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124B1 - Fermenting and dry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 - Google Patents
Fermenting and dry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4124B1 KR101384124B1 KR1020130077401A KR20130077401A KR101384124B1 KR 101384124 B1 KR101384124 B1 KR 101384124B1 KR 1020130077401 A KR1020130077401 A KR 1020130077401A KR 20130077401 A KR20130077401 A KR 20130077401A KR 101384124 B1 KR101384124 B1 KR 1013841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xture
- fermentation drying
- organic waste
- drying
- ferment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531 culture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629 microbiologica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QJZYHAIUNVAGQP-UHFFFAOYSA-N 3-nitrobicyclo[2.2.1]hept-5-ene-2,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2C=CC1C(C(=O)O)C2(C(O)=O)[N+]([O-])=O QJZYHAIUNVAGQ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1 hu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49 solid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GUFODBRKLSHSI-UHFFFAOYSA-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Chemical compound O1C2=CC(Cl)=C(Cl)C=C2OC2=C1C=C(Cl)C(Cl)=C2 HGUFODBRKLSHS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and in particul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28 anim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58 stirred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01F27/70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comprising two or more shafts, e.g. in consecutive mixing cham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using drying or composting be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26B9/08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mechanically agitating or recirculating the material being dri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건조조에 내장된 유기성 폐기물이 포함된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배출된 상기 혼합물을 상기 발효건조조에 재투입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을 대량으로 발효건조시킬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discharge the mixture containing the organic waste contained in the fermentation drying to the outside, and re-introduced the discharged mixture into the fermentation dry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capable of fermenting and drying organic waste in large quantities.
산업화, 도시화가 고도화되면서 산업 폐기물과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이 증가하여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해짐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정화시설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은 음식물 쓰레기나 축분 등이 주종을 이루며, 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인구밀집 지역에서 대량으로 배출되고 있고, 악취를 동반함으로 인해 신속한 수거와 정화처리가 요망된다.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ecome more advanced, the emission of industrial and organic wastes increas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s more seriou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ore efficient purification facilities. Organic wastes are mainly composed of food wastes and animal wastes, and in particular, food wastes are emitted in large concentrations in populated areas, and rapid collection and purification are required due to odors.
기존의 유기성 폐기물 정화처리는 주로 매립 또는 소각방식에 의존하였으나, 매립방식의 경우 매립지의 침출수 유출에 따른 인근 하천이나 지하수의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소각방식의 경우 소각시 발생하는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Existing organic waste purification treatment mainly depends on landfill or incineration method, but landfill method causes pollution of nearby river or groundwater due to leachate runoff from landfill, and incineration method is a carcinogen There is a problem that dioxin is released.
상기 방식의 대안으로, 미생물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 분해를 통해 메탄, 고형연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이 상용화되고 있다. 미생물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방식으로는 크게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방식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방식으로 대별된다.As an alternative to the above method, the recycling of methane, solid fuel or compost through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 by microorganisms is commercially available.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 by microorganisms is largely classified into anaerobic microorganisms and aerobic microorganisms.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방식은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분해시 발생하는 메탄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혐기성 미생물은 중성pH 여건에서 활성화되기 때문에 산성인 유기성 폐기물을 중성화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폭발성이 있는 메탄을 안정적으로 포집하고 저장하는 시설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Anaerobic microorganism is a method of decomposing organic waste using anaerobic microorganism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of methane generated during decomposition. However, since anaerobic microorganisms are activated under neutral pH conditions, a process of neutralizing acidic organic wastes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facility for stably collecting and storing explosive methane is required.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방식은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면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최종산물을 퇴비나 고형 연료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유기성 폐기물에 왕겨나 톱밥 등을 호기성 미생물과 함께 첨가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호기성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을 위해 상기 혼합물을 지속적으로 교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Aerobic microorganisms use aerobic microorganisms to decompose organic wastes and remove water to utilize the final product as compost or solid fuel. However, this method is cumbersome to add chaff or sawdust or the like to the organic waste together with the aerobic microorganism to make a mixture, and to continuously stir the mixture for supplying oxygen necessary for the aerobic microorganism.
