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465B1 -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465B1
KR101384465B1 KR1020120015023A KR20120015023A KR101384465B1 KR 101384465 B1 KR101384465 B1 KR 101384465B1 KR 1020120015023 A KR1020120015023 A KR 1020120015023A KR 20120015023 A KR20120015023 A KR 20120015023A KR 101384465 B1 KR101384465 B1 KR 10138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vibrio
contaminated water
carbonate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418A (ko
Inventor
노열
강서구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5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465B1/ko
Priority to US13/660,587 priority patent/US20130206685A1/en
Publication of KR2013009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use of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1Consortia of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수 내의 용존 이산화탄소를 생물학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을 농화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농화배양된 미생물을 오염수에 처리하고 반응시킴으로써, 오염수 내의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은 화학적 이산화탄소 고정화 기술에 비하여 그 고정 공정이 간결하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고, 상온에서도 빠른 속도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할 수 있어 산업현장에 적용되기에 충분하며, 이산화탄소가 최종적으로 탄산칼슘의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효용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Method for fixing carbon dioxide and composition therefor}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수 내의 용존 이산화탄소를 생물학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에너지원으로서, 에너지의 효율이 높고, 저장이 간편하며,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격이 저렴한 장점으로 인해 앞으로도 중요한 에너지원으로서 이용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석연료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하여 대기중으로 다량 방출된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 및 생태계의 교란 등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범세계적인 협조체계가 요구되었으며, 1997년 12월 일본 교토의정서를 체결하면서 국가간 온실가스의 발생량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상기 협약은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여섯 종류의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테인, 아산화질소, 과불화탄소, 수소화불화탄소 및 육불화황)의 배출량 감축을 골자로, 국가 간의 격차를 고려한 순차적인 적용과 배출 거래권 제도 등을 규정하여 경제원칙에 입각한 효율적인 온실가스의 배출량 감소를 위하여 체결되었으며, 산업화된 국가를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2년까지 1990년 배출량보다 5.2%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 중 가스 중 가장 많은 양이 배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상당히 급속한 속도로 증가하여 2007년에는 384 ppm에 이르렀고, 2000년 이래로 1년 평균 2 ppm씩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감축을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CCS; CO2 capture and storage) 기술의 개발이 범 세계적인 과제가 되었다. 상기 CCS 기술은 ①화력발전소 등 주요 이산화탄소 발생지로터 이산화탄소이 분리 및 포집, ②포집된 이산화탄소의 수송, ③지질학적 방법에 의한 지하 매립 저장, ④안정적인 형태로 해상 저장, ⑤탄산염광물로 전환(탄산염광물화(mineral carbonation)) 및 ⑥알코올 등과 같은 탄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화공 약품 등으로 전환시키는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물질들 중에서 탄산염광물이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도 6 참조), 상기 6 가지의 CCS 기술들 중 탄산염광물화가 인위적 산업활동에 의해 야기된 이산화탄소 가스의 고정화를 위한 가장 매력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고,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산화탄소의 탄산염광물화는 매우 안정한 반응임에도 불구하고 반응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이러한 반응속도 증가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산업현장에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저렴하고 고효율적인 이산화탄소의 탄산염광물화 기술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속도가 증가된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을 농화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농화배양된 미생물을 오염수에 처리하고 반응시킴으로써, 오염수 내의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들의 농화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로 고정시키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 고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은 화학적 이산화탄소 고정화 기술에 비하여 그 고정 공정이 간결하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상온에서도 빠른 속도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할 수 있어 산업현장에 적용되기에 충분하며, 이산화탄소가 최종적으로 탄산칼슘의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효용성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주도 북제주군 우도의 서광리 해안에서 채취된 홍조단괴의 사진이다.
도 2는 제주도 북제주군 우도의 서광리 해안에서 채취된 홍조단괴를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16S rRNA-DGGE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계통분석도이다.
