI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작성이 완료된 답안이 입력되면, 작성 완료된 답안을 저장부(11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작성 완료된 답안을 통신부(150)를 통해 채점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성이 완료된 답안은 설정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되거나, 혹은 저장부(110)에 저장됨과 함께 채점 서버(300)로 송신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응시자용 단말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예시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화면은 시험장에 입실한 복수의 응시자들이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를 받은 후, 처음 접하게 되는 화면일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를 받은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화면에서 사용자 정보 입력 창(A)에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인증 버튼(B)을 클릭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시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를 예시한 것일 뿐,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응시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는 시험의 성격에 따라 혹은 필요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응시자용 단말장치에서 사용자가 시험에 응시를 시작하도록 유도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도 3에 예시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인증 버튼(B)을 클릭하면, 인증부(130)에서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이 허용되면,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표시 화면에는 도 4에 예시한 응시를 시작하도록 유도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증부(130)에서 사용자의 인증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 정보를 다시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응시를 시작하도록 유도하는 화면에는 사용자가 응시를 시작하기 위한 응시시작 버튼(C), 시험에 대한 유의사항을 전달하기 위한 유의사항 버튼(D), 및 감독관 호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감독관 호출 버튼(E)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응시시작 버튼(C)을 클릭하면, 제어부(16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답안 입력 UI를 제공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유의사항 버튼(D)을 클릭하면, 제어부(16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시험시 유의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감독관 호출 버튼(E)을 클릭하면, 제어부(160)는 통신부(150)를 통해 감독관용 단말장치(400)로 감독관 호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에 도시한 응시자용 단말장치에서 답안 입력 UI를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답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답안 입력 UI의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답안 입력 UI는 복수의 응시자들에게 주어지는 시험 문제의 유형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a에는 현재 시행중인 시험 문제의 유형이 객관식일 경우에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답안 입력 UI의 한 형태를 예시하였다. 이 경우는 시험 문제의 유형이 5지 선다형의 객관식인 경우에 해당한다.
답안 입력 UI에는 답안 입력을 위한 답안 입력창(F)과 사용자가 시험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현재 응시중인 교시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시험 진행정보 표시창(G), 및 답안 입력 완료시 완료 요청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완료 버튼(H)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a에서는 시험 문제의 유형이 5지 선다형의 객관식인 경우의 답안 입력 UI를 예시한 것이므로, 답안 입력창(F)은 각 문항별로 답안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어야 한다.
도 5b에는 현재 시행중인 시험 문제의 유형이 주관식일 경우에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답안 입력 UI의 한 형태를 예시하였다. 도 5b에 예시한 답안 입력 UI는 터치 패널에 표시 창(I)과 키패드(J)가 함께 포함된 형태의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에서의 답안 입력 UI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는 문항별로 키패드(J)를 사용하여 답안을 입력할 수 있다.
도 5c에는 현재 시행중인 시험 문제의 유형이 주관식일 경우에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답안 입력 UI의 다른 형태를 예시하였다. 도 5b에 예시한 답안 입력 UI는 터치 패널에 표시 창(I)과 함께 사용자가 필기로 답안을 직접 입력하는 필기 입력창(K)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각 문항별 답안을 필기 입력창(K)에 필기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필기 입력창(K)에 필기로 답안을 입력하면, 필기 인식부(14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을 인식하여 인식 결과를 표시 창(I)에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답안이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에 의해 정확히 인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답안이 정확히 인식된 경우 입력완료 버튼(L)을 클릭한다. 만약, 표시 창(I)에 표시된 답안이 자신이 입력한 답안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쓰기 버튼(M)을 클릭하여 답안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예시한 답안 입력 UI에도 시험 진행정보 표시창(G)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시험 진행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할 정보가 있다면, 답안 입력 UI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험 진행정보 표시창(G)에 표시되는 시험 진행정보는 현재 진행중인 시험의 교시, 및 남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며, 본 응시자용 단말장치(100)가 복수의 응시자들의 응시자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때의 동작 절차를 설명한다.
시험장에는 복수의 응시자들과 감독관이 입실하게 되고, 복수의 응시자들에게는 각 한대씩의 응시자용 단말장치(100)가 배포된다. 또한, 감독관은 감독관용 단말장치(400)를 소지한 상태에서 시험장에 입실할 수 있다..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의 표시 화면에는 도 3에서 예시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응시자용 단말장치(10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S500).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되고, 인증부(13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응시자 정보와 비교한다(S510).
인증부(130)에서의 사용자 정보 및 응시자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이 허용되었다면(S520-Y), 인터페이스부(120)는 표시 화면에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응시를 시작하도록 유도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응시를 시작하도록 유도하는 화면에서 사용자가 응시시작 버튼(C)을 클릭하면,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응시 시작 요청신호가 입력된다(S530).
이후, 표시 화면에는 답안 입력 UI가 표시된다. 이때, 답안 입력 UI는 도 5a 내지 도 5c 중 하나의 형태일 수 있고, 혹은 도 5a 내지 도 5c가 혼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S540).
답안 입력 UI를 통해 사용자가 답안의 작성을 완료하면, 제어부(160)는 작성 완료된 답안을 저장부(110)에 저장하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답안을 통신부(150)를 통해 채점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한다(S550).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로부터 채점 서버(300)로 답안이 전송되면, 채점 서버(300)는 각 응시자별 답안에 대한 채점을 수행하고, 채점 결과를 시험 주체 및 응시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응시자용 단말장치(100)가 기정해진 시험장으로 응시자들이 입실하였을 때, 복수의 응시자들 각각에 배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이 자명하다. 예를 들면, 채점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된 장소에서는 어디든 응시자가 본 응시자용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응시자용 단말장치 110 : 저장부
120 : 인터페이스부 130 : 인증부
140 : 필기 인식부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

