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311B1 -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311B1
KR101386311B1 KR1020060102116A KR20060102116A KR101386311B1 KR 101386311 B1 KR101386311 B1 KR 101386311B1 KR 1020060102116 A KR1020060102116 A KR 1020060102116A KR 20060102116 A KR20060102116 A KR 20060102116A KR 101386311 B1 KR101386311 B1 KR 10138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etal
prefabricated door
metal assembly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726A (ko
Inventor
예성훈
배우한
김연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6010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31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4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wooden panels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거용 공간이나 상업용 공간에 사용되는 조립식 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l과 같은 금속 조립 구조를 통해 다양한 표면 소재를 적용할 수 있고, 문의 폭과 길이 대응이 자유로우며, 금속과 기타소재가 동시에 적용된 제품으로써 디자인이 보다 화려해지는 기능이 있는 조립식 문을 제공한다.
조립식 문, 금속 조립구, 모서리캡

Description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Prefabricated system doo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조립식 문짝틀의 요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측부 조립구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부 조립구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캡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의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조립식 문
101: 본체
110: 심재
120: 보강재
130: 표면재
140: 좌/우측부 조립구
141, 151: 모서리캡 삽입공
142, 152: 표면재 삽입홈
143, 153: 심재 결합부
144: 나사삽입부
150: 상/하측부 조립구
160: 모서리캡
161: 모서리캡 수직부재
162: 모서리캡 수평부재
170: 나사
본 발명은 주거용 또는 상업용 공간에 사용되는 조립식 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조립구를 이용하여 문의 사이즈 변화가 용이하고, 표면 디자인 변경 및 측면 디자인 변경도 용이하며, 제작 공수를 최소화하여 그에 따른 제조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금속 조립구에 의한 문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한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출물에 사용되는 문은 사람들이 드나드는 곳에 공간을 구분하고 동시에 개폐를 통해 왕래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로서, 주거 공간의 경우 주로 목재를 보강목으로 절단 및 가공하고, 그 표면에 시트지나 얇은 무늬목을 입힌 HDF(High Density Fiberboard) 또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를 부착한 후 조립하는 문이거나,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시트에 다이렉트(Direct) 전사인쇄를 실시한 후 깊은 엠보를 형성시켜 표면재로 부착시킨 조립식 문이 대표적이다.
이렇게 제작된 문은 공간 내부의 습도나 온도에 따라 목재가 뒤틀리거나 HDF 또는 MDF에 벤딩이 발생되어 장시간 사용시 문틀과 결합하는 부위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며, 높이 3 m 이상을 요구하는 상업용 공간의 문을 제작할 경우 내부 목재 심재의 뒤틀림 때문에 양산의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72696호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골재(1')와 합성수지골재(1")가 결합하여 채널(3, 3')을 갖는 프레임이 ㄱ형 연결패킹(4)에 의해 조립된 문짝틀(1)이 개시되어 있는데, 연결패킹(4)의 양단에는 걸림편(6)이 형성되고 걸림편(6)에는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돌기(6')가 형성되며, 연결패킹(4)이 알루미늄골재(1')의 삽입구(2)에 삽입될 때 걸림돌기(6')가 알루미늄골재(1')의 공간부(5)에 형성된 결합공(5')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프레임이 고정되나, 반복적인 개폐시 걸림돌기(6')의 마모로 인하여 헐거워져 조립부위가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조립구를 이용하여 조립식 문을 제작함으로써 문의 뒤틀림에 따른 폭이나 높이 제한을 탈피할 수 있으며, 공정상의 작업공수를 개선하 