도 5는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에 의하여 생성된 탄산염광물을 XRD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에 의하여 생성된 탄산염광물을 SEM-EDS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 및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을 농화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농화배양된 미생물을 오염수에 처리하고 반응시킴으로써, 오염수 내의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은 1)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을 농화배양하는 단계; 및 2)상기 단계 1)에서 농화배양된 미생물을 오염수에 처리하고 반응시킴으로써, 오염수 내의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의 상기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은 1')홍조단괴를 채취하는 단계; 및 2')상기 단계 1')에서 채취된 홍조단괴를 D-1 배지(Sanchez-Roman et al., 2009 및 Sanchez-Roman et al., 2011), MH(Mueller-Hinton) 배지(Rodroguez-Valera et al., 1981) 및 살린(Saline) 배지(Chahal et al., 2011)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배지에 넣고 호기적 환경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양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배지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12011926736-pat00001
상기 단계 1')의 홍조단괴는 세포 내 혹은 세포벽 사이에 탄산염광물인 방해석을 침전시키면서 자라는 홍조류에 의하여 방해석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침전되어 형성된 자생광물의 집합체이다. 즉, 상기 홍조단괴는 홍조류에 의해서 탄산칼슘이 침전되어 형성된 단괴(nodule)를 의미한다. 상기 홍조단괴를 구성하는 탄산칼슘은 홍조류의 생물학적 대사에 의하여 침전되는데, 상기 탄산칼슘은 홍조류 주위에 존재하는 방해석과 같은 탄산염광물에서 유래한다. 상기 탄산염광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지만, 그 중 한 가지 원인으로 탄산염광물 생성 미생물의 대사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고, 이러한 탄산염광물을 생성하는 미생물은 상기 홍조단괴에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1')에서 이용되는 홍조단괴는 탄산염광물 생성 미생물의 소스(source)가 된다.
상기 단계 1')의 홍조단괴는 탄산염광물 생성 미생물을 포함한다. 상기 탄산염광물 생성 미생물은 대사과정에서 수중의 용존 이산화탄소 또는 탄산이온을 금속 양이온과 결합시켜 탄산염광물을 형성하는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마리노박테리움 코랄리이(Marinobacterium coralli)을 비롯한 홍조단괴에 서식하면서 탄산염광물 형성에 기여하는 다양한 미생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의 홍조단괴는 크기가 3 ㎝ 내지 10 ㎝인 것을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홍조단괴는 크기가 5 ㎝ 내지 7 ㎝인 것을 채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홍조단괴의 크기가 3 ㎝ 보다 작으면 상기 탄산염 생성 미생물의 절대적인 수가 적은 문제가 있고, 상기 홍조단괴의 크기가 10 ㎝ 보다 크면 상기 홍조단괴의 단위 면적당 존재하는 탄산염 생성 미생물의 수, 즉 탄산염 생성 미생물의 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단계 2')에서 미생물을 농화배양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제주도 북제주군 우도의 서광리 해안에서 채취된 크기가 5 ㎝ 내지 7 ㎝인 홍조단괴를 이용하여 탄산염광물 생성 미생물을 농화배양하였다.
상기 단계 2')의 배지는 탄산염 생성 미생물을 농화배양하는데 이용되는 배지라면 제한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으나, D-1 배지, MH 배지, 살린(saline) 배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지는 탄산염 생성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효모추출물(yeast extract)과 프로테오스 펩톤(proteose-peptone) 또는 영양 배지(nutrient broth)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미생물의 성장에 적합하며, NaCl이 포함되어 있어 바다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이 성장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단계 2')의 배지에는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이 첨가된 것이 바람직하다. 홍조단괴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들 중 탄산염광물의 생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농화배양하기 위해서, 상기 미생물들이 생물학적 대사 과정에서 CO3 2-를 탄산염광물로 고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을 배지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첨가는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첨가는 칼슘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및 칼슘 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칼슘 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이 첨가되는 경우, 칼슘 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비율은 1 : 1 내지 1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칼슘 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비율은 1 : 1 내지 1 : 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칼슘 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비율은 1 : 1 내지 1 : 5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단계 2')의 배양은 홍조단괴가 존재하는 해양환경과 유사한 호기적 환경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용한 제주도 우도 유래의 홍조단괴는 주도 우도의 천해환경에서 주로 형성되어 존재하는데, 상기 홍조단괴는 홍조류에 의하여 형성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홍조단괴를 형성하는 핵의 역할을 하는 물질이 형성되는 메카니즘에 관하여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홍조단괴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이 홍조단괴 형성 과정에서 최초 핵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탄산칼슘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홍조단괴가 형성될 수 있는 지역의 환경과 유사한 호기성 조건을 형성하여 홍조단괴 