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637B1 -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637B1
KR101380637B1 KR1020120104372A KR20120104372A KR101380637B1 KR 101380637 B1 KR101380637 B1 KR 101380637B1 KR 1020120104372 A KR1020120104372 A KR 1020120104372A KR 20120104372 A KR20120104372 A KR 20120104372A KR 101380637 B1 KR101380637 B1 KR 101380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kimchi
vitamin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094A (ko
Inventor
송병덕
Original Assignee
송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덕 filed Critical 송병덕
Priority to KR102012010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6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23L33/155Vitamins A or 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 김치의 제조방법은 김치 원재료에 양념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김치 원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 10 내지 30중량부를 더 첨가하되, 상기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는 건강기능식품원료 80 내지 99중량% 및 기능성영양소 1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는 혈당을 낮추어 주고, 당분의 체내 흡수를 제어하며,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원료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당뇨환자나 혈당수치가 높아 관리나 주의를 요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Kimchi with hypoglycemic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의 고유 효능에 혈당을 낮추어 주고, 당분의 체내 흡수를 제어하며,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부가하여 당뇨 환자나 혈당수치가 높아 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유용한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식품인 김치는 배추, 무우 등 야채를 유산균 발효시켜 제조되는 저장 식품으로, 각종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분과 섬유소가 풍부하여 성인병 예방 및 항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그 독특한 풍미와 함께 점차 세계 시장에서도 우수한 건강식품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 고유의 발효식품인 김치는 사용재료가 주로 채소이기 때문에 단백질과 지방질 등의 주요 영양성분은 빈약하지만 비타민과 무기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발효 중에 생성되는 각종 유기산은 식욕을 증진시키고 장내에 있는 유익한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시키는 반면, 유해균을 억제시켜 주는 유익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김치는 주재료가 되는 채소의 종류에 따라서 배추김치, 열무김치, 무김치, 갓김치, 깍두기, 겉절이, 생채 등 여러 가지가 있고, 양념의 농도에 따라서도 물김치, 동치미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김치의 제조 방법도 여러 가지로 알려져 있는데, 대체로, 김치는 그 주재료가 되는 배추 또는 무우를 일정 시간 동안 소금에 절이고 씻어낸 후 고춧가루, 생강, 마늘, 젓갈 등의 각종 양념을 적절한 비율로 첨가하여 적정 온도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김치는 발효시키는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상쾌한 신맛 등 특유의 여러 가지 맛을 가지게 되며, 여러 가지 맛 중 짠맛은 식염의 농도에 따라 쉽게 조절될 수 있고, 그 외의 맛은 첨가된 다양한 부재료와 발효 또는 숙성과정에 의해 결정된다.
최근에는 전통적 김치 외에도 인체에 유용한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성분을 가지는 차별화된 새로운 기능성 김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기능성 김치는 특정한 채소를 주재로 하여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데, 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김치에 동일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능성 김치는 특정한 채소를 사용하여 제조됨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는데, 그에 따라 특정한 기능성을 부여한 김치, 예를 들어 김치의 고유 효능에 혈당을 낮추어 주고, 당분의 체내 흡수를 제어하며,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부가하여 당뇨환자에게 특히 유용하도록 한 김치를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추김치, 무김치, 열무김치, 갓김치, 깍두기, 생채, 겉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김치에 혈당을 낮추어 주며, 당분의 체내 흡수를 제어하고,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일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통적인 김치의 효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당뇨환자에게 특히 유익하도록 한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치 원재료에 양념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김치 원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 10 내지 30중량부를 더 첨가하되,