상기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발효건조장치의 종래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037658호(등록일자: 2005.05.10.)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30147호(등록일자: 2003.10.06.)가 개시되어 있고,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상기 종래기술들의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와 실시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들은, 발효건조조의 양 측벽 상부에 레일(1)을 부설하고 상기 레일(1) 위에 교반기(2)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교반기(2)의 회전 및 전후진 운동을 통해 유기성 폐기물과 왕겨 등의 혼합물(3)을 교반함으로써, 상기 혼합물(3)에 서식중인 호기성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발효건조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Domestic registration patent No. 10-1037658 (registration date: 2005.05.10.) And 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30147 (registration date: October 6, 2003) as the prior art of th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by the aerobic microorganism 1A and 1B show a side view and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prior arts have a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혼합물(3)의 부하를 극복하면서 교반기(2)를 전진시키기 위해 큰 동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대용량의 구동모터와 구조물의 강도보강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bove prior arts require a large power to advance the
상기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혼합물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차원에서 혼합물(3)의 적층 높이(H)를 낮추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발효건조조 면적 대비 발효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As a solution of the above problem,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f the mixture, a method of lowering the stack height H of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협소한 설치부지와 소용량의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는 발효건조장치의 실시 예로서, 발효건조조를 사일로(silo)(미도시) 형태로 구성하고 하부에 교반기를 구비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은 발효건조조 내부에 혼합물을 높게 적층할 수록, 하부에 위치한 혼합물은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에 의해 점성이 증가하고, 자중에 의한 압력으로 교반기 주변에 공동이 형성되어, 교반기가 공회전하게 되는 터널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s an embodiment of th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which may be composed of a narrow installation site and a small-capacity driving motor, the fermentation drying is configured in a silo (not shown) form and the stirrer is disposed at the bottom. Considering the way it is provided. However, in the above method, the higher the mixture is laminated inside the fermentation drying, the lower the mixture increases in viscosity due to the water flowing from the top, and a cavity is formed around the stirrer by the pressure of its own weight, so that the stirrer idle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ccur tunnel phenomenon.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기성 폐기물과 왕겨 등의 혼합물을 발효건조조에 높게 적층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that can be laminated to a high-drying mixture of organic waste and chaff, such as fermentation drying Is in.
또한, 본 발명은 혼합물을 높게 적층한 상태에서도 하부에 구비된 교반기에 터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tunnel phenomenon in the stirrer provided at the bottom even when the mixture is laminated high.
아울러, 본 발명은 발효건조조 내부에 교반의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dead zone of agitation inside the fermentation drying.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는, 내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이 포함된 혼합물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부는 상기 혼합물의 재투입을 위해 개방되고, 하부에는 복수의 혼합물교반기가 병설되며, 상기 혼합물교반기와 대응하는 위치의 바닥면에는 배출도어가 형성되는 발효건조조; 상기 발효건조조의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이 내장되며, 하부에는 배출수차가 구비되는 유기물 저장조; 상기 발효건조조와 배양액호스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포함된 물과 전자기파 발생기가 내장되며, 상기 배양액호스와 연결되는 안개발생기를 포함하는 미생물배양조; 상기 발효건조조와 상기 유기물 저장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도어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물과 상기 배출수차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콘베이어; 상기 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혼합물과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발효건조조의 상부로 이송하는 수직콘베이어; 및 상기 발효건조조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수직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되어 적층되는 혼합물과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발효건조조의 상부에 분산시키는 혼합물분산기;로 구성되어, 상기 발효건조조에 내장된 혼합물이 상기 배출도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혼합물이 상기 발효건조조의 상부로 재투입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교반방식으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건조가 진행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mixture containing the organic waste is embedded, the upper part is open for re-injection of the mixture,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ixture stirrer Parallel to the fermentation drying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xture stirrer and the discharge door is formed; An organic material storage tank disposed on a side of the fermentation drying unit, in which organic waste is embedded, and an aberration of a waste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thereof; A microbial culture tank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drying and a culture hose, the water containing an aerobic microorganism and an electromagnetic wave generator, and including a mist generator connected to the culture hose; A horizontal conveyor disposed below the fermentation drying unit and the organic storage tank and transferring the mixtu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door and the organic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aberr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conveyor, the vertical conveyor for conveying the mixture and the organic waste transported from the horizontal conveyo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And a mixture disperser rotatably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nd a mixture disperser dispersing organic mixtures and the organic wastes transported and stacked from the vertical conveyo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system.