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547B1 -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7 - Google Patents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7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547B1
KR101383547B1 KR1020120116121A KR20120116121A KR101383547B1 KR 101383547 B1 KR101383547 B1 KR 101383547B1 KR 1020120116121 A KR1020120116121 A KR 1020120116121A KR 20120116121 A KR20120116121 A KR 20120116121A KR 101383547 B1 KR101383547 B1 KR 101383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esterase
lipase
enzyme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851A (ko
Inventor
이정현
이현숙
강성균
김윤재
배승섭
전정호
임재규
김상진
권개경
차선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1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54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16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N9/18Carboxylic ester hydrolases (3.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1/00Hydrolases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Y301/01Carboxylic ester hydrolases (3.1.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효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남태평양 해역(남위 3°89′, 동경 152°49′) 깊이 1,400 미터에 이르는 심해 퇴적물, 북극 다산기지 주변 연안 퇴적물, 강화도 갯벌 퇴적물로부터 구축된 메타게놈 라이브러리를 대상으로 분리한 신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효소, 이들을 암호화 하는 유전자 및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효소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7{Esterases KTL 7 Isolated from Deep Sea Sediment}
본 발명은 신규 리파제,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리파제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에스터라제,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에스터라제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파제(lipase, glycerol ester hydrolases)란 다양한 범위의 수용성 혹은 비수용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carboxylic acid ester)나 아마이드(amide)의 가수분해 혹은 합성을 촉매하는 효소를 말하며 가수분해 (hydrolysis), 알콜분해 (alcoholysis), 산 분해 (acidolysis), 에스테르화 (esterification), 아미노분해(aminolysis) 등과 같이 다양한 생물 촉매 반응에 관여하고, 수용액 상태에서 뿐 아니라 유기 용매에서도 활성을 유지하고, 촉매반응 과정에 별도의 보조인다(cofactor)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다양한 기질에 대해 기질 특이성을 나타내고, 광학이성질체중 어느 한쪽에 대해서만 활성을 나타내는 이성질체 선택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적 응용성이 높은 효소 중의 하나이다. 현재까지 많은 종류의 동물, 식물, 미생물이 리파제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리파제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리파제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식품, 세제, 정밀화학, 화장품 및 환경소재공업등 산업 전반에 걸쳐서 리파제를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있다.
의약품을 비롯한 부가가치가 높은 선도물질을 합성하는 정밀화학분야에서, 기존의 화학적인 방법으로 에스테르화합물을 합성하는 경우, 고온과 고압에서 합성되기 때문에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며 품질에 나쁜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부반응이 일어날 뿐 아니라, 전환율 및 특정 광학이성체의 순도가 낮아서 고순도의 정밀화학제품 생산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위치특이성과 광학활성 특이성을 나타내는 리파제를 생촉매로 사용하는 반응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리파제가 저온에서 활성이 떨어지는 단점 때문에 응용 가능성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리파제는 지방 성분의 때를 물에 잘 녹는 지방산 또는 글리세롤로 가수분해시켜 계면활성제의 작용을 용이하게 해주는 기능이 있어 세제, 표백제의 첨가제로 연구되어져 왔지만, 현재까지 사용실적이 미미한 상태이다. 이는 낮은 세정 온도에서 리파제의 활성이 떨어지는 단점으로 인해, 지방이나 유지성분이 불량하게 혹은 불완전하게 제거되기 때문이다.
