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310B1 -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310B1
KR101916310B1 KR1020180097282A KR20180097282A KR101916310B1 KR 101916310 B1 KR101916310 B1 KR 101916310B1 KR 1020180097282 A KR1020180097282 A KR 1020180097282A KR 20180097282 A KR20180097282 A KR 20180097282A KR 101916310 B1 KR101916310 B1 KR 10191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ock absorbing
anchor bolt
cable trench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권
백근영
Original Assignee
류지권
두용건설(주)
백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권, 두용건설(주), 백근영 filed Critical 류지권
Priority to KR102018009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를 이용하면, 제1,2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충격 흡수용 패드에 의하여 제1,2커버부재의 위를 통행하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한 충격이 바닥면으로 전달되지 않고 흡수되며, 이를 통하여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2커버부재가 좌우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2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가 마련되어 충격을 흡수하므로,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제1,2상부 플레이트 중 어느 한 쪽에 가해지는 충격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위를 통행하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한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CABLE TRENCH CAPABLE OF SHOCK ABSORBING}
본 발명은 케이블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이 바닥면 위로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블을 안전하게 수납하는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부두에서는 컨테이너의 화물을 선적하거나 양하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크레인을 이용한다. 그 중에는 e-RTGC(전력으로 구동되는 Rubber Tire Gantry Crane)와 같이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크레인도 있다.
e-RTGC와 같이 케이블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크레인은, 크레인이 이동할 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케이블 휠에서 풀려나와 바닥면 위에 노출된다.
바닥면 위에 노출되어 있는 케이블은 크레인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이나 장비의 이동을 방해하며, 크레인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이나 장비에 지속적으로 밟히게 되어 파손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크레인을 사용하는 현장의 바닥면에는 케이블을 바닥면 아래에 안전하게 수납하기 위한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된다.
케이블트렌치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오목한 레일의 형태이다. 케이블트렌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에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이 형성되도록 한 뒤, 형성된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케이블트렌치는 바닥면의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을 따라서 연장되는 케이블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트렌치를 이용하면 케이블을 케이블 수납공간에 수납하여 바닥면 위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위를 통행하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케이블트렌치는 케이블트렌치의 설치 부위가 바닥면 위로 노출되어 있어, 그 위를 지나가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하여 케이블트렌치의 설치 부위가 지속적으로 충격을 받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된 바닥면의 콘크리트가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며, 심한 경우 케이블트렌치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케이블트렌치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면에 일체화되도록 설치되므로, 케이블트렌치의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4124호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2010.9.1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블트렌치와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된 바닥면이 그 위를 통행하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형 케이블 트렌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하여 케이블트렌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된 바닥면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자 하며, 케이블트렌치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두 부위 중 어느 한 쪽에 가해지는 충격이 연결된 부위를 통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케이블트렌치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바닥면에 연속하여 마련되는 케이블트렌치에 있어서 :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1수직 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수직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커버부재 ; 상기 제1수직 플레이트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수직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케이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2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2수직 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수직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를 향하여 수평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커버부재 ; 탄성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 ; 탄성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끼움부 본체, 상기 끼움부 본체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덮개부, 상기 끼움부 본체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 각각에는 앵커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앵커볼트 체결부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에는 앵커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제1앵커볼트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의 끼움부 본체에 그라우팅제를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주입구가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앵커볼트 체결부는,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앵커볼트 수용통과, 상기 앵커볼트 수용통의 하단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에 제2앵커볼트 관통공이 형성되는 앵커볼트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는, 상기 앵커볼트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부 삽입공이 형성되는 상부 패드부와 상기 상부 패드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 삽입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상기 제1앵커볼트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부 패드부로 구분되는 것 ; 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의 하부 패드부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보강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는, 제1,2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충격 흡수용 패드에 의하여 제1,2커버부재의 위를 통행하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한 충격이 바닥면으로 전달되지 않고 흡수되며, 이를 통하여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2커버부재가 좌우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2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가 마련되어 충격을 흡수하므로,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제1,2상부 플레이트 중 어느 한 쪽에 가해지는 충격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위를 통행하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한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의 주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가 바닥면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의 주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가 바닥면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는, e-RTGC와 같이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크레인의 케이블(1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바닥면에 연속하여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례의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형성되는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일부분이 매설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설치 형태는 케이블트렌치에 있어서 매우 일반적인 것이다.