상기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는 건강기능식품원료 80 내지 99중량% 및 기능성영양소 1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는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14 내지 29중량부, 이눌린 9 내지 10중량부, 타카토스 5 내지 7.5중량부, 양파추출액농축액 2.5 내지 3.5중량부, 상엽추출혼합물 2.2 내지 3.5중량부, 노팔추출물 3.5 내지 5중량부, 구아바잎 0.05 내지 0.2중량부, 피니톨 0.8 내지 2중량부 및 바나바주정추출물 0.05 내지 0.1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능성영양소는 비타민E 3 내지 400중량부, 비타민B1 0.3 내지 100중량부, 비타민B2 0.36 내지 40중량부, 나이아신 3.9 내지 23중량부, 비타민 B12 0.0003 내지 2중량부, 비타민B6 0.45 내지 67중량부, 비타민C 30 내지 1000중량부, 칼슘 210 내지 800중량부, 마그네슘 66 내지 250중량부, 철 4.5 내지 15중량부, 아연 3.6 내지 12중량부, 셀레늄 0.015 내지 0.135중량부, 크롬 0.015 내지 9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는 대두식이섬유, 밀식이섬유, 옥수수겨, 호로파종자, 실크효소가수분해물, 마주정추출물, 인삼가수분해농축액, 쥐눈이콩펩타이드복합물, 콩발효추출물 및 탈지달맞이꽃종자주정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두식이섬유는 10 내지 25중량부, 밀식이섬유는 10 내지 30중량부, 옥수수겨는 8 내지 12중량부, 호로파종자는 12 내지 50중량부, 실크효소가수분해물은 5 내지 8중량부, 마주정추출물은 0.5 내지 1.5중량부, 인삼가수분해농축액은 0.5 내지 1.5중량부, 쥐눈이콩펩타이드복합물은 3 내지 7중량부, 콩발효추출물은 0.5 내지 1.5중량부 및 탈지달맞이꽃종자주정추출물은 0.2~0.3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영양소는 비타민A, 베타카로틴, 비타민D, 비타민K, 판토텐산, 엽산, 비오틴, 구리, 요오드, 망간, 몰리브덴 및 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A는 0. 21 내지 1중량부, 베타카로틴은 1.26 내지 7중량부, 비타민D는 0.0015 내지 0.01중량부, 비타민K는 0.0165 내지 1중량부, 판토텐산은 1.5 내지 200중량부, 엽산은 0.075 내지 0.4중량부, 비오틴은 0.009 내지 0.9중량, 구리는 0.45 내지 7중량부, 요오드는 0.0225 내지 0.15중량부, 망간은 0.6 내지 3.5중량부, 몰리브덴은 0.0075 내지 0.23중량부 및 칼륨은 1050 내지 370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김치는 배추김치, 갓김치, 무김치, 깍두기, 동치미, 겉절이, 생채, 장아찌 및 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는 양념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김치 원재료에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한 후 1mm 내지 10mm의 그래뉼화 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한 후 50 내지 100메쉬로 분말화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김치는 혈당을 낮추어 주고, 당분의 체내 흡수를 제어하며,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원료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당뇨환자나 혈당수치가 높아 관리나 주의를 요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당뇨병환자가 의약품을 복용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를 식사 때 취식하게 되면 혈당강하를 도와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환자에게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당뇨환자에게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은 김치 원재료에 양념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 시 상기 김치 원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 10 내지 30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김치라 함은 통상의 김치 원재료에 양념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통칭한다.
김치 원재료는 제조하고자 하는 김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김치는 배추김치, 갓김치, 무김치, 깍두기, 동치미, 겉절이, 생채, 장아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김치는 배추김치, 무김치, 오이김치, 기타채소김치, 석박지, 어패김치, 육류김치, 해조류김치, 물김치 등이 있다.
