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680B1 -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680B1
KR101385680B1 KR1020120053577A KR20120053577A KR101385680B1 KR 101385680 B1 KR101385680 B1 KR 101385680B1 KR 1020120053577 A KR1020120053577 A KR 1020120053577A KR 20120053577 A KR20120053577 A KR 20120053577A KR 101385680 B1 KR101385680 B1 KR 101385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or
analog
input
nth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576A (ko
Inventor
백창규
Original Assignee
(주)우진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우진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2005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680B1/ko
Priority to PCT/KR2013/003891 priority patent/WO2013176418A1/ko
Publication of KR2013012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91Means for obtaining special acoustic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 효과음을 입력받아 일렉트릭 기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각 아날로그 효과음을 추가시켜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이펙터 멀티플렉서; 및 효과음 관련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에 의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를 조합한 뒤, 각각으로부터 아날로그 효과음을 입력받아 상기 일렉트릭 기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추가시켜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CPU;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Multi-effector apparatus based on analog input signal}
본 발명은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날로그 이펙터 장치와 디지탈 멀티 이펙터 장치의 장점을 결합한 아날로그 멀티 이펙터 모듈을 구성하는 방법과 구조를 제시하기 위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렉트릭 기타는 이펙터 장치라는 장비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타 효과음을 만들어내서 연주를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런 이펙터 장치는 종류가 워낙 다양하게 많이 나와 있고, 실제 연주할 경우 한 개의 이펙터 장치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이펙터 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다수의 이펙터 장치를 연결하고, 설치하는 것이 실제 연주하는데 가장 어려운 문제가 되고 있다. 즉, 여러 곡을 연주할 경우 곡마다 다른 효과음 관련 데이터에 따른 설정에 매칭하여 이펙터 장치를 셋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해서 나온 제품이 디지탈 멀티 이펙터 장치이다. 디지탈 멀티 이펙터의 경우 일렉트린 기타 신호를 디지탈로 디지타이징하여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이펙터 효과를 부과하여 출력함으로써, 한대의 이펙터 장치로 다양한 이펙터 효과를 마음대로 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런 디지탈 멀티 이펙터의 경우 소프트웨어 적으로 이펙터를 처리하다 보니, 이펙터 음질면에서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아날로그 이펙터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전문 연주자의 경우 아직도 아날로그 개별 이펙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음질면에서는 아날로그 이펙터에 접근하면서도 각 곡마다 세팅을 다시 하지 않아도 되는 디지탈 멀티 이펙터 장치의 장점을 모두 갖는 이펙터 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음향 이펙터(ACOUSTIC EFFECTER)(특허출원번호 제10-2006-7024155호)
2. 전자음악장치 및 이펙터(특허출원번호 제10-1995-003030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다수의 아날로그 이펙터 장치와, 각 곡마다 이펙터 모듈에 대한 재배치가 필요없는 디지탈 멀티 이펙터 장치의 장점을 결합한 특징을 갖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는,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 효과음을 입력받아 일렉트릭 기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각 아날로그 효과음을 추가시켜 디지탈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펙터 멀티플렉서; 및 효과음 관련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에 의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를 조합한 뒤, 각각으로부터 아날로그 효과음을 입력받아 상기 일렉트릭 기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아날로그적으로 음향신호를 변환하여 아날로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CPU;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효과음 관련 데이터는, 외장메모리로부터 수신된 각 곡에 따른 효과음에 설정과 관련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는,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의 출력단자 각각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출력 스위치; 및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의 입력단자 각각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입력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위치는 상기 CPU의 제어에 따른 상기 외장메모리로부터 독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로부터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에 대한 출력을 스위칭하며, 상기 입력 스위치는 상기 CPU의 제어에 따른 상기 외장메모리로부터 독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로부터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효과음에 대한 입력을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의 출력단자와 입력단자 각각을 하나의 쌍으로 연결하고 있는 구조로 형성된 제 1 입/출력 스위치 내지 제 7 입/출력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의 출력단자에 대한 채널을 행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의 