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949A -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949A
KR20020010949A KR1020000044171A KR20000044171A KR20020010949A KR 20020010949 A KR20020010949 A KR 20020010949A KR 1020000044171 A KR1020000044171 A KR 1020000044171A KR 20000044171 A KR20000044171 A KR 20000044171A KR 20020010949 A KR20020010949 A KR 2002001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idate
test
biometric information
onlin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태옥
Original Assignee
최규완
주식회사 컴퓨터기능인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완, 주식회사 컴퓨터기능인증 filed Critical 최규완
Priority to KR102000004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0949A/ko
Publication of KR2002001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949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컴퓨터에 설치된 인식장치(카메라, 홍체인식장치, 지문인식장치 등)를 이용하여 응시자의 생체특성(얼굴, 홍채, 지문 등)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응시자를 인증하고, 온라인상에서 응시자를 감독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서접수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의 생체특성을 인식하고, 응시자의 생체 정보 및 인적 사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응시자가 시험을 보고자 할 때 응시자 컴퓨터에 설치된 인식장치로 응시자의 생체특성과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본인 여부를 인증한다.
또한, 시험 시간중 지속적으로 응시자 컴퓨터에 설치된 카메라 등의 인식장치로 응시자를 촬상하고, 그 촬상 정보를 초당 24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시험용 서버로 전송하고, 시험용 서버에서는 감독관의 컴퓨터 화면에 응시자의 동태를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감독관의 원근에 관계없이 정확성 및 신뢰성 있는 시험 감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applicant certification and direction method on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상에서 컴퓨터에 설치된 카메라, 홍채인식장치, 지문인식장치 등의 인식장치(이하, 인식장치라 약칭함.)를 이용하여 응시자의 얼굴, 홍채, 지문 등에 생체특성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응시자를 인증하고, 온라인상에서 응시자를 감독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직장, 자격증 등에서의 시험은, 시험을 감독하는 감독관 (1명일수 있고 복수명일 수도 있음)의 입회하에 종이 시험지를 통해 문제를 제시하고, 종이 답안지에 답안을 작성토록 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치룬다.
이 경우 감독관은 응시자의 수험표에 부착된 사진과 응시자의 얼굴을 일일이 대차대조하여 응시자 본인 여부를 확인한다. 따라서 응시자 인증시 많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통상적인 시험에서는 종이 시험지 및 종이 답안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많은 과정을 거쳐야만 하나의 시험에 대한 최종적인 결과가 도출되는 단점도 있었다.
예를 들어, 문제 제출, 필름 복사, 인쇄, 운송, 시험지 배포, 답안 작성, 채점, 결과 통보 등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시험시 주지한 바와 같이 감독관이 시험장에 입회하여 응시자를 감독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황에 따라 많은 감독관이 입회(사법고시, 학력고사, 행정고시, 외무고시 등등)하게 되므로, 인적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아울러 감독관에 의해서 시험이 감독되는 경우, 인간 대 인간의 감독 형태이므로, 부정 행위를 적발하는 데 신뢰성 및 정확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근래의 시험 감독 형태를 살펴 보면, 응시자와 감독관이 1 대 1 대응이 아니고, 복수의 응시자 대 감독관 1명이 대응하는 형태이므로, 1명의 감독관이 복수 응시자의 동태를 동시에 감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유로 기존 시험 감독 방식으로는 부정 행위 감독에 신뢰성 및 정확성이 저하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시험시 응시자 인증 및 감독시에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상에서 컴퓨터에 설치된 카메라, 홍체인식장치, 지문인식장치 등의 인식장치를 이용하여 응시자의 얼굴, 홍채, 지문 등에 생체특성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응시자를 인증하고, 온라인상에서 응시자를 감독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원서접수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의 생체특성을 인식하고, 응시자의 생체 정보 및 인적 사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응시자가 시험을 보고자 할 때 응시자 컴퓨터에 설치된 인식장치로 응시자의 생체특성과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본인 여부를 인증한다.
