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972B1 -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972B1
KR101384972B1 KR1020120025223A KR20120025223A KR101384972B1 KR 101384972 B1 KR101384972 B1 KR 101384972B1 KR 1020120025223 A KR1020120025223 A KR 1020120025223A KR 20120025223 A KR20120025223 A KR 20120025223A KR 101384972 B1 KR101384972 B1 KR 10138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vehicle
duct
disposed
upp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073A (ko
Inventor
맹찬주
김종수
안용남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97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내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냉온장고, 상기 저장부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된 열전 소자, 상기 자동차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차량의 외부로 연결된 토출부를 구비하는 하부 덕트 및 상기 냉온장고의 주변에 배치되어 자동차 실내 공기를 흡입 및 상기 하부 덕트 방향으로 통과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덕트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하부 덕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는 상부 덕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A cooling and heating device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냉온장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탑승자의 편의를 증대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현대인에게는 필수품으로서 출퇴근, 업무용 운송 외에 레저용 기타 용무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추세에 따라 자동차의 탑승자를 위한 다양한 편의시설이 자동차 내에 배치되고 있다.
편의시설의 일 예로서 냉온장 장치가 있다. 내온장 장치는 자동차의 실내에 배치되어 음료 등 기타의 것들을 차갑게 또는 따뜻하게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냉온장 장치의 일 예가 한국 공개 특허 공보 1999-0027503호에 개시되어 있다.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는 자동차의 한정된 공간에 배치되므로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냉온장 장치의 열을 제공하는 부재로 인하여 차량 내 배치가 용이하지 않다. 한편, 냉온장 장치에서 발생한 열을 처리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이로 인하여 냉온장 장치를 사용하는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편의를 증대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내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냉온장고, 상기 저장부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된 열전 소자, 상기 자동차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차량의 외부로 연결된 토출부를 구비하는 하부 덕트 및 상기 냉온장고의 주변에 배치되어 자동차 실내 공기를 흡입 및 상기 하부 덕트 방향으로 통과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덕트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하부 덕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는 상부 덕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덕트는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통과하는 본체부, 상기 상부 덕트가 슬라이드 운동을 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상부 덕트로부터 유입된 기체를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는 상기 자동차의 외부로부터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류 방지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는 차량 실내 공기가 통과하는 본체부, 상기 하부 덕트의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드 운동을 하는 말단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말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덕트의 슬라이드 운동 시 상기 슬라이드 운동의 한계점을 정의하도록 상기 하부 덕트의 가이드홈의 가장자리를 벗어나지 않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부, 상기 연결부의 타측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는 상기 냉온장고와 결합되어, 상기 냉온장고는 상기 상부 덕트와 함께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되는 팬모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덕트는 상기 열전 소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용 냉온장고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한다.
도 1은 자동차내에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가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구비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내에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가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는 크게 냉온장고(110), 열전 소자(120), 상부 덕트(130) 및 하부 덕트(14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온장 장치(100)가 구비된 자동차의 실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온장 장치(100)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의 콘솔 박스(C)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냉온장 장치(100)의 상부에는 냉온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물건들을 수납하기 위한 보관부 및 커버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냉온장고(110)는 하우징(111) 및 저장부(112)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1)은 저장부(11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저장부(112)의 상부는 하우징(111)으로 덮이지 않고 개방되어 탑승자가 냉온장을 원하는 물건들을 용이하게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저장부(112)의 상부는 개폐가 용이한 덮개로 덮을 수 있고, 전술한 것과 같은 콘솔 박스의 물건들을 수납하기 위한 보관부에 의하여 덮일 수도 있다.
하우징(111)은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112)의 열을 누설하지 않도록 적어도 일 영역에 단열 재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 소자(120)는 저장부(112)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열전 소자(120)는 저장부(112)를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저장부(112)의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전 소자(120)는 저장부(112)의 하면과 인접 또는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전 소자(120)는 흡열 또는 발열을 하도록 형성된다. 그 예로서 열전 소자(120)는 N형 반도체 소자와 P형 반도체 소자들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들을 구비할 수 있고, 펠티에 효과로 인하여 흡열 또는 발열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두 개의 열전 소자(12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의 냉온장 장치(100)는 설계 조건, 배치될 차량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덕트(130)는 자동차의 실내측을 향하고 자동차의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기의 유입 효율을 향상하도록 상부 덕트(130)의 소정의 영역에는 팬모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팬모터부(150)는 팬(미도시) 및 팬을 구동하는 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상부 덕트(130)를 통하여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팬모터부(15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서 팬모터부(150)는 BLDC 모터 및 이에 의해 구동되는 팬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덕트(130)는 열전 소자(120)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부 덕트(130)는 열전 소자(12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구체적인 예로서 상부 덕트(130)는 열전 소자(120)의 일 영역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덕트(130)는 이러한 방열 효율을 향상하도록 방열 능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방열판을 구비할 수 있다.
