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416B1 -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 Google Patents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416B1
KR100791416B1 KR1020070013081A KR20070013081A KR100791416B1 KR 100791416 B1 KR100791416 B1 KR 100791416B1 KR 1020070013081 A KR1020070013081 A KR 1020070013081A KR 20070013081 A KR20070013081 A KR 20070013081A KR 100791416 B1 KR100791416 B1 KR 10079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other
belt member
sides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송창훈
박정은
김은진
Original Assignee
큐렉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렉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큐렉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416B1/ko
Priority to CN200710086808A priority patent/CN100589772C/zh
Priority to PCT/KR2007/005770 priority patent/WO200809695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5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with mean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61B17/1355Automated control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산 시점에 이른 산모의 상복부를 자동적으로 압박하여 원활한 출산이 가능하도록 돕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는,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여 출산을 돕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있어서, 산모의 등 부분이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된 안착패드와, 상기 안착패드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연결부재를 갖는 안착수단;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비탄성 재질의 제1 벨트부재,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에 각각 착탈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벨트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외부 공기공급장치로부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머니를 갖는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산모를 별도로 일으켜 세우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설치하여 상복부를 압박할 수 있는 동시에, 자궁압측정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자궁의 내압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산모의 고통과 불편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착패드, 벨트장치, 자궁내압센서, 공기 주머니, 연결부재

Description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CHILD BIRTH ASSISTING APPARATUS}
도1은 종래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8a 내지 도8e는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들의 제1 내지 제5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안착수단 210: 안착패드
220: 제1 연결부재 300: 가압수단
310: 제1 벨트부재, 320: 제2 연결부재
330: 공기 주머니 400: 자궁압측정장치
410: 제3 연결부재 420: 제2 벨트부재
430: 제4 연결부재 440: 자궁내압센서
450: 센서설치부재
본 발명은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산 시점에 이른 산모의 상복부를 자동적으로 압박하여 원활한 출산이 가능하도록 돕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모가 자연 분만에 의해 출산하는 경우, 출산 시점에 이르게 되면 진통과 함께 수반되는 자궁의 수축작용에 의해 유아를 출산하게 된다.
이때, 원활한 자궁의 수축작용을 돕기 위해 산파나 간호사가 손으로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압박작업은 산모별로 개별적인 차이점은 있 지만 비교적 장시간 동안 수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어렵고 힘든 과정이다.
수작업에 의해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경우, 압박 위치나 가압력이 일정하지 않아 태아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의료사고의 원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출산과정에서 산모의 상복부를 자동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미국특허 제5,871,499호와 같은 출산 도움용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출산 도움용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겹의 층(101,105)을 이루도록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공기 주머니(102)가 수용되고, 본체상에 두 갈래의 조절 가능한 밴드(104,106)가 형성되며, 상기 밴드와 본체에는 서로 탈착을 위한 화스너(110)가 형성된 벨트장치(100)가 구비된다.
벨트장치(100)는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기 주머니(102)로 정해진 압력의 공기가 공급되어 종래 수작업에 의해 이루지는 상복부의 압박작용을 수행하게 되면서 자궁의 수축작용을 돕게 된다.