내의 미생물을 농화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제주도 북제주군 우도의 서광리 해안에서 채취된 홍조단괴를 Agate와 Mortar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분쇄된 홍조단괴 약 5 g을 D-1 배지에 넣고,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을 주입한 후에 7일 동안 호기성 조건 하에서 배양하여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단계 2)의 농화배양된 미생물은 비브리오 알기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 비브리오 오웬시이(Vibrio owensii), 비브리오 쿠이(Vibrio xuii), 비브리오 블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네레이스(Vibrio nereis),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마리노박테리움 코랄리이(Marinobacterium coralli), 바고코커스 플루비알리스(Vagococcus fluvialis), 푸소박테리움 페르포에텐스(Fusobacterium perfoetens), 틴달리아 캘리포그니엔시스(Tindallia californiensis), 아르코박터 마리누스(Arcobacter marinus), 파라박테로이데스 고르도니이(Parabacteroides gordonii) 및 프로릭시박터 벨라리이보란스(Prolixibacter bellariivoran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생물은 비브리오 알기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 비브리오 오웬시이(Vibrio owensii), 비브리오 쿠이(Vibrio xuii), 비브리오 블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네레이스(Vibrio nereis),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및 마리노박테리움 코랄리이(Marinobacterium corall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 내에 존재하는 철환원미생물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6S rRNA-DGGE 분석을 실시한 결과,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및 마리노박테리움 코랄리이(Marinobacterium coralli)를 비롯한 다양한 종의 미생물이 확인되었다(도 4 참조).
상기 단계 2)의 오염수는 인위적 산업활동에 의해 과다하게 유발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용해된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정 대상이 되는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는 해수 또는 담수이다. 상기 고정 대상이 되는 이산화탄소는 용해되어 상기 해수 또는 담수 중에서 탄산 음이온(CO3 2-) 또는 탄산수소 음이온(HCO3 -)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오염수에는 이산화탄소 외에도 금속 양이온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1족 또는 2족의 금속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은 2족의 금속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은 칼슘 또는 마그네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탄산 음이온 또는 탄산수소 음이온은 상기 오염수 내에 존재하는 칼슘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과 결합하여 탄산염광물의 형태로 고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이온과 양이온의 결합이 홍조단괴 유래의 미생물의 생물학적 대사에 의해서 촉진된다.
상기 단계 2)의 처리는 상기 오염수에 상기 단계 1)에서 농화배양된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을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은 상기 오염수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0.5 w/v% 내지 1.5 w/v%의 농도로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화배양물이 상기 오염수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0.5 w/v% 보다 낮은 농도로 주입되면,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가 고정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농화배양물이 상기 오염수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1.5 w/v% 보다 높은 농도로 주입되면, 상기 농화배양물 내의 과잉 미생물의 호흡에 의해 용존 산소의 농도가 낮아져 오염수가 혐기성 환경이 되고, 결국에는 부패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염수에 처리되는 미생물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바, 상기 농화배양물의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다.
상기 단계 2)의 처리는 상기 오염수에 상기 단계 1)의 농화배양물과 함께 추가적으로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주입이 병행될 수 있다. 특히, 오염수 내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농도가 낮은 경우, 오염수 내의 탄산 음이온 또는 탄산수소 음이온이 탄산염광물로 쉽게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을 공급해 주는 것이다. 상기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공급은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공급은 칼슘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및 칼슘 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단계 2)의 반응은 주입된 상기 단계 1)의 농화배양물 내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이 상기 오염수 내에서 생물학적 대사를 진행하여 오염수 내의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의 형태로 고정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농화배양물 내의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이 호기성 미생물인 바,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는 호기성 조건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농화배양물 내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들은 생물학적 대사를 통해 용존 탄산 음이온 또는 탄산수소 음이온을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과 결합시킴으로써 탄산염광물을 형성하고, 상기 탄산염광물의 형태로 수중 용존 이산화탄소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반응은 상온, 상압의 조건에서 7일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상기 농화배양물 내에 포함된 다양한 미생물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탄산염으로 고정한다.
