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675B1 -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675B1
KR101379675B1 KR1020130084403A KR20130084403A KR101379675B1 KR 101379675 B1 KR101379675 B1 KR 101379675B1 KR 1020130084403 A KR1020130084403 A KR 1020130084403A KR 20130084403 A KR20130084403 A KR 20130084403A KR 101379675 B1 KR101379675 B1 KR 101379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oring force
kelp
connecting member
floating body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우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우 filed Critical 김민우
Priority to KR102013008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는 수면을 부유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가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부유체와 경사를 형성하며 연결되되 타단은 고정되는 연결부재; 수중에 부유하는 상태로 상기 연결부재 상에 마련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연결되는 가상선에 수직방으로 발생하는 회전력 및 상기 가상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원심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부재에 인가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복원력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력발생부는 수위변동에 의한 상기 부유체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각도변화시, 상기 연결부재에 인가되는 회전력 및 원심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기가 변동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상에서 부유체가 바람 또는 파도와 같은 외력을 인가받거나 수위가 변동하는 상황에서도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이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VARIALBE LENGTH TYPE AND KELP STYLE MOORING APPARATUS HAVING RESILIENCE}
본 발명은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상에서 부유체가 바람 또는 파도와 같은 외력을 인가받거나 수위가 변동하는 상황에서도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보급을 위하여 종래 수력, 화력 또는 원자력을 통해 생산하던 에너지를 태양광 발전시설로 대체하는 방향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시설에 의해 기존의 발전방식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대규모로 설치되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위해 넓은 시설부지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발전부지의 확보를 위해 해수면 상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수면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설이라 하며, 이는 해수면 상에 부유하는 부유체 상측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한다.
그러나, 수면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설에서 부유체가 바람, 파도, 외력 등에 영향을 받아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태양 빛을 받아들이는 위치 또는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태양광 모듈을 통해 최적의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방향 및 각도를 유지하여 에너지 생산 효율을 최대화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0760호의 수상 설치용 집광장치(이하 '선행발명1')는 저수지의 수면에 플로팅된 상태로 설치되며 저면 중앙에 고정용 닻이 연결 설치되는 부상체와, 부상체와 연결되고 연결고리를 갖는 로프에 등간격으로 연결 설치되는 부이와, 부이와 부이 사이에 배치되고 로프의 연결고리에 연결되며 상부에 집광을 위한 태양광모듈이 설치되어 태양광모듈을 계절에 따른 태양의 일조 각도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광모듈을 틸팅시켜 주기 위해 설치되는 경사조절구 및 태양광모듈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육상에 구비되는 공지의 축전지와 연결하는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발명1은 고정용 닻을 이용하여 부유체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선행발명1이 설치되는 해수면의 수심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선행발명1의 부유체가 회전하여 태양광 모듈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각도를 변동시켜 태양광 발전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162473호의 가변형 연결부재가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이하 '선행발명2')은 일정 크기의 면적으로 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유체와, 부유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시설과, 부유체의 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도르래부와, 도르래부에 안내되게 끼워져서 부유체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일측단은 수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앵커와 연결되고, 연결부재의 타측단은 장력유지용 무게추와 연결시켜 수위가 변하는 상황에도 항상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 발전시설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한 가변형 연결부재가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발명2에 의해서도 무게추가 수중 저면까지 도달하면 연결부재의 장력을 상실하여 부유체의 위치가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부유체가 회전하여 태양광 모듈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각도를 변동시켜 태양광 발전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 또는 파도에 의한 외력이 인가되거나 조수간만 등에 의해 수위가 변동하여도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면을 부유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가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부유체와 경사를 형성하며 연결되되 타단은 고정되는 연결부재; 수중에 부유하는 상태로 상기 연결부재 상에 마련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연결되는 가상선에 수직방으로 발생하는 회전력 및 상기 가상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원심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부재에 인가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복원력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력발생부는 수위변동에 의한 상기 부유체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각도변화시, 상기 연결부재에 인가되는 회전력 및 원심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기가 변동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 상에 마련되며, 수면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길이조절부이; 상기 길이조절부이의 사이에 마련되며, 수위 변동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길이조절부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이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하중을 인가하는 질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질량부로부터 인가되는 하중, 상기 길이조절부이에 의한 부력 및 상기 탄성체의 신축으로 인한 탄성력의 평형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중 저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고정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타단이 상기 고정체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원력 발생부는 상기 연결부재 상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복원력발생부이를 구비하며, 수위 변동시 상기 고정체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각도 변화에 의해 상기 복원력 발생부에 발생하는 부력에 의한 회전력의 크기가 변동하여 상기 부유체에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원력 발생부이는 인가되는 수압을 견디도록 내면 또는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보강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고정도르래; 상기 고정도르래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도르래와 연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이동도르래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도르래에 하중을 인가하는 질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고정도르래를 