또한 깍두기는 무깍두기, 부추깍두기, 우엉깍두기, 풋고추잎깍두기. 쑥갓깍두기, 오이깍두기, 쑥깍두기, 대구깍두기, 북어무깍두기, 해물깍두기, 곤쟁이젓깍두기, 창란젓깍두기, 모젓깍두기, 무청깍두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겉절이에는 배추겉절이, 얼갈이겉절이, 하루나겉절이, 양배추겉절이, 상치겉절이, 오이겉절이, 부추겉절이, 달래겉절이, 더덕겉절이, 가지겉절이, 쑥갓겉절이, 돌나물겉절이, 당근겉절이, 파셀리겉절이, 셀러리겉절이, 풋고추겉절이, 깻잎겉절이, 봄동겉절이, 부로콜리겉절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생채에는 무생채, 배추생채, 양배추생채, 도라지생채, 노각생채, 파생체, 달래생채, 수삼생체, 쑥갓생채, 풋마늘생채, 도라지오이생채, 고구마생채, 오이생채, 소라오이생채, 미역오이생채, 더덕생채, 오징어생채, 무꼴뚜기젓생채, 해파리생채, 파래젓생채, 두부생채, 제육생채, 더덕생무침, 도라지무침, 달래무침, 상추무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장아찌에는 오이장아찌, 오이통장아찌, 오이소장아찌, 오이갑장아찌, 오이숙장아찌, 오이고추장장아찌, 오이간장장아찌, 오이장아찌무침, 오이볶음, 마늘짱아찌, 마늘쫑장아찌, 풋마늘장아찌, 통마늘장아찌, 마늘고추장장아찌, 무우말랭이장아찌, 무우말랭이엿장아찌, 무우숙장아찌, 무우장아찌, 무우채장아찌, 무우볶음장아찌, 무우청장아찌, 열무장아찌, 동치미무우장아찌, 가지장아찌, 가지통장아찌, 파장아찌, 실파장아찌, 고추장아찌, 풋고추장아찌무침, 풋고추장아찌, 고춧잎장아찌, 고추고추장장아찌, 고추간장장아찌, 양파장아찌, 토란장아찌, 토란대장아찌, 깻잎장아찌, 갓장아찌, 도라지장아찌, 산초장아찌, 노각장아찌, 송이장아찌, 더덕장아찌, 부추장아찌, 콩잎장아찌, 미나리장아찌, 달래장아찌, 참외장아찌, 살구장아찌, 천도복숭아장아찌, 머위장아찌, 매실소엽장아찌, 매실장아찌, 호두장아찌 대추장아찌, 밤장아찌, 은행장아찌, 감장아찌, 수박장아찌, 달걀장아찌, 갑오징어장아찌, 북어장아찌, 조개장아찌, 전복장아찌, 김장아찌, 미역장아찌, 돌김장아찌, 배추장아찌, 호배추장아찌, 배추속대장아찌, 배추김치장아찌, 모듬장아찌, 도토리묵장아찌, 청포묵장아찌, 물외장아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짠지에는 골짠지, 골곰짠지, 무우짠지, 무북어짠지, 무우청짠지, 마늘짠지, 케일짠지, 마늘선짠지, 배추짠지, 콩나물짠지, 오이짠지, 삭힌 고추짠지, 도라지짠지, 더덕짠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양념은 제조하고자 하는 김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당해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제조하여 첨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양념의 조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김치 원재료에 양념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 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김치 원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 10 내지 30중량부를 더 첨가하게 된다.
상기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가 김치 원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혈당을 낮추어 주고, 당분의 체내 흡수를 제어하며,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김치 고유의 효능과 맛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는 건강기능식품원료 80 내지 99중량% 및 기능성영양소 1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는 혈당을 낮추어 주고 당분의 체내 흡수를 제어하고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어 혈당을 조절할 목적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는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14 내지 29중량부, 이눌린 9 내지 10중량부, 타카토스 5 내지 7.5중량부, 양파추출액농축액 2.5 내지 3.5중량부, 상엽추출혼합물 2.2 내지 3.5중량부, 노팔추출물 3.5 내지 5중량부, 구아바잎 0.05 내지 0.2중량부, 피니톨 0.8 내지 2중량부 및 바나바주정추출물 0.05 내지 0.1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들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고시형 또는 개별인정형으로 등록된 원료들로서,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과 이눌린은 고시형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그 외 타카토스, 양파추출액농축액, 상엽추출혼합물, 노팔추출물, 구아바잎, 피니톨 및 바나바주정추출물은 개별인정형으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과 이눌린은 식후 혈당상승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건강기능식품원료에 14 내지 29중량부, 이눌린은 9 내지 1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카토스와 노팔(Nopal)추출물은 식후 혈당조절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카토스는 건강기능식품원료에 5 내지 7.5중량부, 노팔추출물은 3.5 내지 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파추출액농축물, 상엽추출 혼합물, 구아바잎, 피니톨 및 바나바주정추출물은 혈당조절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양파추출액농축액은 건강기능식품원료에 2.5 내지 3.5중량부, 상엽추출혼합물 2.2 내지 3.5중량부, 구아바잎 0.05 내지 0.2중량부, 피니톨 0.8 내지 2중량부 및 바나바주정추출물 0.05 내지 0.1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들이 상기한 범위내로 포함되는 경우 혈당 조절 특성이 우수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는 대두식이섬유, 밀식이섬유, 옥수수겨, 호로파종자, 실크효소가수분해물, 마주정추출물, 인삼가수분해농축액, 쥐눈이콩펩타이드복합물, 콩발효추출물 및 탈지달맞이꽃종자주정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두식이섬유는 건강기능식품원료에 10 내지 25중량부, 밀식이섬유는 10 내지 30중량부, 옥수수겨는 8 내지 12중량부, 호로파종자는 12 내지 50중량부, 실크효소가수분해물은 5 내지 8중량부, 마주정추출물은 0.5 내지 1.5중량부, 인삼가수분해농축액은 0.5 내지 1.5중량부, 쥐눈이콩펩타이드복합물은 3 내지 7중량부, 콩발효추출물은 0.5 내지 1.5중량부 및 탈지달맞이꽃종자주정추출물은 0.2~0.3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건강기능식품원료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건강기능식품원료들과 마찬가지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고시형 또는 개별인정형으로 등록된 원료들로서,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에 해당된다.