벨트장치(100)의 사용방법은 산모의 출산 시점이 임박하게 되면 공기 주머니(102) 부분이 상복부측에 위치되도록 본체 부분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밴드를 신체의 등 방향으로 돌려서 밴드측의 화스너를 본체측의 화스너에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는 산모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착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벨트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출산이 임박하여 거동이 매우 불편한 산모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허리 부분을 들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누워있는 상태에서는 착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벨트장치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간호사 등의 도움을 받아 상체를 일으켜 세운 후, 벨트장치를 복부의 둘레에 두르고 고정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진통을 겪는 산모가 많은 어려움을 불편을 감수해야할 뿐 아니라, 이를 보조하는 간호사 등의 의료진의 수고 또한 클 수밖에 없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산모를 일으키고 설치하고, 다시 눕히는 시간이 일반인과 같지 않아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출산시에는 분만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자궁내의 압력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주로 자궁내압센서를 산모의 배 부분에 설치하여 자궁의 내압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자궁내압센서를 설치할 경우에도 별도의 벨트에 자궁내압센서를 접속하여 상기한 벨트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산모를 일으켜 세운 다음 시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산모의 고통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산모를 별도로 일으켜 세우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설치하여 상복부를 압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벨트에 자궁내압센서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자궁의 내압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출산 도움용 벨트장 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는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여 출산을 돕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있어서, 산모의 등 부분이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된 안착패드와, 상기 안착패드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연결부재를 갖는 안착수단;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비탄성 재질의 제1 벨트부재,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에 각각 착탈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벨트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외부 공기공급장치로부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머니를 갖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서, 상기 안착패드의 제1 연결부재와 접한 좌우 하측 부분에 더 구성되는 한 쌍의 제3 연결부재; 길이조절이 가능한 탄성 재질의 제2 벨트부재; 상기 제2 벨트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연결부재에 각각 착탈되는 한 쌍의 제4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벨트부재측에 설치되어 자궁의 내압을 측정하는 자궁내압센서;가 구비된 자궁압측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벨트부재가 삽입되어 통과되도록 양측에 슬롯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자궁내압센서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수단에는 산모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와, 맥박수를 측정하 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연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구로 삽입되어 절첩된 상기 제1 벨트부재의 대응면이 서로 착탈되도록 일정 길이 범위로 형성되는 벨크로 화스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벨트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연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구로 삽입되어 절첩된 상기 제2 벨트부재의 대응면이 서로 착탈되도록 일정 길이 범위로 형성되는 벨크로 화스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면상에 일정 길이범위로 설치되는 벨크로 화스너를 갖는 연장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밴드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연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면상에 소정 길이범위로 설치되는 벨크로 화스너를 갖는 연장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단부에 상기 연장밴드의 벨크로 화스너와 서로 착탈되도록 소정 길이범위로 설치되는 벨크로 화스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내부 수용홈을 갖는 몸체의 양측에 걸림홈이 형성 된 수용부를 갖는 수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단부에 접속되고 수용부재의 수용홈상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복수 개의 걸림훅이 형성된 삽입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수용홈을 갖는 몸체상에 잠금부재 및 해제버튼이 구비된 소켓부를 갖는 소켓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소켓부재의 수용홈상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부재측에 고정되도록 고정홀을 갖는 걸림편이 형성된 플러그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버클몸체 내면으로 걸림편이 탄지되게 설치되고 그 자유단을 동작시키는 레버가 상기 버클몸체에 횡설된 버클부를 갖는 버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편의 자유단에 걸림되는 다수의 톱니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측 내면상에 설치되는 톱니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는 산모의 등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수단(200), 안착수단(200)에 착탈되면서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가압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안착수단(200)은 산모의 등 부분이 안착되도록 소정 넓이의 안착면이 형성된 안착패드(210), 안착패드(2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220)로 구성된다.
안착패드(210)는 신체의 등쪽 허리 부분에 안착되는 부재이므로 착용감을 고려하여 여성의 신체 구조에 적합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신축성을 갖지 않는 비탄성 특성의 여러 가지 소재가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면(Cotton)에 우레탄 필름을 고주파로 부착한 천(Fabric)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안착패드(210)는 출산 대기상태에 있는 산모의 등 부분과 일정 시간동안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통풍성 및 땀의 흡수성이 뛰어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안착패드(210)는 가능한 얇고 접촉감이 뛰어난 패드상에 다수의 통풍구를 형성한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착패드(210)를 형성하는 패드의 내부에 쿠션패드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안착패드(210)상에는 출산 대기상태로 있는 산모의 신체 부분과 일정 시간 동안 접촉됨으로 산모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들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안착패드(210)상에 산모의 체온을 측정을 하거나 맥박수 등을 측정하는 장치 또는 감지부가 구성됨으로써 출산 대기중인 산모의 침상에 안착수단(200)이 설치된 상태라면, 별도의 측정장비에 의한 측정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 도 의료인이 체온이나 맥박수를 알 수 있으므로 산모의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가압수단(300)은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된 제1 벨트부재(310), 제1 벨트부재(3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제1 연결부재(220)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제2 연결부재(320), 및 제1 벨트부재(310)의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공기 주머니(330)가 구비된다.