내부에 수용하며 수면을 부유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부유체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체 상에 마련되어, 수면상에서 상기 부유체가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부유체를 회전시키는 방향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방향조절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양단부가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는 선부재; 상기 선부재 상에 마련되되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수면 상을 부유하며 상기 선부재와의 연결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부유체의 방향을 조절하는 연결용 부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용 부이는,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주부력부; 상기 주부력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단부가 돔 형상인 부부력부; 상기 주부력부와 연결되어 하중을 인가하는 질량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질량부는, 원뿔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중을 인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항력을 발생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부유체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모터부; 일단부가 상기 모터부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모터부 중에서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상에 마련되고 상기 선부재와 연결되며, 수면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선부재는 제1 선부재 및 제2 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제1 선부재 및 상기 제2 선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선부재는 풀리고 상기 제2 선부재는 감김으로써 상기 부유체를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모터부를 통해 상기 제1 선부재 또는 상기 제2 선부재에 발생하는 장력의 합력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부유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 상에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선부재 및 상기 제2 선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드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 또는 파도에 의한 외력이 인가되거나 조수간만 등에 의해 수위가 변동하여도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물이 저장된 공간의 크기, 깊이 등의 관계없이 어디라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원력 발생부에 인가되는 부력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함으로써 수면의 높이변화에 따라 부유체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부이에 가해지는 부력 및 질량부에 인가되는 중력의 평형을 통해 수면 변동에 따라 적절하게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부유체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 또는 외력에 의해 부유체의 방향이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지않더라도 방향조절부를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방향조절부를 통해 부유체가 사용자가 원하는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복원력 발생부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제1 질량부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길이조절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길이조절부 및 복원력 발생부가 연동하여 작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길이조절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방향조절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100)는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통해 수면의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부유체가 설치되는 위치 및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부유체(110)와 방향조절부(12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고정체(15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는 수면위를 부유하는 것으로서, 수면의 수위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설치된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부유체(110)의 위치가 고정된다는 것은 수면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수위가 변동하는 방향을 Z축이라 하면, 부유체(110)는 수위 변동에 의해 Z축 방향의 운동은 가능하나 X축, Y축 위치는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부유체(110) 상면은 해수면 상으로 노출되되 부유체(110)는 사각형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장치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일단이 부유체(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고정체(150)에 연결되어 부유체(110)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된 위치인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는 부유체(110)가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하더라도 다시 기설정된 위치로 회복시키는 기능을 포함한다.
한편, 여기서 기설정된 방향은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연결부재(120)는 부유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부유체(110)의 각 모서리마다 각각 연결되어 4방향으로 부유체(110)를 지지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원력 발생부(130)는 연결부재(120) 상에 마련되어 인가되는 부력의 크기 변동을 통해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연결부재(120)와 후술할 고정체(150)와의 사이각을 변동시켜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복원력 발생부(130)는 수중에 위치하여 부력이 인가되는 부이로 마련되며, 복원력 발생부(130)에 인가되는 부력은 연결부재(120)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복원력 발생부(13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힘과 연결부재(120)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복원력 발생부(130)에 원심력을 인가하는 힘으로 분해된다.
여기서, 복원력 발생부(13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힘의 크기가 커지면 연결부재(120)와 고정체(150) 사이의 사이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복원력 발생부(130)가 이동하며, 복원력 발생부(13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힘의 크기가 작아지면 연결부재(120)와 고정체(150) 사이의 사이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복원력 발생부(130)가 이동하여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한편, 이러한 복원력 발생부(130)의 운동에 따라 부유체(110)가 파도, 바람 또는 외력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복원력 발생부(130)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연결부재(120)를 회전시켜 부유체(110)의 이동을 방지한다.
한편, 복원력 발생부(130)는 수중에 위치하므로 복원력 발생부(130)에 인가되는 수압을 견디기 위해 내면 또는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보강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보강 부재(미도시)는 십자형, 일자형 또는 격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복원력 발생부(130)의 내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체(150)는 수중 저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며 연결부재(120)의 타단과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체(150)는 콘크리트 블럭, 석재 등과 같이 물의 밀도보다 큰 밀도를 가짐으로써 가라앉는 부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결부재(120)와 고정체(150)와의 연결은 특별히 어떠한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복원력 발생부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수면의 수위 변동에 따른 부유체(1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수면의 수위 변동에 따른 부유체(1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단은 복원력 발생부(130)이며, 복원력 발생부(130)는 고정체(150)에 연결되며 고정체(15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만 가능하다.