입력단자에 대한 채널을 열로 입력받는 크로스 오버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은, 외부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커넥터 구조를 갖으며, 각각에 내장형의 메모리가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 각각에는 상기 CPU에 의해 각 이펙터 모듈의 종류와 특징을 구별가능한 데이터 및 다른 장비로 옮길 경우를 대비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는, 음질면에서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아날로그 이펙터 장치의 장점을 갖으면서도 각 곡마다 다수의 아날로그 이펙터 장치에 대한 세팅을 다시 하지 않아도 되는 디지탈 멀티 이펙터 장치의 장점을 모두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개별 멀티 플렉서 스위치를 이용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크로스 오버 스위치를 이용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이펙터 모듈을 외장 팩 형식을 취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는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 이펙터 멀티플렉서(100), CPU(200), LCD(300), 그리고 외장메모리(400)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은 이펙터 멀티플렉서(100)로 각각의 아날로그 효과음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펙터 멀티플렉서(100)는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효과음을 입력받아 일렉트릭 기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각 아날로그 효과음을 추가시켜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PU(200)는 외장메모리(400)로부터 수신된 각 곡에 따른 효과음에 관련된 효과음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펙터 멀티플렉서(100)에 의한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로부터의 아날로그 효과음을 입력받아 일렉트릭 기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추가시켜 디지탈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CPU(200)는 LCD(300)로 제어화면 및 제어에 따른 구동화면을 구현하며,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에 일렉트릭 기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에 추가시킨 뒤,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LCD(300)는 CPU(2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어화면 및 구동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장치로, LCD(300)에 한정되지 않으며, CRT, PDP, LED 디스플레이장치 등으로 변환 가능하며, 터치스크린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외장메모리(400)는 CPU(20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저장장소이다. 외장메모리(400)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변형하여 적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기본구조를 통해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의 핵심인 음향에 따른 소리를 다루는 분야는 기존 아날로그 이펙터를 사용하고, 이들 아날로그 이펙터를 조합하고 배치하는 방법은 디지탈로 처리함으로써, 아날로그 이펙터 모듈의 감성과 디지탈 이펙터 모듈의 장점을 모두 취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개별 멀티 플렉서 스위치를 이용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의 이펙터 멀티플렉서(100) 내에는 출력 스위치(20)와 입력 스위치(30)가 포함될 수 있다.
출력 스위치(20)는 CPU(200)의 제어에 따라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의 출력단자 각각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출력 스위치(20)는 CPU(200)가 외장메모리(400)로부터 독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어에 따라 이펙터 멀티플렉서(100)로부터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에 대한 출력을 스위칭하는 것이다.
입력 스위치(30)는 CPU(200)의 제어에 따라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의 입력단자 각각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입력 스위치(30)는 CPU(200)가 외장메모리(400)로부터 독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어에 따라 이펙터 멀티플렉서(100)로부터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효과음에 대한 입력을 스위칭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의 이펙터 멀티플렉서(100) 내에는 제 1 입/출력 스위치 내지 제 7 입/출력 스위치(40-1 내지 4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입/출력 스위치 내지 제 7 입/출력 스위치(40-1 내지 40-7)은 각각이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의 출력단자와 입력단자를 하나의 쌍으로 연결하고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제 1 입/출력 스위치(40-1)는 제 1 이펙터 모듈(10-1)의 출력단자와 입력단자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며, 이러한 구조는 제 7 입/출력 스위치(40-7)에 의한 제 7 이펙터 모듈(10-7)에 대한 출력단자와 입력단자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것까지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다. 