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and drying of the organic wast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door and the organic waste is fermented and dried in a stirring manner in which the discharged mixture is re-introduc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and drying.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는, 발효건조조의 바닥면에는 반원형의 교반기수용홈이 병설되고, 상기 교반기수용홈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양액투입홀이 형성되는 배출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배양액투입홀과 연통하는 파이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ermentation drying is provided with a semi-circular stirrer receiving groove, the culture medium injection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irrer receiving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ischarge door is provided, and a pipe communicating with the culture solution input hole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charge door.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발효건조조의 배출도어 및 배출된 혼합물을 발효건조조의 상부에 재투입할 수 있는 수평부, 수직부, 분배부가 구비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부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중소형 음식물 제조업체에 설치가 용이하다.In the case of using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door and the discharged mixture of the fermentation drying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portion, a vertical portion, and a distribution portion capable of re-inserting the fermentation drying on top of the fermentation drying, thereby providing a site area necessary for installation. It can be minimized, making it easy to install in small and medium sized food manufactur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발효건조조 내부에 적층된 혼합물이 하방으로 유동됨으로써, 교반기 주변의 터널현상의 발생이 방지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ture laminated inside the fermentation drying flows downwar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unnel around the stirrer and easy maintenanc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발효건조조 바닥면에 교반기수용홈이 구비되어 교반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er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drying to improve the stirring efficiency.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시설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b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시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실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도시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의 유기물 저장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의 발효건조조 하부측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1a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rganic matter storage tank of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bottom side of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건조장치는 유기물 저장조(10), 발효건조조(20) 및 미생물배양조(30)의 3개의 조(槽)와 상기 발효건조조(20)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과 왕겨 등의 혼합물(이하 혼합물이라 한다)을 발효건조조(20)의 상부에 재투입하기 위한 수평콘베이어(40), 수직콘베이어(50) 및 혼합물분산기(60)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또는 유압실린더의 온/오프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미도시)가 발효건조장치의 정상 작동 유무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hree tanks of the organic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유기물 저장조(10)에 담겨진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미생물배양조(30)에서 배양된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액을 상기 발효건조조(20)에 정기적으로 보충 투입하면서, 상기 발효건조조(20)의 높이로 적층되는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콘베이어(40), 수직콘베이어(50) 및 혼합물분산기(60)를 발효건조조(20) 주위에 배치하도록 한다.The fermentation drying (20) while periodically supplementing the fermentation drying (20) with the organic waste contained in the organic
또한, 발효건조 과정 중 유기성 폐기물의 악취와 수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데, 호기성 미생물이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효건조조(20) 내부의 온도는 60 ~ 80°C 정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수분 증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발효건조장치는 혼합물의 순환과정을 통해 수분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수분제거를 위한 별도의 열공급 장치가 생략되어 가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effectively remove the odor and moisture of the organic waste during the fermentation drying process,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발효건조장치의 경우, 악취제거를 위해 발효건조조(20)에 인산 및 탄소 등으로 구성되는 부식산이 왕겨와 함께 내장되도록 한다. 상기 부식산은 유기성 폐기물의 유분을 흡착함과 동시에 미생물에 인산 및 탄소를 공급하여 미생물이 악취발생 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증산하게 하는 방식으로 악취를 제거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c acid consisting of phosphoric acid and carbon in the fermentation drying 20 to be embedded with the chaff to remove the odor. The humic acid removes odors in such a manner as to adsorb the organic waste oil and at the same time supply phosphoric acid and carbon to the microorganisms so that the microorganisms increase the enzymes that degrade the odor generating substances.
