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515B1 -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515B1
KR101384515B1 KR1020110145861A KR20110145861A KR101384515B1 KR 101384515 B1 KR101384515 B1 KR 101384515B1 KR 1020110145861 A KR1020110145861 A KR 1020110145861A KR 20110145861 A KR20110145861 A KR 20110145861A KR 101384515 B1 KR101384515 B1 KR 10138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sopliae
bee
strain
metarizium
bee m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254A (ko
Inventor
강승원
최세은
노진형
권창희
이희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14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5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ATCC16085 또는 KTCC40029 균주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ATCC16085 또는 KTCC40029 균주의 포자 희석액을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Compositions for controlling Varroa destructor by Metarizium anisopliae 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중 꿀벌응애에 가장 방제 효과가 높은 균주로 선별된 ATCC16085 또는 KTCC40029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보다 구체적으로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ATCC16085 또는 KTCC40029 균주의 희석한 포자액을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중 꿀벌응애에 가장 방제 효과가 높은 균주로 선별된 ATCC16085 또는 KTCC40029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산업은 꿀벌의 생태와 습성을 활용하여 사양 관리, 번식과 생산, 생산물의 유통, 질병과 해충의 구제 대책, 양봉기구의 개량, 밀원식물의 조성과 활용 등 합리적인 양봉경영으로 영양가 높은 고급 건강식품을 생산하여 소득을 얻는 산업분야이다.
양봉으로 얻을 수 있는 대표적 건강식품은 벌꿀이며, 벌꿀은 포도당과 과당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당류로서, 체내 장벽에 직접 흡수되어 신체 각 부분의 근육세포에서 연소되며 생명체의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글리코겐 상태로 간에 저장된다. 또한, 인체에 필요한 무기물이 함유되어 있어 체내에서 생리작용을 원활하게 하고 골조직의 발육을 완전하게 하는 천연 종합 식품이다.
상기한 양봉산업은 생산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수요가 급증하여 소득을 크게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농작물의 화분매개로 결실을 좋게 하여 세계 각국에서 주요 농업정책으로 다루어지고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양봉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꿀벌의 질병인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으로부터 꿀벌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꿀벌응애(진드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꿀벌을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꿀벌응애(진드기)는 꿀벌의 몸에 부착하여 기생 월동하고, 소방에 3∼4개의 알을 산란하여 산란 2일 후에 4쌍의 다리를 가진 어린 형태의 진드기가 되어 번데기 성충에 기생하여 체액을 흡수하여 꿀벌과 함께 발육됨으로써 꿀벌의 발육 및 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그래서 이러한 꿀벌응애(진드기)를 구제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방법이 아래의 네 가지 방법이다.
첫 번째, 2월 말에서 4월 말에 이르기까지 이발적인 구제약품을 처리한다. 이는 스트립처리법으로서 벌통 내에 스트립을 처리하여 약이 발산, 승화됨으로써 약이 진드기 몸체에 접촉되어 진드기를 구제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훈연처리법으로서 약을 태워서 연기에 의해 진드기를 구제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 약품을 뿌려주는 방법으로서 약품을 물과 혼합하여 소비 사이에 뿌려주어 진드기를 구제하는 방법이다.
네 번째, 약품을 섭취시키는 방법으로서 약품을 설탕물(사양수)에 혼합하여 처리함으로써 진드기를 구제하는 방법이다.
특히, 양봉농가에서는 플루바리네이트(Fluvalinate)제제와 같은 화학적 살비제를 주로 이용하여 응애 방제를 하고 있으나, 화학적 제제의 의존과 남용으로 인해 방제비용의 증가뿐 만 아니라 양봉 산물 내 잔류, 약제 저항성 문제가 야기되는 바, 화학적 살비제의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적 살비제의 대안으로써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균주를 이용한 꿀벌 응애 구제용 생물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꿀벌응애 방제효과가 높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ATCC16085 또는 KTCC40029 균주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ATCC16085 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KTCC40029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ATCC16085 균주 또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KTCC40029 의 희석한 포자액을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화학적 살비제에서 야기되었던 양봉 산물 내 잔류, 약제 저항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중 가장 방제 효과가 높은 균주를 선별하여 이용함으로써 다른 균주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꿀벌응애를 구제할 수 있다.