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금속과 타소재와의 접목을 통한 디자인의 화려함을 얻을 수 있는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심재와 표면재를 포함하는 본체, 이 본체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금속 조립구, 인접하는 금속 조립구를 연결하는 모서리캡을 구비하는 조립식 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금속 조립구는 모서리캡을 수용하는 삽입공, 표면재를 수용하는 삽입홈, 표면재 사이에 삽입되는 결합부,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삽입부를 구비하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금속 조립구는 본체에 설치된 후 외부에 노출되는 삽입홈 측부의 두께가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봤을 때 하나의 금속선이 보여지는 것과 같은 깔끔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속 조립구는 좌/우측부와 상/하측부 조립구로 구성되며, 모서리캡은 좌/우측부 조립구에 삽입되는 수직부재와 상/하측부 조립구에 삽입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지며, 장기간의 반복 개폐시에도 문제가 없도록 조립부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금속 조립구는 모서리캡과 결합된 후 좌/우측부와 상/하측부 조립구 및 모서리캡이 나사삽입부를 통해 나사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개선을 위해 금속 조립구의 표면에 분체 도장 또는 필름 래핑(Wrapping)이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측부 금속 조립구에 은폐 가능한 경첩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심재의 양면에 형성되는 표면재가 심재로부터 연장되어 표면재 사이로 금속 조립구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심재는 목재, 금속,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평 및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심재의 골격 구조 사이에 울림 현상 방지를 위한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으며, 보강재는 종이를 주원료로 하는 하니컴, 하니컴보드, 플라스틱 하니컴, 우레탄폼, 스타폼(압출발포 폴리스티렌), 금속 발포재(Al 발포폼 등)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면재는 유리, 목질 보드, 금속 보드, 무기질 보드, 조습 기능을 갖는 규산질 보드, 합성수지(ABS, PC, PMMA, MS, GPPS, SAN, PVC, 백크라이트 등) 보드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다양한 외관과 기능을 주기 위해 인쇄, 수치제어(NC) 가공, 종이 접합, 벽지 접합, 무늬목 접합, 가죽 접합, 합성수지 필름 접합, 샌드 에칭(Sand Etching), 표면 엠보, 고광택 도장 등의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속 조립구는 Al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서리캡은 합성수지재(PVC, PS, PE, 테프론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심재, 표면재, 금속 조립구를 포함하는 재료를 절단 및 재단하는 단계; 심재의 수직과 수평부재를 조립하여 골격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심재의 양면에 표면재를 접착하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본체의 테두리에 금속 조립구를 설치하고 모서리캡을 이용하여 금속 조립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심재의 골격구조 사이에 보강재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고, 표면재 중 하나에 심재를 접착 고정시키되, 표면재 사이로 금속 조립구 삽입용 홈이 형성될 수 있는 위치에 지그를 이용하여 심재를 고정시킨 후 다른 하나의 표면재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공정 개선을 위해 본체 5 내지 40개를 적층시킨 후 냉압 프레스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100)은 심재(110), 보강재(120), 표면재(130)를 포함하는 본체(101), 이 본체(101)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좌/우측부 및 상/하측부 금속 조립구(140, 150), 인접하는 금속 조립구(140, 150)를 연결하는 모서리캡(160)을 구비한다.
심재(110)는 표면재(130)와 접착 후 프레스 성형할 때 본체(101)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등 구조적으로 기재의 역할을 하며, LVL(laminated veneer lumber), 나왕목 등의 목재, 알루미늄(Al), 스틸(Steel), 구리(Cu) 등의 금속, 및/또는 폴리염화비닐(PVC), ABS,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심재(110)의 구조는 目자, 日자 등의 골격 형태를 이루도록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조립하고 타카나 나사 등으로 결합시켜 형성한다.