상기 단계 2)의 탄산염광물은 방해석일 수 있으며, 상기 방해석은 상기 오염수 내에 존재하는 금속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그 구성 성분이 결정된다. 즉, 오염수 내에 칼슘 양이온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탄산칼슘의 비율이 높은 방해석의 형태로 이산화탄소가 고정되고, 오염수 내에 마그네슘 양이온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탄산마그네슘의 비율이 높은 방해석의 형태로 이산화탄소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1.0 w/v%의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 농화배양물을 30 mmol 또는 100 mmol의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혼합물과 함께 오염수에 첨가하여 7일 동안 배양한 결과, 100 mmol의 Ca/Mg-아세테이트가 첨가된 실험군은 4일이 경과하면서부터 삼각플라스크 내의 탁도가 증가하면서 가장 먼저 하얀 침전물이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7일이 경과하면서 부터는 모든 실험군에서 침전물이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침전물의 XRD 및 XRF 분석 결과, 홍조단괴는 XRF 분석 결과와 같이 상기 침전물에도 약 46 %의 CaO와 약 5 %의 MgO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XRD 분석 결과도 홍조단괴의 XRD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d(104) 피크는 2.99 Å으로 측정되었다(도 5 참조). 또한 SEM-EDS 분석 결과, 상기 침전물 모두 능면체 모양의 방해석이 관찰되었고,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혼합물의 농도가 진하면 진할수록 표면의 크기와 거칠기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6 참조).
2. 이산화탄소의 고정용 조성물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들의 농화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의 형태로 고정시키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 고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 고정용 조성물은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들의 농화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 고정용 조성물은 상기 "1.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에 이용되는 조성물이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의 이용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상기 1.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의 설명을 원용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다른 특성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홍조단괴는 상기 "1.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항목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홍조단괴 또한 탄산염광물 생성 미생물을 포함하고, 상기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은 대사과정에서 수중의 용존 이산화탄소 또는 탄산이온을 금속 양이온과 결합시켜 탄산염광물을 형성하는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마리노박테리움 코랄리이(Marinobacterium coralli)을 비롯한 홍조단괴에 서식하면서 탄산염광물 형성에 기여하는 다양한 미생물을 의미한다.
상기 농화배양물은 상기 "1.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항목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를 포함하는 농화배양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농화배양물은 브리오 알기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 비브리오 오웬시이(Vibrio owensii), 비브리오 쿠이(Vibrio xuii), 비브리오 블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네레이스(Vibrio nereis),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마리노박테리움 코랄리이(Marinobacterium coralli), 바고코커스 플루비알리스(Vagococcus fluvialis), 푸소박테리움 페르포에텐스(Fusobacterium perfoetens), 틴달리아 캘리포그니엔시스(Tindallia californiensis), 아르코박터 마리누스(Arcobacter marinus), 파라박테로이데스 고르도니이(Parabacteroides gordonii) 및 프로릭시박터 벨라리이보란스(Prolixibacter bellariivoran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 내에 존재하는 철환원미생물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6S rRNA-DGGE 분석을 실시한 결과,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및 마리노박테리움 코랄리이(Marinobacterium coralli)를 비롯한 다양한 종의 미생물이 확인되었다(도 4 참조).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에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오염수 내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의 농도가 낮은 경우, 오염수 내의 탄산 음이온 또는 탄산수소 음이온이 탄산염광물로 쉽게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을 공급해 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에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을 추가함으로써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의 추가는 칼슘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및 칼슘 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나, 칼슘 양이온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이면 한정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오염수는 인위적 산업활동에 의해 과다하게 유발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용해된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정 대상이 되는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는 해수 또는 담수이다. 