에스터라제는 에스테르 결합을 분해하여 저분자의 지방과 알코올을 만드는 효소로서, 탄소 10개 이하의 아실 사슬을 가진 글리세롤에스테르(glycerolester)에 대해서만 활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박테리아, 효모 및 고등생물을 비롯하여 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체에서 많은 종류의 에스터라제가 발견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생화학적 특성 및 에스터라제 유전자 자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스터라제는 리피드(lipid)의 가수분해(hydrolysis) 반응, 가산분해(acidolysis, 에스테르화된 지방산을 유리지방산으로 치환) 반응, 트랜스에스테르화(transesterification, 중성지방(triglyceride)간 지방산의 교환), 에스테르의 합성 등에 사용되어,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효소이다. 특히, 세탁물 얼룩 내의 지방성분을 쉽게 제거 가능한 친수성 물질로 분해할 수 있어 세제 산업에 사용될 수 있고, 치즈의 숙성 및 향미를 추가하는 등의 치즈 생산 및 제빵용 노화 방지제나 천연 버터 향미를 가진 마가린의 제조와 같은 식음료 산업, 쓰레기 처리 산업, 그리고 소화제의 주요성분으로서 제약 산업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밖에도 에스터라제는 기질 특이성, 광학활성 특이성 및 위치 특이성 등의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어 여러가지 생리 활성 키랄 의약품을 개발하는데 그 용도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광학활성 의약품 생산에 유용한 키랄 화합물의 생산은 의약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국민 건강 증진에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는 과제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상기의 중요한 반응은 때때로 고온과 유기 용매 하에서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특히, 식품산업에서 유리 지방산의 생산에 주로 이용되는 우지 (beef tallow) 및 야자유 (palm oil)는 보통의 효소 반응 온도에서는 고체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러한 재료의 효소적 가공을 위해서는 고온의 반응 환경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온에서 안정한 내열성 에스터라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신규의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효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의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효소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파제 효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스터라제 효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리파제 효소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DNA 서열 및 이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스터라제제 효소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DNA 서열 및 이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리파제 효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스터라제 효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유전공학적 방법에 의한 제조방법이다.
제 1 양태로, 본 발명은 서열번호 7 또는 11을 가지는 신규 리파제 효소들을 암호화하는 핵산서열 및 상기 서열에 등가의 핵산서열들을 제공한다. 또한 서열번1, 3, 5, 9,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또는 33의 서열을 가지는 신규 에스터라제 효소들을 암호화하는 핵산서열 및 상기 서열에 등가의 핵산서열들을 제공한다.
"등가의 핵산서열"에는 상기 리파제 효소 및 에스터라제 서열의 코돈 축퇴성 서열을 포함한다.
"코돈 축퇴성 서열"이란 상기 자연 발생의 서열과는 상이하나 본 발명에 개시된 자연 발생의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효소와 동일한 서열의 폴리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핵산서열을 의미한다.
제 2 양태로, 본 발명은 서열번호 8 또는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리파제 효소및 이의 기능적 동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2, 4, 6, 10,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또는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에스터라제 효소 및 이의 기능적 동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능적 동등물"에는 서열번호 8 또는 12의 리파제 및 서열번호 2, 4, 6, 10,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또는 34 의 에스터라제 효소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되거나, 아미노산의 일부가 결실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 변형체가 상기 효소 기능을 유지하는 것 모두를 포함된다. 아미노산의 치환은 바람직하게는 보존적 치환이다. 천연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보존적 치환의 예는 다음과 같다; 지방족 아미노산(Gly, Ala, Pro), 소수성 아미노산(Ile, Leu, Val), 방향족 아미노산(Phe, Tyr, Trp), 산성 아미노산(Asp, Glu), 염기성 아미노산(His, Lys, Arg, Gln, Asn) 및 황함유 아미노산(Cys, Met). 아미노산의 결실은 바람직하게는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효소의 활성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제 3 양태로는 상기 리파제 효소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서열번호 7 또는 11의 DNA 분절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스터라제 효소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서열번호 1, 3, 5, 9,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또는 33의 DNA 분절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벡터라는 용어는 또다른 핵산을 그것에 결합시켜 이송시킬 수 있는 핵산 분자를 의미한다. 발현벡터란 용어는 상기 벡터에 의해 운반되는 각 재조합형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을 합성시킬 수 있는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또는 파아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벡터는 그것이 결합된 핵산을 자기 복제 및 발현시킬 수 있는 벡터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로는, 리파제 효소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서열번호 7 또는 11의 DNA 분절을 포함하는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스터라제 효소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서열번호 1, 3, 5, 9,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또는 33의 DNA 분절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형질전환'이란 용어는 외래 DNA 또는 RNA가 세포에 흡수되어 세포의 유전형이 변화되는 것을 말한다.
적합한 형질전환세포로는 원핵생물, 곰팡이, 식물, 동물세포 등이 포함되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장균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로는 리파제 효소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서열번호 7 또는 11의 DNA 분절을 포함하는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이용하여 리파제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스터라제 효소를 암호화하는 분리된 서열번호 1, 3, 5, 9,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또는 33의 DNA 분절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이용하여 에스터라제 효소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신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를 생산하는 형질전환된 대장균, 이를 배양하여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 및 생산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의 응용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신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의 활성이 우수하였고, 폭 넓은 온도에서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고부가가치의 정밀화학 산업과 화장품, 세제 산업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EM2L1).
