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752B1 -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 Google Patents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752B1
KR101382752B1 KR1020120086107A KR20120086107A KR101382752B1 KR 101382752 B1 KR101382752 B1 KR 101382752B1 KR 1020120086107 A KR1020120086107 A KR 1020120086107A KR 20120086107 A KR20120086107 A KR 20120086107A KR 101382752 B1 KR101382752 B1 KR 10138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plate
link
soft
har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953A (ko
Inventor
민정선
김은식
조양래
차홍준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7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은 차체로 힌지연결된 페달 암(1)에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경질판(20)과, 경질판(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재질의 PP로 이루어진 연질판(30)이 함께 구성됨으로써, 운전자가 경질판(20)과 연질판(30)을 고르게 누르지 않더라도 페달 조작감 차이를 거의 느낄 수 없고, 특히 페달을 밟는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부드러우면서 균일한 느낌을 제공 받음으로써 페달 고급화에 크게 기여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Uniformity Pedal Feeling type Pedal}
본 발명은 페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달을 누르는 힘이 다르더라도 발바닥 전체에 균일한 반력을 부여해줌으로써 페달 조작감 차이 시 발생될 수 있는 페달 오조작 방지와 함께 부드러운 느낌을 통한 페달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에서 운전자가 느끼는 페달 조작감은 오조작 방지는 물론 페달 상품성에도 크게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페달에는 운전자가 페달을 누르는 답력 크기에 반하는 반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운전자 스스로 페달의 조작정도를 인식할 수 있고, 더불어 페달 복귀시 탄성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리턴스프링을 이용해 페달 조작감을 부여할 경우, 운전자가 요구하는 고급화된 페달 조작감 제공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국내특허등록10-0948781(2010년03월15일)
상기 특허문헌은 운전자의 발목을 이용한 페달조작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운전자의 발목 지지를 통한 편안함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요구하는 고급화를 어느 정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상기 특허문헌은 가속 페달의 풋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풋플레이트와 동일하게 회동하고 탄성부재로 하부 플레이트와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특허문헌은 운전자가 풋플레이트를 밟아 답력이 가해지면, 상부 플레이트가 풋플레이트가 회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페달을 조작하는 운전자 발목의 초기 회전 각도를 높이고, 평상 시 운전자의 발목을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은 오르간이나 오르간 링크 타입의 페달로서, 이 경우 운전자가 밟는 페달부위로 인한 조작감 차이가 그대로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일례로, 오르간이나 오르간 링크 타입의 페달의 구조상 페달의 윗부분을 밟아 조작할 때 상대적으로 가벼운 답력을 느끼는 반면, 페달의 아랫부분을 밟아 조작할 때 상대적으로 무거운 답력을 느끼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느끼는 페달 조작감이 페달을 밟아주는 위치에 따라 달라짐으로써 운전자가 요구하는 고급화된 페달 조작감 제공에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부가 기능을 부여하더라도 운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상품성을 향상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페달을 누르는 힘이 다르더라도 발바닥 전체에 균일한 반력을 부여해줌으로써 페달 조작감 차이 시 발생될 수 있는 페달 오조작을 방지하고, 특히 페달을 밟는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부드러우면서 균일한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페달 고급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은 차체로 힌지 연결된 페달링크로 지지되어,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경질판과;
상기 경질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재질로 이루어져 바닥에 고정된 페달 베이스로 지지되고, 상기 경질판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연질판;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링크에는 상기 경질판과 상기 연질판으로 이어지는 반력링크가 더 연장되어진다.
상기 경질판에는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면의 반대쪽면으로 상기 페달링크에 접촉되는 링크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연질판에는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면의 반대쪽면으로 상기 페달링크와 접촉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암 돌기가 돌출된다.
상기 암 돌기는 그 끝부위로 볼형상을 이루고, 굵기와 길이가 서로 다른 4개를 한 쌍으로 한다.
상기 연질판은 상기 경질판이 사출성형될 때 상기 경질판과 일체화된다.
