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164B1 -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164B1
KR101384164B1 KR1020120052055A KR20120052055A KR101384164B1 KR 101384164 B1 KR101384164 B1 KR 101384164B1 KR 1020120052055 A KR1020120052055 A KR 1020120052055A KR 20120052055 A KR20120052055 A KR 20120052055A KR 101384164 B1 KR101384164 B1 KR 10138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astening
sides
velcro tap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189A (ko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주 filed Critical 이영주
Priority to KR102012005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1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벨트부가 일체로 형성하여 벨트 일체형 복대를 형성하고, 일측 벨트부의 외면과 타측 벨트부의 내면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 벨트부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분리 형성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분리시킬 수 있고, 양측의 각 벨트부는 외면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의 후측에는 허리받침판의 양측에 걸이링이 형성된 허리보호받침대를 구비하며,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양측의 벨트부를 허리보호받침대에서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링에 각각 끼우고 전방으로 인출하여 각 벨트부의 중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접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벨크로테이프가 외면에 형성된 양측의 벨트부를 허리보호받침대에서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링에 각각 끼우고 전방으로 인출하여 각 벨트부의 중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접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허리의 굵기 및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든지 상관없이 용이하게 착용 및 분리킬 수 있고, 허리보호받침대가 허리를 받쳐 주도록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가 비틀어지거나 편향되지 않고 바르게 착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허리보호받침대의 내면에는 수직 중앙선상의 양측으로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요추의 양측 허리를 지압하면서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며,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분리되는 각 벨트부는 길이를 다르게(길게. 중간. 짧게) 형성하여 줌으로서 착용자의 신체조건 및 변화되는 상태에 따라 적정한 길이를 유지하고 있는 벨트부를 선택적으로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Easy to wear abdominal mulrichiryoyong}
본 발명은 복부와 허리에 착용하여 복부 및 허리 부분을 물리 치료할 때에 착용하는 물리치료용 복대를 개선하여 벨트를 용이하게 착용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벨트부가 일체로 형성하여 벨트 일체형 복대를 형성하고, 일측 벨트부의 외면과 타측 벨트부의 내면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 벨트부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분리 형성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분리시킬 수 있고, 양측의 각 벨트부는 외면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의 후측에는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걸이링이 형성된 허리보호받침대를 구비하며,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양측의 벨트부를 허리보호받침대에서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링에 각각 끼우고 전방으로 인출하여 각 벨트부의 중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접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알려진 복대(벨트)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벨트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벨트 일체형 복대를 형성하고, 일측 벨트부의 외면 선단부과 타측 벨트부의 내면 선단부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형성(구비)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87-7778호(개량 복대),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8-59558호(다이어트 벨트), 실용신안 등록 제20-351239호(의료용 복대),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77996호(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대(벨트)는, 복부패드부와 양측의 벨트부를 복부와 허리에 두르고 대응되게 형성된 양측 벨트부의 벨크로테이프를 등(요추) 부분에서 접착시켜 착용하게 된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이 단순하게 형성된 복대(벨트)에서 복부패드부의 내부에 초음파진동자, 저주파 패드, 원적외선 발생 부재, 온열 부재와 같은 물리치료 부재를 매설한 물리치료용 복대(허리벨트)가 제안되어 있다.