상기 고정 대상이 되는 이산화탄소는 용해되어 상기 해수 또는 담수 중에서 탄산 음이온(CO3 2-) 또는 탄산수소 음이온(HCO3 -)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오염수에는 이산화탄소 외에도 금속 양이온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1족 또는 2족의 금속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은 2족의 금속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은 칼슘 또는 마그네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탄산 음이온 또는 탄산수소 음이온은 상기 오염수 내에 존재하는 칼슘 또는 마그네슘 양이온과 결합하여 탄산염광물의 형태로 고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이온과 양이온의 결합이 홍조단괴 유래의 미생물의 생물학적 대사에 의해서 촉진된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농화배양물 내 다양한 미생물들은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상기 음이온과 양이온의 결합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상기 오염수 내에 처리되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농화배양물 내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이 상기 오염수 내에서 생물학적 대사를 진행하여 오염수 내의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의 형태로 고정하게 되고, 상기 탄산염광물은 방해석일 수 있다. 상기 방해석은 상기 오염수 내에 존재하는 금속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그 구성 성분이 결정된다. 즉, 오염수 내에 칼슘 양이온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탄산칼슘의 비율이 높은 방해석의 형태로 이산화탄소가 고정되고, 오염수 내에 마그네슘 양이온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탄산마그네슘의 비율이 높은 방해석의 형태로 이산화탄소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1.0 w/v%의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 농화배양물을 30 mmol 또는 100 mmol의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혼합물과 함께 오염수에 첨가하여 7일 동안 배양한 결과, 100 mmol의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혼합물이 첨가된 실험군은 4일이 경과하면서부터 삼각플라스크 내의 탁도가 증가하면서 가장 먼저 하얀 침전물이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7일이 경과하면서 부터는 모든 실험군에서 침전물이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침전물의 XRD 및 XRF 분석 결과, 홍조단괴는 XRF 분석 결과와 같이 상기 침전물에도 약 46 %의 CaO와 약 5 %의 MgO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XRD 분석 결과도 홍조단괴의 XRD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d(104) 피크는 2.99 Å으로 측정되었다(도 5 참조). 또한 SEM-EDS 분석 결과, 상기 침전물 모두 능면체 모양의 방해석이 관찰되었고,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혼합물의 농도가 진하면 진할수록 표면의 크기와 거칠기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6 참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홍조단괴의 채취 및 분석
<1-1> 우도 주변 해수의 특성 분석
제주도 우도 각 해변 해수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H를 측정하고,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ry)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수의 pH는 약 50 ml의 해수시료를 채취한 다음, Orion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pH meter는 pH가 각각 4, 7, 10인 용액으로 pH를 측정한 후 보정하여, 해수의 pH를 측정하였다. 해수 내 존재하는 양이온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해수시료를 채취한 후에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도록 질산을 1 ㎖ 추가한 후에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분소에 분석을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pH 측정 결과, 제주도 우도 주변 해수는 평균적으로 5 내지 8 정도로 약산성과 중성 사이인 것으로 측정되었다(표 2). 또한 ICP-AES 분석 결과, 제주도 우도 주변 해수 내의 칼슘 이온(Ca2+) 농도는 약 400 ㎎/ℓ인 것으로 측정되었다(표 3).
일반적으로 탄산염 광물인 방해석(CaCO3)이 염기성 환경(pH= 9.3 내지 9.8) 및 높은 포화도(Saturation Index = 1 내지 1.4)(포화도란, Ca와 CO3 2-의 농도가 높아 화학적으로 CaCO3가 침전될 수 있는 농도를 의미한다.)의 상온 조건에서 화학적으로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제주도 우도 해변 중, 서쪽 서광리 해빈에서 발견되는 홍조단괴는 화학적인 작용이 아닌 다른 생성원인에 의하여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2011926736-pat00002
Figure 112012011926736-pat00003
<1-2> 홍조단괴의 채취
제주도 우도 서쪽 서광리 해빈 근처에서 간조 때를 이용하여 해수 안에 존재하는 크기 5 ㎝ 내지 7 ㎝의 홍조단괴를 손으로 직접 채취하였다(도 1).