보강재(120)는 심재(110)의 目자 또는 日자 골격 구조 사이에 삽입되어, 심재(110) 내부의 빈 공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울림현상을 방지하고 단열성 등 의 기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하니컴 보드, 종이를 주원료로 하는 하니컴, 플라스틱 하니컴, 스타폼(상압식 압출발포 폴리스티렌), 우레탄폼, 금속 발포재(Al 발포폼 등)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표면재(130)는 두께 4 내지 6 ㎜T의 판상 구조로서 심재(110)의 양면에 접착되어 본체(101)를 형성하며, 목분이나 목섬유가 포함된 합성수지판인 MDF, HDF, HPL(High Pressure Laminate), LPL(Low Pressure Laminate) 등의 목질 보드; Al 보드, 스테인레스스틸(SUS) 보드 등의 금속 보드; 산화마그네슘 보드(MgO), 규산보드 등의 무기질 보드; 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MS(polymethacryl styrene), GPPS(General Purpose Polystyrene), SAN(Styrene-AcryloNitrile), PVC, 백크라이트 등의 합성수지 보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표면재(130)는 규조토, 버미큘라이트와 같이 조습기능이 있는 천연 무기질 보드 등의 기능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거나, 인쇄, NC 가공, 종이 접합, 벽지 접합, 무늬목 접합, 가죽 접합, 합성수지 필름 접합, 샌드 에칭, 표면 엠보, 고광택(하이그로시) 도장 등을 통해 외관의 화려함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재(130)의 표면에 다양한 인쇄 또는 NC 가공에 의한 음각을 형성하여 화려함을 부여할 수 있고, 소재 가공 측면에서 이면 도장 처리한 유리, 에칭한 유리, 종이 인쇄지나 합성필름을 접합시킨 유리, 무늬목을 입힌 HDF나 MDF, 하이그로시 도장한 HDF나 MD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조립구(140, 150)는 좌/우측부 조립구(140)와 상/하측부 조립구(150)로 구성되고,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스크래치에 강한 분체 도장을 할 수 있어 표면재(130)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인쇄 필름의 래핑도 할 수 있다.
금속 조립구(140, 150)는 모서리캡(160)이 삽입될 수 있는 모서리캡용 삽입공(141, 151)을 구비하며, 모서리캡용 삽입공(141, 151)에 모서리캡(160)을 삽입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170)로 조립하여 본체(101)를 감싸줌으로써 뒤틀림이나 벤딩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부 금속 조립구(150)는 目 또는 日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심재(110)의 최상/최하측부에 나사(170)로 고정되어 본체(101)와 보다 단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측부 조립구의 조립 단면도로서, 상/하측부 금속 조립구(150)는 모서리캡(160)을 수용하는 삽입공(151), 표면재(130)를 수용하는 삽입홈(152), 표면재(130) 사이에 삽입되는 심재 결합부(153)를 구비하며, 모서리캡(160)과 결합된 후 나사(170)로 체결된다.
본체(101)의 테두리에는 금속 조립구(140, 1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데, 이 홈은 표면재(130)의 길이와 폭을 심재110)의 길이와 폭보다 크게 제작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110)의 양면에 부착되는 2개의 표면재(130)가 심재(110)로부터 연장되어 2개의 표면재(130) 사이에 형성된 홈에 금속 조립구(140, 150)의 결합부(143, 153)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100)은 금속 조립구(140, 150)가 본체(101)의 상/하, 좌/우측 테두리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101)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부 조립구의 조립 단면도로서, 좌/우측부 금속 조립구(140)도 모서리캡(160)을 수용하는 삽입공(141), 표면재(130)를 수용하는 삽입홈(142), 표면재(130) 사이에 삽입되는 심재 결합부(143), 나사(170)가 삽입되는 나사삽입부(144)를 구비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측의 심재 결합부(143)에는 숨은 경첩을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의 심재결합부에는 문을 열고 닫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조립구(140, 150)가 본체(101)에 설치된 후, 외부에 노출되는 삽입홈(142, 152) 측부(a, b)의 두께는 5 ㎜ 이하로 설계되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봤을 때 하나의 금속선이 보여지는 것과 같은 깔끔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캡의 구조도로서, 모서리캡(160)은 좌/우측부 조립구(140)에 삽입되는 수직부재(161)와 상/하측부 조립구(150)에 삽입되는 수평부재(162)를 구비한다. 모서리캡(160)은 PVC, PS, PE, 테프론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특히 열에 강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조립구(140, 150)는 모서리캡(60)과 결합된 후 좌/우측부 조립구(140)와 상/하측부 조립구(150) 및 모서리캡(160)이 나사삽입부(144)를 통해 나사(170)로 체결됨으로써, 조립부위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하여 장기간의 반복 개폐시에도 조립부위가 벌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의 제조공정도로서, 절단/재단공정, 심재 조립공정, 표면재 접착공정, 프레스 공정, 조립구 조립공정으로 구성된다.
절단/재단 공정
문의 폭 및 길이에 따라 심재(110), 보강재(120), 표면재(130), 금속 조립구(140, 150)을 정해진 도면의 치수에 맞게 절단 및 재단한다.