복부패드부에 물리치료 부재를 매설하여 개선한 복대(벨트)로서 국내에서 알려진 것으로는,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0-18352호(복대),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5341호(찜질벨트), 등록실용신안 제20-231511호(휴대용 포켓형 원적외선 발열복대), 등록실용신안 제20-389050호(유무선 겸용 저주파 온열 에어벨트),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3-75314호(온열 및 저주파 발생 허리벨트), 특허등록 제10-142202호(요추 보호 및 치료용 복대)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부패드부에 물리치료 부재를 매설하여 개선한 복대(벨트)도 복부패드부와 양측의 벨트부를 복부와 허리에 두르고 대응되게 형성된 양측 벨트부의 벨크로테이프를 등(요추) 부분에서 접착시켜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복대(벨트)들은, 복부패드부를 복부에 대고 벨트부를 뒤로(등 쪽으로) 돌려 두르고, 양측 손을 등 부분으로 돌려 대응되게 형성된 양측 벨트부의 벨크로테이프를 등(요추) 부분에서 접착시켜야 착용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와 환자 및 어깨에 통증이 있는 사람은 복대(벨트)를 용이하게 착용하거나 해제시킬 수 없고, 특히 노약자(고령자 및 어린이)들은 착용이 용이치 못하여 다른 사림이 착용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설혹 신체가 건강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양측 손을 등으로 돌려주어야 하므로 어깨에 통증을 느끼거나 근육통이 발생하기도 하며, 양측 벨트부의 벨크로테이프를 등(요추) 부분에서 접착시켜 착용하므로 복대(벨트)가 편향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따라서 바르게 착용하기가 용이치 못한 폐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복대(벨트)들은, 벨트부가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벨트부의 길이를 조정하거나 적정한 길이의 벨트부로 교체할 수 없으며, 따라서 신체의 조건 및 변화상태(허리가 굵어지거나 얇아지는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하면서 사용할 수 없는 효용성의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벨트부가 일체로 형성하여 벨트 일체형 복대를 형성하고, 일측 벨트부의 외면과 타측 벨트부의 내면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 벨트부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분리 형성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분리시킬 수 있고, 양측의 각 벨트부는 외면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의 후측에는 허리받침판의 양측에 걸이링이 형성된 허리보호받침대를 구비하며,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양측의 벨트부를 허리보호받침대에서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링에 각각 끼우고 전방으로 인출하여 각 벨트부의 중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접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크로테이프가 외면에 형성된 양측의 벨트부를 허리보호받침대에서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링에 각각 끼우고 전방으로 인출하여 각 벨트부의 중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접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허리의 굵기 및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든지 상관없이 용이하게 착용 및 분리킬 수 있고, 허리보호받침대가 허리를 받쳐 주도록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가 비틀어지거나 편향되지 않고 바르게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리보호받침대의 내면에는 수직 중앙선상의 양측으로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요추의 양측 허리를 지압하면서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며,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분리되는 각 벨트부는 길이를 다르게(길게. 중간. 짧게) 형성하여 줌으로서 착용자의 신체조건 및 변화되는 상태에 따라 적정한 길이를 유지하고 있는 벨트부를 선택적으로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벨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벨트 일체형 복대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형성된 각 벨트부의 외면에 체결용 벨크로테이프와 착용용 벨크로테이프를 이격시켜 각각 형성하고,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의 후측에는 허리받침판의 양측에 걸이링이 형성된 허리보호받침대를 구비하며,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양측의 벨트부를 허리보호받침대에서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링에 각각 끼우고 전방으로 인출하여 각 벨트부의 중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접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를 벨트분리형 복대와 양측의 각 분리형 벨트부로 분리 형성하고, 벨트분리형 복대의 양단에는 각 분리형 벨트부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벨트 분리형 복대와 별도로 형성된 분리형 벨트부를 체결/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은;
복부패드벨트부의 양측에는 벨트측걸이링을 일체형으로 부착한 것과;
분리형 벨트부의 외면에는 체결용 벨크로테이프와 착용용 벨크로테이프를 이격시켜 부착한 것과;
상기 체결용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 일단에 고정링을 끼워 준 것과;