상기 왕겨는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포집하여 혼합물의 전체적인 함수율을 감소시킴으로써, 혼합물의 점성 저하를 통해 혼합물교반기(22)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구동모터와 지지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왕겨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이 분산되면서 호기성 미생물의 접근성과 활동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왕겨에 의해 혼합물 상에 다량의 공극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공극을 통해 호기성 미생물에 원활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습기제거와 발효완료 시간이 단축되게 된다.The chaff capture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organic waste to reduce the overall moisture content of the mixture,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mixture stirrer 22 through the decrease in viscosity of the mixtur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rive motor and the support member, The organic waste is dispersed by the chaff, which serves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and activity of aerobic microorganisms. That is, a large amount of pores are formed on the mixture by the chaff and the oxygen is smoothly supplied to the aerobic microorganisms through the pores, thereby shortening the moisture removal and fermentation completion time.
상기 부식산을 통해 악취를 제거함에 있어서 분해 전의 악취발생 물질이 잔존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밀폐된 시설(미도시)에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를 설치하고 장치의 상부에는 덕트(미도시) 시설을 구축하여 악취와 혼합물에서 증발된 수분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In removing the odor through the humic acid, the odor may occur as the odor generating material before decomposition remains, so that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ealed facility (not shown), and the duct (top) A facility should be established to capture odors and evaporated water from the mixtur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의 유기물 저장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 저장조(10)는 내부에 저장된 유기성 폐기물을 적정시간과 적정량으로 발효건조조(20)에 보충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부에는 개폐될 수 있는 덮개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악취 방출을 방지하도록 하고, 하부는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rganic matter storage tank of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and 4, the organic
또한, 상기 유기물 저장조(10)의 하단에는 사각의 슬릿(slit) 형태로 홀(11)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홀(11)의 길이방향으로 배출수차(12)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수차(12)는 3개의 날개가 등간격으로 회전축에 고정되며, 각 날의 단부는 홀(11)의 측단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홀(11)을 봉쇄하되, 콘트롤 박스의 제어를 통해 단속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유기성 폐기물이 하부에 구비된 상기 수평콘베이어(40)에 투하되도록 한다. 상기 홀(11)의 길이는 상기 발효건조조(20)의 폭과 같도록 함으로써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이 발효건조조(20)에 고르게 투입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의 발효건조조 하부측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발효건조조(20)는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와 건조가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에 수평콘베이어(40)를 배치하기 위해 지반에서 소정의 높이에 고정되도록 프레임(21)에 안치된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bottom side of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5, the
상기 발효건조조(20)의 하부 내부에는 혼합물을 교반하는 혼합물교반기(22)가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교반된 혼합물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배출도어(24)가 구비되되,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혼합물교반기(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The lower inside of the
상기 혼합물교반기(22)의 회전축 양단은 발효건조조(20)의 측벽에 관통된 상태에서 베어링지지되며, 일단에는 구동모터와 연동되도록 기어 또는 풀리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에는 복수의 로타(22a)가 원주면에 대해 연직으로 돌출형성되되, 고른 교반을 위해 상호 엇갈린 상태로 회전축에 형성된다.