심재 조립공정
절단/재단 공정을 통해 일정 크기로 절단된 목재(LVL, 나왕목 등), 금속(Al, Steel, Cu 등) 및/또는 합성수지(PVC, ABS, PS, PE 등)를 目자, 日자 등의 골격구조를 갖도록 타카나 나사로 결합하여 심재(110)를 조립한다.
표면재 접착공정
준비된 2개의 표면재(130) 중 한판을 바닥에 먼저 깔고, 조립 공정을 거친 심재(110)가 특정 위치(표면재(130)의 상/하, 좌/우측 말단부에 홈 형성을 위한 일정한 공간이 비워지도록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그를 이용해 삽입시킨 후, 종이로 만든 하니컴 등의 보강재(120)의 상하부면에 접착제를 입힌 후 보강재(120)를 심재(110)의 골격구조 사이의 빈공간에 삽입시킨 뒤, 표면재(130)의 남은 한 판을 접착시켜 본체(101)를 제작한다.
프레스 공정
접착 공정을 거친 본체(101) 5 내지 40개를 한꺼번에 쌓은 뒤 냉압 프레스로 0.5 내지 2시간 정도 눌러 경화시킨다.
조립구 조립공정
프레스 공정에서 만들어진 본체(101)의 테두리에 형성된 홈에 먼저 좌/우측부 금속 조립구(140)를 끼운 후, 모서리캡(160)을 이용해 상/하측부 금속 조립구(150)를 끼워 나사삽입부(144)를 통해 나사(170)로 고정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상/하측부 금속 조립구(150)와 심재(110)의 상/하측부 3부위에 나사(170)를 고정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100)의 제작을 완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의 사진으로, 본체의 상/하, 좌/우측면을 Al 금속이 덮어싸고 있으므로 디자인에 있어서 화려한 외관이 구현되며, 특히 금속 조립구의 외부에 노출되는 삽입홈 측부가 외부에서 봤을 때 하나의 금속선이 보여지는 것과 같이 깔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조립식 문짝틀을 비교하여 보면, 종래기술에서는 AL 골재(1')와 합성수지골재(1")가 결합하여 판체(10, 10')가 삽입되는 채널(3, 3')을 형성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압출 구조상 채널에 해당하는 표면재 삽입홈(142, 152)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표면재 삽입홈(142, 152)의 역할은 표면재(130) 끝선의 도장 흘러내림이나 절단시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측면을 덮어주면서 외부적인 깔끔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금속 조립구(140, 150)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돌출되어 노출된 부위(a, b)가 5 ㎜ 이하로 하나의 금속선이 보여지는 것과 같은 깔끔함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에, 종래기술에서는 AL 내부골재(1')가 합성수지 외부골재(1")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AL 소재가 없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연결패킹(4)의 걸림돌기(6')가 AL 내부골재(1')의 결합공(5')에 고정되는 불안정한 구조로 되어 있어 추가로 지지패킹을 삽입해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위쪽에서 나사(170)가 삽입되어 나사삽입부(144)를 통하여 모서리캡(160)과 함께 AL 금속 조립구(140, 150)를 내부에서 잡아주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장기간의 반복 개폐시에도 조립부위가 벌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러한 고정 결합구조로 인하여 구조적인 뒤틀림이나 변형이 없으며, AL 단량이 기존제품에 비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구의 모서리부분의 경우, 종래기술에서는 연결패킹(4)이 삽입구(2)에 삽입되는 단순 구조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좌/우측부 조립구(140)의 경우 외부에 상표 로고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켜 제품을 차별화할 수 있다.
[실시예]
절단/재단
심재(110)로서 폭 40 ㎜의 LVL을 사용하여 좌/우측부는 길이 2,087 ㎜, 폭 39 ㎜, 두께 26 ㎜로 재단하고, 상/하측부는 동일 재질을 사용하여 길이 607 ㎜, 폭 39 ㎜, 두께 26 ㎜로 재단하였다. 이후, 좌/우측부 조립구(140)와의 결합을 위해 심재(110)의 양쪽 측면을 깊이 18 ㎜, 두께 2 ㎜ 정도 따내었다.