상기 체결용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 분리형벨트부의 선단을 복부패드벨트부의 벨트측 걸이링에 끼워 주고, 걸이링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분리형벨트부의 선단을 고정링에 끼우고 착용용 벨크로테이프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용이형 물리치료용 복대(1)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벨트부가 일체로 형성하여 벨트 일체형 복대를 형성하고, 일측 벨트부의 외면과 타측 벨트부의 내면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 벨트부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분리 형성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분리시킬 수 있고, 양측의 각 벨트부는 외면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의 후측에는 허리받침판의 양측에 걸이링이 형성된 허리보호받침대를 구비하며,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양측의 벨트부를 허리보호받침대에서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링에 각각 끼우고 전방으로 인출하여 각 벨트부의 중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접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벨크로테이프가 외면에 형성된 양측의 벨트부를 허리보호받침대에서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링에 각각 끼우고 전방으로 인출하여 각 벨트부의 중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접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허리의 굵기 및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든지 상관없이 용이하게 착용 및 분리킬 수 있고, 허리보호받침대가 허리를 받쳐 주도록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가 비틀어지거나 편향되지 않고 바르게 착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허리보호받침대의 내면에는 수직 중앙선상의 양측으로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요추의 양측 허리를 지압하면서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며,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분리되는 각 벨트부는 길이를 다르게(길게. 중간. 짧게) 형성하여 줌으로서 착용자의 신체조건 및 변화되는 상태에 따라 적정한 길이를 유지하고 있는 벨트부를 선택적으로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에서 분리된 복부패드부와 벨트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와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에서 분리 형성된 복부패드부(11)와 벨트부(1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5)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대(10)를 복부패드부(11)와 벨트부(12)를 일체로 형성한 벨트일체형 복대(10-1)로 형성하고 상기 벨트일체형 복대(10-1)의 벨트부(12)에 의해 결속/해제되는 허리보호받침대(20)로 형성한 것과, 도 2a 및 도 2b와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대(10)를 복부패드부(11)와 벨트부(12)로 분리 형성하여 벨트분리형 복대(10-2)로 형성하고 상기 복부패드부(11)와 벨트부(12)는 체결수단(15)에 의해 체결 및 분리시키며 벨트부(12)에 의해 결속/해제되는 허리보호받침대(20)로 형성하였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는 벨트일체형 복대(10-1)와 허리보호받침대(20)로 형성하였다.
상기 벨트일체형 복대(10-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중앙에 위치하여 복부의 전면에 연접되는 복부패드부(11)의 양측에는 체결수단(15)으로서 일체형 체결부(15-1)에 의해 벨트부(12)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고, 각 벨트부(12)의 외면에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각각 봉착하여 부착(고정)하였으며, 상기 각 벨트부(12)를 차후에 설명되는 허리보호받침대(20)의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고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의 외측으로 돌려 벨트부(12)의 선단부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끼워지지 않는 부분의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에 접착시켜 준다.
상기 복부패드부(11)의 내부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발열수단(장치)과 물리치료수단(장치)을 내장시킬(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허리보호받침대(20)는, 허리보호받침판(21)을 허리의 요추를 충분히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넓이로 유지시켰고, 상기 허리보호받침판(21)의 양측에는 금속재질 또는 강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각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는 상기 벨트부(12)를 각각 끼워 줄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허리보호받침판(21)의 내면에는 지압돌기(23)를 형성하되, 허리보호받침판(21)의 내면에서 수직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복수 개씩의 지압돌기(23)를 배치(형성)하여 지압돌기(23)가 요추를 압박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요추의 양측 허리부분을 지압돌기(23)에 의해 지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허리보호받침판(21)의 내부에는 발열판(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내장하여 열이 발생 되도록 함으로써 온열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도록 하였고, 지압돌기(23)는 금속재, 세라믹, 고무재, 연질 합성수지, 경질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하되 지압돌기를 형성하는 주재질에 원적외선이 발생 되는 물질이 함유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는 복부패드부(11)와 분리형벨트부(12-1)로 된 벨트분리형 복대(10-2)와 허리보호받침대(20)로 형성하였다.