열전 소자(120)에서 발생한 열의 방열을 포함한 본 실시예의 냉온장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부 덕트(130)는 구체적으로 본체부(131), 연결부(132) 및 말단부(133)를 구비한다. 본체부(131)는 전술한 자동차의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지나가는 통로 또는 열전 소자(120)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되어 지나가는 통로이다.
연결부(132)는 본체부(131)와 말단부(133)의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부(131)를 통과한 기체가 말단부(133)방향 및 하부 덕트(140)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연결부(132)는 상부 덕트(130)가 슬라이드 운동 시 슬라이드 운동의 한계 점을 정의하는 걸림부 기능을 한다. 즉, 연결부(132)는 하부 덕트(140)의 가이드홈(142)의 가장자리를 벗어나지 않는다.
말단부(133)는 하부 덕트(14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말단부(133)는 하부 덕트(140)에서 슬라이드 운동을 하도록 제1 슬라이드부(133a) 및 제2 슬라이드부(133b)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드부(133a) 및 제2 슬라이드부(133b)는 하부 덕트(140)내에서 운동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이 있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단부(133)의 구체적인 운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 덕트(140)는 상부 덕트(130)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하부 덕트(140)는 본체부(141), 가이드홈(142) 및 토출부(143)를 구비한다. 상부 덕트(130)를 통하여 진행한 기체는 하부 덕트(140)의 본체부(141)를 거친 후 토출부(143)를 통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를 위하여 토출부(143)는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CF)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부(143)는 자동차의 하부의 플로어 패널(CF)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토출부(143)를 통하여 자동차의 하부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토출부(143)를 통한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자동차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역류 방지 부재(160)가 토출부(143)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역류 방지 부재(160)는 일 방향으로의 기체의 흐름은 용이하게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의 기체의 흐름은 차단한다. 역류 방지 부재(160)는 하부 덕트(140)로부터 차량 외부로의 기체 흐름은 방해하지 않고 그 반대 방향, 즉 차량의 외부로부터 하부 덕트(140)방향으로의 기체의 흐름은 차단한다. 역류 방지 부재(16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부재일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 역류 방지 부재(160)는 플랩의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덕트(140)의 가이드홈(142)은 본체부(141)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홈(142)은 상부 덕트(130)의 말단부(133)가 슬라이드 운동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부 덕트(130)의 말단부(133)의 슬라이드 운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부 덕트(130)의 말단부(133)는 제1 슬라이드부(133a) 및 제2 슬라이드부(133b)를 구비하고, 제1 슬라이드부(133a) 및 제2 슬라이드부(133b)는 하부 덕트(140)의 가이드홈(142)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슬라이드부(133a) 및 제2 슬라이드부(133b) 각각은 하부 덕트(140)의 가이드홈(142)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32)는 상부 덕트(130)의 말단부(133)가 슬라이드 운동 시 걸림부 기능을 하여 말단부(133)의 직선 방향 슬라이드 운동 시 한계 범위를 정의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상부 덕트(130)가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 즉 차량의 이동 방향 기준으로 차량의 전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부 덕트(130)의 연결부(132)가 하부 덕트(140)의 가이드홈(142)의 최우측면까지 이르도록 상부 덕트(130)가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도 4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덕트(130)의 말단부(133)의 제1 슬라이드부(133a)가 가이드홈(142)을 통하여 노출된 채 보인다. 이 때 상부 덕트(130)의 말단부(133)의 제2 슬라이드부(133b)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므로 하부 덕트(140)의 내측벽의 형상에 대응된 채로 기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를 참조하면 상부 덕트(130)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즉 차량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부 덕트(130)의 연결부(132)가 하부 덕트(140)의 가이드홈(142)의 최좌측면까지 이르도록 상부 덕트(130)가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도 4b에 도시한 것과 샅이 상부 덕트(130)의 말단부(133)의 제2 슬라이드부(133b)가 가이드홈(142)을 통하여 노출된 채 보인다. 이 때 상부 덕트(130)의 말단부(133)의 제1 슬라이드부(133a)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므로 하부 덕트(140)이 내측벽의 형상에 대응된 채로 기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냉온장고(110)는 상부 덕트(130)와 결합된 상태로서 상부 덕트(130)가 슬라이드 운동 시 냉온장고(110)도 상부 덕트(130)와 일체화된 상태로 운동한다. 