Claims (27)

  1.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허용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답안 입력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제공된 답안 입력 UI를 통해 답안을 입력받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응시자들에 대한 응시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응시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시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채점 서버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채점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채점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 입력 UI는, 시험 문제의 유형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답안 입력 UI를 제공할 때, 표시 화면의 일측에 시험 진행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진행정보는, 현재 진행중인 시험의 교시, 및 남은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 입력 UI는, 상기 시험 문제의 유형이 객관식일 경우, 문항별로 답안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 입력 UI는, 상기 시험 문제의 유형이 주관식일 경우,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항별 답안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필기로 입력한 답안을 인식하는 필기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답안 입력 UI는, 상기 시험 문제의 유형이 주관식일 경우, 상기 사용자가 답안을 필기로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감독관이 소지하고 있는 감독관용 단말장치로 감독관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답안을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답안을 채점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
  15.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허용되면, 답안 입력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답안 입력 UI를 통해 답안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응시자들에 대한 응시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응시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응시자 정보는, 이름, 수험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채점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채점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 입력 UI는, 상기 복수의 응시자들에게 주어지는 시험 문제의 유형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1. 제 15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답안 입력 UI를 제공할 때, 표시 화면의 일측에 시험 진행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진행정보는, 현재 진행중인 시험의 교시, 및 남은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 입력 UI는, 상기 시험 문제의 유형이 객관식일 경우, 문항별로 답안에 해당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 입력 UI는, 상기 시험 문제의 유형이 주관식일 경우,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항별 답안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형태, 및 상기 사용자가 답안을 필기로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감독관이 소지하고 있는 감독관용 단말장치로 감독관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답안을 상기 응시자용 단말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7. 제 1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답안을 채점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시자용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00025389A 2010-03-22 2010-03-22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10106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89A KR20110106141A (ko) 2010-03-22 2010-03-22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89A KR20110106141A (ko) 2010-03-22 2010-03-22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141A true KR20110106141A (ko) 2011-09-28

Family

ID=4495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389A KR20110106141A (ko) 2010-03-22 2010-03-22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61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756B1 (ko) * 2012-01-19 2014-09-05 최내윤 네트워크상의 모의시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KR102103088B1 (ko) * 2018-12-18 2020-05-29 백태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및 채점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756B1 (ko) * 2012-01-19 2014-09-05 최내윤 네트워크상의 모의시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KR102103088B1 (ko) * 2018-12-18 2020-05-29 백태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및 채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709B1 (ko) 학습 시스템
CN103957190A (zh) 一种在线教育互动的方法及客户端、服务器、系统
US20190385471A1 (en) Assessment-based assignment of remediation and enhancement activities
KR20090001747A (ko)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11644A1 (en) Computer system and program for assisting grading of examination papers
US20230260065A1 (en) Enhanced teaching method and security protocol in testing students
KR101887407B1 (ko)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
CN111192171A (zh) 辅助教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1503399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with test booklets and electronic devices
KR20140119536A (ko) 전자 시험 및 학습 시스템
KR20130089998A (ko)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30104007A (ko) 학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한 학생관찰시스템과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
JP7013004B2 (ja) 試験装置、試験方法及び試験プログラム
KR20170124085A (ko)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및 그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한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KR20110106141A (ko)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20090492A (ko) 스마트 폰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시험 관리 시스템과 공인인증시험 관리방법
KR20110108137A (ko) 시험 관리 시스템 및 시험 관리를 위한 관리 서버
JP6517987B1 (ja) 認知機能検査の進行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78244A1 (zh) 在线阅卷方法及系统
KR10138662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6854A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제풀이 동영상 제공 시스템
Labayen et al. Smowl: a tool for continuous student validation based on face recognition for online learning
KR20160020813A (ko) 시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10106142A (ko) 응시자용 단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9258393A (ja) 試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