상기 벨트분리형 복대(10-2)는 복부패드벨트부(11)의 양측에 분리형 체결부(15-2)로서 벨트측걸이링(16)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각 벨트측걸이링(16)에는 차후에 설명되는 분리형 벨트부(12-1)의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 부분을 각각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복부패드벨트부(11)의 양측에 형성된 각 벨트측걸이링(16)에 체결되는 분리형벨트부(12-1)는 벨트의 외면에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봉착하여 부착하였고, 일단(선단)에는 분리체결부(15-2)로서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를 민면부(13-2)에 의해 이격되도록 봉착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 민면부(13-2)에는 고정링(14)을 끼워 주었으며, 상기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가 부착된 선단부를 벨트측걸이링(16)에 끼워 고정링(14)에 끼워줄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허리보호받침대(20)는 도 1a 및 도 1b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허리보호받침대(20)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는 복부패드부(11)와 분리형벨트부(12-1)로 된 벨트분리형 복대(10-2)와 허리보호받침대(20)로 형성하였다.
상기 복부패드부(11)는 양단에 벨트측걸이링(16)을 설치함에 있어 고정편(17)을 이용하여 복부패드부(11)의 외면 양단에 벨트측걸이링(16)을 고정(장착)하였고, 허리보호받침판(21)의 내면에는 지압돌기(23)가 형성된 지압판(25)을 별도로 형성하여 부착(고정)하였으며, 다른 구성은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에서 분리 형성된 복부패드부(11)와 벨트부(1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5)으로서 각기 다른 실시 예의 분리형체결부(15-4 ~ 15-8)를 보인 것이다.
도 4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4)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에 벨트측걸이링(16)을 각각 끼운 상태에서 단부를 접어 봉착하였고, 분리형벨트부(12-1)는 벨트의 외면에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봉착하고 일단(선단)에는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를 민면부(13-2)에 의해 이격되도록 봉착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 민면부(13-2)에는 고정링(14)을 끼워 주었다.
도 5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5)는 걸고리 타입으로서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 또는 각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에는 삽탈결속봉(16-1)이 구비된 벨트측걸이링(16)을 고정시켰고, 각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 또는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에는 결속공(18-1)이 형성되도록 단부를 중첩되게 접고 봉착하여 결속링부(18)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결속링부(18)에 벨트측걸이링(16)의 삽탈결속봉(16-1)을 삽탈시켜 착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6)는 걸고리 타입으로서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 또는 각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에는 벨트측걸이링(16)을 고정(장착)하였고, 각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 또는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에는 갈고리형으로 형성된 걸고리편(19)을 장착하였으며, 상기 걸고리편(19)의 갈고리부분을 벨트측걸이링(16)에 걸어 착용하도록 하였다.
도 7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7)는 벨크로 결속 타입으로서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에는 벨트측걸이링(16)을 각각 고정(장착)하였고, 각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에는 ' + '형으로 된 결속덧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 + '형으로 된 결속덧판은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에 세로덧판을 교차되게 장착(봉착)하여 교차지점에 중앙결속판(30)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결속판(30)의 전방에는 결이부(21-1)가 구비되는 제1결속덧판(31)이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에는 제2결속덧판(32)과 제3결속덧판(33)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중앙결속판(30)과 제3결속덧판(33)의 양면(전면, 배면) 중에서 동일방향의 일면에는 벨크로테이프(30-1)(23-1)를 각각 부착하였고, 제1결속덧판(31)과 제2결속덧판(32)의 각 양면(전면, 배면)에는 내측벨크로테이프(21-1)(22-1)와 외측벨크로테이프(31-2)(22-2)를 각각 부착하였다.
도 8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8)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 또는 각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에는 버클(30)로서 암형버클(32)을 장착하였고, 각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 또는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에는 숫형버클(31)을 장착하였으며, 상기 암형버클(32)과 숫형버클(31)을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복부패드부(11)의 양측에 분리형 벨트부(12-1)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사용상태(착용 및 분리)를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는 다음과 같이 착용한다.