상기 연질판은 PP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은 차체로 힌지연결된 페달링크와, 상기 페달링크와 분리되어 바닥으로 고정된 페달 베이스로 이루어진 페달 암과;
상기 페달링크에서 이어진 반력링크로 지지되어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경질판과, 상기 경질판에 연결되어 상기 반력링크와 접촉되어 반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암 돌기가 구비된 연질판으로 이루어진 누름페달;
상기 경질판과 상기 페달링크를 서로 연결해 지지해주는 어퍼연결단과;
상기 연질판과 상기 페달 베이스를 서로 연결해 지지해주는 로어연결단;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질판의 PP재질은 상기 경질판의 PP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재질이고, 상기 연질판은 상기 경질판이 사출성형될 때 상기 경질판과 일체화되며, 상기 연질판의 암 돌기는 볼형상 끝부위를 이루어 굵기와 길이가 서로 다른 4개를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페달을 누르는 힘이 다르더라도 발바닥 전체로 반력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운전자가 균일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고, 특히 페달을 밟는 위치에 관계없이 페달 조작감 차이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페달 오조작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을 밟는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부드러우면서 균일한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페달 고급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달을 밟는 부위만 변화시키는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균일 조작감을 구현함으로써 원가 및 중량의 증가 없이도 구현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페달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페달의 암돌기에 대한 다양한 변형례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의 작동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은 차체로 힌지연결된 페달링크(2)와, 페달링크(2)와 분리되어 바닥으로 고정된 페달 베이스(7)로 이루어진 페달 암(1)과;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경질판(20)과, 경질판(20)에 일체화되어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연질판(30)으로 이루어진 누름페달(10)과; 누름페달(10)을 페달 암(1)과 결합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페달 암(1)의 페달링크(2)에는 반력링크(3)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반력링크(3)는 누름페달(10)의 눌림 시 누름페달(10)이 누름력 크기에 따른 반력을 누름페달(1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반력링크(3)가 누름페달(10)과 대향하는 면에는 일정구간으로 상단접촉면(4)이 형성되고, 나머지 구간으로 상단접촉면(4)에 대해 단차진 하단접촉면(5)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접촉면(4)은 누름페달(10)의 경질판(20)에 접촉되고, 직선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하단접촉면(5)은 누름페달(10)의 연질판(30)에 접촉되고, 곡선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페달(10)의 경질판(20)은 상대적으로 연질인 PP재질로 이루어지고 한쪽면은 편평한 면인 반면 반대쪽면은 링크보스(21)가 돌출되며, 연질판(30)은 상대적으로 경질인 PP재질로 이루어지고 한쪽면은 편평한 면인 반면 반대쪽면은 다수의 암 돌기(31a,...,31n)가 등간격으로 돌출된다.
통상, 상기 누름페달(10)의 페달 설치각(Ma)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페달 설치각과 동일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누름페달(10)의 경질판(20)을 페달링크(2)와 연결하는 어퍼연결단(50)과, 누름페달(10)의 연질판(30)을 페달 베이스(7)와 연결하는 로어연결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퍼연결단(50)과 상기 로어연결단(60)은 끼움식 구조이거나 체결식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동일한 작용을 위한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페달(1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페달(10)은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경질판(20)과 이에 이어진 연질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질판(20)과 상기 연질판(30)은 성형부(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일체화된다.
상기 경질판(20)에는 운전자가 밟는 편평한 면의 반대쪽면으로 돌출된 링크보스(21)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보스(21)는 페달 암(1)의 페달링크(2)에서 이어지는 반력링크(3)에 어퍼연결단(50)을 매개로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반력링크(3)의 상단접촉면(4)으로 위치된다.
상기 연질판(30)에는 운전자가 밟는 편평한 면의 반대쪽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암 돌기(31a,...,31n)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 돌기(31a,...,31n)는 약 4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연질판(30)에는 연결보스(32)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보스(32)는 연질판(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경질판(20)과 연결되는 성형부(40)로 형성된다.
상기 성형부(40)는 경질판(20)의 사출성형시 연질판(30)의 연결보스(32)를 사출금형에 위치시켜줌으로써 경질판(20)의 사출과 함께 형성된다.
그러므로, 누름페달(10)은 연질판(30)이 사출성형되고, 이어 연질판(30)과 함께 경질판(20)이 사출성형되는 이중사출방식으로 제작된다.
한편,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페달(10)의 연질판(30)이 다양하게 변형된 암돌기(31a,...,31n)를 가진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판(30)의 암돌기(31a,...,31n)는 볼형상 끝을 갖는 단면 형상은 거의 변화가 없는 대신 길이와 굵기에 변화를 줌으로써 다양하게 변형된다.
도 3(가)는 연질판(30)의 암돌기(31a,31b,31c,31d)를 4개로 형성하고, 4개의 암돌기(31a,31b,31c,31d)의 길이와 굵기를 모두 동일하게 한 경우이다.