본 실시례의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는,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삽입된 상태로 엥커볼트(140,240)에 의하여 바닥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1,2커버부재(100,200)와 한 쌍의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 그리고 제1,2커버부재(100,200)의 사이에 개재되는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2커버부재(100,200)는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설치되어 케이블 수납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1,2커버부재(100,200)는 좌우 대칭을 이루며 분리되어 있다.
제1커버부재(100)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플레이트(110), 제1수직 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 플레이트(120), 제1수직 플레이트(110)의 하단부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 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다.
제1커버부재(100)는 제1수직 플레이트(110)와 제1하부 플레이트(130)가 바닥면의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삽입된 상태로, 제1상부 플레이트(120)가 앵커볼트(140)에 의하여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제1커버부재(100)의 제1수직 플레이트(110)에는 그라우팅제(500)를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주입구(111)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라우팅 주입구(111)는 도 3의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버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수직 플레이트(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그라우팅 주입구(111)를 통하여 그라우팅제(500)를 주입하면 제1커버부재(100)와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의 틈새를 메워 제1커버부재(100)가 설치되는 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제1커버부재(100)의 제1상부 플레이트(120)에는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를 결합한 상태로 앵커볼트(140)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 체결부(121)가 형성된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앵커볼트 체결부(121)는 제1커버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상부 플레이트(12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앵커볼트 체결부(121)는 하방으로 오목한 컵 형태로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앵커볼트 수용통(121a)과, 앵커볼트 수용통(121a)의 하단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앵커볼트 지지판(12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앵커볼트 지지판(121b)의 중앙에는 앵커볼트(140)가 관통되기 위한 제2앵커볼트 관통공(121c)이 형성된다. 그리고 앵커볼트 체결부(121)의 하단에는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의 결합시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링 형태의 패드부재 걸림부(121d)가 방사상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커버부재(100)는 제1커버부재(200)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설치된다.
제2커버부재(200)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 플레이트(210), 제2수직 플레이트(210)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 플레이트(220), 제2수직 플레이트(210)의 하단부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 플레이트(230)로 이루어진다.
제2커버부재(200)는 제2수직 플레이트(210)와 제2하부 플레이트(230)가 바닥면의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삽입된 상태로 제2상부 플레이트(220)가 앵커볼트(240)에 의하여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제2커버부재(200)의 제2수직 플레이트(210)는 제1수직 플레이트(110)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수직 플레이트(110)를 마주보며 배치되며, 제1수직 플레이트(110)와의 사이에 케이블 수납공간(S)을 형성한다.
제2커버부재(200)의 제2수직 플레이트(210)에는 그라우팅제(500)를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주입구(211)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라우팅 주입구(211)는 제2커버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2수직 플레이트(2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그라우팅 주입구(211)를 통하여 그라우팅제(500)를 주입하면 제2커버부재(200)와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의 틈새를 메워 제2커버부재(200)가 설치되는 부위를 보강할 수 있다.
제2커버부재(200)의 제2상부 플레이트(220)에는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를 결합한 상태로 앵커볼트(240)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 체결부(221)가 형성된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앵커볼트 체결부(221)는 제2커버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2상부 플레이트(22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앵커볼트 체결부(221)의 형태는 앵커볼트 체결부(121)의 형태와 동일하며, 앵커볼트 수용통(221a)과, 앵커볼트 지지판(221b), 제2앵커볼트 관통공(221c), 패드부재 걸림부(221d)의 설명은 앵커볼트 체결부(121)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2커버부재(200)의 제2하부 플레이트(230)는 제2수직 플레이트(210)의 하단부에서 제1하부 플레이트(130)를 향하여 수평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하부 플레이트(230)는 제1하부 플레이트(130)와 함께 케이블 수납공간(S)의 바닥을 형성하며, 그 사이에 후술할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가 개재된다.