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복수의 혼합물교반기(22)는 발효건조조(20)의 바닥면에서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근접한 상태로 병설되며, 발효건조조(20)의 바닥면은 교반시 사각지대가 형성되지 않도록 반원형의 교반기수용홈(28)이 연속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각 교반기수용홈(28)에 혼합물교반기(22)가 수용되며, 하단에는 사각 슬릿 형태의 홀(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또한, 교반기수용홈(28)의 하부에는 상기 홀(23)을 개폐할 수 있는 배출도어(24)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도어(24)는 콘트롤 박스의 제어로 작동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여닫이 형식으로 개폐된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아울러, 상기 배출도어(24)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파이프(25)가 구비되고, 배출도어(24)와 파이프(25)의 고정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양액분사홀(26)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25)의 일단은 봉쇄되고 타단은 배양액호스(27)과 연결됨으로써, 배양액이 상기 배양액호스(27)를 통해 발효건조조(20)에 정기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발효건조조(20)의 상부는 수분의 용이한 증발 및 외부로 배출되었던 혼합물의 재투입을 위해 개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배출도어(24)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물이 후술할 수평콘베이어(40)를 통해 수평이송되고, 수평콘베이어(40)의 일단에 도달한 혼합물은 수직콘베이어(50)를 통해 승강하여 발효건조조(20)의 상부 일측에 누적된다. 누적된 혼합물은 혼합물분산기(60)에 의해 발효건조조(20)의 상부에 고르게 분산되어 다음 교반을 위한 대기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혼합물이 루프형식으로 순환함에 따라, 발효건조조(20)의 상부 혼합물은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혼합물교반기(22) 부근의 터널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top of the fermentation drying 20 is configured to be open for easy evaporation of water and reintroduction of the mixture that has be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mixture discharged through the
상기 미생물배양조(30)는 호기성 미생물이 배양되는 곳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25)와 배양액호스(27)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배양액이 배양액분사홀(26)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혼합물에 호기성 미생물의 추가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호기성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안개형식으로 분사가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상기 배양액호스(27)와 연결되는 안개발생기(32)가 더 구비되게 된다.The
또한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을 위해 미생물배양조(30) 내부에 전자기파 발생기(미도시)가 내장된다. 상기 전자기파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물에 폭기시키면, 물이 단분자(미니 Cluster)화 되어 물의 단위체적당 용존 산소량(DO)이 증가되어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자기파로 폭기된 배양액을 상기 배양액호스(27)를 통해 발효건조조(20) 내부로 공급할 경우, 발효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lectromagnetic wave generator (not shown) is built into the
상기 수평콘베이어(40)는 상기 배출수차(12)와 배출도어(24)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 및 혼합물을 수직콘베이어(50)에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배출도어(24)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콘베이어패드가 구비된다.
The
상기 수직콘베이어(50)는 상기 수평콘베이어(40)로부터 유기성 폐기물 및 혼합물을 전달받아 발효건조조(20)의 상부에 투입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발효건조조(20) 방향으로 경사져 구비되고, 콘베이어패드에는 복수의 혼합물포집단(52)이 병설되며, 혼합물의 원활한 포집을 위해 상기 혼합물포집단(52)의 단부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다.The
또한, 상기 수직콘베이어(50)의 하부측에는 케이스(54)가 구비되는데, 상기 케이스(54)가 수평콘베이어(40)로부터 이송되는 혼합물을 수용하면, 혼합물포집단(52)이 수직콘베이어(50)의 하부를 선회하면서 혼합물을 퍼 올리는 형식으로 혼합물을 포집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수직콘베이어(50)의 콘베이어패드 이동속도는 항상 수평콘베이어(40)의 콘베이어패드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케이스(54) 입구측에서 혼합물이 잔류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a
상기 혼합물분산기(60)는 상기 수직콘베이어(50)를 통해 이송되어 발효건조조(20)의 상부 일측에 적층되는 혼합물을 고르게 분산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발효건조조(20)의 상부에 단위분산기(62)가 수평콘베이어(4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설된다. 상기 단위분산기(62)의 회전축에는 복수의 분산수차(64)가 병설되고, 각 분산수차(64)의 날개에는 로타팁(66)이 형성됨으로써(도 3 참고), 분산수차(64)가 회전함에 따라 로타팁(66)이 후방에 침적된 혼합물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과정이 수행되게 되는데, 혼합물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과정이 연설된 단위분산기(62)를 통해 연속으로 수행됨으로써 혼합물의 고른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본 발명에 의하면, 발효건조조의 배출도어 및 배출된 혼합물을 발효건조조의 상부에 재투입할 수 있는 수평부, 수직부, 분배부가 구비됨으로써, 설치에 필요한 부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발효건조조 내부에 적층된 혼합물이 하방으로 유동됨으로써, 교반기 주변의 터널현상의 발생이 방지되며, 발효건조조 바닥면에 교반기수용홈이 구비됨으로써 교반효율이 향상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discharge door and the discharged mixture of the fermentation dry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the horizontal portion,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distribution portion are provided, thereby minimizing the site area required for installation, fermentation drying As the mixture laminated therein flows downward, the occurrence of tunneling around the stirrer is prevented, and the stirr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providing the stirrer receiving groove on the bottom of the fermentation dry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유기물 저장조