여기서, 초기 설치된 수면보다 높이가 낮아진 경우를 가정하면, 수위의 높이 하강에 따라 부유체(110)와 고정체(150)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며 연결부재(120)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연결부재(120)는 느슨해짐으로써 장력의 유지되지 않아 부유체(110)에 움직임이 발생가능하다.
이때, 복원력 발생부(130)는 수중에 있으므로 부력을 가지며, 이러한 부력, 그중에서도 특히 연결부재(120)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하 '회전력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은 연결부재(120)와 고정체(150) 사이의 사이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복원력 발생부(13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복원력 발생부(130)의 이동에 의해 복원력 발생부(130) 중에서 가장 상측에 배치된 복원력 발생부(130)를 기준으로 연결부재(120)가 절곡되어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즉, 복원력 발생부(130)의 이동에 의해 복원력 발생부(130)의 부력 중 회전력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은 작아지며, 결국 0에 수렴한다.
여기서, 복원력 발생부(130)에 의한 복원력은 물리학의 회전력(torque)를 이용한 것으로, 힘의 모멘트(moment of force)라고도 하며 물체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의미한다.
회전축에 대한 회전력은 회전축에 수직인 면에 대한 힘의 성분과 축으로부터 이 힘의 성분방향에 이르는 가장 가까운 거리의 곱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회전력을 나타내는 수식은 축 중심에서 힘이 작용하는 점까지의 거리와 그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로 나타내며, 이를 복원력 발생부(130)에 적용하면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3064554990-pat00001
여기서 F는 복원력 발생부의 부력, d는 고정체로부터 복원력 발생부가 설치된 지점까지의 거리, θ는 연결부재와 고정체와의 사이각을 의미한다. 한편, 복원력 발생부의 부력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3064554990-pat00002
여기서, ρ는 물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V는 복원력 발생부의 부피를 의미한다.
한편, 복원력 발생부(130)가 외력을 받아 연결부재(12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것과 같은 작용을 통해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켜 부유체(110)의 위치를 고정시키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것과는 달리 수면의 수위가 상승하거나 외력을 인가받아 복원력 발생부(130)가 연결부재(120)를 따라 상승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것과 같은 원리를 통해 부유체(110)의 위치를 고정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복원력 발생부(130)가 연결부재(120)와 고정체(150) 사이의 사이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200)는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통해 수면의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부유체가 설치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제1 실시예(100)에서의 고정체(150)와 같이 연결부재(120)를 고정하는 수단이 육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제1 질량부(240)와 육상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연결부재(120)는 일단이 방향조절부(120)와 연결되며 타단은 육상고정부(250)에 연결된다는 점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와 상이하다.
상기 제1 질량부(240)는 연결부재(120) 상에 마련되어 연결부재(120)에 하중을 인가함으로써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즉, 제1 질량부(240)와 연결부재(120) 상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보면, 하측으로 제1 질량부(240)에 의한 중력이 작용하며, 좌상향 및 우상향 측으로 연결부재(120)의 장력이 작용하며, 상술한 3개의 힘이 평형을 이룬다.
도 5는 도 4의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제1 질량부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질량부(24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질량부(240)는 몸체부(241)와 날개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41)는 제1 질량부(240)의 메인 프레임으로서 중력이 인가되는 중량체이다. 즉, 제1 질량부(240)에 가해지는 중력은 거의 대부분이 몸체부(241)의 질량을 통해 가해진다.
여기서, 몸체부(241)는 원뿔형, 원기둥형, 다각뿔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날개부(242)는 몸체부(241)의 외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몸체부(241)의 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저항력을 인가하여, 제1 질량부(240)가 급격한 움직임을 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몸체부(241)의 원뿔형 또는 다각뿔형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날개부(242)는 꼭지점으로부터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영역을 따라 형성되며, 몸체부(241)가 원기둥형 또는 다각기둥형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날개부(242)는 몸체부(241)의 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판형 또는 몸체부(24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는 깔때기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육상고정부(250)는 제1실시예에서의 고정체(15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가 육상이라는 점만 상이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의 제2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200)가 제1 질량부(240)를 통해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먼저, 부유체(110)와 육상고정부(250) 사이의 최단거리는 수면 상승에 의해 부유체(110)의 높이가 상승할 시 최초 위치에서의 최단거리보다 줄어들고, 수면 하강에 의해 부유체(110)의 높이가 하강할 시 최초 위치에서의 최단거리보다 늘어나며, 이를 기초로 설명한다.