또한, 시험 시간중 지속적으로 응시자 컴퓨터에 설치된 카메라 등의 인식장치로 응시자를 촬상하고, 그 촬상 정보를 초당 24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시험용 서버로 전송하고, 시험용 서버에서는 감독관의 컴퓨터 화면에 응시자의 동태를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감독관의 원근에 관계없이 정확성 및 신뢰성 있는 시험 감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은,
응시자 컴퓨터와 시험용 서버가 네트워크(인터넷망)로 연결되어 온라인상에서 시험을 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시자가 원서 접수시 인식장치를 통해 응시자의 생체특성을 획득하고, 그 획득한 응시자의 생체 정보 및 응시자 인적 사항을 데이터베스화하는 단계와;
응시 요청이 있으면,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생체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응시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응시자 인증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에게 문제를 제시하고, 시험 시간중 지속적으로 응시자 컴퓨터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카메라 등의 인식장치로 응시자를 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응시자 인증은, 현재 응시자의 생체특성을 카메라 등의 인식장치로 촬영하여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응시자 본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지 않으면 부정 응시자로 판단하고 응시 불가를 통보해주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면 응시자 본인으로 인증해주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은,
시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시험이 종료되면 응시자는 답안을 온라인상에서 시험용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시험용 서버는 자동 채점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응시자의 답안을 채점하는 단계와; 상기 채점 결과를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컴퓨터로 전송해주는 단계와; 상기 응시자 컴퓨터에서 전송된 채점 결과를 모니터링해주고, 상기 시험용 서버는 응시자가 채점 결과 확인을 통보하면 응시자 인증 및 감독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채점 결과는, 그래프, 점수, 성적 순위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환하여 응시자 컴퓨터로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응시자 시스템
200 ..... 시험용 서버
300 ..... 데이터베이스부
400 ..... 네트워크(인터넷망)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응시자의 생체 정보 및 전체 움직임을 촬상하는 카메라 등의 인식장치(111, 121, ...., 100(n+1))를 구비하고, 시험용 서버(200)와 접속되어 온라인상에서 시험에 응시하고, 그 결과를 온라인상에서 확인하는 응시자 시스템으로써, 복수개의 응시자 컴퓨터(110, 120, ....., 100+n)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200은 시험용 서버로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를 인증해주고, 시험시 응시자를 원격 감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참조부호 400은 네트워크로써, 특히 인터넷망을 지칭한다.
또한, 참조부호 300은 응시자 생체특성 및 인적 사항 정보, 감독관 정보, 채점 프로그램, 성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로써, 응시자 정보 DB(310), 감독관 정보 DB(320), 채점 프로그램 DB(330), 성적 관리 DB(3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응시자를 인증하고 감독하는 본 발명은, 먼저 응시자가 임의의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면 인식장치(111)를 구비한 응시자 컴퓨터(예를 들어, 참조부호 110)에서 생체 정보를 입력한다.
즉, 인식장치(111)에서 응시자의 생체특성 정보를 인식하고, 그 정보를 시험용 서버(200)에 전달해준다.
그러면 시험용 서버(200)는 응시자의 생체 정보 및 그 응시자의 인적 사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이후 응시가 요청되면, 응시자의 생체특성을 인식장치를 통해 인식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면 응시자 본인으로 인증해준다.
그리고 응시자는 온라인상에서 시험 문제를 다운 로드받고, 시험을 보게되며, 시험 시간중 지속적으로 카메라등의 인식장치는 응시자를 촬영하여 그 영상 정보를 시험용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감독관은 시험용 서버(200)에서 획득하여 모니터링해주는 화면만을 보고 모든 응시자의 부정 행위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한다.
다음으로, 시험이 종료되면 응시자는 작성한 답안을 인터넷망(400)을 통해 시험용 서버(200)측으로 전송하게 되고, 시험용 서버(200)는 자동 채점 프로그램을이용하여 채점을 하고, 그 결과를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컴퓨터로 전송한다.