도 2는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EM2L2).
도 3은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EM2L3).
도 4는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리파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EM2L4).
도 5는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EM2L6).
도 6은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의 리파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EM2L7).
도 7은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ATL1).
도 8은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ATL3).
도 9는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ATL5).
도 10은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 20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ATL6).
도 11은 서열번호 21 및 서열번호 22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ATL7).
도 12는 서열번호 23 및 서열번호 24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ATL11).
도 13은 서열번호 25 및 서열번호 26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KTL1).
도 14는 서열번호 27 및 서열번호 28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KTL3).
도 15는 서열번호 29 및 서열번호 30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KTL4).
도 16은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KTL7).
도 17은 서열번호 33 및 서열번호 34의 에스터라제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KTL9).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유전자의 분리 및 미생물
본 발명의 신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를 생산하는 유전자는 서남태평양 해역의 깊이 1,400미터에 이르는 퇴적물로부터 환경 DNA를 추출하여, 정제 과정을 거쳐서 포스미드(Fosmid) 벡터를 이용하여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라이브러리의 평균 인서트(insert) DNA 크기는 약 32 kb로 8천여 클론이 구축되었으며, 이는 약 280 mb의 염기쌍에 해당된다. 구축된 메타게놈 라이브러리로부터 트리카프릴닌(Tricaprylin) 평판배지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클론으로부터 분리하였다.
< 실시예 2 > 리파제 에스터라제 유전자의 클로닝 및 아미노산 서열 결정
메타게놈 라이브러리로부터 발견된, 트리카프릴닌 분해 활성이 있는 클론의 포스미드 디엔에이(fosmid DNA)를 대량 얻은 후에 네불라이저(Nebulizer)를 이용하여 2~4 kb로 자른후 말단 리페어링(end-repairing) 효소를 사용하여 각각의 DNA 절편을 블런트 엔드(blunt-end)로 만들어 작은 크기의 삽입될 DNA를 준비한다. 피블루스크립트(pBluescript SK) 벡터는 제한 효소 에콜알오(EcoRⅤ)로 자른 후, 포스파타제(calf intestinal phosphatase)로 처리한 후, 삽입될 DNA와 리게이션(ligation)시켜 E. coli DH5α에 형질전환 시켰다. 이것을 암피실린(ampicillin)을 첨가한 트리카프릴닌(Tricaprylin) 평판배지 (1% 트립톤(tryptone), 0.5%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1% 염화나트륨(NaCl), 1% 트리카프릴닌(Tricaprylin))에 도말하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트리카프릴닌을 분해하여 투명 환을 형성하는 군락(colony)을 찾았다. 이것을 배양하여 플라스미드를 분리하여 확인하였다. 삽입 DNA의 염기서열분석은 시퀀싱 키트(sequenase kit)와 티세븐 프라이머(T7 primer), 티쓰리 프라이머(T3 primer), 그리고 염기서열결정에 필요한 프라이머(primer)를 디자인하여 사용하였고, 생어 다이 데옥시 체인 터미네이션(Sanger dideoxy chain termination)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벡터 엔티아이(NT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assemble)을 수행하였고, 엔씨비아이(NCBI)의 오알에프 예측 프로그램(ORF finder)를 이용하여 오알에프(open reading frame; ORF)를 발견하였다.
그 결과, EM2L4 및 EM2L7는 신규 리파제로 나타났고, EM2L1, EM2L2, EM2L3, EM2L6, ATL1, ATL3, ATL5, ATL6, ATL7, ATL11, KTL1, KTL3, KTL4, KTL7 및 KTL9는 신규 에스터라제로 나타났다(표 1).