즉 본 실시예의 냉온장고(110)도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대로 본 실시예의 냉온장 장치(100)는 콘솔 박스(C)내에 배치될 수 있는 바, 냉온장고(110)의 직선 운동 시 콘솔 박스(C)도 냉온장고(110)과 일체화된 상태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온장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냉온장 장치(100)는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 냉장고 기능으로 사용하게 된다. 즉, 열전 소자(120)의 일측에서 저장부(112)내의 열을 흡열하도록 함과 아울러 열전 소자(120)의 타측에서 상부 덕트(130)내로 열을 방출하도록, 열전 소자(12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한다. 이를 통하여 저장부(112)내의 공기는 열전 소자(120)의 일측에서 열을 빼앗겨 점차적으로 저온 상태가 되며, 그 결과 저장부(112)는 냉장고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차량 실내의 공기가 상부 덕트(130)를 통하여 유입된 후 열전 소자(120)의 타측과 열교환 된 후, 하부 덕트(140)의 토출부(143)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기된다. 특히 상부 덕트(130)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팬모터부(150)는 차량의 실내 공기가 상부 덕트(130)쪽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한다.
한편,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 냉온장 장치(100)는 주로 온장고 기능으로 사용하게 된다. 즉, 열전 소자(120)의 일측에서 방열 작용이 일어나도록 함과 아울러 열전 소자(120)의 타측에서 흡열 작용이 일어나도록, 열전 소자(12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을 제어한다. 이렇게 되면, 냉온장고(110)내의 저장부(112)의 공기는 열전 소자(120)의 일측에서 방열되는 열에 의해 점차적으로 고온 상태로 되므로 저장부(112)는 온장고 역활을 하게 된다.
이때, 차량 실내 공기가 상부 덕트(130)를 통하여 유입되고 열전 소자(120)의 타측과 열교환된 후 차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차량 실내 공기의 온도는 열전 소자(120)의 타측에서 흡열되는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열전 소자(120)의 타측을 통한 흡열 기능이 향상된다. 특히 상부 덕트(130)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팬모터부(150)는 차량의 실내 공기가 상부 덕트(130)쪽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한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는 열전 소자(120)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에어컨용 냉매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없이 자체적으로 냉온장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온장 장치(100)는 상부 덕트(130)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 공기를 유입한 후 열교환한 뒤의 폐열을 하부 덕트(140),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덕트(140)의 토출부(143)를 통하여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므로 냉온장 장치(100) 사용 시 차량 탑승자가 폐열을 접할 기회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쾌적한 승차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토출부(143)가 차량의 하부에 대응하는 플로어 패널(CF)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부 덕트(130)를 통하여 유입된 기체가 하부 덕트(140)를 통하여 차량의 하부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폐열이 탑승자는 물론 차량에 잔존하지도 않으므로 차량의 쾌적성을 증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온장 장치(100)는 상부 덕트(130)가 하부 덕트(140)에 이탈되지 않은 채 슬라이드 운동을 한다. 특히, 상부 덕트(130)와 냉온장고(110)는 결합되어 서로 일체화되어 슬라이드 운동을 한다. 이를 통하여 차량 내 냉온장 장치(100)설치 시에도 차량 실내 공간 활용 능력을 극대화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증대한다. 특히 상부 덕트(130)가 슬라이드 운동을 하여도 상부 덕트(130)로부터 하부 덕트(140)로의 기체 및 열의 흐름에는 전혀 지장이 없어 냉온장 장치(100)의 열효율 및 폐열 배출 효율은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온장 장치(100)는 콘솔 박스(c)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부 덕트(130)의 운동 시 콘솔 박스(C)와 일체화되어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여 차량내 공간 활용 능력이 향상되고 탑승자의 편의를 증대한다. 특히 차량 내 공간 활용 능력 증대가 필요한 SUV차량에 배치되어 탑승자의 편의 증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
110: 냉온장고
120: 열전 소자
130: 상부 덕트
140: 하부 덕트
150: 팬모터부
160: 역류 방지 부재

Claims (9)

  1. 자동차내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부(112) 및 상기 저장부(112)를 감싸는 하우징(111)을 구비하는 냉온장고(110);
    상기 저장부(112)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된 열전 소자(120);
    상기 자동차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차량의 외부로 연결된 토출부(143)를 구비하는 하부 덕트(140); 및