도1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 균주 별 집락 및 균사의 형태학적 비교 사진을 도시한다.
도2는 대량 배양 배지에서 자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 균주의 포자 사진을 도시한다.
도3은 신규 제작한 꿀벌응애 구제제의 실험실내 효능 검사 유닛 사진을 도시한다.
도4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 균주 별 국내 꿀벌응애에 대한 구제능 형태학적 비교 사진을 도시한다.
도 5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 균주 별 국내 꿀벌응애에 대한 구제능 형태학적 비교 그래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ATCC16085 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리지움 속 미생물은 토양 해충에 대하여 살충력을 가지는 유효한 곤충병원성 미생물로서, 곤충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감염되어 죽은 곤충들 또는 토양해충이 서식하는 토양 시료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균주를 배양한 후 포자를 생성시켜 얻은 포자액을 이용할 수 있다. 꿀벌응애 구제를 위하여 사용되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의 포자는 바람직하게는 105개/ml 이상 1010개/ml 이하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7/ml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KTCC40029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KTCC40029를 이용하여 꿀벌 응애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균주를 배양한 후 포자를 생성시켜 얻어지는 포자액을 분무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포자는 바람직하게는 105개/ml 이상 1010개/ml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7/ml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균주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ATCC16085 또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KTCC40029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제방법은 상기의 균주를 이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해충 구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제 방법은 꿀벌응애에 감염된 꿀벌에게 분무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ATCC16085 또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KTCC40029를 이용한 꿀벌 응애 구제 방법은 상기 균주의 포자액을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상기의 조성물은 통상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기체 담체 또는 유인물(bait)과 혼합하거나, 염기성 물질, 예컨대 다공질 세라믹 플레이트 또는 부직포에 흡수시킨 후, 계면활성제 및 필요한 경우 기타 보조제들을 첨가하여, 이를 각종 형태들, 예컨대 오일 스프레이,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과립, 더스트, 에어로졸, 훈연제, 증기화 가능한 제형물, 스모킹 제형물, 독성 유인물, 진드기방지용 시이트 또는 수지 제형물로 제형할 수 있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형물은 분무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효 성분으로써 상기 균주의 포자액을 0.01 내지 95중량 % 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ATCC16085 균주 또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KTCC40029 균주를 부유시키는 단계; 포자의 수가 105개/ml 이상 1010개/ml이하가 되도록 희석시키는 단계;및 희석된 포자액을 꿀벌 응애에 감염된 벌에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응애 구제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희석된 포자액의 포자수는 107개/ml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분무는 1일 1회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3일 동안 연속하여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공시균주 공시충의 확보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 ATCC16085, KACC40029, KACC 40969, KACC40217, KACC40223, KACC40230, KACC40231는 각각 ATCC 및 KACC 로부터 구입 및 분양받았다. 상기 7가지의 공지 균주를 이용하여 국내 꿀벌응애(Varroa destructor , Korean haplotype) 구제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국내 꿀벌응애(Varroa destructor, Korean haplotype)는 충남 대전 소재 양봉농가에서 국내 꿀벌응애에 많이 감염된 꿀벌을 도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Metarhizium anisopliae )의 실험실내 배양
상기 실시예 1의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균주를 PDA배지(Potato dextrose agar, pH 5.5) 와 SDA(Sabouraud dextrose agar, pH 5.5)에 접종한 후 25℃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3.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Metarhizium anisopliae ) 균주의 포자 확인 시험법