먼저, 수면의 수위가 높아지면 연결부재(120)가 부유체(110)와 육상고정부(250) 사이에서 느슨하게 연결되므로, 연결부재(120)의 장력의 합보다 제1 질량부(240)에 의한 중력의 크기가 더 크며 장력 및 중력의 크기가 평형을 이루는 지점까지 제1 질량부(240)가 하강하게 된다.
한편, 수면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20)가 부유체(110)와 육상고정부(235) 사이에서 팽팽하게 연결되므로, 연결부재(120)의 장력의 합이 제1 질량부(240)에 의한 중력의 크기보다 크며, 장력 및 중력의 크기가 평형을 이루는 지점까지 제1 질량부(240)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수면의 수위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부재(120)의 장력, 제1 질량부(240)의 중력이 평형을 이룰때까지 제1 질량부(240)의 위치가 반복적으로 변동함으로써 부유체(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300)는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통해 수면의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부유체가 설치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되 수위 변화량이 큰 지점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길이조절부(340)와 고정체(15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고정체(150)는 제1실시예(1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길이조절부(340)는 연결부재(120) 상에 마련되어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길이조절부이(361)와 탄성체(362)와 제2 질량부(363)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조절부이(361)는 연결부재(120) 상에 마련되며 부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300)에서 길이조절부이(361)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부재(120) 상에 배치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길이조절부이(361)가 수중에 배치되는 경우에 부력이 작용함으로써 회전력이 인가되어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키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탄성체(362)는 길이조절부이(361) 사이에 연결되어 길이조절부이(361)들이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하며, 수위 변동 등에 따라 신축되어 길이조절부이(361)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질량부(363)는 길이조절부이(361) 사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결부재(120)에 연결되어 하중을 인가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형상은 제1 질량부(125)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제2 질량부(363)를 통해 인가되는 하중으로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상술한 길이조절부(34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길이조절부이(361)들이 배치되고, 각각의 길이조절부이(361) 사이에는 탄성체(362)가 배치되어 각각의 길이조절부이(361)와 연결된다.
여기서, 각각의 길이조절부이(361)들은 연결부재(120)에도 연결되며, 연결부재(120)는 길이조절부이(361)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마다 배치된 제2 질량부(363)를 통해 하중을 인가받아 하측으로 연장된 상태, 대략 U자 형태로 마련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의 제3실시예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길이조절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길이조절부(340)를 통해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부유체(110)의 위치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서술한다.
최초 설치된 상태에서는 길이조절부이(341)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길이조절부이(341)는 계속 수면을 부유하며, 제3 질량추(343)에 의해 길이조절부이(341) 사이의 연결부재(120)가 더 하측으로 연장된다.
한편,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부유체(110)의 위치가 상승하며, 길이조절부이(341)가 수중에 위치하여 부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길이조절부이(341) 사이의 이격거리는 증가하여 탄성체(342)에 의한 탄성력이 증가하고, 제2 질량부(343)는 지속적으로 길이조절부이(341)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120)를 하측으로 당겨줌으로써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한다.
한편, 길이조절부이(341)에 발생하는 부력은 연결부재(120)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동일한 방향의 힘 성분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힘 성분으로 분해가능하고, 상술한 2가지 힘 성분, 탄성체(342)의 탄성력 및 제2 질량부(343)에 의한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까지 복원력 발생부(130)와 연결용 부이(124) 사이의 연결부재(120)가 회전한다.
이때, 연결부재(120)는 복원력 발생부(130) 측으로 당겨지며, 길이조절부이(341)와 제2 질량부(343) 사이의 거리는 좁혀진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술한 힘들의 평형점까지 연결부재(120)의 위치가 변경되면, 부유체(110)의 위치도 Z축 위치만 변경될 뿐, X축 및 Y축 방향의 위치는 처음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8은 도 6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길이조절부 및 복원력 발생부가 연동하여 작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복원력 발생부(130)와 길이조절부(340)가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100)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복원력 발생부(130)에 발생하는 부력은 복원력 발생부(130)가 설치된 영역의 연결부재(120)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의 수직방향인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힘(Fhc)을 통해 고정체(150)와 연결부재(120) 사이의 사이각을 변경시킨다.