특히, 제1 벨트부재(310)는 공기 주머니(330)의 팽창시에 그 팽창력이 외측으로 인가되지 않고 산모의 상복부측에 해당되는 내측으로 인가되도록 비탄성(Non-elastic)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벨트부재(310)는 공기 주머니(330)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중앙부의 폭은 비교적 넓게 형성되고, 그 양측부는 중앙부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주머니(330)는 산모의 상복부에 직접적으로 외력을 인가시키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산모의 상복부 형상이 대략 반구 형상을 갖게 되므로 이와 대응되도록 대략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갖는 두 개의 주머니가 그 꼭지점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공기 주머니(330)는 제1 벨트부재(310)의 내면에 결합 또는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벨트부재(310)를 두 겹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벨트부재(310)를 두 겹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공기 주머니(330)를 삽 입하는 경우에는 내측 패드는 공기 주머니의 팽창 및 수축작용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외측 패드는 공기 주머니의 팽창시에 그 팽창력이 외측으로 인가되지 않도록 비탄성 특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기 주머니(330)는 공기의 주입 또는 배기시에 팽창 또는 수축이 용이한 소재로 형성되고, 제1 벨트부재(310)측에 부착되는 면상에는 외부 공기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주입호스와 접속되는 공기 주입구(332)가 결합된다.
공기 주입구(332)는 제1 벨트부재(310)를 관통하여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접속부는 공기공급장치의 주입호스와 원터치 니플 형태로 접속되어 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제1 연결부재(220)는 제1 벨트부재(3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221a)을 갖는 연결구(221)로 구성되고, 제2 연결부재(320)는 연결구(221)로 삽입되어 절첩된 제1 벨트부재(310)의 대응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벨크로 화스너(321)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이에 관하여는 상세히 후술하였다.
첨부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는 산모의 등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수단(200), 안착수단(200)에 착탈되면서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가압수단(300)이 구비된 구조에서 산모의 자궁 내압을 측정하는 자궁압측정장치(400)가 더 구성된다.
자궁압측정장치(400)는 산모의 출산과정에서 자궁내압의 측정이 필요한 경우 안착패드(210)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구성으로, 안착패드(210)의 제1 연결부재(220)와 접한 좌우 하측 부분에 더 구성되는 제3 연결부재(410)상에 자궁의 내압을 측정하는 자궁내압센서(440;Toco sensor)가 설치된 제2 벨트부재(420)가 착탈되게 구성된다.
제2 벨트부재(420)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부재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산모의 자궁 내압을 측정하기 위해 제2 벨트부재(42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복부측에 위치되는 자궁내압센서(440)가 자궁 내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산모의 하복부에 외력을 인가시키지 않고 하복부의 수축 및 이완 작용시에 자궁내압센서(440)가 연동되도록 탄성(elastic)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탄성 재질로 형성된 제2 벨트부재(420)의 양측에는 안착패드(210)의 좌후 하측에 추가 구성되는 하부 제3 연결부재(410)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제4 연결부재(430)가 각각 설치된다.