상기 대두식이섬유, 밀식이섬유, 옥수수겨, 호로파종자 및 마주정추출물은 식후 혈당상승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두식이섬유는 건강기능식품원료에 10 내지 25중량부, 밀식이섬유는 10 내지 30중량부, 옥수수겨는 8 내지 12중량부, 호로파종자는 12 내지 50중량부 및 마주정추출물은 0.5 내지 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크효소가수분해물, 인삼가수분해농축액, 쥐눈이콩펩타이드복합물은 및 콩발효추출물은 혈당조절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크효소가수분해물은 건강기능식품원료에 5 내지 8중량부, 인삼가수분해농축액은 0.5 내지 1.5중량부, 쥐눈이콩펩타이드복합물은 3 내지 7중량부, 콩발효추출물은 0.5 내지 1.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지달맞이꽃종자주정추출물은 전분의 체내 흡수를 느리게 함으로서 식후 혈당 상승 속도를 느리게 하고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지달맞이꽃종자주정추출물은 0.2~0.3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영양소는 체내에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하여 주기 위해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영양소는 비타민E, 비타민B1, 비타민B2, 나이아신, 비타민B12, 비타민B6, 비타민C,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셀레늄 및 크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타민E는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이며, 비타 B1은 탄수화물과 에너지 대사에 필요한 영양소이고, 비타민B2는 체내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이며, 나이아신은 체내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이다. 비타민B12는 정상적인 엽산 대사에 필요한 영양소이며, 비타민 B6는 단백질 및 아미노산 이용과 혈액의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정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이고, 비타민C는 결합조직 형성과 기능유지와 철의 흡수에 필요하며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이다. 칼슘은 뼈와 치아의 형성, 신경과 근육 기능 유지, 정상적인 혈액응고, 골다공증발생의 위험을 감소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이며, 마그네슘은 에너지 이용, 신경과 근육 기능 유지에 필요한 영양소이고, 철은 체내 산소운반과 혈액생성,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이다. 아연은 정상적인 면역기능과 세포분열에 필요한 영양소이고, 셀레늄(또는 셀렌)은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이며, 크롬은 체내 물과 전해질 균형에 필요한 영양소이다.
상기 영양소들은 1일 권장량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 기능성영양소가 비타민E 3 내지 400중량부, 비타민B1 0.3 내지 100중량부, 비타민B2 0.36 내지 40중량부, 나이아신 3.9 내지 23중량부, 비타민 B12 0.0003 내지 2중량부, 비타민B6 0.45 내지 67중량부, 비타민C 30 내지 1000중량부, 칼슘 210 내지 800중량부, 마그네슘 66 내지 250중량부, 철 4.5 내지 15중량부, 아연 3.6 내지 12중량부, 셀레늄 0.015 내지 0.135중량부 및 크롬 0.015 내지 9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영양소는 비타민A, 베타카로틴, 비타민D, 비타민K, 판토텐산, 엽산, 비오틴, 구리, 요오드, 망간, 몰리브덴 및 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A는 피부와 점막을 형성하고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이고, 베타카로틴은 상피세포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소이며, 비타민D는 칼슘이나 인의 흡수 이용되는데 필요하고, 뼈의 형성과 유지에 필요한 영양소이다. 비타민 K는 정상적인 혈액응고와 뼈의 구성에 필요한 영양소이며, 판토텐산은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대사와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이고, 엽산은 세포와 혈액생성과 태아 신경관의 정상 발달 및 혈액의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정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이다. 비오틴은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대사와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이고, 구리는 철의 운반과 이용,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이며,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 에너지 생성, 신경발달에 필요한 영양소이다. 망간은 뼈 형성, 에너지 이용,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영양소이며, 몰리브덴은 산화환원 효소의 활성에 필요한 영양소이고, 칼륨은 체내 물과 전해질 균형에 필요한 영양소이다.