12: 배출수차
20: 발효건조조
22: 혼합물교반기 24: 배출도어
25: 파이프 26: 배양액투입홀
28: 교반기수용홈
30: 미생물배양조
32: 안개발생기
40: 수평콘베이어
50: 수직콘베이어
52: 혼합물포집단 54: 케이스
60: 혼합물분산기10: organic matter storage tank
12: discharge aberration
20: fermentation drying
22: mixture agitator 24: discharge door
25: pipe 26: culture solution injection hole
28: stirrer receiving groove
30: microbial culture tank
32: fog generator
40: horizontal conveyor
50: vertical conveyor
52: mixture group 54: case
60: Mixture Disperser
Claims (3)
상기 발효건조조(20)의 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이 내장되며, 하부에는 배출수차(12)가 구비되는 유기물 저장조(10);
상기 발효건조조(20)와 배양액호스(27)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포함된 물과 전자기파 발생기가 내장되며, 상기 배양액호스(27)와 연결되는 안개발생기(32)를 포함하는 미생물배양조(30);
상기 발효건조조(20)와 상기 유기물 저장조(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도어(24)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물과 상기 배출수차(12)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콘베이어(40);
상기 수평콘베이어(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콘베이어(40)로부터 이송되는 혼합물과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발효건조조(20)의 상부로 이송하는 수직콘베이어(50); 및
상기 발효건조조(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수직콘베이어(50)로부터 이송되어 적층되는 혼합물과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발효건조조(20)의 상부에 분산시키는 혼합물분산기(60);
로 구성되며,
상기 발효건조조(20)에 내장된 혼합물이 상기 배출도어(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혼합물이 상기 발효건조조(20)의 상부로 재투입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교반방식으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건조가 진행되며,
상기 수직콘베이어(50)의 콘베이어패드에는 복수의 혼합물포집단(52)이 병설되고, 하부에는 케이스(5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In a state in which a mixture containing organic waste is embedded therein, the upper part is opened for re-injection of the mixture, and the lower pa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ixture stirrers 22,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ixture stirrer 22. Fermentation drying 20, the discharge door 2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t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ermentation drying 20, the organic waste is embedded therein, the organic material storage tank 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aberration (12);
It is connected to the fermentation drying 20 and the culture fluid hose 27, the microorganisms including a fog generator 32 is connected to the culture fluid hose 27 is built therein water and electromagnetic wave generator containing aerobic microorganisms therein Culture tank 30;
It is disposed below the fermentation drying 20 and the organic storage tank 10 to transfer the mixtu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door 24 and the organic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aberration 12 in a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conveyor 40;
A vertical conveyor 5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conveyor 40 to transfer the mixture and the organic waste transported from the horizontal conveyor 40 to an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20; And
A mixture disperser 60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20 and dispersing the mixture and the organic wastes transported and stacked from the vertical conveyor 5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20;
Lt; / RTI >
In the stirring method in which the mixture embedded in the fermentation drying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door 24, and the discharged mixture is re-introduc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rmentation drying 20 repeatedly. Fermentation and drying of organic waste proceeds,
Conveyor pad of the vertical conveyor 50, a plurality of mixture collection group 52 is installed in parallel, the lower portion of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54 is further provided.