벨트일체형 복대(10-1)에서 복부패드부(1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각 벨트부(12)를 허리보호받침대(20)에서 허리보호받침판(21)의 양측에 형성된 각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끼워 주되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압돌기(23)가 상기 복부패드(11)의 내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끼워주고(결합시키고), 상기와 같이 각 벨트부(12)를 각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끼워준 상태에서 복부와 허리에 끼워 착용한다.
상기와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각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끼워져 후방으로 인출된 각 벨트부(12)를 외측으로 전개시켜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각 벨트부(12)의 외면에 구비(형성)되어 있어 대향 하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부착시켜 줌으로써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특히,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끼워지는 벨트부(12)를 앞으로 당겨 착용하므로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고, 복부패드부(11)가 편향되지 않고 복부에 위치하게 되며, 허리보호받침대(20)도 편향되지 않고 허리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므로, 바르고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허리(복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한 후에 벗어내고자 할 때에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벨트부(12)의 단부를 외측으로 확개시켜 접착되어 있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분리시켜 주게 되면 벨트부(12)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따라서 복부패드부(11)와 허리보호받침대(20)와의 사이에 공간이 크게 형성되므로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용이하게 벗을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벨트분리형 복대(20-2)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는 다음과 같이 착용한다.
먼저, 복부패드부(11)의 양측에 장착된 각 벨트측걸이링(16)에는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리벨트부(12-1)에서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가 외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선단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 주고, 벨트측걸이링(16)에 끼워진 선단을 후방으로 돌려 고정링(14)에 끼워 준 후에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에 접착시켜 주며, 상기와 같이 실시하여 줌으로써 복부패드부(11)의 양측에 장착된 각 벨트측걸이링(16)에는 분리벨트부(12-1)를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벨트측걸이링(16)에 결합된 각 분리벨트부(12-1)의 후단을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끼워 주고, 각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끼워져 후방으로 인출된 각 벨트부(12)를 외측으로 전개시켜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각 벨트부(12)의 외면에 구비(형성)되어 있어 대향 하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부착시켜 줌으로써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허리(복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한 후에 벗어내고자 할 때에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벨트부(12)의 단부를 외측으로 확개시켜 접착되어 있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분리시켜 주게 되면 벨트부(12)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따라서 복부패드부(11)와 허리보호받침대(20)와의 사이에 공간이 크게 형성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어느 일 측의 분리형벨트부(12-1)에서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를 분리시키고 벨트측걸이링(16)에서 이탈시켜 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용이하게 벗을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벨트분리형 복대(20-2)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는 다음과 같이 착용한다.
먼저, 고정편(17)에 의해 복부패드부(11)의 외면 양측 단부에 장착된 각 벨트측걸이링(16)에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리벨트부(12-1)에서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가 외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선단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 주고, 벨트측걸이링(16)에 끼워진 선단을 후방으로 돌려 고정링(14)에 끼워 준 후에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에 접착시켜 분리벨트부(12-1)를 결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벨트측걸이링(16)에 결합된 각 분리벨트부(12-1)의 후단을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끼워 주고, 각 허리받침대측걸이링(22)에 끼워져 후방으로 인출된 각 벨트부(12)를 외측으로 전개시켜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각 벨트부(12)의 외면에 구비(형성)되어 있어 대향 하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부착시켜 줌으로써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허리(복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한 후에 벗어내고자 할 때에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벨트부(12)의 단부를 외측으로 확개시켜 접착되어 있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분리시켜 주게 되면 벨트부(12)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따라서 복부패드부(11)와 허리보호받침대(20)와의 사이에 공간이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어느 일 측의 분리형벨트부(12-1)에서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를 분리시키고 벨트측걸이링(16)에서 이탈시켜 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용이하게 벗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에서 분리 형성된 복부패드부(11)와 벨트부(1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5)이 분리형체결부(15-4 ~ 15-8)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도 4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4)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여 결합/분리시킨다.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에 장착된 벨트측걸이링(16)에는 분리벨트부(12-1)에서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가 외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선단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 주고, 벨트측걸이링(16)에 끼워진 선단을 후방으로 돌려 고정링(14)에 끼워 준 후에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에 접착시켜 분리벨트부(12-1)를 결합을 완료한다.