보강재(120)로서 두께 26 ㎜의 종이 하니컴보드를 사용하여 길이 642 ㎜, 폭 607 ㎜로 재단하였다.
표면재(130)로서 MDF를 중심으로 상층부에 HPL을 붙이고 하층부에 밸런스층으로 LPL을 적층한 목질보드를 사용하여 길이 2,095 ㎜, 폭 794 ㎜로 재단하였다.
상/하측부 금속 조립구(150)로서 도 5와 같은 구조를 갖는 Al 조립구를 사용하여 양단부의 경사가 45도가 되게 길이 900 ㎜로 재단하였다.
좌/우측부 금속 조립구(140)로서 도 6과 같은 구조를 갖는 Al 조립구를 사용하여 길이 2,100 ㎜로 재단하였다.
모서리캡(160)으로서 도 7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열에 강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캡을 사용하였다.
심재 조립공정
절단된 LVL을 目자의 골격구조를 갖도록 타카로 결합하여 심재(110)를 조립하였다.
표면재 접착공정
준비된 2개의 표면재(130) 중 한판을 바닥에 먼저 깔고, 심재(110)가 표면재(130)의 좌/우측부 가장자리로부터 54 ㎜, 상/하측부 가장자리로부터 4 ㎜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지그를 이용해 삽입시킨 후, 상하부면에 접착제를 입힌 보강재(120)를 심재(110)의 골격구조 사이의 빈공간에 삽입시킨 뒤, 표면재(130)의 남은 한 판을 접착시켜 본체(101)를 제작하였다.
프레스 공정
접착 공정을 거친 본체(101) 20개를 한꺼번에 쌓은 뒤 냉압 프레스로 1시간 정도 눌러 경화시켰다.
조립구 조립공정
본체(101)의 테두리에 형성된 홈에 먼저 좌/우측부 금속 조립구(140)를 끼운 후, 모서리캡(160)을 이용해 상/하측부 금속 조립구(150)를 끼워 나사삽입부(144)를 통해 나사(170)로 고정한 후, 추가로 상/하측부 금속 조립구(150)와 심재(110)의 상/하측부 3부위에 나사(170)를 고정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100)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조립식 문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제 내부골재(1')와 합성수지제 외부골재(1")를 결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였고, 이 골재(1', 1")에 의해 형성된 채널(3, 3')에 판재(10, 10')를 끼워넣어 표면재를 구성하였다. 프레임은 상/하, 좌/우 구분없이 동일한 구조이며, 양단부를 45도로 사절한 각 프레임의 삽입구(2)에 합성수지제 연결패킹(4)을 삽입하여 걸림돌기(6')가 알루미늄골재(1')의 결합공(5')에 걸리도록 조립하였다.
[시험예]
KSF 3109에 의거하여 개폐반복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10,000회 이상 반복 개폐하였을 때, 종래 조립식 문의 경우 합성수지제의 연결패킹(4)의 걸림돌기(6')가 헐거워져 알루미늄 프레임(1')의 45도 결합부위의 마감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한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문의 경우 좌/우측부에서는 Al 조립구(140, 150)와 모서리캡(160)이 나사삽입부(144)를 통해 나사(170)로 체결되고 상/하측부에서는 3 부위에 나사(170)로 고정되기 때문에 45도 결합부위의 틈벌어짐이 발생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금속 조립구를 이용해 제작한 조립식 문으로, 4면을 감싸고 있는 금속 구조체에 의해 뒤틀림이 없고, 폭/높이 대응이 수월한 문을 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표면재를 사용함에 있어서 디자인 변경이 용이하고, 작업공정 또한 개선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18)

  1. 심재와 표면재를 포함하는 본체, 이 본체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금속 조립구, 인접하는 금속 조립구를 연결하는 모서리캡을 구비하되, 상기 금속 조립구는 모서리캡을 수용하는 삽입공과, 표면재를 수용하는 삽입홈과, 표면재 사이에 삽입되는 결합부와,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금속 조립구의 삽입공은 결합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심재의 양면에 형성되는 표면재가 심재로부터 연장되어 표면재 사이로 상기 금속 조립구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 조립구가 본체에 설치된 후 외부에 노출되는 삽입홈 측부의 두께가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금속 조립구가 좌/우측부와 상/하측부 조립구로 구성되며, 모서리캡이 좌/우측부 조립구에 삽입되는 수직부재와 상/하측부 조립구에 삽입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5. 제4항에 있어서, 금속 조립구가 모서리캡과 결합된 후 좌/우측부와 상/하측부 조립구 및 모서리캡이 나사삽입부를 통해 나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6. 제4항에 있어서, 좌/우측부 금속 조립구에 경첩이 설치되면서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7. 제1항에 있어서, 금속 조립구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8. 제1항에 있어서, 금속 조립구의 표면에 분체 도장 또는 필름 래핑(Wrappin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심재가 목재, 금속,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11. 