<1-3> 홍조단괴의 지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채취된 홍조단괴의 지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XRF(X-Ray Fluorescence) 및 XRD(X-Ray Diffrac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홍조단괴의 XRF 및 XRD 분석을 위하여 홍조단괴를 분쇄한 후에 XRF 분석은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분소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분쇄한 홍조단괴의 XRD분석을 위해 분석기기는 X'Pert PRO Multi Purpose X-Ray Diffractometer으로 Cu-Kα선과 Ni-filter를 이용하였다. 가속전압은 40 kV, 전류는 30 mA, scan speed는 0.13 °/sec, step size는 0.026 °2Th의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상기 홍조단괴는 XRF 분석 결과 약 46 %의 CaO와 약 5 %의 MgO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XRD 분석 결과 d(104) 피크가 2.99 Å으로 측정되었다(도 2).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상기 홍조단괴는 방해석 결정구조 내에서 대부분의 Ca가 회전반경이 작은 Mg로 치환되어 Ca와 Mg의 비율이 9 : 1인, Mg가 풍부한 방해석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홍조단괴가 Mg 성분이 풍부한 방해석(CaCO3)으로 구성되는 이유는 상기 방해석의 생성 과정에서 Ca 성분이, 회전반경이 작으면서 상기 서광리 해빈 주변 해수에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는 Mg 성분으로 치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홍조단괴 유래 탄산염 생성 미생물의 농화배양 및 분석
<2-1> 탄산염 생성 미생물의 농화배양 방법
상기 실시예 <1-2>에서 채취한 홍조단괴를 Agate와 Mortar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상기 홍조단괴의 분쇄물 5 g을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의 D-1 배지 100 ㎖가 담긴 500 ㎖의 삼각 플라스크병에 주입하고,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유입이 가능한 스펀지로 삼각플라스크의 입구를 막은 후에 햇빛이 비치는 상온 및 상압의 실험실 조건에서 7일 동안 배양하여, 탄산염 생성 미생물을 농화배양하였다(도 3). 상기 탄산염 생성 미생물의 농화배양에 이용된 D-1 배지는 121 ℃에서 20분 동안 고압멸균한 다음 이용하였다.
<2-2> 홍조단괴 유래 탄산염 생성 미생물의 농화배양물에 대한 분석
상기 실시예 <2-1>에서 농화배양한 홍조단괴 유래 탄산염 생성 미생물의 농화배양물 내에 존재하는 철환원미생물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농화배양된 미생물에서 핵산을 추출한 후 PCR을 이용하여 16S rRNA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출된 미생물의 핵산 1 ㎕을 주형으로 하여 universal primer로 알려진 9F (5'-GAG TTT GAT CCT GGC TCA G-3'), 1542R (5'-AGA AAG GAG GTG ATC CAG CC-3') 프라이머, 0.1 ㎕의 Taq 폴리머라제(Taq polymerase) (5 unit/㎕, TAKARA), 2 ㎕의 10X PCR 버퍼 및 1.6 ㎕의 dNTP의 반응 혼합물 20 ㎕를 만들어 세균의 16S rRNA의 일부를 PCR로 증폭하였다. PCR 증폭 산물은 1% 아가로즈 젤 전기영동(Agarose gel electrophrosis)시킨 뒤 EtBr(ethidium bromide)로 염색(stain)한 다음, PCR 산물의 생성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PCR 산물은 다시 GC 클램프(clamp)가 붙은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한 후, 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실시하였다. 상기 DGGE상의 밴드(band)를 추출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및 마리노박테리움 코랄리이(Marinobacterium coralli)를 비롯하여, 비브리오 알기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 비브리오 오웬시이(Vibrio owensii), 비브리오 쿠이(Vibrio xuii), 비브리오 블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네레이스(Vibrio nereis), 바고코커스 플루비알리스(Vagococcus fluvialis), 푸소박테리움 페르포에텐스(Fusobacterium perfoetens), 틴달리아 캘리포그니엔시스(Tindallia californiensis), 아르코박터 마리누스(Arcobacter marinus), 파라박테로이데스 고르도니이(Parabacteroides gordonii) 및 프로릭시박터 벨라리이보란스(Prolixibacter bellariivorans) 등, 총 234 종의 미생물이 확인되었다(도 4).
