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035B1 -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035B1
KR101382035B1 KR1020120086598A KR20120086598A KR101382035B1 KR 101382035 B1 KR101382035 B1 KR 101382035B1 KR 1020120086598 A KR1020120086598 A KR 1020120086598A KR 20120086598 A KR20120086598 A KR 20120086598A KR 101382035 B1 KR101382035 B1 KR 10138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uide block
block
case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128A (ko
Inventor
이규형
박승복
문창민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2008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0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바닥을 블럭화시키고, 케이스와 극판 사이로 접착수단(Hot-melt)를 분사하여 케이스의 바닥면을 블럭화 시켜 내진동구조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극판을 고정할 수 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할 수 있는 내진동 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Battery case with anti-vib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바닥을 블럭화시키고, 케이스와 극판 사이로 접착수단(Hot-melt)를 분사하여 케이스의 바닥면을 블럭화 시켜 내진동구조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극판을 고정할 수 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할 수 있는 내진동 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연축전지는 내부에 납을 사용한 전극과 묽은 황산의 전해액이 들어있으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전조와 카바를 사용한다. 이 중 전조는 극판(50)과 전해액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연축전지는 장착된 차량이 오프로드와 같이 주행환경이 좋지않은 도로의 주행시에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내부의 극판의 손상 및 전해액의 누출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전지 케이스의 바닥면에 별도의 치구를 장착하여 극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축전지용 내진동구조는, 예를 들면, 바닥면에 액상의 수지인 접착수단을 도포하여 극판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축전지용 내진동구조는 바닥면 전체에 상기 접착수단을 도포해야되기 때문에 사용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축전지용 내진동구조는 바닥면에 극판을 접착 고정시켰기 때문에 바닥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극판에 전달되기 때문에 극판의 손상 및 전해액의 누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본 발명의 목적은 축전지 케이스의 바닥면을 블럭화시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고, 접착수단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직립된 벽면에 의하여 극판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이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상향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블럭으로 이루어져 상기 극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내진동블럭; 상기 극판과 내진동블럭을 접착 고정시키는 접착수단; 및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서 하향연장되는 주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진동블럭은 상기 극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에서 상기 극판의 하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홈은 상기 가이드블럭과 연통되고,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주입홈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면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면에 도포되어 상기 극판의 하면과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면 사이의 빈공간에 충전된다.
삭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은 상기 지지블럭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일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입홈을 통해 주입된 접착수단이 도포되는 제1가이드블럭과 제2가이드블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횡방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1가이드블럭과 제2가이드블럭사이를 연통시켜 상기 접착수단이 전달되는 전달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상기 주입홈은 상기 제1가이드블럭과 제2가이드블럭 중 선택된 하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벽면의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위치를 음각 또는 양각된 문자, 기호 및 색상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축전지용 케이스의 바닥면을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블록을 이용하여 극판을 지지하고, 접착수단이 유입되는 영역을 한정하였기에 접착수단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블럭화된 구조를 통하여 완화시킬 수 있어 극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의 바닥면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10)는 극판(50)과, 전후좌우측면(11, 12)과 바닥면(13)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40)과, 상기 격벽(40)에 의하여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공간의 바닥면(13)에서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고 상기 극판(50)을 지지하는 내진동블럭(20)과, 상기 내진동블럭(20)과 극판(50)을 접착고정시키는 접착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전후좌우측면을 이루는 벽면(11, 12)에 의하여 내측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 공간은 양측면에 각각 고정된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40)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 형성된다.
상기 극판(50)은 상기 케이스(10)의 하나 이상의 공간의 내측에서 하나 이상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극판(50)은 하나 이상의 극판이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가능 하도록 연결되는 극판조립체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극판으로 총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전후면(11)과 좌우측면(12)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접착수단(30)이 주입되는 주입홈(111, 121, 121')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홈(111, 121, 121')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11), 그리고 양측면(12)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접착수단(30)을 상기 내진동블럭(20)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주입홈(111, 121, 121')은 상기 격벽(40)에 의하여 분할된 공간별로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후술되는 내진동블럭(20)의 가이드블럭(21)의 숫자와 동일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진동블럭(20)은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면(13)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고 고정되어 상기 극판(50)의 하부를 지지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진동블럭(20)은 상기 극판(5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럭(22)과, 상기 지지블럭(22)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극판의 하면과 상면 사이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접착수단(30)이 충전되는 공간을 이루는 가이드블럭(21)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블럭(21)은 상기 지지블럭(22)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상면으로 상기 지지블럭(22)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홈(111, 121, 121')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블럭(21)은 상기 주입홈(111, 121, 121')을 통하여 주입되는 접착수단(30)이 상면으로 유입되어 채워진다.