그러면 응시자는 온라인상에서 즉시 자신이 응시한 시험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한 도면 도 2는 상기와 같은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인 흐름도이다. 여기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시자가 원서 접수시 카메라등의 인식장치를 통해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응시자의 생체 정보 및 응시자 인적 사항을 데이터베스화하는 단계(S101 ~ S102)와; 응시 요청이 있으면,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생체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응시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103 ~ S108)와; 응시자 인증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에게 문제를 제시하고, 시험 시간중 지속적으로 응시자 컴퓨터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인식장치(카메라)로 응시자를 감독하는 단계(S109 ~ S112)와; 시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3)와; 시험이 종료되면 응시자는 답안을 온라인상에서 시험용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시험용 서버는 자동 채점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응시자의 답안을 채점하는 단계(S114 ~ S115)와; 상기 채점 결과를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컴퓨터로 전송해주는 단계(S116)와; 상기 응시자 컴퓨터에서 전송된 채점 결과를 모니터링해주고, 상기 시험용 서버는 응시자가 채점 결과 확인을 통보하면 응시자 인증 및 감독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S117 ~ S118)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응시 요청이 있으면,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생체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응시자의 인증 여부를결정하는 단계(S103 ~ S108)는, 응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3)와, 응시 요청이 없으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04)와, 현재 응시자의 생체특성을 인식창치로 인식하여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5)와, 상기 획득한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응시자 본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6)와,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지 않으면 부정 응시자로 판단하고 응시 불가를 통보해주는 단계(S107)와,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면 응시자 본인으로 인증해주는 단계(S10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은, 먼저 단계 S101 및 단계 S102에서 시험용 서버(200)는 응시자의 원서 접수시 인식장치를 통해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응시자의 생체 정보 및 응시자 인적 사항을 데이터베스화하여 응시자 정보 DB(31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생체특성 인식은 개인의 생체특성을 인식장치로 인식하는 새로운 바이오매트릭 기술이며, 인간의 생체특성은 모두 상이한 것으로 학계에 발표된 바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생체특성을 이용한다.
다음으로 단계 S103 ~ S108에서는 응시 요청이 있으면,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생체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응시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즉, 단계 S103에서는 응시 여부를 확인하고, 응시 요청이 없으면 단계 S104에서 현재 상태인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응시 요청이 있으면, 단계 S105에서 현재 응시자의 생체특성을 인식장치로 인식하여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단계 S106에서 상기 획득한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응시자 본인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 현재 응시자의 홍채 생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지 않으면 부정 응시자로 판단하고 단계 S107에서 응시 불가를 통보해준다. 이와는 달리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면 단계 S108에서 응시자 본인으로 인증해준다.
다음으로, 응시자가 인증되면 시험용 서버(200)는 단계 S109에서 인터넷망(400)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응시자에게 문제를 다운 로드해준다.
그리고 단계 S110에서 응시자는 온라인상에서 시험을 보게 되며, 단계 S112에서 시험용 서버(200)는 시험 시간중 지속적으로 응시자 컴퓨터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카메라 등의 인식장치로 응시자를 감독한다.
즉, 상기 카메라는 시험 시간중 지속적으로 응시자를 촬상하고, 그 촬상된 피사체 정보를 초당 24프레임으로 나누어 시험용 서버(200)로 전송하게 되고, 시험용 서버(200)는 이를 실시간적으로 모니터링해주어 감독관이 원격에서 응시자를 신뢰성있게 감독하도록 한다.
여기서 감독관 신뢰성 및 신분 확인을 위해서 시험용 서버(200)는 감독관 정보를 감독관 정보 DB(320)에 저장하고, 감독관이 배정되면 그 배정된 감독관이 맞는 감독관인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계 S113에서 시험 종료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시험이 종료되면시험용 서버(200)는 이를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컴퓨터(110)로 전송해주게 되며, 이를 전달받은 응시자는 단계 S114에서 답안을 온라인상에서 시험용 서버(200)로 전송한다.