상기와 같은 미생물들은 홍조단괴의 생성에 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예측된다. 즉, 상기와 같은 홍조단괴는 상기와 같은 미생물들, 특히 탄산염 생성 미생물들의 대사에 의하여 수중의 용존 이산화탄소가 수중의 금속 양이온과 결합하여 고정되고 탄산염광물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탄산염 광물의 형성 과정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미생물들은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탄산염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중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및 탄산염광물의 합성
<3-1> 수중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및 탄산염광물의 합성
표 1과 같은 조성의 고압멸균한 D-1 배지 100 ㎖가 담긴 500 ㎖의 삼각 플라스크병에 상기 실시예 <2-1>에서 농화배양한 배양물(이하, '농화배양물'이라 한다.)을 상기 배지의 부피를 기준으로 1 w/v%의 농도로 접종한 후, 칼슘 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햇빛이 비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유입이 가능한 스펀지로 삼각플라스크의 입구를 막은 후에 햇빛이 비치는 상온 및 상압의 실험실 조건에서 7일 동안 반응시키되, 첨가되는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혼합물의 농도(0 mmol, 30 mmol 및 100 mmol)에 따라 세 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배지 내에 포함된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혼합물과 대기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가 배지에 용해된 탄산 음이온 또는 탄산수소 음이온과 반응하여 탄산염광물이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었
그 결과, 100 mmol의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혼합물이 첨가된 실험군은 4일이 경과하면서부터 삼각플라스크 내의 탁도가 증가하면서 가장 먼저 하얀 침전물이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7일이 경과하면서 부터는 모든 실험군에서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3-2> 생성된 침전물의 지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3-1>에서 생성된 침전물의 지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XRD, XRF 및 SEM-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분석을 위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에, 침전물을 상온에서 건조한 후에 건조된 침전물에 대하여 XRD, XRF 및 SEM-EDS을 실시하였다.
세 실험군에서 생성된 침전물의 XRD 및 XRF 분석 결과, 홍조단괴는 XRF 분석 결과와 같이 상기 침전물에도 약 46 %의 CaO와 약 5 %의 MgO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XRD 분석 결과도 홍조단괴의 XRD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d(104) 피크는 2.99 Å으로 측정되었다(도 5). 즉, 상기 실시예 <3-1>에서 생성된 침전물은 결정구조 내에서 대부분의 Ca가 회전반경이 작은 Mg로 치환되어 Ca와 Mg의 비율이 9 : 1인, Mg가 풍부한 방해석임을 알 수 있다. 또한 SEM-EDS 분석 결과, 세 실험군에서 생성된 침전물 모두 능면체 모양의 방해석이 관찰되었고, 칼슘 아세테이트 및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혼합물의 농도가 진하면 진할수록 표면의 크기와 거칠기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6).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상기 실시예 <3-1>에서 생성된 침전물은 상기 실시예 <1-2>에서 채취된 홍조단괴와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실시예 <2-1>의 농화배양물을 이용하여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들이 대사에 의해 홍조단괴를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중의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로 고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을 농화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농화배양된 미생물을 오염수에 처리하고 호기성 조건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는 탄산염광물로 고정되는 것인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을 농화배양하는 단계는
    홍조단괴를 채취하는 단계; 및
    상기 채취된 홍조단괴를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이 포함된 D-1 배지, MH 배지 및 살린(Saline) 배지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배지에 넣고 호기적 환경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화배양된 미생물은 상기 오염수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0.5 w/v% 내지 1.5 w/v%의 농도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에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을 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에 칼슘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및 칼슘 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염광물은 방해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의 고정 방법.
  7.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광물의 형태로 고정시키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 고정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홍조단괴 유래 미생물의 농화배양물은 비브리오 알기놀리티쿠스(Vibrio alginolyticus), 비브리오 오웬시이(Vibrio owensii), 비브리오 쿠이(Vibrio xuii), 비브리오 블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네레이스(Vibrio nereis),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마리노박테리움 코랄리이(Marinobacterium coralli), 바고코커스 플루비알리스(Vagococcus fluvialis), 푸소박테리움 페르포에텐스(Fusobacterium perfoetens), 틴달리아 캘리포그니엔시스(Tindallia californiensis), 아르코박터 마리누스(Arcobacter marinus), 파라박테로이데스 고르도니이(Parabacteroides gordonii) 및 프로릭시박터 벨라리이보란스(Prolixibacter bellariivoran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 고정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 고정용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칼슘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및 칼슘아세테이트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 고정용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염광물은 방해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 고정용 조성물.