자궁압측정장치(400)에는 자궁내압센서(440)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450)가 더 구성되는 바, 바람직하게 센서설치부재(450)는 대략 직사각판 형태의 몸체에 제2 벨트부재(420)가 삽입되어 통과되도록 양측에 슬롯(45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자궁내압센서(440)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서 산모의 등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패드(210)를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상하 높이로 형성한 상태에서 하측에 제3 연결부재(410)를 추가 구성하여 제2 벨트부재(420)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패드(210)의 상하 높이를 증가시켜 하부 제3 연결부재(410)가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안착면의 증가에 따른 착용감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안착수단(200)에 구성되는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 가압수단(300)에 구성되는 제2 연결부재(320), 및 자궁압측정장치(400)측에 구성되는 제4 연결부재(430)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먼저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들은 제1 및 제2 벨트부재(310,4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롯 형태의 삽입공을 갖도록 대략 사각 고리 형태의 연결구(221,411)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구(221,411)는 안착패드(21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형성한 부재를 안착패드(210)상에 박음질하거나 조립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및 제4 연결부재(320,430)들은 연결구(221,411)로 삽입되어 절첩된 제1 및 제2 벨트부재(310,420)의 대응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크로 화스너(321,431;Velcro-fastener)가 제1 및 제2 벨트부재(310,420)의 양단에서 길 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범위로 부착되거나 박음질되어 설치된다.
첨부도면, 도8a 내지 도8e는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서 안착수단(200)의 좌우측 상부 및 하부에 구성되는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와, 가압수단(300) 및 자궁압측정장치(400)의 양측에 구성되는 제2 및 제4 연결부재(320,430)의 변형례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부호가 서로 구분되도록 자궁압측정장치(400)와 관련된 제3 및 제4 연결부재의 도면부호는 괄호안에 기재하였다.
먼저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들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수단(200)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들은 안착패드(210)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22a,412a), 연장부(222a,412a)의 저면상에 일정 길이범위로 설치되는 벨크로 화스너(222b,412b)로 이루어진 연장밴드(222,412)구성된다.
가압수단(300) 및 자궁압측정장치(400)측에 형성되는 제2 및 제4 연결부재(320,430)들은 제1 및 제2 벨트부재(310,420)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연장밴드(222,412)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연결구(322,432)로 구성될 수 있다.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들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수단(200)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들은 안착패드(210)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23a,413a), 연장부(223a,413a)의 저면상에 설치되는 벨크로 화스너(223b,413b)로 이루어진 연장밴드(223,413)로 구성된다.
제2 및 제4 연결부재(320,430)들은 제1 및 제2 벨트부재(310,420)의 양단부에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의 벨크로 화스너(223b,413b)와 서로 착탈되도록 소정 길이범위로 설치되는 벨크로 화스너(323,433)로 구성된다.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들의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들은 안착패드(210)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장부(224a,414a), 연장부(224a,414a)의 단부에 설치되고 수용홈을 갖는 몸체의 양측에 걸림홈(224c,414c)이 형성된 수용부(224b,414b)로 이루어진 수용부재(224,414)로 구성된다.
제2 및 제4 연결부재(320,430)들은 수용부재(224,414)의 수용홈상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복수 개의 걸림훅(324a,434a)이 제1 및 제2 벨트부재(310,420)가 접속되는 몸체(324b,434b)상에 돌출되는 삽입부재(324,434)로 구성되는데, 걸림훅(324a,434a)들은 일자형으로 돌출되는 중앙 걸림훅의 양측으로 수용부재(224,414)의 걸림홈(224c,414c)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돌부를 갖는 좌우 걸림훅으로 구성된다.
도8d는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들의 제4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들은 안착패드(210)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장부(225a,415a), 연장부(225a,415a)의 단부에 설치되고 수용홈을 갖는 몸체상에 잠금부재(미도시) 및 해제버튼(225c,415c)이 구비된 소켓부(225b,415b)로 이루어진 소켓부재(225,415)로 구성된다.
제2 및 제4 연결부재(320,430)들은 소켓부재(225,415)의 수용홈상에 삽입되어 잠금부재측에 고정되도록 고정홀을 갖는 걸림편(325a,435a)이 형성된 플러그부재(325,435)로 구성된다.