제1,2커버부재(100,200)가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설치될 때, 제1,2상부 플레이트(120,220)와 바닥면의 사이에는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가 각각 마련되어 제1,2커버부재(100,200)와 함께 설치된다.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는 탄성재질인 고무로 제작되며, 제1,2상부 플레이트(120,220)의 상부를 통행하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한 충격이 제1,2상부 플레이트(120,220)가 고정되는 바닥면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는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 쌍의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는 기능이 동일하고 대칭을 이루는 형태이므로 도면상에서 도면부호를 구분하지지 않고 하나로 표기하였다.
충격흡수용 패드부재(300)는 상부 패드부(310)와 하부 패드부(320)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하부 패드부(320)의 내부에는 보강 플레이트(330)가 마련된다.
상부 패드부(310)는 제1,2상부 플레이트(120,220)의 앵커볼트 체결부(121,221)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부 패드부(310)에는 앵커볼트 체결부(121,221)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부 삽입공(311)이 형성된다.
하부 패드부(320)는 상부 패드부(3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체결부 삽입공(311)의 하부에 앵커볼트 체결부(121,221)의 앵커볼트 체결공(121c,221c)과 연통되는 제1앵커볼트 관통공(321)이 형성된다.
제1앵커볼트 관통공(321)의 직경은 체결부 삽입공(311)의 직경보다 작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의 체결부 삽입공(311)과 제1앵커볼트 관통공(321)은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하부 패드부(320)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보강 플레이트(330)가 수평 방향으로 마련된다. 보강 플레이트(330)는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330)는 제1앵커볼트 관통공(321)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하부 패드부(320) 전체에 걸쳐서 배치된다.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는 제1,2커버부재(100,200)를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설치하기 전에 제1,2수직 플레이트(120,220)의 하부에 먼저 결합된다.
제1,2수직 플레이트(120,220)의 앵커볼트 체결부(121,221)가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의 체결부 삽입공(311)에 삽입되면, 앵커볼트 체결부(121,221)의 하단에 형성되는 패드부재 걸림부(121d,221d)에 의하여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가 이탈되지 않도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2수직 플레이트(120,220)에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를 먼저 결합하면, 제1,2수직 플레이트(120,220)와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를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커버부재(100,200)는 좌우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제1,2하부 플레이트(130,230)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2하부 플레이트(130,230)의 이격된 사이에는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가 개재된다.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는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와 마찬가지로 탄성재질인 고무로 제작되며, 제1,2하부 플레이트(130,230)를 통하여 제1,2커버부재(100,200)가 충격을 서로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즉, 바닥면 위로 노출되어 있는 제1,2상부 플레이트(120,220)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이 제1,2하부 플레이트(130,230)를 통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2커버부재(100,20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는 옆으로 누운 'H'자 형태의 단면구조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는,
제1하부 플레이트(130)와 제2하부 플레이트(2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끼움부 본체(430), 끼움부 본체(430)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하부 플레이트(130)의 상부와 제2하부 플레이트(2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덮개부(410), 끼움부 본체(430)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하부 플레이트(130)의 하부와 제2하부 플레이트(23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덮개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는, 끼움부 본체(430)를 중간에 두고 상부 덮개부(410)와 하부 덮개부(420)의 사이에 제1하부 플레이트(130)의 단부와 제2하부 플레이트(230)의 단부가 좌우로 각각 삽입되는 형태로 제1,2하부 플레이트(130,230)와 결합된다.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의 끼움부 본체(430)에는 그라우팅제(500)를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주입구(431)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라우팅 주입구(4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의 그라우팅 주입구(431)는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의 빈틈에 그라우팅제(500)를 주입하여 제1,2하부 플레이트(130)의 주변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제1,2커버부재(100,200)의 그라우팅 주입구(111,211) 및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의 그라우팅 주입구(431)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로 그라우팅제(500)를 주입하는 동안 나머지가 공기 통로 역할을 하여 그라우팅제(500)가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한다.
제1,2커버부재(100,200)는 앵커볼트(140,240)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 앵커볼트(140,240)는 볼트부재(141,241)와 너트부재(142,242)로 이루어진다.