또한, 동시에 길이조절부(340)가 설치된 영역의 연결부재(120)에서도 길이조절부이(341)의 부력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힘(Fbc) 및 제2 질량부(343)에 인가되는 중력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힘(Fgc)이 서로 보강 또는 상쇄하여 연결부재(120)를 회전시키며, 길이조절부이(341)에 발생하는 부력, 제2 질량부(343)에 인가되는 중력 및 탄성체(342)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까지 회전한다.
즉 상술한 복원력 발생부(130) 및 길이조절부(340)의 작동에 의해 연결부재(120)는 수면 변동에 따라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형태로 변형됨으로써 부유체(1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수위 변동차가 크더라도 복원력 발생부(130)와 길이조절부(340)가 서로 연동하여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400)는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통해 수면의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부유체가 설치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되 수위 변화량이 큰 지점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길이조절부(440)와 고정체(15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고정체(150)는 제1실시예(1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길이조절부(440)는 연결부재(120) 상에 마련되어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고정도르래(441)와 이동도르래(442)와 제3 질량부(443)와 수용부(44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도르래(441)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제3 질량부(443)의 하중에 의한 연결부재(120)의 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도르래(442)는 복수개가 고정도르래(441)에 사이에 배치되며, 수위 변경 등의 요소에 의해 후술할 제3 질량부(443)의 하중과 연결부재(120)의 장력 사이의 힘의 평형이 깨진 경우, 연결부재(120)와 연결된 상태로 상하운동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도르래(442)와 연결된 제3 질량부(443)의 하중을 통해 이동도르래(442)가 상하 운동을 하여 고정도르래(441)와 이동도르래(442) 사이의 높이차를 변동시키며, 연결부재(120)의 장력과 제3 질량부(443)의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까지 이동한다.
결국, 후술할 제3 질량부(443)를 통해 인가되는 중력과 연결부재(120)의 장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까지 이동도르래(442)가 운동을 한다.
상기 제4 질량부(443)는 이동도드래(442)에 연결되어, 이동도르래(442) 측에 하중을 인가하여 이동도르래(442)가 상하운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상기 수용부(444)는 고정도르래(441)를 내부에 수용하며, 수면을 부유하는 것이다. 여기서, 수용부(444)는 고정도르래(441)를 내부에 수용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부(444) 상측에 고정도르래(461)가 설치되도 무방하다.
한편, 길이조절부(440)에 대한 전체적인 형상을 다시 설명하면, 수용부(444)는 연결부재(120) 상에 설치되며, 수면을 부유한다.
여기서, 수용부(444)에서 고정도르래(441)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고, 수용부(444) 하측에는 고정도르래(441) 사이마다 배치되되 수중에 마련되는 이동도르래(442)가 배치된다.
또한, 연결부재(120)는 고정도르래(441) 및 이동도르래(442)의 외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이동도르래(442)에 연결된 제3 질량부(443)에 의해 연결부재(120)는 이동도르래(442)의 외면을 연결하는 부분이 가장 하측에 배치된다.
즉, 2개의 고정도르래(441) 및 그 사이의 이동도르래(44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0)는 대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의 제4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질량추(443)에 의한 중력과 연결부재(120)의 장력의 평형을 찾는 운동과정은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9의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길이조절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400)에서는 수용부(444)가 수면을 부유하기 때문에 수면의 수위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수용부(444)가 수중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길이조절부(440)를 통해 연결부재(120)에 회전력을 발생시켜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수위가 상승하면 이동도르래(442)가 상대적으로 더 상승하여 고정도르래(461)가 설치된 위치와의 높이차를 줄여 평형을 유지하고, 수위가 하강하면 이동도르래(462)의 설치된 위치가 상대적으로 더 하강하여 고정도르래(461)와의 높이차를 늘려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500)는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통해 수면의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부유체가 설치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되 수위 변화량이 큰 지점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길이조절부(540)와 고정체(15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고정체(150)는 제1실시예(1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길이조절부(540)는 연결부재(120) 상에 마련되어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고정도르래(541)와 이동도르래(542)와 제4 질량부(5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500)에서의 길이조절부(540)는 부유체(110) 상에 고정도르래(541)가 설치되므로 별도의 수용부(444)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이 상이할 뿐, 고정도르래(541)와 이동도르래(542)와 제4 질량부(543)의 상호간의 연결관계 및 작용은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의 제5실시예의 작동방법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100)는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통해 수면의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부유체가 설치되는 위치 및 방향을 일정하기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과 고정체(150)와 방향조절부(66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과 고정체(15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1실시예(100)에서와는 달리 연결부재(120)의 일단이 부유체(110)와 연결되는 것이 아닌 방향조절부(660)와 연결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방향조절부(660)는 수면상에서 부유체(110)가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부유체(11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부(661)와 드럼부(662)와 선부재(663)와 연결용 부이(664)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600)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된 방향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하고, 바람 또는 파도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기설정된 방향으로부터 방향이 변경되면 방향조절부(660)를 통해 기설정된 방향으로 부유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661)는 부유체(110) 상에 마련되어 후술할 선부재(663)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회전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모터부(661)의 회전축에는 후술할 드럼부(662)가 설치되고, 드럼부(662)에는 선부재(663)가 설치되어 모터부(661)의 회전을 통해 선부재(663)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선부재(663)에 인가되는 장력의 합력의 방향을 변경시키게 된다.