아울러 단계 S115에서 상기 시험용 서버(200)는 채점 프로그램 DB(330)에 저장된 채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응시자의 답안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채점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116에서 상기 채점 결과를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컴퓨터(110)로 전송해준다.
여기서 채점 결과는 그래프, 점수, 성적 순위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17에서 상기 응시자 컴퓨터(110)는 전송된 채점 결과를 모니터링해주어 응시자가 즉시 자신의 시험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해주며, 응시자가 자신의 시험 결과를 확인하면(임의 키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단계 S118에서 상기 시험용 서버(200)는 응시자 인증 및 감독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상에서 응시자를 인증해줄 수 있으며, 또한 온라인상에서 신뢰성 및 정확성있게 응시자를 감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시험이 가능하므로 종이 시험지와 종이 답안지로 시험을 보는 종래 방식에 대비하여, 인적, 경제적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응시자가 자신의 시험 결과를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편의를 도모해주는 이점도 있다.

Claims (4)

  1. 응시자 컴퓨터와 시험용 서버가 네트워크(인터넷망)로 연결되어 온라인상에서 시험을 보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시자가 원서 접수시 인식장치(카메라, 홍채인식장치,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응시자의 생체 정보(얼굴, 홍채, 지문 등)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응시자 생체 정보 및 응시자 인적 사항을 데이터베스화하는 단계와;
    응시 요청이 있으면,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생체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응시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응시자 인증시 온라인상에서 응시자에게 문제를 제시하고, 시험 시간중 지속적으로 응시자 컴퓨터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응시자를 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시자 인증은, 현재 응시자의 생체특성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응시자 본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지 않으면 부정 응시자로 판단하고 응시 불가를 통보해주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응시자의 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으면 응시자 본인으로 인증해주는 단계를 수행하여 응시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시자 감독시 시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시험이 종료되면 응시자는 답안을 온라인상에서 시험용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시험용 서버는 자동 채점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응시자의 답안을 채점하는 단계와; 상기 채점 결과를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컴퓨터로 전송해주는 단계와; 상기 응시자 컴퓨터에서 전송된 채점 결과를 모니터링해주고, 상기 시험용 서버는 응시자가 채점 결과 확인을 통보하면 응시자 인증 및 감독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점 결과는, 그래프, 점수, 성적 순위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환하여 응시자 컴퓨터로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KR1020000044171A 2000-07-31 2000-07-31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KR20020010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171A KR20020010949A (ko) 2000-07-31 2000-07-31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171A KR20020010949A (ko) 2000-07-31 2000-07-31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949A true KR20020010949A (ko) 2002-02-07

Family

ID=1968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171A KR20020010949A (ko) 2000-07-31 2000-07-31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0949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964A (ko) * 2000-07-06 2000-10-05 최광우 자동차 전문운전면허학원 지문인식 학사도우미 asp솔루션
KR20020032010A (ko) * 2000-10-25 2002-05-03 이재찬 인증키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 시스템 및 그 확인 방법
WO2007111573A1 (en) * 2006-03-29 2007-10-04 Digital Info Technology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access to a server
WO2008038996A1 (en) * 2006-09-27 2008-04-03 Jong Hae Kim Method and related system for authenticating e-learning study.
KR100916758B1 (ko) * 2007-06-15 2009-09-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라인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101499769B1 (ko) * 2009-05-04 2015-03-09 신중철 웹캠을 이용한 온라인평가 응시자의 진정성 확보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63910A (ko) 2013-12-02 2015-06-10 박재훈 종합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시험 시스템
KR20170027365A (ko) * 2015-09-01 2017-03-10 주식회사 좋은책신사고 학습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102103088B1 (ko) * 2018-12-18 2020-05-29 백태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및 채점 시스템
KR20210055472A (ko) * 2019-11-07 2021-05-17 정찬욱 운전면허 시험 응시자 신원확인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321917B1 (ko) * 2020-07-13 2021-11-04 주식회사 두두아이티 온라인 시험 화상 원격 관리 및 감독 시스템
KR20210155381A (ko) 2020-06-15 2021-12-22 주식회사 인피니티엔티 온라인 인공지능 시험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220116932A (ko) 2021-02-16 2022-08-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온라인 수업 및 평가 시스템
KR20220142661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랩82 비접촉식 지문 또는 장문 바이오메트릭스를 이용한 수험자 데이터 관리 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964A (ko) * 2000-07-06 2000-10-05 최광우 자동차 전문운전면허학원 지문인식 학사도우미 asp솔루션
KR20020032010A (ko) * 2000-10-25 2002-05-03 이재찬 인증키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 시스템 및 그 확인 방법
WO2007111573A1 (en) * 2006-03-29 2007-10-04 Digital Info Technology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access to a server
WO2008038996A1 (en) * 2006-09-27 2008-04-03 Jong Hae Kim Method and related system for authenticating e-learning study.