볼트부재(141,241)는 앵커용 스터드볼트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을 구비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후 볼트부재(141,241)의 상단부가 제1앵커볼트 관통공(321)과 제2앵커볼트 관통공(121c,221c)을 관통하도록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와 제1,2커버부재(100,200)를 정해진 위치로 배치하고 너트부재(142,242)를 체결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앵커볼트(140,240)의 형태와 설치 방법은 일례일 뿐이며, 실시례에 따라서 앵커볼트(140,240)의 구조와 설치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볼트부재(141,241)의 상단부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부재(142,242)는 앵커볼트 체결부(121,221)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앵커볼트 체결부(121,221)에는 앵커볼트(1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앵커볼트(140,240)에 의하여 바닥면의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설치된다.
제1,2커버부재(100,200)의 제1,2상부 플레이트(120,220) 하부에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를 결합하고, 한 쌍의 제1,2하부 플레이트(130,230) 사이에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를 개재한 상태로 바닥면의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에 삽입한다. 그리고 앵커볼트(140,240)를 체결하여 제1,2커버부재(100,200)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바닥면의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은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를 손쉽게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1,2수직 플레이트(110,210)의 외측과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의 하부에는 빈틈이 남아있게 된다.
제1,2커버부재(100,200)에 형성되는 그라우팅 주입구(111,211)와,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에 형성되는 그라우팅 주입구(431) 를 통하여 그라우팅제(500)를 주입하면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의 빈틈을 메울 수 있다.
본 실시례의 그라우팅제(500)는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한 에폭시 수지로서, 제1,2커버부재(100,200)의 그리우팅 주입구(111,211)를 통하여 그라우팅제(400)를 주입하여 제1,2수직 플레이트(110,210) 측면의 빈틈을 메우고,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의 그라우팅 주입구(431)를 통하여 그라우팅제(400)를 주입하여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 하부의 빈틈을 메운다.
그라우팅 주입구(111,211,431)는 제1,2커버부재(100,200) 및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므로, 어느 하나를 통하여 그라우팅제(500)를 주입하는 동안 나머지가 공기 통로 역할을 하여 그라우팅제(500)가 빈틈없이 채워지게 된다.
한편,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의 측면 틈새에는 실링재(700)가 채워진다. 실링재(700)는 그라우팅제(500)와 동일한 에폭시 수지이거나 우레탄 또는 실리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커버부재(100,200)가 좌우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제1,2하부 플레이트(130,230)의 이격된 사이에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가 개재되어 있다. 아울러 제1,2상부 플레이트(120,220)의 하부에는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위를 지나는 차량이나 장비에 의하여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에 충격이 가해지면 제1,2상부 플레이트(100,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가 일차적으로 그 충격을 흡수한다.
차량이나 장비는 제1,2커버부재(100,200)의 제1,2상부 플레이트(120,220)를 차례로 밟고 지나가게 되므로 어느 한 쪽부터 차례로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나 제1,2커버부재(100,200)가 좌우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어느 한 쪽에 가해지는 충격이 다른 쪽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오히려 제1,2커버부재(100,200)의 어느 한 쪽에 가해진 충격은 다른 쪽으로 전달되기 전에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에 의하여 흡수된다.