즉, 도 2와 도 3의 방식 모두는 개별 멀티 플렉서 스위치를 이용한 방법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크로스 오버 스위치를 이용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의 이펙터 멀티플렉서(100) 내에는 크로스 오버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이펙터 장치에서 크로스 오버 스위치를 통해 이펙트 모듈 설정의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크로스 오버 스위치(50)는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의 출력단자에 대한 채널을 행으로 입력받으며,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의 입력단자의 채널을 열로 입력받아 이펙트 모듈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펙트 모듈(10-1)의 출력단자는 채널1로, 제 3 이펙트 모듈(10-3)의 입력단자는 채널 3의 행으로 입력받아 설정되고, 다음 이펙터 모듈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 3 이펙터 모듈(10-3)의 입력단자 3을 통해 열의 제 3 이펙터 모듈(10-3)의 출력단자 채널 3은 입력단자로 제 4 이펙터 모듈(10-4)의 채널 4로 행으로 설정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 이펙터 모듈의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 4 이펙터 모듈(10-4)의 입력단자 4를 통해 열의 제 4 이펙터 모듈(10-4)의 출력단자 채널 4는 입력단자로 제 2 이펙터 모듈(10-2)의 채널로 행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이펙터 모듈(10-2)의 입력단자 2를 통해 열의 제 2 이펙터 모듈(10-2)의 출력단자 채널 2는 입력단자로 제 1 이펙터 모듈(10-1)의 채널 1로 행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 1 이펙터 모듈(10-1)의 입력단자 1을 통해 열의 제 1 이펙터 모듈(10-1)의 출력단자 채널 1은 입력단자로 제 7 이펙터 모듈(10-7)의 채널로 행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7 이펙터 모듈(10-7)의 입력단자 7을 통해 열의 제 7 이펙터 모듈(10-7)의 출력단자 채널 7은 입력단자로 제 6 이펙터 모듈(10-6)의 채널 6으로 행으로 설정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 6 이펙터 모듈(10-6)의 입력단자 6를 통해 열의 제 6 이펙터 모듈(10-6)의 출력단자 채널 6는 입력단자로 제 5 이펙터 모듈(10-5)의 채널 5로 행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5 이펙터 모듈(10-5)의 입력단자 5를 통해 열의 제 5 이펙터 모듈(10-5)의 출력단자 채널 5는 입력단자로 아날로그 기타 출력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의 이펙터 모듈(10-1 ~ 10-7)은 모듈별로 크로스 오버 스위치(50)을 통해 이펙터 모듈의 순서를 자유롭게 바꿈으로써, 아날로그 기타에 다양한 효과음을 반영하여 출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에서의 크로스 오버 스위치(50)를 사용한 방법은 주로 음향신호뿐만 아니라, 비디오 신호처리에서도 적용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의 아날로그 이펙터를 재배치 방법은 개별 이펙터 모듈을 외장메모리(4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값에 따라서 자동으로 재배치하기 위해서 각 이펙터 모듈의 아날로그 입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 멀티플렉서(100) 내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재배치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내지 제 7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7)을 기준으로 하였지만 도 5와 같은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펙터 모듈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이펙터 모듈을 외장 팩 형식을 취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는 각각 아날로그 이펙터 서킷(11), DPM(12), 메모리(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N) 각각은 CPU(200)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 이펙터 모듈을 외장 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N) 각각은 외부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커넥터 구조를 갖게 된다.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N)의 각각에 형성된 메모리(13)에는 각 이펙터 모듈의 특징과 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각 이펙터 모듈을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삽입한 경우 CPU(200)에 의해 각 이펙터 모듈이 갖고 있는 종류와 특징이 판별되도록 한다. 한편,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10-1 내지 10-N)의 각각에 형성된 메모리(13)는 각각이 DPM(Digital Potential Meter: 12)에 의한 CPU(200)와의 연동을 통해 관리/제어가 수행된다.
한편, 도 5의 이펙터 모듈이 외장 팩 형식을 위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는 도 1과 같은 외장메모리(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의 메모리(13)나 외부의 외장메모리(400)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만든 설정 데이터를 내부 비활성 메모리(13)나 외부 메모리인 외장메모리(400)에 저장하여 보관하고, 다시 불러내서 재사용할 수 있다. 또 이 데이터를 다른 장비로 옮겨서 설정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3)나 외장메모리(40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를 다른 장비에서 자동으로 재배할 경우, 메모리(13)나 외장메모리(40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는 다른 장비로 옮겼을 경우 각 이펙터 모듈이 배치된 구조가 서로 달라서 이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이펙터 모듈의 메모리(13)에 고유 ID를 저장하고 있어서, 이것을 사용하여 설정 값을 현재 장치의 연결과 맞도록 재배치하여 외부에서 가져온 설정 데이터를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내지 10-N: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
11: 이펙터 서킷
12: DPM
13: 메모리
20: 출력 스위치
30: 입력 스위치
40-1 내지 40-7: 제 1 내지 제 7 입/출력 스위치
50: 크로스 오버 스위치
100: 이펙터 멀티플렉서
200: CPU
300: LCD
400: 외장메모리

Claims (6)

  1.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로부터 각각의 아날로그 효과음을 입력받아 일렉트릭 기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각 아날로그 효과음을 추가시켜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이펙터 멀티플렉서; 및 외장메모리로부터 수신된 각 곡에 따른 효과음 관련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에 의한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를 조합한 뒤, 각각으로부터 아날로그 효과음을 입력받아 상기 일렉트릭 기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추가시켜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CPU; 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는,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의 출력단자 각각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출력 스위치; 및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의 입력단자 각각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입력 스위치; 를 포함하고