한편, 모터부(661)의 회전축에는 볼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회전시 축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부(661)는 부유체(110)의 각 모서리마다 1개씩 설치되어 총 4개로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부유체(110)의 형상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드럼부(662)는 모터부(661)의 축에 설치되고 후술할 선부재(663)가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부(661)의 축에는 제1 드럼(662a)와 제2 드럼(662b)가 설치되고, 각각의 드럼에는 하나의 선부재(663)가 설치되어 모터부(661)가 회전하더라도 선부재(663)가 서로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선부재(663)는 일단은 복수개의 모터부(661)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드럼부(662)와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이 장착된 모터부(661)와 마주보는 모터부(661)의 축에 장착된 드럼부(662)와 연결되며, 모터부(661)의 회전을 통해 부유체(110)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용 부이(664)는 선부재(663) 상에 마련된 상태로 해수에 부유하며 선부재(663)와 사이에서의 거리를 조정하여 부유체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주부력부(664a)와 부부력부(664b)와 제4 질량부(665)를 포함한다.
상기 주부력부(664a)는 연결용 부이(664)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부력부(664b)는 주부력부(664b)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의 단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주부력부(664a)와의 전체적인 형상이 (+)모양 또는 (Y)모양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4 질량부(665)는 상술한 제1 질량부(240)와 동일한 기능 및 형상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방향조절부(66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면, 사각형의 상면을 가지는 부유체(110)의 상면에 각각의 모서리마다 모터부(661)가 마련되며, 각각의 모터부(661)에는 2개의 드럼부(662)가 각각 마련된다.
여기서, 각각 마주보는 2 쌍의 모터부(661a, 661b)는 선부재(663a, 663b)를 통해 연동하며, 제1 선부재(663a)는 제1 모터부(661a)의 제1 드럼(662aa)과 제2 모터부(661b)의 제2 드럼(662bb) 사이를 연결하고, 제2 선부재(663b)는 제1 모터부(661a)의 제2 드럼(662ab)과 제2 모터부(661b)의 제1 드럼(662ba) 사이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1 모터부(661a)의 제1 드럼(662aa)은 제1 모터부(661a)의 회전축이 회전시 제1 선부재(663a)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모터부(661b)의 제2 드럼(662bb)은 제2 모터부(661b)의 회전시 제1 선부재(663a)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 모터부(661a)의 제1 드럼(662aa)과 제2 모터부(661b)의 제2 드럼(662bb)를 연결하는 제1 선부재(663a)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하되 제1 선부재(663a)에 작용하는 장력의 합력의 작용방향을 변화시킨다.
한편, 제2 선부재(663b)와 모터부(661a, 661b)와의 연결관계도 제1 선부재(663a)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의 제6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서 방향조절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수위 변동에 따라 부유체(1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부유체(110)가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부유체(110)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서술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부유체(110)의 방향을 조절하는 수단은 방향조절부(660)이며, 모터부(661)를 통해 제1 선부재(663a) 또는 제2 선부재(663b) 중 어느 하나를 감고 다른 하나를 풀어줌으로써 상호작용하는 장력의 합력의 작용방향을 변화시켜 부유체(110)의 방향을 변경시킨다.
여기서, 부유체(110)가 회전하는 방향은 제1 선부재(663a) 또는 제2 선부재(663b) 중 모터부(661)의 회전축으로부터 풀리는 선부재(663) 측으로 회전한다.
제1 모터부(661a)는 좌측에서부터 제1 드럼(662aa)와 제2 드럼(662ab)가 형성되며, 제1 선부재(663a)는 제1 모터부(661a)의 제1 드럼(662aa)과 연결되고 부유체(110) 좌측면 및 제2 연결용 부이(664-2)를 연결한 후 제2 모터부(661b)의 제2 드럼(662bb)와 연결된다.