신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클론
이름
리파제/
에스터라제
(bp)
발현
벡터
효소
사이트
아미노산 특성 활성
pH pH
범위
온도 온도
범위
기질
EM2L1 780
(서열번호1)
pET 24a(+) NdeI 및 XhoI 259
(서열번호2)
8 7―10 20 5―40 C6 에스터라제
EM2L2 1215
(서열번호3)
pET 24a(+) NdeI 및 XhoI 404
(서열번호4)
9 7―10 30 10―40 C6 에스터라제
EM2L3 900
(서열번호5)
pET 24a(+) NdeI 및 XhoI 299
(서열번호6)
8.5 6.5―9.5 15 5―60 C6 에스터라제
EM2L4 993
(서열번호7)
pET 24a(+) NdeI 및 XhoI 330
(서열번호8)
          리파제
EM2L6 807
(서열번호9)
pET 24a(+) NdeI 및 XhoI 268
(서열번호10)
          에스터라제
EM2L7 834
(서열번호11)
pET 24a(+) NdeI 및 XhoI 277
(서열번호12)
          리파제
ATL1 912
(서열번호13)
pET 24d(+) NcoI 및 Not I 303
(서열번호14)
8 7.0-9.0 35 20-50  C4 에스터라제
ATL3 918
(서열번호15)
pET 24a(+) NdeI 및 XhoI 305
(서열번호16)
8.5 6.5―10 20 5―30 C4 에스터라제
ATL5 1080
(서열번호17)
pET 24a(+) NdeI 및 XhoI 359
(서열번호18)
          에스터라제
ATL6 870
(서열번호19)
pET 24a(+) NdeI 및 XhoI 289
(서열번호20)
8 6.5―10 40 20―50 C6 에스터라제
ATL7 1248
(서열번호21)
pET 24a(+) NdeI 및 XhoI 416
(서열번호22)
          에스터라제
ATL11 939
(서열번호23)
pET 24a(+) NdeI 및 XhoI 312
(서열번호24)
8 7.5-8.5 35 25-40  C6 에스터라제
KTL1 1566 
(서열번호25)
pET 24a(+) NdeI 및 XhoI 521
(서열번호26)
8 6.5―10 30 5―45 C4 에스터라제
KTL3 1500
(서열번호27)
pET 24a(+) NdeI 및 Not I 499
(서열번호28)
          에스터라제
KTL4 1059
(서열번호29)
pET 24a(+) NdeI 및 Not I 352
(서열번호30)
8.5 6.5―10 20 5―25 C6 에스터라제
KTL7 951
(서열번호31)
pET 24d(+) NcoI 및 Not I 316
(서열번호32)
8 7―9 30 15―35 C6 에스터라제
KTL9 1119
(서열번호33)
pET 24a(+) NdeI 및 XhoI 372
(서열번호34)
8 6.5―10 30 5―45 C6 에스터라제
< 실시예 3 > 리파제 에스터라제의 대량생산을 위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개발
메타게놈 라이브러리로부터 찾아낸 신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 대량 생산용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개발하였다.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DNA를 주형(template) DNA로 이용하고 합성된 2개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핵산증폭반응(PCR)을 수행하였다. 제한효소는 표 1에서와 같이 각각의 인지 부위를 갖도록 합성된 DNA 양끝을 자른 후, 동일한 제한효소로 처리된 대량 생산용 벡터와 함께 리게이션(ligation) 시킴으로써 대량 생산용 재조합 플라스미드들을 개발하였다(표 1).
재조합 플라스미드에는 강력한 티세븐 프로모터(T7 promotor)와 번역(translation) 신호가 내재되어 있어서 T7 RNA polymerase 유전자를 갖고 있는 E. coli BL21(DE3)를 숙주로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리파제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리파제의 활성은 일정한 pH에서 올리브유가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생성되는 지방산의 양을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적정하는 pH 스텟(stat)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효소의 1 유닛(unit)은 분당 1 μ㏖의 지방산을 생산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에스터라제의 활성은 p-니트로페닐 부틸레이트(p-nitrophenyl butyrate; pNPB) 또는 다른 p-니트로페틸 에스터(p-nitrophenyl esters; pNPEs)를 기질로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응혼합액은 아세노니트릴에 녹인 0.01ml의 10mM 기질, 0.04ml 에탄올 및 0.95ml의 50mM Tris-HCl 완충액(pH 8.0)에 적절한 양의 효소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효소 반응은 35℃에서 3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하는 동안 유리된 p-니트로페놀의 양을 405nm에서 측정하였다. 효소의 1 유닛은 35℃에서 분당 1 μ㏖의 p-니트로페놀을 필요로 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 실시예 4 > 리파제 에스터라제의 대장균에서의 발현 및 생산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지니는 대장균(E. coli BL21(DE3)) 균을 카나마이신(kanamycin) ml당 50 마이크로그램(ug)이 포함된 액체배지(LB) (1% 트립톤(tryptone), 0.5%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1% 염화나트륨(NaCl))에서 흡광오디(OD600 nm)가 0.6으로 될 때 까지 배양한 후, 아이피티지(IPTG)를 최종농도 1 mM이 되게 첨가하여 25℃에서 12시간 배양하여, 라파제 및 에스터라제 효소를 얻을 수 있었다.