반면에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벨트부(12)의 단부를 외측으로 확개시켜 접착되어 있는 착용용 벨크로테이프(13)를 분리시켜 주게 되면 벨트부(12)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고, 복부패드부(11)와 허리보호받침대(20)와의 사이에 공간이 크게 형성되며, 분리형벨트부(12-1)에서 체결용 벨크로테이프(13-1)를 분리시키고 벨트측걸이링(16)에서 이탈시켜 준다.
도 5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5)는 걸고리 타입으로서,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에 장착(고정)된 벨트측걸이링(16)의 삽탈결속봉(16-1)을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에 형성된 결속링부(18)의 결속공(18-1)에 삽탈시켜 줌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용이하게 착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6)는 걸고리 타입으로서,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에 장착된 벨트측걸이링(16)에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에 장착된 갈고리형의 걸고리편(19)을 걸어주거나 분리시켜 줌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용이하게 착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7)는 벨크로 결속 타입이다.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에는 ' + '형으로 된 결속덧판에서 제1결속덧판(31)을 복부패드부(11)의 단부에 장착된 벨트측걸이링(16)에 끼워 주고, 벨트측걸이링(16)의 외측에서 제1결속덧판(31)의 내측벨트로테이프(31-1)를 중앙결속판(30)의 벨크로테이프(30-1)에 접착시키며, 중앙결속판(30)의 벨크로테이프(30-1)에 접착된 제1결속덧판(31)의 외측벨크로테이프(31-2)에는 제2결속덧판(32)을 하향시켜 내측벨크로테이프(32-1)를 접착시키며, 제1결속덧판(31)의 외측벨크로테이프(31-2)에 접착된 제2결속덧판(32)의 외측벨크로테이프(32-2)에는 제3결속덧판(33)의 벨크로테이프(33-1)를 접착시켜 줌으로서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을 역으로 실행함으로써 분리형 체결부(15-7)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의 분리형체결부(15-8)는,
복부패드부(11)의 양측 단부에 장착된 암형 버클(32)과 분리형 벨트부(12-1)의 단부에 장착된 숫형 버클(31)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를 착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1)는, 복부패드부(11)의 양측에 형성된 벨트부(12)의 결속/해제에 의해 용이하게 착용 또는 해제시킬 수 있고, 또 복부패드부(11)와 벨트부(12)를 체결/분리시키는 체결수단(15)인 분리형 체결부(15-2)를 조작(결합/분리)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착용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용이착용형 물리치료용 복대 10: 복대
10-1: 벨트일체형 복대 10-2: 벨트분리형 복대
11: 복부패드부 12: 벨트부
13: 착용용 벨크로테이프 13-1: 체결용 벨크로테이프
14: 고정링 15: 체결수단
15-1: 일체형 체결부 15-2: 분리형 체결부
20: 허리보호받침대 21: 허리보호받침판
22: 허리받침대측 걸이링 23: 지압돌기
25: 지압판 30: 중앙결속판
31; 제1결속판 32: 제2결속판
33: 제3결속판 40: 버클
41: 숫형 버클 42: 암형 버클

Claims (13)

  1. 삭제
  2.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벨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벨트 일체형 복대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 형성된 각 벨트부의 외면에 체결용 벨크로테이프와 착용용 벨크로테이프를 이격시켜 각각 형성하고,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의 후측에는 허리받침판의 양측에 걸이링이 형성된 허리보호받침대를 구비하며,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양측의 벨트부를 허리보호받침대에서 허리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링에 각각 끼우고 전방으로 인출하여 각 벨트부의 중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접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벨트 일체형 복대를 벨트분리형 복대와 양측의 각 분리형 벨트부로 분리 형성하고, 벨트분리형 복대의 양단에는 각 분리형 벨트부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벨트 분리형 복대와 별도로 형성된 분리형 벨트부를 체결/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은;