도 3(나)는 연질판(30-1)의 암돌기(31a,31b,31c,31d)를 4개로 형성하고, 4개의 암돌기(31a,31b,31c,31d)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한 반면 그 굵기는 모두 동일하게 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암돌기(31a,31b,31c,31d)는 페달 설치각(Ma)을 기준으로 할 때 연질판(30)의 위쪽으로 갈수록 그 길이를 더 길게 변형한 예임을 알 수 있다.
도 3(다)는 연질판(30-2)의 암돌기(31a,31b,31c,31d)를 4개로 형성하고, 4개의 암돌기(31a,31b,31c,31d)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한 반면 그 굵기는 모두 동일하게 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암돌기(31a,31b,31c,31d)는 페달 설치각(Ma)을 기준으로 할 때 연질판(30)의 위쪽으로 갈수록 그 길이를 더 짧게 변형한 예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운전자가 누름페달(10)의 경질판(20)과 연질판(30)중 경질판(20)을 집중적으로 눌러줌으로써, 누름페달(10)의 누름력(Pa)이 반력링크(3)의 상단접촉면(4)으로 집중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운전자가 발(F)로 느끼는 반력은 경질판(20)을 통한 메인반력(Pa-a)을 주로 느끼지만 동시에 경질판(20)에 이어진 연질판(30)을 통한 서브반력(Pa-a)도 함께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비록 운전자가 누름페달(10)의 연질판(30)을 밟지 않고 경질판(20)을 집중적으로 눌러준 경우라도 연질판(30)을 통한 반력이 어느 정도 형성됨으로써, 운전자가 발(F)을 통해 느끼는 답력은 경질판(20)과 연질판(30)을 통해 비교적 고르게 느낄 수 있다.
도 5(가)는 운전자가 누름페달(10)의 경질판(20)과 연질판(30)중 경질판(20)과 함께 연질판(30)의 상단부위를 집중적으로 눌러줌으로써, 누름페달(10)의 누름력(Pb)이 반력링크(3)의 상단접촉면(4)과 이에 대해 단차진 하단접촉면(5)에 분포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운전자가 발(F)로 느끼는 반력은 연질판(30)을 통한 메인반력(Pb-a)을 주로 느끼지만 동시에 연질판(30)에 이어진 경질판(20)을 통한 서브반력(Pb-a)도 함께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비록 운전자가 누름페달(10)의 경질판(20)과 연질판(30)의 상단부위를 함께 눌러준 경우라도, 운전자가 발(F)을 통해 느끼는 답력은 경질판(20)과 연질판(30)을 통해 고르게 느낄 수 있다.
반면, 도 5(나)는 운전자가 누름페달(10)의 경질판(20)과 연질판(30)중 연질판(30)을 집중적으로 눌러줌으로써, 누름페달(10)의 누름력(Pc)이 반력링크(3)의 하단접촉면(5)으로 집중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운전자가 발(F)로 느끼는 반력은 연질판(30)을 통한 메인반력(Pc-a)을 주로 느끼지만 동시에 연질판(30)에 이어진 경질판(20)을 통한 서브반력(Pc-a)도 함께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비록 운전자가 누름페달(10)의 경질판(20)을 밟지 않고 연질판(30)을 집중적으로 눌러준 경우라도 경질판(20)을 통한 반력이 어느 정도 형성됨으로써, 운전자가 발(F)을 통해 느끼는 답력은 경질판(20)과 연질판(30)을 통해 비교적 고르게 느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은 차체로 힌지연결된 페달 암(1)에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경질판(20)과, 경질판(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재질의 PP로 이루어진 연질판(30)이 함께 구성됨으로써, 운전자가 경질판(20)과 연질판(30)을 고르게 누르지 않더라도 페달 조작감 차이를 거의 느낄 수 없고, 특히 페달을 밟는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부드러우면서 균일한 느낌을 제공 받음으로써 페달 고급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1 : 페달 암 2 : 페달링크
3 : 반력링크 4 : 상단접촉면
5 : 하단접촉면 7 : 페달 베이스
10 : 누름페달 20 : 경질판
21 : 링크보스 30,30-1,30-2 : 연질판
31a,...,31n : 암 돌기 32 : 연결보스
40 : 성형부 50 : 어퍼연결단
60 : 로어연결단

Claims (9)

  1. 차체로 힌지 연결된 페달링크로 지지되어,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경질판과;
    상기 경질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재질로 이루어져 바닥에 고정된 페달 베이스로 지지되고, 상기 경질판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연질판;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링크에는 상기 경질판과 상기 연질판으로 이어지는 반력링크가 더 연장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질판에는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면의 반대쪽면으로 상기 페달링크에 접촉되는 링크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연질판에는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면의 반대쪽면으로 상기 페달링크와 접촉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암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암 돌기는 그 끝부위로 볼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암 돌기는 굵기와 길이가 서로 다른 4개를 한 쌍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질판은 상기 경질판이 사출성형될 때 상기 경질판과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질판은 PP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8. 차체로 힌지연결된 페달링크와, 상기 페달링크와 분리되어 바닥으로 고정된 페달 베이스로 이루어진 페달 암과;