제1항에 있어서, 심재가 수평 및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골격 구조로 이루어지고, 심재의 골격 구조 사이에 보강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12. 제11항에 있어서, 보강재가 종이를 주원료로 하는 하니컴, 하니컴보드, 플라 스틱 하니컴, 우레탄폼, 스타폼(압출발포 폴리스티렌), 금속 발포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13. 제1항에 있어서, 표면재가 유리, 목질 보드, 금속 보드, 무기질 보드, 조습 기능을 갖는 규산질 보드, 합성수지 보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14. 제1항에 있어서, 표면재에 인쇄, 수치제어(NC) 가공, 종이 접합, 벽지 접합, 무늬목 접합, 가죽 접합, 합성수지 필름 접합, 샌드 에칭(Sand Etching), 표면 엠보, 고광택 도장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문.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60102116A 2006-10-20 2006-10-20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16A KR101386311B1 (ko) 2006-10-20 2006-10-20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16A KR101386311B1 (ko) 2006-10-20 2006-10-20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726A KR20080035726A (ko) 2008-04-24
KR101386311B1 true KR101386311B1 (ko) 2014-04-17

Family

ID=3957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116A KR101386311B1 (ko) 2006-10-20 2006-10-20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061B1 (ko) * 2014-12-26 2015-05-29 주식회사 금송기업 도어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08176A (zh) * 2020-06-28 2023-11-24 唐腊辉 一种发泡膨胀扣锁拉紧装配复合门扇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129A (ja) * 1995-05-02 1996-11-19 Hautetsuku:Kk ド ア
KR20030040677A (ko) * 2001-11-15 2003-05-23 최준한 철판이 배제된 방화구조
KR100415068B1 (ko) 1999-03-16 2004-01-13 임영진 목재도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129A (ja) * 1995-05-02 1996-11-19 Hautetsuku:Kk ド ア
KR100415068B1 (ko) 1999-03-16 2004-01-13 임영진 목재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0677A (ko) * 2001-11-15 2003-05-23 최준한 철판이 배제된 방화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061B1 (ko) * 2014-12-26 2015-05-29 주식회사 금송기업 도어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726A (ko)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334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universal door skin blank
US7284352B2 (en) Door skin, method of manufacturing a door produced therewith, and door produced therefrom
EP0638016B1 (en) A pane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anel
EP1390182B1 (en) Decorative skirting (base) board or crown molding
US7823353B2 (e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US3299595A (en) Compound door
US10196853B2 (en) Door and method of forming a door
KR101386311B1 (ko) 조립식 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51548B1 (ko) 도어 및 도어세트
US20120131871A1 (en) Molded door, door with lite insert, and related methods
JP3955244B2 (ja) 戸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408Y2 (ja) 化粧パネルの構造
JP2006124932A (ja) 窓サッシ用の障子枠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200547A1 (en) Method for producing compatible ends on profile wrapped or laminated lineal Zcomponents requiring consistant or continuous color, and / or mechanical properties on exposed areas
JP2502954Y2 (ja) プラスチックの立体模様を形成した建築板材
KR20000016850U (ko) 조립식 합성수지 문짝
CN2464895Y (zh) 改进的加装玻璃的模压门组装结构
KR20040079864A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JP2003269047A (ja) 建 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