소켓부재(225,415) 및 플러그부재(325,435)는 자동차의 시트 벨트 등에 적용되는 통상의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서 그 내부구조 및 잠금부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8e는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들의 제5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들은 안착패드(210)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장부(226a,416a), 이 연장부(226a,416a)에 결합되는 버클부(226b,416b)로 이루어진 버클부재(226,416)로 구성된다.
버클부(226b,416b)는 연장부(226a,416a)의 단부에 설치되는 버클몸체(216c,416c) 내면으로 탄지되는 걸림편(226d,416d), 버클몸체(216c,416c)에 횡설되어 측방이동에 의해 걸림편(226d,416d)의 자유단을 동작시키는 레버(226e,416e)가 구비된다.
제2 및 제4 연결부재(320,430)들은 걸림편(226d,416d)의 자유단에 걸림되는 다수의 톱니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벨트부재(310,420)의 양측 내면상에 설치되는 톱니부재(326,436)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톱니부재(326,436)는 제1 및 제2 벨트부재(310,42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벨트부재(310,420)의 폭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재질은 톱니에 일정한 강도가 유지되도록 플라스틱과 같이 비교적 견고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한편, 도8a 내지 도8e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및 제3 연결부재(220,410) 및 제2 및 제4 연결부재(320,430)는 본 실시예에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예들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구조, 형태 및 크기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산부가 출산시점에 이르게 되어 병원이나 조산원 등에 마련된 침상에 눕게 될 경우, 먼저 산모의 상복부측에 해당되는 침상의 바닥면에 안착수단(200)을 정위치시켜 설치한 상태에서 눕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출산을 돕기 위한 상복부의 압박작용이 필요하게 되면 가압수단(300)을 준비하여 안착수단(200)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산모를 일으켜 세울 필요없이 가압수단(300)을 기 설치된 안착수단(200)에 간편하게 장착시키게 되면 설치작업이 완료되어 산모의 고통과 불편함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즉 안착패드(210)의 좌우측에 마련된 제1 연결부재(220)측 삽입구(221)에 가압수단(300)의 제1 벨트부재(310) 양단부를 삽입한 다음, 제1 벨트부재(310)를 역방향으로 당겨서 공기 주머니 부분이 산모의 상복부에 안착되도록 적절하게 길이를 조절하고 제1 벨트부재(310)의 절첩된 대응면을 밀착시키게 되면 벨크로 화스 너(321)가 서로 접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벨트부재(310)의 외측에 노출된 공기주입구(332)에 공기공급장치와 연결된 주입호스를 접속시킨 다음, 공기공급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정해진 가압력 및 가압시간 등의 설정 조건에 따라 주입호스를 매개로 압축공기가 공기 주머니에 주입 및 배기되면서 산모의 상복부를 반복적으로 압박하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의하면, 안착수단(200)에 가압수단(300)를 장착하여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동시에 자궁압측정장치(400)를 설치하여 산모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자궁 내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에도 산모를 일으켜 세울 필요없이 자궁압측정장치(400)을 기 설치된 안착수단(200)에 간편하게 장착시키게 되면 설치작업이 완료되어 산모의 고통과 불편함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즉, 자궁내압센서(440)가 설치된 센서설치부재(450)를 제2 벨트부재(420)에 설치하고, 제2 벨트부재(420)의 양단부를 제3 연결부재(410)에 삽입한 다음 제2 벨트부재(420)를 역방향으로 당겨서 자궁내압센서(440)가 산모의 하복부에 위치되도록 조절하고 절첩된 대응면을 밀착시키게 되면 벨크로 화스너(431)가 서로 접착되면서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자궁압측정장치(400)의 제2 벨트부재(420)는 탄성 재질이므로, 산모의 하복부가 수축 및 이완되면 연동되어 수축 및 이완되면서 산모 의 하복부에 외력을 작용시키지 않게 되어 자궁내압센서(440)에 의한 자궁 내압이 정확하게 측정되며, 이와 같이 측정된 자궁 내압을 통해 산모의 이상 여부나 분만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는 산모의 신체에 안착되는 안착수단과 상복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안착수단이 출산 대기중인 산모의 병상에 기 설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가압수단을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산모를 일으켜 세우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산모의 고통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의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산모의 자궁 내압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산모에 불편함이나 고통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기 설치된 안착수단에 간편하게 자궁압측정장치를 설치하여 편리하게 자궁내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여 출산을 돕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에 있어서,