또한, 제2 선부재(663b)는 제1 모터부(661a)의 제2 드럼(662ab)에 일부 감겨진 상태로 연결되며 부유체(110)의 우측면 및 제1 연결용 부이(664-1)을 연결한 후 제2 모터부(661b)의 제1 드럼(662ba)에 일부 감겨진 상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모터부(661a) 및 제2 모터부(661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선부재(663a)는 제1 모터부(661a) 측에서 회수되고, 이와 동시에 제2 모터부(661b) 측에서 일부 감겨진 제1 선부재(663a)가 풀어진다. 또한, 제2 선부재(663b)는 제1 모터부(661a) 측에 일부 감겨진 부분이 풀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모터부(661a) 측에서 풀어진 부분이 제2 모터부(661b) 측에서 회수된다.
즉, 제1 모터부(661a)와 제2 연결용 부이(664-2) 사이에 해당하는 제1 선부재(663a)의 길이는 줄어들게 하는 한편, 제1 모터부(661b)와 제1 연결용 부이(664-1) 사이에 해당하는 제2 선부재(663b)의 길이는 늘어난다.
여기서, 제1 연결용 부이(664-1)로부터 제1 모터부(661a) 및 제2 모터부(661b)를 통해 제 선부재(663b)에 발생하는 장력의 합력의 작용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부유체(1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1 선부재(663a)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부유체(110)는 최초 상태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는 제1 모터부(661a) 및 제2 모터부(661b)의 회전을 통해 발생하는 제1 선부재(663a) 및 제2 선부재(663b)의 양단부로부터 부유체(110)로 전달되는 장력의 합력의 작용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서, 제1 모터부(661a) 및 제2 모터부(661b)가 회전한 정도는 바람, 파도와 같은 외력에 의한 부유체(110)의 회전 정도를 고려하여 부유체(110)가 최초 상태까지 회전할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터부(661)의 회전은 별도의 센서부를 장착하여 부유체(110)의 회전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거나, 원격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700)는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통해 수면의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부유체가 설치되는 위치 및 방향을 일정하기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제2실시예(200)에서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200)에 상술한 제6실시예(600)에서의 방향조절부(660)를 포함한 것으로,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제1 질량부(240)와 육상고정부(250)와 방향조절부(66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제1 질량부(240)와 육상고정부(250)는 제2실시예(2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방향조절부(660)는 제6실시예(6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7실시예(700)가 상술한 제2실시예(200)와 상이한 점은 연결부재(120)가 부유체(110)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방향조절부(660)를 통해 연결된다는 점이다.
즉, 상술한 제6실시예(600)에서와 같이 연결부재(120)는 연결용 부이(664)에 연결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의 제7실시예의 작동방법과 관련하여, 부유체(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술한 제2실시예(200)와 동일하며, 부유체(110)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법은 상술한 제6실시예(60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800)는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통해 수면의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부유체가 설치되는 위치 및 방향을 일정하기 유지시키되 수위 변화량이 큰 지점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길이조절부(340)와 고정체(150)와 방향조절부(66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길이조절부(340)와 고정체(150)는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1실시예(300)에서와는 달리 연결부재(120)의 일단이 부유체(110)와 연결되는 것이 아닌 방향조절부(660)와 연결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660)는 상술한 제6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의 제8실시예(800)의 작동방법과 관련하여 길이조절부(340)를 통해 연결부재(12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작동은 상술한 제3실시예(3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방향조절부(660)를 통해 부유체(110)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법은 상술한 제6실시예(6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900)는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력을 통해 수면의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부유체가 설치되는 위치 및 방향을 일정하기 유지시키되 수위 변화량이 큰 지점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길이조절부(440)와 고정체(150)와 방향조절부(960)를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10)와 연결부재(120)와 복원력 발생부(130)와 길이조절부(440)와 고정체(150)는 상술한 제4실시예(4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9실시예(900)에서 연결부재(120)는 부유체(11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방향조절부(960)와 연결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960)는 수면상에서 부유체(110)가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부유체(11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부(961)와 드럼부(962)와 선부재(963)를 포함한다.