    복부패드벨트부의 양측에는 벨트측걸이링을 일체형으로 부착한 것과;
    분리형 벨트부의 외면에는 체결용 벨크로테이프와 착용용 벨크로테이프를 이격시켜 부착한 것과;
    상기 체결용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 일단에 고정링을 끼워 준 것과;
    상기 체결용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 분리형벨트부의 선단을 복부패드벨트부의 벨트측 걸이링에 끼워 주고, 걸이링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분리형벨트부의 선단을 고정링에 끼우고 착용용 벨크로테이프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벨트 분리형 복대와 별도로 형성된 분리형 벨트부를 체결/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은;
    복부패드벨트부의 양측에는 고정편을 이용하여 벨트측걸이링을 일체형으로 장착한 것과;
    분리형 벨트부의 외면에는 체결용 벨크로테이프와 착용용 벨크로테이프를 이격시켜 부착한 것과;
    상기 체결용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 일단에 고정링을 끼워 준 것과;
    상기 체결용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된 분리형벨트부의 선단을 복부패드벨트부의 벨트측 걸이링에 끼워 주고, 걸이링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분리형벨트부의 선단을 고정링에 끼우고 착용용 벨크로테이프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7. 청구항 2에 있어서, 벨트 분리형 복대와 별도로 형성된 분리형 벨트부를 체결/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은;
    복부패드부의 양측 단부 또는 각 분리형 벨트부의 단부에는 삽탈결속봉이 형성된 벨트측걸이링을 장착한 것과;
    각 분리형 벨트부의 단부 또는 복부패드부의 양측에는 결속공이 상하로 뚫어지는 결속링부를 형성한 것과;
    상기 결속링부의 결속공에 벨트측걸이링의 삽탈결속봉을 삽입 또는 이탈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8. 청구항 2에 있어서, 벨트 분리형 복대와 별도로 형성된 분리형 벨트부를 체결/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은;
    복부패드부의 양측 단부 또는 각 분리형 벨트부의 단부에는 벨트측걸이링과 걸고리편을 대응되게 장착한 것과;
    상기 걸고리편의 갈고리부분을 벨트측걸이링에 걸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9. 청구항 2에 있어서, 벨트 분리형 복대와 별도로 형성된 분리형 벨트부를 체결/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은;
    복부패드부의 양측 단부에는 벨트측걸이링을 각각 장착한 것과;
    각 분리형 벨트부의 단부에는 중앙결속판의 외측 단부과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제1결속덧판과 제2결속덧판 및 제3결속덧판을 형성하여 ' + '형으로 결속덧판을 형성한 것과;
    상기 중앙결속판과 제3결속덧판의 양면(전면, 배면) 중에서 동일방향의 일면에는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부착하고, 제1결속덧판과 제2결속덧판의 각 양면(전면, 배면)에는 내측벨크로테이프와 외측벨크로테이프를 각각 부착한 것과;
    분리형 벨트부의 제1결속덧판을 복부패드부의 단부에 장착된 벨트측걸이링에 끼우고, 벨트측걸이링의 외측에서 제1결속덧판의 내측벨트로테이프를 중앙결속판의 벨크로테이프에 접착시키며, 중앙결속판의 벨크로테이프에 접착된 제1결속덧판의 외측벨크로테이프에는 제2결속덧판의 내측벨크로테이프를 접착시키며, 제1결속덧판의 외측벨크로테이프에 접착된 제2결속덧판의 외측벨크로테이프에는 제3결속덧판의 벨크로테이프를 접착시켜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10. 청구항 2에 있어서, 벨트 분리형 복대와 별도로 형성된 벨트부를 체결/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은;
    복부패드부의 양측 단부 또는 각 분리형 벨트부의 단부에는 암형버클과 숫형버클을 대응되게 장착한 것과;