KR1020120015023A 2012-02-14 2012-02-14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KR10138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23A KR101384465B1 (ko) 2012-02-14 2012-02-14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US13/660,587 US20130206685A1 (en) 2012-02-14 2012-10-25 Method for fixing carbon dioxide and composition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23A KR101384465B1 (ko) 2012-02-14 2012-02-14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418A KR20130093418A (ko) 2013-08-22
KR101384465B1 true KR101384465B1 (ko) 2014-05-07

Family

ID=4894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023A KR101384465B1 (ko) 2012-02-14 2012-02-14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06685A1 (ko)
KR (1) KR101384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285B1 (ko) * 2018-05-16 2019-10-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 체외고분자물질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상기 미생물 체외고분자물질을 이용한 미세 균열 보수 방법
CN114751512B (zh) * 2022-03-24 2023-07-07 重庆天星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微生物固碳反应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99578A1 (en) * 2002-11-26 2004-06-18 Gordon H. Sato Microbial feedstock for filter feeding aquatic organisms
US9175256B2 (en) * 2010-12-23 2015-11-0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duction of fatty acids and fatty acid derivatives by recombinant microorganisms expressing polypeptides having lipolytic activit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recipitation of calcium carbonate by Vibrio spp. from an inland saltern. FEMS Microbiology Ecology. Volume 13, Issue 3, pp. 197-2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6685A1 (en) 2013-08-15
KR20130093418A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ehnder et al. Physiology of a Methanobacterium strain AZ
CN102851214B (zh) 盐生杜氏藻培养基配方及四级培养技术
Arata et al. Spirulina platensis culture with flue gas feeding as a cyanobacteria‐based carbon sequestration option
Boone et al. Alkaliphilic methanogens from high-pH lake sediments
CN110283739A (zh) 一株耐盐的反硝化细菌及其应用
Reddy et al.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on biocement-based composites
Svetlichny et al. Anaerobic extremely thermophilic carboxydotrophic bacteria in hydrotherms of Kuril Islands
KR101384465B1 (ko) 이산화탄소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Gavrilov et al. Diversity of novel uncultured prokaryotes in microbial communities of the Yessentukskoye underground mineral water deposit
Muthumbi et al. Microbial sulfate reduction with acetate: process performance and composition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reactor at different salinity levels
CN103255048B (zh) 海水体系钝顶螺旋藻生物矿化固定二氧化碳装置及方法
CN105039234B (zh) 一种用于消除沉积物中硫化物的微生物复合菌群
KR101384454B1 (ko) 스트론튬 고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CN109825454A (zh) 一株硝酸盐还原菌、培养方法及应用
CN109825459A (zh) 一株偶联产氢的异化铁还原细菌
CN106148218A (zh) 水产用光合细菌微生态及其应用
CN111004749B (zh) 一株耐盐的迟缓芽孢杆菌gbw-hb1902及其应用
CN105296399B (zh) 一株马氏副球菌及其在促进聚球藻生长中的应用
Lai et al. Characterization of Methanosarcina mazei N2M9705 isolated from an aquaculture fishpond
CN111268807A (zh) 利用土著脱氮微生物菌群脱除稀土浸矿场地残留铵盐淋出液中氨氮的方法
CN102533620B (zh) 一株降解甲烷气体的甲基细菌
Song et 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bacteria and archaea in Tuosu Lake in Qaidam Basin
KR101480590B1 (ko) 호압성 황산화 화학독립영양미생물을 이용하여 고압 이산화탄소를 바이오매스로 고정 또는 전환하는 방법
Shanmugam et al. Microbial Calcification: An insight into carbonate precipitation and its emerging influence in diverse applications
Kim et al. Enhancement of carbon dioxide reduction and methane production by an obligate anaerobe and gas dissolu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