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270B1 -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270B1
KR101384270B1 KR1020130067128A KR20130067128A KR101384270B1 KR 101384270 B1 KR101384270 B1 KR 101384270B1 KR 1020130067128 A KR1020130067128 A KR 1020130067128A KR 20130067128 A KR20130067128 A KR 20130067128A KR 101384270 B1 KR101384270 B1 KR 10138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guide
sorting
open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범
임양수
박노용
신창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콘 filed Critical (주)아이콘
Priority to KR102013006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두께 측정이 완료된 스페이서의 측정 두께에 따라 선별 배출 및 수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작업성 및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께측정이 이루어진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S)를 측정 두께별로 선별 배출하기 위한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에 있어서, 하부에는 스페이서(S)를 두께별로 수거하기 위한 다수의 수거함(90)이 고정 구성되고; 상기 수거함(90)의 상부에는 각 수거함(90)으로 스페이서(S)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의 가이드홈(81)을 형성하고 있는 배출가이드(80)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가이드(80) 상부에는 두께 측정이 이루어진 스페이서(S)를 해당 가이드홈(81)측으로 선별 배출하기 위해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안내통공(71)이 형성된 선별 배출부(70)가 선별 실린더(74)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선별 배출부(70)에는 안내통공(71)의 개폐를 위한 개폐구(72)가 개폐 실린더(73)에 의해 개폐구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SPACER SELECTION OUTPUT DEVICE FOR CAMERA LENS}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링형상으로 성형 제작이 이루어진 스페이서의 두께 측정작업이 이루어진 후 두께 별로 스페이서를 선별 배출하여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현재 800만 화소의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CCM:Compact Camera Module)은 소형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와 렌즈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다수의 렌즈들 사이의 정밀한 간격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가 주요 부품으로 장착된다.
한편, 이러한 스페이서는 생산 과정에서 두께 측정을 통해 분류작업이 실시되어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생산된 스페이서의 두께 측정을 작업자가 기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실시함으로 인해 생산 효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의 개선을 위해 특허출원 제2012-77194호에서는 자동으로 스페이서의 두께 측정이 이루어짐과 함께 측정이 이루어진 스페이서를 측정 두께별로 선별 수거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두께별로 스페이서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수거함이 직접 직선 이동되면서 배출측에서 배출되는 스페이서가 해당 수거함으로 수거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거함이 직접 직선유동되어짐에 따라 내부에 보관중에 스페이서에 흔들림이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스페이서간 마찰이 발생되면서 파손 내지는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수거함이 고정 설치되어진 상태에서 측정 두께에 따라 스페이서를 해당 수거함으로 선별 배출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제품의 선별작업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제품의 불량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두께측정이 이루어진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를 측정 두께별로 선별 배출하기 위한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에 있어서, 하부에는 스페이서를 두께별로 수거하기 위한 다수의 수거함이 고정 구성되고; 상기 수거함의 상부에는 각 수거함으로 스페이서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있는 배출가이드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가이드 상부에는 두께 측정이 이루어진 스페이서를 해당 가이드홈측으로 선별 배출하기 위해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안내통공이 형성된 선별 배출부가 선별 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선별 배출부에는 안내통공의 개폐를 위한 개폐구가 개폐 실린더에 의해 개폐구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 배출부에 형성된 안내통공은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개폐구는 안내통공의 하부에서 개폐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는, 두께 측정이 완료된 스페이서의 측정 두께에 따라 선별 배출 및 수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수거함은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상부의 선별 배출부의 수평 이동을 통해 선별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제품의 불량발생을 방지하고 보다 정밀한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스페이서 이송 배출부 평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스페이서 이송 배출부 동작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스페이서 선별 배출부 평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선별 배출부 개폐 