    대응되게 장착된 상기 암형 버클과 숫형 버클을 체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052055A 2012-05-16 2012-05-16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KR10138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055A KR101384164B1 (ko) 2012-05-16 2012-05-16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055A KR101384164B1 (ko) 2012-05-16 2012-05-16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189A KR20130128189A (ko) 2013-11-26
KR101384164B1 true KR101384164B1 (ko) 2014-04-10

Family

ID=4985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055A KR101384164B1 (ko) 2012-05-16 2012-05-16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32A1 (ko) * 2014-09-05 2016-03-10 신남섭 복부 운동기구
KR20210001112U (ko) * 2019-11-15 2021-05-25 에인에이 (주) 탈부착이 용이하며, 이중사출에 의해 방수 구조를 갖는 벨크로 타입의 전기자극 장치용 복부벨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2351A1 (en) * 2021-12-24 2023-06-29 ColoWrap, LLC. Extendable endoscopy band with visual indic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023Y1 (ko) 2004-04-12 2004-07-12 배오성 복대
KR20050099802A (ko) * 2004-04-12 2005-10-17 배오성 복대
KR100791416B1 (ko) * 2007-02-08 2008-01-07 큐렉소 주식회사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KR20090001560U (ko) * 2007-08-14 2009-02-18 김정운 벨트형 찜질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023Y1 (ko) 2004-04-12 2004-07-12 배오성 복대
KR20050099802A (ko) * 2004-04-12 2005-10-17 배오성 복대
KR100791416B1 (ko) * 2007-02-08 2008-01-07 큐렉소 주식회사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KR20090001560U (ko) * 2007-08-14 2009-02-18 김정운 벨트형 찜질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32A1 (ko) * 2014-09-05 2016-03-10 신남섭 복부 운동기구
KR20210001112U (ko) * 2019-11-15 2021-05-25 에인에이 (주) 탈부착이 용이하며, 이중사출에 의해 방수 구조를 갖는 벨크로 타입의 전기자극 장치용 복부벨트
KR200493769Y1 (ko) * 2019-11-15 2021-06-04 에인에이(주) 탈부착이 용이하며, 이중사출에 의해 방수 구조를 갖는 벨크로 타입의 전기자극 장치용 복부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189A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8791B2 (ja) コルセット
ES2222117T4 (es) Sistema acoplable para realzar la forma del pecho
KR102027415B1 (ko) 골반-복부 지지 의류
TWM495193U (zh) 可調式腰背矯正減壓護具
CN101420940B (zh) 治疗带
JP2010534507A (ja) 肩装具
JP6908298B2 (ja) 脊椎側湾症補助器及びその製作方法
JP2008539915A5 (ko)
JPS5930097B2 (ja) 医療用コルセツト
US20080287036A1 (en) Gas permeable athletic breast restraint
KR101384164B1 (ko)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KR200447430Y1 (ko) 허리 가압복대
US9504595B2 (en) Inflatable compression wrap for direct support of the spinous process in the lumbar specific spine region
US9504596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CN204318990U (zh) 一种办公人员职业病治疗带
KR101391585B1 (ko) 개선된 외관을 갖는 밴드가 구비된 하의
KR20120079593A (ko) 허리 보조기
CN213941164U (zh) 一种用于胸腰腹部位术后康复加压固定护带
KR101751493B1 (ko) 복대 겸용 벨트
KR20100129095A (ko) 복대를 겸한 조립 및 분리형 밴드(고무줄) 운동기구
JPS5839700Y2 (ja) 腰部保護腹帯
CN206080853U (zh) 医用外展外旋康复包
CN209529442U (zh) 颈托
CN220607427U (zh) 护腰带
JP7376074B2 (ja) サポーター付きズボ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