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834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834B1
KR101384834B1 KR1020070018382A KR20070018382A KR101384834B1 KR 101384834 B1 KR101384834 B1 KR 101384834B1 KR 1020070018382 A KR1020070018382 A KR 1020070018382A KR 20070018382 A KR20070018382 A KR 20070018382A KR 101384834 B1 KR101384834 B1 KR 10138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hange
gain state
change point
signal strength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365A (ko
Inventor
정재웅
박규복
민기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8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7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6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both R.F. and I.F.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신 신호 강도와 프레임 에러율을 체크하여, 체크된 값을 토대로 채널 환경에 적합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능동적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하나로 고정됨으로써 발생하는 수신 성능의 저하와 전력 소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저잡음 증폭기, LNA, Gain state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AIN STATE CHANGE POINT AUTOMATICALLY SETTING OF LOW NOISE AMPLIFI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과 이득 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약전계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잡음 증폭기(LNA:Low Noise Amplifier)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Gain Step)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Gain State)를 5개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이득 상태 변화 지점도 4개까지 지원한다. 이득 상태가 0일때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은 최대가 되며, 수신 신호 강도(RSSI:Receives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증가할수록 이득 상태는 첫번째 값에서 5번째 값으로 증가한다. 반대로 수신 신호 강도가 감소할수록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는 5번째 값에서 첫번째 값으로 감소한다. 수신 신호 강도에 따른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의 설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적당한 값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과 이득 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보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래프에서 수평축은 저잡음 증폭기의 자동 이득 조정(AGC:Automatic Gain Control)값을 나타내며,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가 1에서 0으로 바뀌는 지점(FALL)인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축은 수평축의 각 이득 상태 변화 지점에 대응하는 이득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수평축은 4개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축은 5개의 이득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4개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중 하나로 설정이 되어, 5개의 이득 상태 중 설정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에 대응하는 하나의 이득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은 한 번 설정되면 고정된 값이 된다. 따라서 간섭 신호 인가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수신 성능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채널 환경에 적합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불필요하게 전류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다음의 두 가지 경우와 같다.
먼저,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너무 낮은 레벨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서로 다른 2개의 간섭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어, 두 신호의 상호 변조(Inter Modulation)가 수신 신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때가 있다. 이때,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신 신호 강도가 너무 작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간섭 신호들의 상호 변조로 인하여 수신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너무 높은 레벨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간섭 신호가 인가되어도 수신 신호 강도가 높기 때문에 수신 성능의 저하는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수신 신호 강도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바꿀 필요가 없는데 바꿀 경우 불필요하게 전류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은 최적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은 한 개의 값으로 고정되어 있어, 수신 성능이 저하되고 불필요하게 전류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저잡음 증폭기의 입출력 매칭(Matching) 회로는 이동 통신 단말기마다 다르다. 그러므로 저잡음 증폭기의 최적 이득 상태 변화 지점도 이동 통신 단말기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 강도(RSSI:Receives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약전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약전계에 속할 경우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약전계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에서의 프레임 에러율(FER:Frame Error Rate)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프레임 에러율의 증가 여부를 통해 간섭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했을 경우 상기 간섭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강전계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 신호 강도(RSSI:Receives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수신 신호 강도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에서의 프레임 에러율(FER:Frame Error Rate)을 측정하는 프레임 에러율 측 정부와, 저잡음 증폭기(LNA:Low Noise Amplifier)의 이득 상태(Gain State)에 각각 대응하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저장하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값 DB(Database)와,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약전계에 속할 경우 상기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약전계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프레임 에러율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했을 경우에 상기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강전계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변경하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정 설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신 신호 강도와 프레임 에러율을 체크하여, 체크된 값을 토대로 채널 환경에 적합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능동적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하나로 고정됨으로써 발생하는 수신 성능의 저하와 전력 소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잡음 증폭기(LNA:Low Noise Amplifier)의 이득 상태 변 화 지점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 신호 강도(RSSI:Receives Signal Strength Indicator) 측정부(200), 프레임 에러율(Frame Error Rate) 측정부(210),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값 DB(Database)(220) 및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신 신호 강도 측정부(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 강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프레임 에러율 측정부(210)는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프레임 에러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값 DB(220)는 4개의 레벨로 구성된 이득 상태 변화 지점들을 저장한다.