    상기 냉온장고(110)의 주변에 배치되어 자동차 실내 공기를 흡입 및 상기 하부 덕트(140) 방향으로 통과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덕트(140)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하부 덕트(14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는 상부 덕트(130)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덕트(140)는 상기 상부 덕트(130)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통과하는 본체부(141), 상기 상부 덕트(130)가 슬라이드 운동을 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142) 및 상기 상부 덕트(130)로부터 유입된 기체를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143)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143)에는 상기 자동차의 외부로부터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류 방지 부재(160)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130)는 차량 실내 공기가 통과하는 본체부(131), 상기 하부 덕트(140)의 가이드홈(142)에서 슬라이드 운동을 하는 말단부(133) 및 상기 본체부(131)와 상기 말단부(133)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132)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2)는 상기 상부 덕트(130)의 슬라이드 운동 시 상기 슬라이드 운동의 한계점을 정의하도록 상기 하부 덕트(140)의 가이드홈(142)의 가장자리를 벗어나지 않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133)는 상기 연결부(132)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132)의 일측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부(133a), 상기 연결부(132)의 타측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드부(133b)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130)는 상기 냉온장고(110)와 결합되어, 상기 냉온장고(110)는 상기 상부 덕트(130)와 함께 슬라이드 운동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130)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되는 팬모터부(150)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120)는 상기 저장부(1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덕트(130)는 상기 열전 소자(12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100).
KR1020120025223A 2012-03-12 2012-03-12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 KR10138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223A KR101384972B1 (ko) 2012-03-12 2012-03-12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223A KR101384972B1 (ko) 2012-03-12 2012-03-12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73A KR20130104073A (ko) 2013-09-25
KR101384972B1 true KR101384972B1 (ko) 2014-04-15

Family

ID=4945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223A KR101384972B1 (ko) 2012-03-12 2012-03-12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9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233Y1 (ko) 1997-04-30 1999-06-15 양재신 냉온장용 콘솔박스
JP3454751B2 (ja) * 1999-04-20 2003-10-06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保存庫
JP2004224236A (ja) 2003-01-23 2004-08-12 Aisin Seiki Co Ltd 車載保温装置
KR20090121601A (ko) * 2008-05-22 2009-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233Y1 (ko) 1997-04-30 1999-06-15 양재신 냉온장용 콘솔박스
JP3454751B2 (ja) * 1999-04-20 2003-10-06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保存庫
JP2004224236A (ja) 2003-01-23 2004-08-12 Aisin Seiki Co Ltd 車載保温装置
KR20090121601A (ko) * 2008-05-22 2009-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073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069B2 (en) Condensate water removing apparatus for vehicle air conditioners
JP6197745B2 (ja) 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US7849697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rmoelectric device
US20120079837A1 (en) Thermoelectric Comfort Control System for Motor Vehicle
JP633255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92708B1 (ko) 냉온장 컵홀더
US20050178128A1 (en) Thermally controlled storage space system for an interior cabin of a vehicle
JP2015083449A (ja) 空調ユニット
US20150375597A1 (en) Portable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s
US1035801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WO2018150735A1 (ja) 車両用空調装置
US10850652B2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seat
JP201903110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JP201901877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20066212A (ko) 자동차의 냉온장고
KR101384972B1 (ko) 자동차용 냉온장 장치
WO2016006174A1 (ja) 車両用温度調整装置
KR101500104B1 (ko) 차량의 후석 공조시스템
US8034473B2 (en) Storage battery air-cooling device
US20200361276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System
WO2018150783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154518B1 (ko) 차량용 냉난방 시트
CN110914080B (zh) 温度控制层
JP2008012980A (ja) 車両用温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