동작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선별 배출부 개폐 동작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스페이서 선별 배출 및 수거부 정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선별 배출부 이동상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정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측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두께측정이 이루어진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S)를 측정 두께별로 선별 수거하기 위한 다수의 수거함(90)이 고정 구성되고, 수거함(90)의 상부에는 각 수거함(90)으로 스페이서(S)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의 가이드홈(81)을 형성하고 있는 배출가이드(80)가 구성되며, 배출가이드(80) 상부에는 두께 측정이 이루어진 스페이서(S)를 해당 가이드홈(81)측으로 선별 배출하기 위해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안내통공(71)이 형성된 선별 배출부(70)가 선별 실린더(74)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선별 배출부(70)에는 안내통공(71)의 개폐를 위한 개폐구(72)가 개폐 실린더(73)에 의해 개폐구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선별 배출부(70)는 선별 실린더(74)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린더(74) 구동에 의해 좌우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어져 있으며, 개폐 실린더(73)는 선별 배출부(70)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 구성되고, 선별 배출부(70)에 형성된 안내통공(71)은 스페이서(S)의 파손 발생을 방지하도록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개폐구(72)는 안내통공(71)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의 왕복 개폐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개폐구(72)는 개폐 실린더(73) 구동에 따른 수평 이동과정에서 선별 배출부(70)의 외측벽과 접촉에 따른 충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의 제1탄성층(72a)이 일측에 형성되고, 개폐구(72)의 바닥면에는 안내통공(71)으로 낙하되는 스페이서(S)의 완충기능을 통한 부품 파손이 방지되도록 제2탄성층(7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별 배출부(70)의 일측에는 두께측정이 완료된 스페이서(S)를 선별 배출부(7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가이드(60)가 구성되어지되, 상기 이송가이드(60)는 이송실린더(61)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가이드(60)의 선단부에는 스페이서(S)의 배출이동 과정에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지지홈(6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스페이서(S)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부(63)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페이서 두께측정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두께측정 작업을 위해 스페이서(S)가 안착되어지는 안착 플레이트이고, 20 및 30은 각각 스페이서(S)의 두께 측정작업을 위해 승강실린더(40)에 의해 동시에 승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접촉구와 바닥 접촉구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9에서 미설명 부호 50은 공급실린더(51) 구동에 의해 스페이서를 두께측정위치로 밀어주기 위해 푸쉬프레임(57)에 의해 연결된 푸싱 공급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일측의 두께측정부에서 스페이서 접촉구(20) 및 바닥 접촉구(30)가 승강 실린더(40) 구동에 의해 하강되어짐으로서 안착 플레이트(10)에 안착되어져 있는 스페이서(S)의 두께 측정이 완료되면, 이송가이드(60) 구동에 의해 스페이서(S)가 선별 배출부(70) 측으로 이송된 후 두께 별로 선별되어 해당 수거함(90)으로 배출 수거되어지게 된다.
즉, 이때에는 이송실린더(61) 구동에 의해 이송 가이드(60)가 직선 이동되어지게 되면 지지홈(62)에 의해 가이드 되어지는 스페이서(S)가 선별 배출부(70) 측으로 이송되어진 후 안내통공(71)으로 낙하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S)가 선별 배출부(70)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측정 두께에 해당하는 수거함(90)에 대응되어지도록 선별 실린더(74) 구동에 의해 선별 배출부(70)의 수평 이동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선별 배출부(70)의 선별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개폐 실린더(73) 구동에 의해 안내통공(71)의 하단부를 막고 있는 개폐구(72)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안내통공(71)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내통공(71)의 하부를 막고 있던 개폐구(72)의 개방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내부에 보관중이던 스페이서(S)가 배출 가이드(80)측으로 낙하되어지게 되고, 배출 가이드(80)로 낙하된 스페이서(S)는 가이드홈(81)을 통해 하향으로 안내되어진 후 해당 수거함(90)에 수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페이서(S)가 배출된 후 개폐구(72)는 다시 개폐 실린더(73) 동작에 의해 안내통공(71)을 폐쇄시키기 위한 원위치로 이동함으로서 다음 스페이서의 이송을 준비하게 되는데, 이때 개폐구(72) 일측에는 선별 배출부(70)의 외측벽과 접촉에 따른 충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제1탄성층(72a)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호 접촉에 따른 충격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개폐구(72)의 바닥면에는 안내통공(71)으로 낙하되는 스페이서(S)의 완충기능을 위한 제2탄성층(72b)이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낙하 충격으로 인한 스페이서(S)의 파손이나 변형 발생이 방지되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페이서(S)의 이송 및 선별수거 동작이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되어짐으로서 일측에서 두께 측정이 이루어진 스페이서(S)를 해당 두께에 맞는 수거함(90)으로 선별 배출 및 수거가 대량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작업성 및 생산효율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스페이서 선별배출장치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안착 플레이트 20 : 스페이서 접촉구