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와 프레임 에러율을 체크한 후, 체크된 값에 대응하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값 DB(220)에서 선택한다. 선택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은 저잡음 증폭기가 최적의 이득 상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수신 성능의 저하와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통상 원 칩 마이크로 프로세서(One Chip Micro Processor)로서, 예를 들어 MSM(Mobile Station Modem)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간섭 신호를 고려하여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설정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간섭 신호가 없을 때에는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낮게 설정되어도 프레임 에러율은 좋게 나타난다. 즉, 프레임 에러율은 낮게 나타난다. 가령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95dBm으로 설정되었더라도 수신 성능은 수신 신호 강도가 -109~-110dBm일 경우에도 좋게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수신 성능이 좋 게 나타나므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은 변경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약전계에서 간섭 신호가 인가될 때에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낮게 설정이 되면 프레임 에러율이 높아져 수신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은 높아져야 한다. 가령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95dBm일 때에 간섭 신호가 인가될 경우, 간섭 신호의 크기와 상관없이 간섭 신호의 상호 변조(Inter Modulation)된 하모닉(Harmonic) 성분으로 인하여 수신 성능은 크게 저하된다. 이와 같은 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가 -90dBm일 경우 프레임 에러율이 높아지면 간섭 신호가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간섭 신호의 여부에 따라 높여준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간섭 신호로 인한 상호 변조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프레임 에러율이 높아지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기준으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저잡음 증폭기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최적으로 설정이 되어있어야 한다. 그러나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한 개의 값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그 값이 최적의 값이 아닐 경우 수신기의 STD(Single Tone Desensitization) 특성이나 IMD(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여기서 STD는 할당된 채널 중심 주파수로부터 정해진 위치에 방해파(Single Tone)가 존재할 경우, 해당 채널에서 CDMA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능력의 척도를 말한다. 그리고, IMD는 상호 변조로 인해 발생한 왜곡 신호 또는 그 왜곡 신호의 크기를 말한다. 여기서, IMD는 그 값이 커질수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은 채널 환경에 따라 최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간섭 신호의 영향까지 고려한 자동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약전계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00 단계에서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302 단계로 진행하여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약전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수신 신호 강도가 약전계에 속할 경우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30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다시 처음으로 되돌아간다.
304 단계로 진행한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약전계 상태로 설정한다. 즉,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낮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설정하는데, 필요에 따라 4개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중 가장 낮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306 단계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에서의 프레임 에러율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308 단계에서 측정된 프레임 에러율이 초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프레임 에러율을 측정함으로써 STD와 IMD의 영향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다.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할 경우 310 단계로 진행하여 간섭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312 단계에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높인다. 여기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높이는 이유는 약전계에서 간섭 신호로 인해 저하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314 단계에서 한 번의 측정주기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측정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고, 측정주기가 경과했으면 316 단계로 진행한다. 316 단계로 진행한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프레임 에러율을 측정하여, 318 단계에서 간섭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간섭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에러율을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간섭 신호가 인가되었을 경우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312 단계로 돌아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더 높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변경한다. 이때 현재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가장 높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높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간섭 신호가 없을 경우 320 단계로 진행하여 높아진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원래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변경한다. 이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이 높아짐으로써 생기는 전류 소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한편 308 단계에서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하지 않았을 경우,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322 단계로 진행하여 간섭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324 단계에서 현재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수신 신호 강도가 약전계에 속하더라도 간섭 신호가 없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성능은 저하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약전계에서 프레임 에러율을 이용해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설정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수신 신호 강도가 약전계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230)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이유는 수신 신호 강도가 약전계에 속하지 않을 경우 특히, 강전계에 속할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간섭 신호로 인한 수신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신 신호 강도가 높아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데 변경할 경우 불필요하게 전류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환경에 따라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유연하게 설정하는 방법은 불필요한 전류의 소모를 줄이고, 채널 환경에 따라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채널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이득 상태가 고정되었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6)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 강도(RSSI:Receives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강도의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강도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강도의 범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 과정 이후, 수신 신호 강도에서의 프레임 에러율(FER:Frame Error Rate)을 측정하는 과정과,