    산모의 등 부분이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된 안착패드와, 상기 안착패드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연결부재를 갖는 안착수단;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비탄성 재질의 제1 벨트부재,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에 각각 착탈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벨트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외부 공기공급장치로부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산모의 상복부를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주머니를 갖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패드의 제1 연결부재와 접한 좌우 하측 부분에 더 구성되는 한 쌍의 제3 연결부재;
    길이조절이 가능한 탄성 재질의 제2 벨트부재;
    상기 제2 벨트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연결부재에 각각 착탈되는 한 쌍의 제4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벨트부재측에 설치되어 자궁의 내압을 측정하는 자궁내압센서;가 구비된 자궁압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부재가 삽입되어 통과되도록 양측에 슬롯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자궁내압센서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수단에는 산모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와, 맥박수를 측정하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연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구로 삽입되어 절첩된 상기 제1 벨트부재의 대응면이 서로 착탈되도록 일정 길이 범위로 형성되는 벨크로 화스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벨트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연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4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구로 삽입되어 절첩된 상기 제2 벨트부재의 대응면이 서로 착탈되도록 일정 길이 범위로 형성되는 벨크로 화스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면상에 일정 길이범위로 설치되는 벨크로 화스너를 갖는 연장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밴드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연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 기 연장부의 면상에 소정 길이범위로 설치되는 벨크로 화스너를 갖는 연장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단부에 상기 연장밴드의 벨크로 화스너와 서로 착탈되도록 소정 길이범위로 설치되는 벨크로 화스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내부 수용홈을 갖는 몸체의 양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수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단부에 접속되고 수용부재의 수용홈상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복수 개의 걸림훅이 형성된 삽입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수용홈을 갖는 몸체상에 잠금부재 및 해제버튼이 구비된 소켓부를 갖는 소켓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소켓부재의 수용홈상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부재측에 고정되도록 고정홀을 갖는 걸림편이 형성된 플러그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안착패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버클몸체 내면으로 걸림편이 탄지되게 설치되고 그 자유단을 동작시키는 레버가 상기 버클몸체에 횡설된 버클부를 갖는 버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걸림편의 자유단에 걸림되는 다수의 톱니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벨트부재의 양측 내면상에 설치되는 톱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KR1020070013081A 2007-02-08 2007-02-08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KR10079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081A KR100791416B1 (ko) 2007-02-08 2007-02-08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CN200710086808A CN100589772C (zh) 2007-02-08 2007-03-12 助产设备
PCT/KR2007/005770 WO2008096953A1 (en) 2007-02-08 2007-11-16 Child birth assis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081A KR100791416B1 (ko) 2007-02-08 2007-02-08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416B1 true KR100791416B1 (ko) 2008-01-07

Family