30 : 바닥 접촉구 40 : 승강 실린더
50 : 푸싱 공급구 51 : 공급실린더
60 : 이송가이드 61 : 이송실린더
62 : 지지홈 63 : 개방부
70 : 선별 배출부 71 : 안내통공
72 : 개폐구 72a,72b: 탄성층
73 : 개폐 실린더 74 : 선별 실린더
80 : 배출 가이드 81 : 가이드홈
90 : 수거함

Claims (5)

  1. 두께측정이 이루어진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S)를 측정 두께별로 선별 배출하기 위한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에 있어서,
    하부에는 스페이서(S)를 두께별로 수거하기 위한 다수의 수거함(90)이 고정 구성되고;
    상기 수거함(90)의 상부에는 각 수거함(90)으로 스페이서(S)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의 가이드홈(81)을 형성하고 있는 배출가이드(80)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가이드(80) 상부에는 두께 측정이 이루어진 스페이서(S)를 해당 가이드홈(81)측으로 선별 배출하기 위해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안내통공(71)이 형성된 선별 배출부(70)가 선별 실린더(74)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선별 배출부(70)에는 안내통공(71)의 개폐를 위한 개폐구(72)가 개폐 실린더(73)에 의해 개폐구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실린더(73)는 선별 배출부(70)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 배출부(70)에 형성된 안내통공(71)은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개폐구(72)는 안내통공(71)의 하부에서 개폐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72)는 개폐 실린더(73) 구동에 따른 수평 이동과정에서 선별 배출부(70)의 외측벽과 접촉에 따른 충격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제1탄성층(72a)이 일측에 형성되고, 개폐구(72)의 바닥면에는 안내통공(71)으로 낙하되는 스페이서(S)의 완충기능을 위한 제2탄성층(7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 배출부(70)의 일측에는 두께측정이 완료된 스페이서(S)를 선별 배출부(7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가이드(60)가 구성되어지되, 상기 이송가이드(60)는 이송실린더(61)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송가이드(60)의 선단부에는 스페이서(S)의 배출이동 과정에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지지홈(6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스페이서(S)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부(6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KR1020130067128A 2013-06-12 2013-06-12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KR10138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128A KR101384270B1 (ko) 2013-06-12 2013-06-12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128A KR101384270B1 (ko) 2013-06-12 2013-06-12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270B1 true KR101384270B1 (ko) 2014-04-09

Family

ID=5065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128A KR101384270B1 (ko) 2013-06-12 2013-06-12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2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968A (ja) * 1992-08-31 1994-05-06 Mutou Senkaki Seisakusho:Yugen 農産物の選別機および選別方法
KR200393808Y1 (ko) 2005-05-26 2005-08-31 주식회사 로테코 서류 분류장치
KR100586312B1 (ko) 2004-08-31 2006-06-08 주식회사 퓨트로 우편물 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101270844B1 (ko) 2011-11-02 2013-06-05 장희상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968A (ja) * 1992-08-31 1994-05-06 Mutou Senkaki Seisakusho:Yugen 農産物の選別機および選別方法
KR100586312B1 (ko) 2004-08-31 2006-06-08 주식회사 퓨트로 우편물 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200393808Y1 (ko) 2005-05-26 2005-08-31 주식회사 로테코 서류 분류장치
KR101270844B1 (ko) 2011-11-02 2013-06-05 장희상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62860B (zh) 一种全自动粉末定量给料装置
CN206966153U (zh) 水果重量分选装置
US93653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eeding components
CN102380482B (zh) 矩形小板边缘尺寸在线检测装置
CN110270518A (zh) 物料的自动检测设备
CN104949987B (zh) 产品检测装置
CN203667061U (zh) 一种药丸充填机
CN205909915U (zh) 称重计量设备
CN103769850A (zh) 一种光电ic自动化装盖子机
CN203991335U (zh) 链扣检测筛选机
CN206847590U (zh) 一种尺寸检测机构
KR101384270B1 (ko)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선별 배출장치
CN201686307U (zh) 一种自动排列机
CN204038425U (zh) 一种气门油封分料传送装置
CN110587893A (zh) 半导体塑封料上料装置及其工作方法
CN114210585A (zh) 一种碳棒生产用筛分装置
KR101471024B1 (ko)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두께 측정 장치
CN205045097U (zh) 一种包装机的多工位加料设备
CN108861457B (zh) 一种钢壳输送机及其方法
CN204310464U (zh) 理盖机构
CN112157156B (zh) 一种自动化冲压设备
CN211337872U (zh) 防缺损分离出料装置
CN108745935B (zh) 一种玻璃基板的长度偏差监测装置
CN205538722U (zh) 一种磁石弹片自动化影像检测装置
CN206848133U (zh) 视觉组合式数粒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