    간섭 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측정된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한 경우, 현재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강도의 범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득 상태 변화 지점보다 높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하지 않았을 경우, 현재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그대로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변경한 후 상기 프레임 에러율을 재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재측정 결과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변경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다시 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강도의 범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5.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 신호 강도(RSSI:Receives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수신 신호 강도 측정부와,
    수신 신호 강도에서의 프레임 에러율(FER:Frame Error Rate)을 측정하는 프레임 에러율 측정부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LNA:Low Noise Amplifier)의 이득 상태(Gain State)에 각각 대응하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저장하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값 DB(Database)와,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강도의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강도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강도의 범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 이후 상기 프레임 에러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프레임 에러율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한 경우에, 현재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강도의 범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이득 상태 변화 지점보다 높은 이득 상태 변화 지점으로 변경하는 이득 상태 변화 지점 설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 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
  6. 삭제
KR1020070018382A 2007-02-23 2007-02-2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8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382A KR101384834B1 (ko) 2007-02-23 2007-02-2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382A KR101384834B1 (ko) 2007-02-23 2007-02-2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65A KR20080078365A (ko) 2008-08-27
KR101384834B1 true KR101384834B1 (ko) 2014-04-15

Family

ID=3988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382A KR101384834B1 (ko) 2007-02-23 2007-02-2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003B1 (ko) 2014-04-14 2020-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913A (ko) * 1998-05-22 1999-12-15 윤종용 히스테리시스 특성의 자동이득제어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송신기
JP2005269669A (ja) 2005-04-11 2005-09-29 Hitachi Ltd デジタル無線受信機
KR20070074837A (ko) * 2006-01-10 2007-07-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저잡음증폭기의 이득제어방법 및 장치,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913A (ko) * 1998-05-22 1999-12-15 윤종용 히스테리시스 특성의 자동이득제어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송신기
JP2005269669A (ja) 2005-04-11 2005-09-29 Hitachi Ltd デジタル無線受信機
KR20070074837A (ko) * 2006-01-10 2007-07-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저잡음증폭기의 이득제어방법 및 장치,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65A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62275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ваемой мощностью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KR101051855B1 (ko) 통신 디바이스 내의 동적 수신기 조정에 의한 전류 감소
US6208849B1 (en) Receiver with suppressed intermodulation distor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30122534A1 (en) Intermodulation detector for a radio receiver
AU25749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etween a plurality of antennas utilized by a microcellular communications terminal for reception of a signal
JP2006516866A (ja) 直接変換受信器の受信感度を高める装置及び関連方法
CN111478710B (zh) 邻频干扰抑制方法及系统、接收机以及通信系统
RU2009125017A (ru) Снижение тока потребления в цепях с rx разнесением
CN111130667B (zh) 增益调整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相关设备
JPH11298343A (ja) 携帯通信装置
KR0168790B1 (ko) 수신신호세기의 동적범위를 확장시키는 셀룰라 통신시스템의 수신기
KR10138483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의 이득 상태 변화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5940749A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external interference signals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for
US11405813B2 (en) Radio link monitoring (RLM) procedures in new radio unlicensed bands (NR-U)
US59830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signals at a wireless communications station
US7734266B2 (en) Adaptive radio frequency receiver
US6611679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ceiving amplifier in a radio terminal
JP4603076B2 (ja) 無線端末およびレベル測定方法
CN116782335B (zh) 一种移动终端的信号处理方法及设备
US20060128413A1 (en) Method of controlling low noise amplifi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8365B1 (ko) 지에스엠 단말기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
KR20090063853A (ko)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CN101965699B (zh) Rf接收机干扰性能的自动优化
KR100595204B1 (ko) 자동이득조정 회로를 이용한 페이딩 검파 방법 및 그 장치
GB2381415A (en) Circuit for control of receiver dynamic range in order to save battery curr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