즉, 제1,2커버부재(100,2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300)와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에 흡수되어,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된 바닥면이나 다른 부위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바닥면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2커버부재(100,20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2커버부재(100,200)와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400)에는 각각 그라우팅 주입구(111,211,431)가 형성되어 그라우팅제(500)를 케이블트렌치 설치용 홈의 빈틈에 채워넣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되는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커버부재 110 : 제1수직 플레이트
111 : 그라우팅 주입구 120 : 제1상부 플레이트
121 : 앵커볼트 체결부 121a : 앵커볼트 수용통
121b : 앵커볼트 지지판 121c : 제1앵커볼트 관통공
121d : 패드부재 걸림부 130 : 제1하부 플레이트
140 : 앵커볼트 141 : 볼트부재
142 : 너트부재
200 : 제2커버부재 210 : 제2수직 플레이트
211 : 그라우팅 주입구 220 : 제2상부 플레이트
221 : 앵커볼트 체결부 221a : 앵커볼트 수용통
221b : 앵커볼트 지지판 221c : 제2앵커볼트 체결공
221d : 패드부재 걸림부 230 : 제2하부 플레이트
240 : 앵커볼트 241 : 볼트부재
242 : 너트부재
300 :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 310 : 상부 패드부
311 : 체결부 삽입공 320 : 하부 패드부
321 : 제1앵커볼트 관통공 330 : 보강 플레이트
400 :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 410 : 상부 덮개부
420 : 하부 덮개부 430 : 끼움부 본체
431 : 그라우팅 주입구
500 : 그라우팅제
600 : 캡부재
700 : 실링재

Claims (4)

  1. 크레인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바닥면에 연속하여 마련되는 케이블트렌치에 있어서 :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1수직 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수직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커버부재 ;
    상기 제1수직 플레이트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수직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케이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2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2수직 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2수직 플레이트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를 향하여 수평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커버부재 ;
    탄성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 ;
    탄성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끼움부 본체, 상기 끼움부 본체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덮개부, 상기 끼움부 본체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 각각에는 앵커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앵커볼트 체결부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에는 앵커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제1앵커볼트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용 끼움부재의 끼움부 본체에 그라우팅제를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주입구가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앵커볼트 체결부는,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앵커볼트 수용통과, 상기 앵커볼트 수용통의 하단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에 제2앵커볼트 관통공이 형성되는 앵커볼트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는, 상기 앵커볼트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부 삽입공이 형성되는 상부 패드부와 상기 상부 패드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 삽입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상기 제1앵커볼트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부 패드부로 구분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용 패드부재의 하부 패드부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보강 플레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KR1020180097282A 2018-08-21 2018-08-21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KR10191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82A KR101916310B1 (ko) 2018-08-21 2018-08-21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82A KR101916310B1 (ko) 2018-08-21 2018-08-21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310B1 true KR101916310B1 (ko) 2018-11-08

Family

ID=6433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282A KR101916310B1 (ko) 2018-08-21 2018-08-21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884B1 (ko) 2019-10-01 2021-03-09 엔티피 주식회사 기판 도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714B1 (ko) 2009-09-23 2010-08-04 서진이엔씨(주) 그라우팅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0984124B1 (ko) 2009-12-02 2010-09-28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714B1 (ko) 2009-09-23 2010-08-04 서진이엔씨(주) 그라우팅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0984124B1 (ko) 2009-12-02 2010-09-28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884B1 (ko) 2019-10-01 2021-03-09 엔티피 주식회사 기판 도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462B1 (ko) 차량용 압력용기 고정장치 및 압력용기 시스템
KR101978652B1 (ko) 와이어로프 마운트 및 유압댐퍼를 이용한 진동저감 장치
KR101916310B1 (ko) 충격 흡수형 케이블트렌치
US3560019A (en) Shock cushioning mounting means for canopies on heavy equipment
EP3114285A1 (en) Cab protection device for working machine
KR20190054567A (ko) 내진 성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마운트 구조
US9227510B2 (en) Fuel tank af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1331489B1 (ko) 지진격리용 교량받침
KR101083512B1 (ko) 철도차량의 대차 연결 장치
US20200318796A1 (en) Device for holding a pressure bottle
CN207670493U (zh) 一种具有减振缓冲功能的重型汽车车架总成
CN115574029A (zh) 一种减振器、智能传感装置及载具
KR20140087218A (ko) 충격흡수구조
KR101497331B1 (ko) 풀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난간
KR101450608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브라켓 설치구조
KR101852539B1 (ko) 가드레일
KR102614290B1 (ko) 철도차량용 하부기기 결합장치
US9956868B1 (en) Storage container with improved mounting assembly
CN210859449U (zh) 一种板材减震隔离支撑密封装置
KR100483189B1 (ko) 도로용 엘형측구
KR20190075776A (ko) 도로 중앙 분리대
CN219281858U (zh) 一种汽车点火线圈接触器连接件
CN217672991U (zh) 仓体组件和具有其的代步车
KR200300997Y1 (ko) 가로등 지주용 하부커버
RU105860U1 (ru) Опора силового агрегата задня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