상기 발효건조조(20)의 바닥면에는 반원형의 교반기수용홈(28)이 병설되고, 상기 교반기수용홈(28)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양액투입홀(26)이 형성되는 배출도어(24)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도어(24)의 배면에는 상기 배양액투입홀(26)과 연통하는 파이프(25)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micircular stirrer receiving groove 28 is provid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ermentation drying 20, and a discharge door 24 having a culture solution input hole 26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irrer receiving groove 28 is formed. Is provided, the organic waste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25 is fixed to the back of the discharge door 24 in communication with the culture solution injection hole (2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7401A KR101384124B1 (en) | 2013-07-02 | 2013-07-02 | Fermenting and dry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7401A KR101384124B1 (en) | 2013-07-02 | 2013-07-02 | Fermenting and dry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4124B1 true KR101384124B1 (en) | 2014-04-10 |
Family
ID=5065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7401A KR101384124B1 (en) | 2013-07-02 | 2013-07-02 | Fermenting and dry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412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0519B1 (en) * | 1997-07-24 | 1999-11-15 | 이일쇄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bage |
KR20020006265A (en) * | 2000-07-12 | 2002-01-19 | 정해복 | Garbage processing system and the method |
-
2013
- 2013-07-02 KR KR1020130077401A patent/KR10138412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0519B1 (en) * | 1997-07-24 | 1999-11-15 | 이일쇄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bage |
KR20020006265A (en) * | 2000-07-12 | 2002-01-19 | 정해복 | Garbage processing system and the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907322B (en) | Food waste treatment equipment | |
CN102517200B (en) | Organic waste dry anaerobic high-temperature fermentation system and fermentation process | |
JP4659127B1 (en) | Organic waste treatment equipment and organic waste fermentation treatment method | |
CN104211460B (en) | A kind of quickly aerobic compost reaction unit and application thereof | |
CN108440043B (en) | Tipping bucket device | |
CN110560461B (en) | Box-shaped pushing type domestic garbage continuous aerobic fermentation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 |
KR10085287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of organic wastes and wastes | |
CN106116734A (en) | Aerobic composting device and aerobic composting method for organic solid waste | |
CN108929846B (en) | Movable aerobic composting and anaerobic fermentation system | |
CN111362738B (en) | High-efficient drum-type aerobic composting reaction device who returns muddy | |
CN108147858A (en) | A kind of stage air blast composting device | |
CN102319715B (en) | Horizontal plug flow solid waste anaerobic digestion equipment | |
CN216106657U (en) | Compound fermenting installation of water bubble excrement composting | |
CN208055226U (en) | A kind of stage air blast composting device | |
KR101384124B1 (en) | Fermenting and dry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 | |
CN204097352U (en) | A kind of sectionally assembled aerobic compost reaction experiment device | |
CN209797800U (en) | utilize wind energy to carry domestic waste compost device of temperature | |
CN216574813U (en) | Integrated solid-liquid kitchen waste treatment device | |
CN206616215U (en) | A kind of installation for fermenting beneficial to organic matter fermentation | |
CN215440259U (en) | Kitchen garbage syllogic fermentation processing system | |
CN205774176U (en) | Aerobic composting device for organic solid waste | |
KR100873223B1 (en) | Fermenting vats assembly for compost obsolescence system of organic wastes | |
CN210586347U (en) | Box-shaped push-type domestic garbage continuous aerobic fermentation system | |
CN212128011U (en) | Drum-type aerobic composting back-mixing device | |
KR101539055B1 (en) | Drying System for Organic Wast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