ID=3921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081A KR100791416B1 (ko) 2007-02-08 2007-02-08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91416B1 (ko)
CN (1) CN100589772C (ko)
WO (1) WO200809695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59B1 (ko) 2008-10-07 2011-06-22 큐렉소 주식회사 분만 유도 장치
KR101384164B1 (ko) * 2012-05-16 2014-04-10 이영주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CN109646165A (zh) * 2019-01-04 2019-04-19 闫首珍 一种妇产科用加压分娩带及监测使用方法
KR20210112521A (ko) 2020-03-05 2021-09-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진통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진통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4954B1 (en) 2013-03-14 2014-04-01 Plexus Biomedical, Inc. Labor management devices for decreasing the incidence of Cesarean childbirth
CN103637826B (zh) * 2013-12-10 2017-03-01 复旦大学附属上海市第五人民医院 一种便携式智能输尿管加压装置
GB201404614D0 (en) * 2014-03-14 2014-04-30 Univ Liverpool Device for compressing the uterus
CN104473680A (zh) * 2014-11-29 2015-04-01 王霞 妇产科分娩辅助装置
US10080520B2 (en) 2015-02-27 2018-09-25 Stetrix, Inc. Labor monitoring of pelvic floor
CN105726102A (zh) * 2016-01-29 2016-07-06 三九军大(厦门)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全产程多功能助产仪
US11678910B2 (en) 2021-03-14 2023-06-20 Jamie McCallum Device for assistance in female labor and methods of u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281A (en) 1990-11-26 1992-12-29 Wagi L.P. Birth-assisting pneumatic cuff
KR19990073255A (ko) * 1999-01-21 1999-10-05 황용안 공기압축식분만유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030298A1 (it) * 2003-11-25 2005-05-26 Pierfrancesco Belli Apparecchiatura automatica per la gestione del travaglio di part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281A (en) 1990-11-26 1992-12-29 Wagi L.P. Birth-assisting pneumatic cuff
KR19990073255A (ko) * 1999-01-21 1999-10-05 황용안 공기압축식분만유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59B1 (ko) 2008-10-07 2011-06-22 큐렉소 주식회사 분만 유도 장치
KR101384164B1 (ko) * 2012-05-16 2014-04-10 이영주 착용이 용이한 물리치료용 복대
CN109646165A (zh) * 2019-01-04 2019-04-19 闫首珍 一种妇产科用加压分娩带及监测使用方法
CN109646165B (zh) * 2019-01-04 2023-08-04 宿迁市第一人民医院(江苏省人民医院宿迁分院) 一种妇产科用加压分娩带及监测使用方法
KR20210112521A (ko) 2020-03-05 2021-09-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진통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진통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9001A (zh) 2008-08-13
CN100589772C (zh) 2010-02-17
WO2008096953A1 (en)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416B1 (ko) 출산 도움용 벨트장치
US8393329B2 (en) Pediatric lumbar puncture positioning device
EP2753287A1 (en) Devices for applying tension to a patient shoulder and associated installation method
US20110282178A1 (en) Adhesive strap for foetal monitoring transducers and the like
US8555432B2 (en) Single patient disposable lift strap device and method to use the device
CN211409586U (zh) 一种下肢皮肤牵引器
CN213218364U (zh) 一种交替充气式俯卧位翻身装置
CN211862383U (zh) 新生儿皮肤接触安全带
CN210205173U (zh) 一种护脚垫
CN114191237A (zh) 一种经内镜逆行胰胆管造影术用体位垫
CN220089562U (zh) 股动脉压迫止血带
CN209826860U (zh) 一种股动脉压迫止血带
CN213941164U (zh) 一种用于胸腰腹部位术后康复加压固定护带
CN213130420U (zh) 可拆卸翻身垫
CN220778579U (zh) 一种减轻压力性损伤的垫圈装置
CN210447309U (zh) 一种多功能腹带
CN218652383U (zh) 预防截石位手术患者术中获得性压力性损伤装置
CN210727836U (zh) 一种腰椎穿刺专用体位固定带
CN215503660U (zh) 一种血滤患者用腿部约束装置
CN216702890U (zh) 一种仰侧卧位臀垫
CN214128983U (zh) 新型膀胱截石位膝关节约束带
CN215459816U (zh) 一种新型多功能充气靠枕装置
CN219166834U (zh) 一种穿刺股动脉术后用腿部保持装置
CN215020051U (zh) 一种胸腹部约束带
CN216091152U (zh) 一种俯卧位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