상기 영양소들은 1일 권장량을 고려하면, 기능성영양소에 상기 비타민A는 기능성영양소에 0. 21 내지 1중량부, 베타카로틴은 1.26 내지 7중량부, 비타민D는 0.0015 내지 0.01중량부, 비타민K는 0.0165 내지 1중량부, 판토텐산은 1.5 내지 200중량부, 엽산은 0.075 내지 0.4중량부, 비오틴은 0.009 내지 0.9중량, 구리는 0.45 내지 7중량부, 요오드는 0.0225 내지 0.15중량부, 망간은 0.6 내지 3.5중량부, 몰리브덴은 0.0075 내지 0.23중량부 및 칼륨은 1050 내지 370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에 전술한 건강기능식품원료는 80 내지 99중량% 함유되고, 기능성영양소는 1 내지 20중량% 함유된다. 상기 범위로 건강기능식품원료와 기능성영양소가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의 혈당 조절 및 혈당강하효과가 우수하면서 체내에 필요한 영양소가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는 바로 김치 원재료에 투입하거나 양념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김치 원재료에 첨가하는 것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김치 원재료에 양념 및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한 후 필요에 따라 숙성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 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 김치는 혈당을 낮추어 주고, 당분의 체내 흡수를 제어하며,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는 건강기능식품원료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당뇨환자나 혈당수치가 높아 관리나 주의를 요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당뇨병환자가 의약품을 복용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를 식사 때 취식하게 되면 혈당강하를 도와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환자에게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김치는 다양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한 건조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열풍건조나 동결건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건조된 된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는 1mm 내지 10mm로 그래뉼화시켜 공급하거나 50 내지 100메쉬로 분말화시켜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14g, 이눌린 9g, 타카토스 5g, 양파추출액 3g, 상엽추출 혼합물 2.8g, 노팔 추출물 4.3g, 구아바잎 123.5mg, 피니톨 1.2g, 바나바주정추출물 50mg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강기능식품원료를 얻었다.
이와는 별도로 비타민E 30mg, 비타민B1 3mg, 비타민B2 3.6mg, 나이아신 39mg, 비타민B12 3mg, 비타민B6 4.5mg, 비타민C 300mg, 칼슘 2100mg, 마그네슘 660mg, 철 45mg, 아연 36mg, 셀레늄(또는 셀렌) 0.15mg 및 크롬 0.15mg의 비율로 혼합하여 기능성영양소를 얻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 혼합물 20g당 상기 기능성 영양소 혼합물 0.4g의 비율로 혼합하여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절인 배추(15%의 염수에 4시간 절임한 배추) 110g당 양념 25g 및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 20.4g의 비율로 첨가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이때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는 먼저 양념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절인 배추에 투입하는 형식으로 첨가하였다. 이때 양념은 고춧가루 3.5g, 마늘 2g, 파 1.5g, 생강 0.5g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14g, 이눌린 9g, 타카토스 5g, 양파추출액 3g, 상엽추출 혼합물 2.8g, 노팔 추출물 4.3g, 구아바잎 123.5mg, 피니톨 1.2g, 바나바주정추출물 50mg, 대두식이섬유 10g, 밀식이섬유 6g, 옥수수겨 10g, 호로파종자 12g, 실크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 6g, 마주정추출물 900mg, 인삼가수분해농축액 960mg, 쥐눈이콩펩타이드복합물 4.5g, 콩발효추출물 900mg, 탈지달맞이꽃종자주정추출물 200mg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강기능식품원료를 얻었다.