페트리디쉬에 U자관과 슬라이드를 넣어 멸균한 후, 슬라이드 위에 작게 자른 배지를 놓고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배양된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균주를 접종하였다. 그 다음 커버글라스를 덮고 페트리디쉬 바닥에는 소량의 멸균증류수를 부어 균이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균이 자라면 배지는 버리고 락토페놀로 봉입하여 포자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4.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Metarhizium anisopliae )의 실험실내 대량 배양법
상기 실시예 3에 의해 확인된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hizium anisopliae) 균주의 포자를 PDB배지(Potato dextrose broth, pH 5.5)에 접종한 후 25℃에서 180rpm의 속도로 4일간 진탕 배양하여 액체 배양액을 얻었다. 3시간 정도 불린 쌀의 수분을 빼고 150g을 플라스틱 통에 넣어 멸균한 후 위에서 배양한 액체배양액을 접종, 혼합하여 25℃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5. 신규 제작한 꿀벌응애 구제제 효능 검사 유닛을 이용한 실험실 내 꿀벌 배양 및 국내 꿀벌응애 분리
뚜껑이 포함된 지름 9cm의 원형 플라스틱 용기의 뚜껑 윗부분을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잘라내고 잘라낸 부분을 철제 망으로 교체한 다음, 물을 충분히 적신 솜을 그 위에 올려주어 검사유닛으로 제작하였다(도3). 검사유닛 내부에 고형성분의 꿀을 먹이로 넣어주고 꿀벌을 배양하였고, 검사유닛에 설탕파우더를 뿌리고 상하로 흔들어 검사유닛 상부의 철제 망을 통해 꿀벌응애만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6. 국내 꿀벌응애( Varroa destructor , Korean haplotype )에 대한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 Metarhizium anisopliae ) 구제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4에 따라 대량 배양된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Metarhizium anisopliae)균주를 증류수 20ml로 부유시킨 다음, 포자의 수를 헤마토사이토미터로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107개/ml이 되게 희석하였다. 희석한 포자액을 분무기에 옮겨 담은 후, 실시예 5에 따라 배양한 국내 꿀벌응애에 감염된 꿀벌이 들어 있는 검사용기 내에 1일 1회, 3일간 분무하였고, 분무 완료 후 5일차, 9일차, 15일차, 20일차에 꿀벌응애를 분리하여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ATCC16085 균주 또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KTCC40029 균주를 배양한 포자액을 꿀벌 응애에 분무하는 경우 다른 균주와 비교하였을때, 균주의 포자가 응애 표면을 덮는 정도에 있어 형태학적인 차이가 관찰되므로 본 발명의 선별된 균주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ATCC16085 균주 또는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KTCC40029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 굴벌 구제의 효과가 다른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균주에 비하여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도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 실험대상 균주 별 국내 꿀벌 응애에 대한 구제능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선별 균주인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ATCC16085 균주 및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KTCC40029가 처리 3일 후 이후 저해율이 70%~80%로 최대 40%인 타 균주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저해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구제효과를 비교 실험한 결과 구제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2가지 균주(ATCC16085 및 KTCC40029)를 선발하였고 이를 이용하는 경우 국내의 꿀벌응애를 효과적으로 구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ATCC16085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ATCC16085 균주는 포자수가 105개/ml 이상 1010개/ml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2. 삭제
  3.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KTCC40029를 포함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Metarizium anisopliae) KTCC40029 균주는 포자수가 105개/ml 이상 1010개/ml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Metarhizium anisopliae) ATCC16085 균주를 부유시키는 단계;
    포자의 수가 105개/ml 이상 1010개/ml이하가 되도록 희석시키는 단계;및
    희석된 포자액을 꿀벌 응애에 감염된 벌에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응애 구제방법.
  7. 삭제
  8.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 (Metarhizium anisopliae) KTCC40029 균주를 부유시키는 단계;
    포자의 수가 105개/ml 이상 1010개/ml이하가 되도록 희석시키는 단계; 및
    희석된 포자액을 꿀벌 응애에 감염된 벌에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벌응애 구제방법.