KR100838170B1 (ko) * 2006-09-27 2008-06-16 종 해 김 e-러닝 학습인증 방법과 관련 시스템
GB2454393A (en) * 2006-09-27 2009-05-06 Jong-Hae Kim Method and related system for authenticating E-learning study
KR100916758B1 (ko) * 2007-06-15 2009-09-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라인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101499769B1 (ko) * 2009-05-04 2015-03-09 신중철 웹캠을 이용한 온라인평가 응시자의 진정성 확보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63910A (ko) 2013-12-02 2015-06-10 박재훈 종합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형 시험 시스템
KR20170027365A (ko) * 2015-09-01 2017-03-10 주식회사 좋은책신사고 학습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102103088B1 (ko) * 2018-12-18 2020-05-29 백태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및 채점 시스템
KR20210055472A (ko) * 2019-11-07 2021-05-17 정찬욱 운전면허 시험 응시자 신원확인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210155381A (ko) 2020-06-15 2021-12-22 주식회사 인피니티엔티 온라인 인공지능 시험 검증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321917B1 (ko) * 2020-07-13 2021-11-04 주식회사 두두아이티 온라인 시험 화상 원격 관리 및 감독 시스템
KR20220116932A (ko) 2021-02-16 2022-08-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온라인 수업 및 평가 시스템
KR20220142661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랩82 비접촉식 지문 또는 장문 바이오메트릭스를 이용한 수험자 데이터 관리 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20590B (zh) 一种基于活体检测的防作弊网络调研方法、装置及系统
Mansfield et al. Biometric product testing final report
US67430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elf measurement of alertness equilibrium and coordination and for ventification of the identify of the person performing tasks
US8963685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and method of registration, admission and testing of a candidate
KR20020010949A (ko) 온라인상에서 응시자 인증 및 감독 방법
Holmes et al. A performance evaluation of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s
CN109784878A (zh) 一种无纸化网络考试系统及方法
US11934405B2 (en) Method for monitoring user behavior when interacting with content and a system for its implementation
CN111611865A (zh) 考试作弊行为识别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229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monitoring of test taking
KR100998617B1 (ko) 중앙 통제 방식의 cbt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313168A (zh) 无人监考的智能防作弊自助考试系统
Hernández et al. Biometrics in online assessments: A study case in high school students
US20040075590A1 (en) E-learning biometr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system
WO2017180634A1 (en) Automated parole, probation, and community supervision system
CN113794759A (zh) 一种基于区块链的考试云平台系统
JP2009276950A (ja) 生体認証を活用したe−learning学習時の本人確認方法
CN117237869A (zh) 一种在线考试的监控系统及方法
KR10138662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7358A (ko) 온라인 원스탑 시험 평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험 평가 관리 방법
CN115174857A (zh) 实验考试的智能考场监控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86618A (ko) 온라인 강의 수강 확인, 몰입도 판별, 수강 평가 및 수강 피드백 시스템
KR20230030683A (ko) 온라인 학습 집중도 향상 플랫폼 및 그 방법
JP2016095817A (ja) 自動受験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受験不正行為検出装置
KR20220009287A (ko) 딥러닝 기반 영상처리를 활용한 온라인 시험 부정행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