이와는 별도로 비타민E 30mg, 비타민B1 3mg, 비타민B2 3.6mg, 나이아신 39mg, 비타민B12 3mg, 비타민B6 4.5mg, 비타민C 300mg, 칼슘 2100mg, 마그네슘 660mg, 철 45mg, 아연 36mg, 셀레늄(또는 셀렌) 0.15mg, 크롬 0.15mg, 비타민A 210㎍, 베타카로틴 6mg, 비타민D 1.5㎍, 비타민K 16.5㎍, 판토텐산 1.5mg, 엽산 75mg, 비오틴 9㎍, 구리 0.45mg, 요오드 22.5㎍, 망간 0.6mg, 몰리브덴 7.5㎍ 및 칼륨 1.05g의 비율로 혼합하여 기능성영양소를 얻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 혼합물 20g당 상기 기능성 영양소 혼합물 0.4g의 비율로 혼합하여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절인 배추(15%의 염수에 4시간 절임한 배추) 110g당 양념 25g 및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 20.4g의 비율로 첨가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이때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는 먼저 양념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절인 배추에 투입하는 형식으로 첨가하였다. 이때 양념은 고춧가루 3.5g, 마늘 2g, 파 1.5g, 생강 0.5g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절인 배추(15%의 염수에 4시간 절임한 배추) 110g당 양념 25g을 첨가한 후 버무려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이때 양념은 고춧가루 3.5g, 마늘 2g, 파 1.5g, 생강 0.5g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3개의 시험군(각 시험군은 당뇨병환자 남자3인, 여자3인 총 6인으로 이루어진 시험군)에게 하루 세끼 식사 중 아침과 저녁에 다른 반찬 없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김치를 한끼당 60g씩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5일간격으로 총 30일간 혈당변화를 확인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기존 혈당강하제 등의 의약품은 계속 복용하도록 하였다.).
구분 0일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실시예 1 공복시혈당치
(mg/dl )
110 110 109 109 108 108 107
식후2시간후혈당치(mg/dl ) 140 140 139 139 138 138 135
실시예 2 공복시혈당치
(mg/dl )
110 110 108 108 107 107 107
식후2시간후혈당치(mg/dl ) 140 140 139 138 135 134 133
비교예 1 공복시혈당치
(mg/dl )
110 110 110 110 110 110 110
식후2시간후혈당치(mg/dl ) 140 140 140 140 140 140 14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김치를 섭취한 당뇨환자의 경우 비교예 1의 일반김치를 섭취한 당뇨환자와 비교하여 볼 때 혈당강하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김치 원재료에 양념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김치 원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 10 내지 30중량부를 더 첨가하되,
    상기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는 건강기능식품원료 80 내지 99중량% 및 기능성영양소 1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는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14 내지 29중량부, 이눌린 9 내지 10중량부, 타카토스 5 내지 7.5중량부, 양파추출액농축액 2.5 내지 3.5중량부, 상엽추출혼합물 2.2 내지 3.5중량부, 노팔추출물 3.5 내지 5중량부, 구아바잎 0.05 내지 0.2중량부, 피니톨 0.8 내지 2중량부 및 바나바주정추출물 0.05 내지 0.1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능성영양소는 비타민E 3 내지 400중량부, 비타민B1 0.3 내지 100중량부, 비타민B2 0.36 내지 40중량부, 나이아신 3.9 내지 23중량부, 비타민 B12 0.0003 내지 2중량부, 비타민B6 0.45 내지 67중량부, 비타민C 30 내지 1000중량부, 칼슘 210 내지 800중량부, 마그네슘 66 내지 250중량부, 철 4.5 내지 15중량부, 아연 3.6 내지 12중량부, 셀레늄 0.015 내지 0.135중량부, 크롬 0.015 내지 9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원료는 대두식이섬유, 밀식이섬유, 옥수수겨, 호로파종자, 실크효소가수분해물, 마주정추출물, 인삼가수분해농축액, 쥐눈이콩펩타이드복합물, 콩발효추출물 및 탈지달맞이꽃종자주정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두식이섬유는 10 내지 25중량부, 밀식이섬유는 10 내지 30중량부, 옥수수겨는 8 내지 12중량부, 호로파종자는 12 내지 50중량부, 실크효소가수분해물은 5 내지 8중량부, 마주정추출물은 0.5 내지 1.5중량부, 인삼가수분해농축액은 0.5 내지 1.5중량부, 쥐눈이콩펩타이드복합물은 3 내지 7중량부, 콩발효추출물은 0.5 내지 1.5중량부 및 탈지달맞이꽃종자주정추출물은 0.2~0.3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영양소는 비타민A, 베타카로틴, 비타민D, 비타민K, 판토텐산, 엽산, 비오틴, 구리, 요오드, 망간, 몰리브덴 및 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타민A는 0. 