    상기 페달링크에서 이어진 반력링크로 지지되어 운전자가 밟고 눌러주는 경질판과, 상기 경질판에 연결되어 상기 반력링크와 접촉되어 반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암 돌기가 구비된 연질판으로 이루어진 누름페달;
    상기 경질판과 상기 페달링크를 서로 연결해 지지해주는 어퍼연결단과;
    상기 연질판과 상기 페달 베이스를 서로 연결해 지지해주는 로어연결단;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질판의 PP재질은 상기 경질판의 PP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재질이고, 상기 연질판은 상기 경질판이 사출성형될 때 상기 경질판과 일체화되며, 상기 연질판의 암 돌기는 볼형상 끝부위를 이루어 굵기와 길이가 서로 다른 4개를 한 쌍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KR1020120086107A 2012-08-07 2012-08-07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KR10138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107A KR101382752B1 (ko) 2012-08-07 2012-08-07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107A KR101382752B1 (ko) 2012-08-07 2012-08-07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953A KR20140019953A (ko) 2014-02-18
KR101382752B1 true KR101382752B1 (ko) 2014-04-08

Family

ID=5026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107A KR101382752B1 (ko) 2012-08-07 2012-08-07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7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089U (ko) * 1997-04-11 1998-11-16 김영귀 자동차 액셀레이터 페달의 구조
KR20070030970A (ko) * 2005-09-14 2007-03-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가속페달
KR20070061670A (ko) * 2005-12-10 2007-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확장형 가속페달
JP2008132871A (ja) * 2006-11-28 2008-06-12 Komatsu Ltd アクセルペダ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089U (ko) * 1997-04-11 1998-11-16 김영귀 자동차 액셀레이터 페달의 구조
KR20070030970A (ko) * 2005-09-14 2007-03-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가속페달
KR20070061670A (ko) * 2005-12-10 2007-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확장형 가속페달
JP2008132871A (ja) * 2006-11-28 2008-06-12 Komatsu Ltd アクセルペダ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953A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9374A (en) Combined resilient sole of a shoe
US8132976B2 (en) Reduced impact keyboard with cushioned keys
JPH09201206A (ja) スノーボードブーツのバックサポート
US8716588B2 (en) Key press switch for electronic piano
US20060053949A1 (en) Electronic pedal device
KR101382752B1 (ko) 균일 조작감 타입 페달
JP2017525616A (ja) クリップレス自転車ペダルのクリートアセンブリ
JP5590502B2 (ja) 鍵盤装置
JP6142755B2 (ja) ドーム型反力発生ユニット
JP2008059202A (ja) 車両用ペダル
CN211621766U (zh) 一种脚踏结构和挖掘机
CN218022004U (zh) 一种踏板控制装置及车辆
TWI702626B (zh) 具有較佳按壓手感的觸控按鍵
CN110323095B (zh) 具有较佳触控手感的触控按键
KR101267184B1 (ko) 차량용 감성 페달
JP2601288Y2 (ja) フットペダル装置
KR101382969B1 (ko) 답력조절타입 페달
JP2013195655A (ja) 打楽器用のペダル装置
JP2023071124A (ja) 自転車用ペダルの踏み面調整スペーサ
JP2005195987A (ja) 鍵盤楽器の鍵
JP4286070B2 (ja) 靴底
JP3577009B2 (ja) 足底加圧用靴中敷き
JPH0414793Y2 (ko)
JP3109142U (ja) バランス調整能力養成具
KR101417471B1 (ko) 차량용 가속페달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