    제 1 입/출력 스위치 내지 제 N 입/출력 스위치는 각각이 제 1 내지 제 N 이펙트 모듈의 출력단자와 입력단자를 하나의 쌍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출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CPU의 제어에 따른 상기 외장메모리로부터 독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로부터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신호에 대한 출력을 스위칭하고, 상기 입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CPU의 제어에 따른 상기 외장메모리로부터 독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상기 이펙터 멀티플렉서로부터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효과음에 대한 입력을 스위칭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의 출력단자에 대한 채널을 행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의 입력단자에 대한 채널을 열로 입력받는 크로스 오버 스위치를 통해 제 1 내지 제 N 이펙터 모듈의 순서를 자유롭게 바꿈으로써, 아날로그 기타에 다양한 효과음을 반영하여 출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53577A 2012-05-21 2012-05-21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KR10138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77A KR101385680B1 (ko) 2012-05-21 2012-05-21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PCT/KR2013/003891 WO2013176418A1 (ko) 2012-05-21 2013-05-06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77A KR101385680B1 (ko) 2012-05-21 2012-05-21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76A KR20130129576A (ko) 2013-11-29
KR101385680B1 true KR101385680B1 (ko) 2014-04-16

Family

ID=4962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577A KR101385680B1 (ko) 2012-05-21 2012-05-21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5680B1 (ko)
WO (1) WO2013176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818B1 (ko) * 2014-03-19 2015-07-02 김상길 전기기타용 이펙터
KR101733143B1 (ko) * 2015-11-11 2017-05-24 이승재 음향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아날로그 멀티 이펙터 및 그 동작방법
KR101797512B1 (ko) * 2016-09-28 2017-11-15 이승재 기타 이펙터 루프 및 이를 이용한 멀티형 기타 이펙터
CN112669799A (zh) * 2020-12-04 2021-04-16 深圳市道和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吉他的4路模拟量输出电路模块
FR3124304B1 (fr) * 2021-06-16 2023-11-24 Monday Noise Dispositif de traitement d’un signal audi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164B1 (ko) * 2006-02-14 2007-07-16 주식회사 한국뮤즈 기타 앰프
KR20080057792A (ko) * 2006-12-21 2008-06-25 최학순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
KR20110135779A (ko) * 2010-06-11 2011-12-19 김성진 전자기타 디스토션 이펙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625A (en) * 1985-09-13 1989-09-05 Casio Computer Co., Ltd. Effecto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DE69704996T2 (de) * 1996-08-05 2002-04-04 Yamaha Corp Software-Tonerzeug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164B1 (ko) * 2006-02-14 2007-07-16 주식회사 한국뮤즈 기타 앰프
KR20080057792A (ko) * 2006-12-21 2008-06-25 최학순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
KR20110135779A (ko) * 2010-06-11 2011-12-19 김성진 전자기타 디스토션 이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76A (ko) 2013-11-29
WO2013176418A1 (ko)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680B1 (ko) 아날로그 입력 신호 기반의 멀티 이펙터 장치
CN106407136B (zh) 具有点对点请求互连的存储器系统
CN101802490B (zh) 组装块以及显示系统
US7754956B2 (en) Programmable system to integrate generated signals with signals from a musical instrument
CN105185406B (zh) 多端口非易失性存储器设备及其存取方法
JP2009545095A5 (ko)
TW202040941A (zh) 測試及配置fpga的系統與方法
CN102999432B (zh) 存储器控制器
US20160141033A1 (en) Memory system and assembling method of memory system
CN105013171A (zh) 一种电子围棋棋盘及其使用方法
EP2245633A2 (en) Nand flash memory access with relaxed timing constraints
JP2011510426A5 (ko)
JP2022515191A (ja) プログラミング用積み木
WO2010111589A3 (en) Storage devices with soft processing
US8218388B2 (en) Read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N108022623A (zh) 半导体存储装置及其读出方法
KR102498924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AU20012885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massively parallel processor array to a memory array in a bit serial manner
CN203825998U (zh) 一种基于usb电脑键盘输入的电子琴
TW200725548A (en) Visual display driv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498923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레퍼런스 전위 설정 방법
KR101469078B1 (ko) 하나의 유에스비 단자를 이용한 복수의 내장 보드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91640A (ko)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들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10126908A (ko)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신호 처리 칩 및 isp 체인 구성 방법
CN201068008Y (zh) 一种有声相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