KR1020110145861A 2011-12-29 2011-12-29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KR10138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861A KR101384515B1 (ko) 2011-12-29 2011-12-29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861A KR101384515B1 (ko) 2011-12-29 2011-12-29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254A KR20130077254A (ko) 2013-07-09
KR101384515B1 true KR101384515B1 (ko) 2014-04-11

Family

ID=4899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861A KR101384515B1 (ko) 2011-12-29 2011-12-29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5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835A (ko) 2017-10-17 2019-04-25 농업회사법인 비센 바이오 주식회사 쿼세틴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제제
CN111557307A (zh) * 2020-05-27 2020-08-21 重庆谷百奥生物研究院有限公司 金龟子绿僵菌在蜜蜂作为载体防治温室西花蓟马中的应用
KR20200122613A (ko) 2019-04-18 2020-10-28 농업회사법인 비센 바이오 주식회사 쿼세틴 및 티몰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012B1 (ko) * 2017-02-10 2018-12-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병원성 진균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충제
KR101966529B1 (ko) * 2017-06-30 2019-04-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솔수염하늘소에 방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한 Metarhizium anisopliae JEF-197 및 Metarhizium anisopliae JEF-279 균주, 이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를 방제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648A (ko) * 2009-03-30 2010-10-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648A (ko) * 2009-03-30 2010-10-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꿀벌 병해충 방제용 훈증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835A (ko) 2017-10-17 2019-04-25 농업회사법인 비센 바이오 주식회사 쿼세틴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제제
KR20200122613A (ko) 2019-04-18 2020-10-28 농업회사법인 비센 바이오 주식회사 쿼세틴 및 티몰을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CN111557307A (zh) * 2020-05-27 2020-08-21 重庆谷百奥生物研究院有限公司 金龟子绿僵菌在蜜蜂作为载体防治温室西花蓟马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254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265B1 (ko) 총채벌레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KR101384515B1 (ko) 메타리지움 애니소플리애를 이용한 꿀벌응애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CN102428916B (zh) 一种诱集二化螟雌蛾的化合物组合及其诱芯
Butu et al. Biopesticides: Clean and viable technology for healthy environment
CN103783030B (zh) 一种捕食性天敌昆虫绿步甲与绿僵菌组合防治害虫的方法
CN101347129B (zh) 一种用于杀灭蚊虫的苏云金杆菌悬浮剂
TW201031334A (en) Use of sulphur-containing heteroaromatic acid analogues
CN101697732B (zh) 一种卫生害虫杀虫剂的组合物
CN106172259A (zh) 一种昆虫病原线虫清洗方法
Kabiri et al. A comparison of the toxicity of the botanical insecticide, Sirinol and two chemical insecticides, Mospilan and Consult, on two natural enemies of the pistachio psyllid, coccinellid predator (Oenopia conglobata)...
Kumawat et al. Formulation of biopesticides for insect pests and diseases management in organic farming
KR20150137689A (ko) 천연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시설원예 병해충 복합 방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358858A (zh) 一种嗜菌异小杆线虫在温室蔬菜地下害虫生防中的应用
KR20140052117A (ko) 노랑무당벌레의 인공 사육방법
Bixby‐Brosi et al. Can a chitin‐synthesis‐inhibiting turfgrass fungicide enhance black cutworm susceptibility to a baculovirus?
KR101400713B1 (ko) 살충성 정유 및(또는) 식물첨가물을 함유한 살충성 조성물
Al-Olayan Evaluation of pathogenicity of certain mitosporic ascomycete fungi to the house fly, Musca domestica L.(Diptera: Muscidae)
KR101549977B1 (ko) 곤충병원성 선충의 제형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형물
KR101061038B1 (ko)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KR101089318B1 (ko) 식물기생선충 방제용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1613A (ko) 파밤나방 기피용 미생물제제
RU2812480C1 (ru) Штамм bacillus thuringiensis var. darmstadiensis 109/7 в качестве поли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редства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и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их роста
KR101519341B1 (ko) 곤충병원성 선충 상온보관용 꿀벌부채명나방 유충 및 버미큐라이트를 함유한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곤충병원성 선충 원스톱 대량 증식방법
KR101966529B1 (ko) 솔수염하늘소에 방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한 Metarhizium anisopliae JEF-197 및 Metarhizium anisopliae JEF-279 균주, 이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를 방제하는 방법
Boruah et al. Bioassay of some aqueous plant extracts against leaf and fruit scarring beetle, Basilepta subcostatum (Coleoptera, Chrysomelidae) of Ban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