21 내지 1중량부, 베타카로틴은 1.26 내지 7중량부, 비타민D는 0.0015 내지 0.01중량부, 비타민K는 0.0165 내지 1중량부, 판토텐산은 1.5 내지 200중량부, 엽산은 0.075 내지 0.4중량부, 비오틴은 0.009 내지 0.9중량, 구리는 0.45 내지 7중량부, 요오드는 0.0225 내지 0.15중량부, 망간은 0.6 내지 3.5중량부, 몰리브덴은 0.0075 내지 0.23중량부 및 칼륨은 1050 내지 3700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치는 배추김치, 갓김치, 무김치, 깍두기, 동치미, 겉절이, 생채, 장아찌 및 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당강하 기능성 첨가제는 양념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이를 김치 원재료에 첨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한 후 1mm 내지 10mm의 그래뉼화 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한 후 50 내지 100메쉬로 분말화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KR1020120104372A 2012-09-20 2012-09-20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80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372A KR101380637B1 (ko) 2012-09-20 2012-09-20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372A KR101380637B1 (ko) 2012-09-20 2012-09-20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094A KR20140038094A (ko) 2014-03-28
KR101380637B1 true KR101380637B1 (ko) 2014-04-01

Family

ID=5064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372A KR101380637B1 (ko) 2012-09-20 2012-09-20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204B1 (ko) 2020-05-21 2020-11-18 최복남 당뇨병 또는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2008A (zh) * 2014-10-24 2015-03-04 桂林丰润莱生物科技有限公司 糖尿病患者适宜的甜茶食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868A (ko) * 2002-04-17 2003-10-23 정용희 가시오가피 추출액과 가시오가피류를 이용한 김치제조방법
KR20100102789A (ko) * 2009-03-12 2010-09-27 (주)피에프씨 도라지 배추 김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868A (ko) * 2002-04-17 2003-10-23 정용희 가시오가피 추출액과 가시오가피류를 이용한 김치제조방법
KR20100102789A (ko) * 2009-03-12 2010-09-27 (주)피에프씨 도라지 배추 김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204B1 (ko) 2020-05-21 2020-11-18 최복남 당뇨병 또는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094A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632B1 (ko) 피부 건강 개선용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960666B (zh) 一种黄瓜咸菜及其腌制方法
KR100448260B1 (ko) 체중조절용 특수영양식품의 제조방법
KR101380633B1 (ko) 노화 방지용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N1315418C (zh) 黑木耳燕麦螺旋藻即冲饮品及其制备方法
KR101380634B1 (ko) 간기능 장애 개선용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80637B1 (ko) 혈당강하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6160B1 (ko) 비만 개선용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7057147A (ja) ニンニク等、低塩分濃度の味噌、及びビタミンb1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380636B1 (ko) 고혈압 개선용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6161B1 (ko) 항암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51152B1 (ko) 닭가슴살 음료 조성물
KR101859166B1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380904B1 (ko) 골다공증 개선용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489457A (zh) 一种用于肝癌患者的含壳寡糖蛹虫草粉的膳食配方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KR101981564B1 (ko) 고로쇠 과립을 이용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N103478718B (zh) 提高人体内谷胱甘肽浓度的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KR20210000928A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함유한 다용도 소스
CN107712809A (zh) 一种保健食盐及其制作方法
KR101380635B1 (ko) 활력 증진용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567118A (zh) 一种利用杂粮制成的快餐食品
KR101366177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80631B1 (ko) 통증 완화용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6295A (ko) 항암 효과 물질이 증가된 귀뚜라미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