상기 접착수단(30)은 상기 가이드블럭(21)과 극판(50)의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 및 경화되어 상기 극판(50)과 상기 지지블럭(22)을 접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단(30)은 액상의 플라스틱수지로 뾰족한 분사구를 갖는 분사장치를 통하여 주입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수단(30)은 도포된 이후에 1~3분 이내로 경화 가능한 제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접착수단(30)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품인 핫멜트(Hot-melt)을 적용하였기에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내진동블럭(20)은 상면에서 상기 극판(40)의 하면이 안착되는 지지블럭(22)과 상기 지지블럭(22)의 일측에서 동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착수단(30)이 충진되는 가이드블럭(21)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블럭은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면을 이루어 상기 케이스의 양측벽면에 양 끝단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럭(21)은 상기 접착수단(30)이 도포되는 상면을 이루어 상기 지지블럭(21)과 동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럭(21)과 지지블럭(22)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럭(2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각각의 가이드블럭(21, 21')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두 개의 지지블럭(22, 22') 사이에서 세 개의 가이드블럭(21, 21', 21'')이 상기 지지블럭(22, 22')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형성됨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럭(21)은 상기 주입홈(111, 121, 121')에 각각 연결되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만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가이드블럭(21)은 상기 주입홈(111)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면, 상기 케이스(10) 전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홈(111)에 연통된다. 아울러 상기 제1지지블럭(21)은 상기 제1가이드블럭(21)의 일측에서 동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11)의 주입홈(111)에서 주입된 접착수단(30)은 상기 극판(50)의 하면과 제1가이드블럭(21)의 상면 사이의 빈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극판(50)을 접착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블럭(22)의 타측에는 제2가이드블럭(21)이 위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블럭(21)의 타측에 제2지지블럭(22)이 밀착되도록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블럭(22)의 타측에는 별도의 블럭구조 대신 상기 격벽(40)이 직립형성되는 바닥면(13)이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2가이드블럭(21)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주입홈(121)과 연통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블럭(21)은 상기 전면에 위치되는 제1주입홈(111)에 의하여 주입된 접착수단(30)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2가이드블럭(21)은 상기 일측면을 통하여 주입되는 제2주입홈(121)을 통하여 주입된 접착수단(30)이 충진된다.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는 케이스(10)의 폭과 극판(50)의 폭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주입홈(111, 121, 1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극판(50)과 케이스(10)의 벽면(12) 사이를 통하여 접착수단(30)을 주입함도 가능하다.
이때 설계자는 상기 주입홈(111, 121, 121') 대신에 상기 케이스(10)의 전후좌우측면으로 이루어진 벽면(11, 12)의 상단에서 별도의 문자가 기호로서 음각 또는 양각화된 문자, 기호, 숫자 또는 색상중 어느 하나로 가이드블럭(21, 21', 21'')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단(30)은 주사기 타입의 분사구가 포함되는 장치로서 그 끝단이 뾰족하게 연장되는 분사구를 상기 가이드블럭(21)의 위치를 상기 표시부를통하여 확인하여 상기 극판(50)과 케이스(10) 측면 사이의 틈 사이로 분사구를 삽입한 뒤에 접착수단(30)을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속하는 다양한 응용예중 하나이며, 이는 설계자와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케이스(10)에서 하나 이상의 격벽(40)에 의하여 분할된 각각의 공간에 극판(50)을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극판(50)은 상기 지지블럭(22)의 상면에 안착 되면서, 상기 가이드블럭(21)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착된다.
이후에 상기 하나 이상이 분할된 공간에 극판(50)을 모두 안착시키면, 접착수단(30) 분사장치의 분사구를 상기 주입홈(111, 121, 121') 또는 극판(50)과 케이스(10)의 측면 또는 전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사이로 주입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입홈(111, 121, 121')이 형성된 경우는 상기 분사구를 상기 주입홈(111, 121, 121')의 상단에 위치시킨 뒤에 접착수단(30)을 주입한다. 또는 상기 작업자는 상기 주입홈(111, 121, 121') 대신 극판(50)과 전후좌우측면 사이의 틈사이로 접착수단(30)을 주입하는 경우라면, 상기 케이스(10)의 각 벽면 상단에 형성되는 표시부(도면에 표시되지 않음)를 확인하여 분사구를 삽입한다.