< 실시예 5 > 리파제 에스터라제의 분리 정제 방법
대장균(E. coli BL21(DE3)이 생산한 리파제 및 에스터라제를 다음과 같이 순수분리하였다. 대량 생산된 균체를 원심분리를 통해서 회수하였다. 회수된 균체를 초음파 분쇄법으로 깬 후에 원심분리(12,000×g, 4℃, 10분)하여 얻은 상층액만을 얻어 조효소액으로 하였다. 히스바인딩(His Bind) 컬럼은 결합 버퍼(500 mM NaCl, 20 mM Tris-HCl, 40 mM imidazole, pH 7.9)로 평형시킨 후 위에서 얻은 조효소액을 컬럼에 통과시킨다. 세척용 완충용액(500 mM NaCl, 20 mM Tris-HCl, 60 mM imidazole, pH 7.9)으로 세척 후 동일한 버퍼 조건에서 이미다졸(imidazole) 농도를 100 mM로 높여서 리파아제 및 에스터라제를 정제하였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7)

  1.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단백질.
  2. 제 1 항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3.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에스터라제.
  4. 제 3 항의 에스터라제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터라제 유전자.
  5. 서열번호 31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6. 제 5 항에 따른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7. 제 6 항에 따른 형질전환된 세포를 배양하고, 상기 배양된 세포로부터 에스터라제 효소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터라제 효소 생산방법.
KR1020120116121A 2012-10-18 2012-10-18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7 KR101383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21A KR101383547B1 (ko) 2012-10-18 2012-10-18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21A KR101383547B1 (ko) 2012-10-18 2012-10-18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219A Division KR101383546B1 (ko) 2007-10-16 2007-10-16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851A KR20120129851A (ko) 2012-11-28
KR101383547B1 true KR101383547B1 (ko) 2014-04-09

Family

ID=4751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121A KR101383547B1 (ko) 2012-10-18 2012-10-18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7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547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ccession No. ADH59413: esterase [uncultured bacterium] (2010.07.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851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reck et al.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halophilic lipases and thioesterases
Kim et al.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esterase from a metagenomic library
Jiang et al. Cloning,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halotolerant esterase from a marine bacterium Pelagibacterium halotolerans B2 T
US20040142441A1 (en) Enzymes with lipase/acyltransferase activity, nucleic acids encoding the same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8642025B (zh) 一种酶活及位置选择性提高的脂肪酶突变体及其应用
Vijayakumar et al. Rice (Oryza sativa) lipase: molecular cloning, functional expression and substrate specificity
CN108251400B (zh) 脂肪酶及其应用
CN107384891A (zh) 一种深海细菌来源新型耐盐碱性酯酶及应用
Yoon et al. Improving the enantioselectivity of an esterase toward (S)-ketoprofen ethyl ester through protein engineering
KR101383548B1 (ko)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9
CN111057692B (zh) 一种酯酶、编码基因、载体、重组细胞及其应用
KR101887732B1 (ko) 리파아제 활성이 증대된 양친매성 펩타이드-리파아제 결합체 및 이의 용도
KR20050121667A (ko) 안정한 리파제 유전자 변이체
KR101383546B1 (ko)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4
KR101383547B1 (ko)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에스터라제 ktl 7
KR101202259B1 (ko)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리파제 em2l4
KR101202261B1 (ko) 심해 해저에서 분리된 리파제 em2l7
KR100986161B1 (ko) 갯벌 메타게놈 유래 신규 에스터라제 및 이의 제조방법
ES2333201T3 (es) Butinol 1 esterasa.
CN110951711B (zh) 一种具有降解手性酯活性的酯酶及其编码基因和应用
CN111117980B (zh) 一种南极土壤来源的酯酶及其编码基因和应用
KR101453012B1 (ko) 신규의 에스터라제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이들을 이용한 에스터라제 생산방법
Okamura et al. Protein engineering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rmomyces lanuginosus lipase in methanol
KR101209700B1 (ko) 메타게놈 유래 신규 저온성 에스터라제
Smichi et al. Efficient heterologous expression, functional characterization and molecular modeling of annular seabream digestive phospholipase A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