이후에 작업자가 상기 분사구를 통하여 접착수단(30)을 주입하면, 주입된 접착수단(30)은 상기 가이드블럭(21)과 극판(5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 전체를 충전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단(30)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품을 적용하기에 재질과 경화과정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각각의 주입홈(111, 121, 121') 또는 극판(50)과 벽면 사이의 틈 사이를 통하여 각 가이드블럭(21)에 접착수단(30)을 충진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접착수단(30)의 경화가 완료되면 다음공정으로 상기 케이스(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주입홈(111, 121, 121')과 표시부(도면에 표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각각의 가이드블럭(21)에 접착수단(30)을 각각 주입하는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1가이드블럭(21)과 제2가이드블럭(21) 사이에 상기 접착수단(30)이 전달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가이드블럭(21)과 제2가이드블럭(21) 사이에 상방 돌출되는 제1지지블럭(22)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가이드블럭(21)과 제2가이드블럭(21)이 연통되는 전달홈(23)을 포함한다
상기 전달홈(23)은 상기 제1가이드블럭(21)과 제2가이드블럭(21)사이를 연통함에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블럭(21)과 제2가이드블럭(21) 중 어느 하나에 접착수단(30)이 주입되면, 다른쪽으로 전달할 수 있어 상기 하나 이상이 가이드블럭(21) 마다 접착수단(30) 분사구를 삽입하여 주입해야되는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단(30)은 액상의 플라스틱수지로서 분사이후에 완전 경화되는 시간이 2~5분 남짓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번의 주입으로 너무 많은 가이드블럭(21)에 접착수단을 충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블럭의 길이를 고려하여 2~3개의 가이드블럭(21)을 한번의 주입으로 충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바닥면(13)에서 서로 높이가 다른 내진동블럭(20)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접착수단(30)에 의한 접착면적과 지지면적을 구분하여 지지할 수 있어 접착수단(30)의 사용량을 절약함과 동시에 바닥면(13)에서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키는 내진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전면
12 : 측면 13 : 바닥면
20 : 내진동블럭 21, 21' : 가이드블럭
22, 22' : 지지블럭 23 : 전달홈
30 : 접착수단 40 : 격벽
111, 121, 121': 주입홈

Claims (7)

  1. 직립된 벽면에 의하여 극판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이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상향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블럭으로 이루어져 상기 극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내진동블럭;
    상기 극판과 내진동블럭을 접착 고정시키는 접착수단; 및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서 하향연장되는 주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진동블럭은 상기 극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에서 상기 극판의 하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홈은 상기 가이드블럭과 연통되고,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주입홈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면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면에 도포되어 상기 극판의 하면과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면 사이의 빈공간에 충전되는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은
    상기 지지블럭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일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착수단이 도포되는 제1가이드블럭과 제2가이드블럭이 일체로 형성되는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는
    상기 지지블럭에서 횡방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1가이드블럭과 제2가이드블럭사이를 연통시켜 상기 접착수단이 전달되는 전달홈을 더 포함하는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홈은
    상기 제1가이드블럭과 제2가이드블럭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벽면의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위치를 음각 또는 양각된 문자, 기호 및 색상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KR1020120086598A 2012-08-08 2012-08-08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KR10138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98A KR101382035B1 (ko) 2012-08-08 2012-08-08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598A KR101382035B1 (ko) 2012-08-08 2012-08-08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28A KR20140021128A (ko) 2014-02-20
KR101382035B1 true KR101382035B1 (ko) 2014-04-14

Family

ID=5026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598A KR101382035B1 (ko) 2012-08-08 2012-08-08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071424U (zh) 2018-11-16 2019-07-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容纳电池模组的箱体及电池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530A (ja) 2004-02-27 2005-09-0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及び電池パック
KR20120006235A (ko) * 2010-07-12 2012-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2012059364A (ja) 2010-09-03 2012-03-22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
JP2012124071A (ja) 2010-12-09 2012-06-28 Denso Corp 組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530A (ja) 2004-02-27 2005-09-0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及び電池パック
KR20120006235A (ko) * 2010-07-12 2012-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2012059364A (ja) 2010-09-03 2012-03-22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
JP2012124071A (ja) 2010-12-09 2012-06-28 Denso Corp 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28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0952B2 (ja) 永久磁石埋込型モータ及びその製作方法
CN104953055B (zh) 动力电池模组及其电池容纳组件、车辆
JP6137140B2 (ja) 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0219B2 (ja) 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
KR101382035B1 (ko) 내진동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케이스
CN107104205A (zh) 电池模块
CN102402038A (zh) 液晶显示模组的制造方法及液晶显示模组
CN106410513B (zh) 一种适用于停车塔库充电桩的电源接插装置
CN104733672A (zh) 具有联结支架的电池阵列轨道总成
US20200373532A1 (en) Module housing, battery module, high voltage battery,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heat transfer medium between a battery module and a cooling bottom
CN102682825A (zh) 收容壳体
CN219534826U (zh) 端绝缘板及电池装置
EP2800198A1 (de) Batteriemodul mit mindestens zwei nebeneinander angeordneten Batteriezell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tteriemoduls und Kraftfahrzeug
CN109338840A (zh) 一种高强度路面及其施工工艺
CN214256751U (zh) 电机控制器
CN203902709U (zh) 一种备胎存放结构及车辆
KR101490063B1 (ko) 핫멜트 유로구조를 갖는 축전지 케이스
CN103237695B (zh) 雨刷片装置
KR101272006B1 (ko) 전기 자동차 차체
KR101222246B1 (ko) 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206225415U (zh) 一种蓄电池盒体
CN213459968U (zh) 一种电池及电池包
KR101812974B1 (ko) 고소작업차의 메인붐 절연구조
KR101916310B1 (ko)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CN104236238A (zh) 冰箱的导轨安装结构和具有它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