즉, 상술한 제6실시예에서의 방향조절부(660)와 상이한 점은 연결용 부이(664)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제9실시예(900)에서의 길이조절부(440)는 수면에서 부유하는 수용부(444)를 포함하며, 수용부(444)가 연결용 부이(664)의 역할을 대신 수행해 줄 수 있으므로 연결용 부이(664)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제9실시예(900)에서 선부재(963)는 모터부(961a), 수용부(444) 및 모터부(961b)를 연결하는 구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모터부(661a), 연결용 부이(664) 및 모터부(661b)를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는 제6실시예(600)와는 상이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의 제9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실시예(900)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900)에서 부유체(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상술한 제4실시예(4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부유체(110)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법은 연결용 부이(664)가 수행하는 역할을 수용부(444)가 수행한다는 점에서 상이할 뿐 상술한 제6실시예(400)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10: 부유체 120: 연결부재
130: 복원력 발생부 150: 고정체
200: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240: 제1 질량부 250: 육상고정부
300: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340: 길이조절부
400: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440: 길이조절부
500: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540: 길이조절부
600: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660: 방향조절부
700: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660: 길이조절부
800: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660: 길이조절부
900: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960: 길이조절부

Claims (22)

  1. 수면을 부유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가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부유체와 경사를 형성하며 연결되되 타단은 고정되는 연결부재;
    수중에 부유하는 상태로 상기 연결부재 상에 마련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연결되는 가상선에 수직방으로 발생하는 회전력 및 상기 가상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원심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부재에 인가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복원력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력발생부는 수위변동에 의한 상기 부유체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각도변화시, 상기 연결부재에 인가되는 회전력 및 원심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크기가 변동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상에 마련되며, 수면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길이조절부이; 상기 길이조절부이의 사이에 마련되며, 수위 변동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길이조절부이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이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하중을 인가하는 질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질량부로부터 인가되는 하중, 상기 길이조절부이에 의한 부력 및 상기 탄성체의 신축으로 인한 탄성력의 평형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수중 저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고정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타단이 상기 고정체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발생부는 상기 연결부재 상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복원력발생부이를 구비하며,
    수위 변동시 상기 고정체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의 각도 변화에 의해 상기 복원력 발생부에 발생하는 부력에 의한 회전력의 크기가 변동하여 상기 부유체에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발생부이는 인가되는 수압을 견디도록 내면 또는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보강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고정도르래; 상기 고정도르래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도르래와 연동하는 복수개의 이동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이동도르래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도르래에 하중을 인가하는 질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고정도르래를 내부에 수용하며 수면을 부유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부유체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 상에 마련되어, 수면상에서 상기 부유체가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부유체를 회전시키는 방향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방향조절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양단부가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는 선부재; 상기 선부재 상에 마련되되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수면 상을 부유하며 상기 선부재와의 연결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부유체의 방향을 조절하는 연결용 부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부이는,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주부력부; 상기 주부력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단부가 돔 형상인 부부력부; 상기 주부력부와 연결되어 하중을 인가하는 질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6. 제 4항, 제 5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부는,
    원뿔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중을 인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항력을 발생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부는,
    원뿔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하중을 인가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항력을 발생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부유체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모터부; 일단부가 상기 모터부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모터부 중에서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 상에 마련되고 상기 선부재와 연결되며, 수면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선부재는 제1 선부재 및 제2 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제1 선부재 및 상기 제2 선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선부재는 풀리고 상기 제2 선부재는 감김으로써 상기 부유체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모터부를 통해 상기 제1 선부재 또는 상기 제2 선부재에 발생하는 장력의 합력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부유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 상에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선부재 및 상기 제2 선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드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22. 삭제
KR1020130084403A 2013-07-17 2013-07-17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KR101379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03A KR101379675B1 (ko) 2013-07-17 2013-07-17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03A KR101379675B1 (ko) 2013-07-17 2013-07-17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675B1 true KR101379675B1 (ko) 2014-03-31

Family

ID=5064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403A KR101379675B1 (ko) 2013-07-17 2013-07-17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6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437B1 (ko) 2014-06-26 2016-04-25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중력식 계류장치
KR101814708B1 (ko) * 2016-10-04 2018-01-30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부유체 계류장치
KR101881385B1 (ko) * 2017-07-12 2018-07-24 주식회사 녹지원 철근 콘크리트 닻
WO2020111721A1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인진 파력 발전 장치
CN112832323A (zh) * 2021-02-24 2021-05-25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浮坞自适应平衡系统及平衡方法
WO2022047706A1 (zh) * 2020-09-03 2022-03-10 迈贝特(厦门)新能源有限公司 一种适用于人工蓄水湖的光伏固定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180A (ja) * 1994-11-04 1996-05-28 Kubota Corp フロート装置
JP2002255088A (ja) 2001-03-02 2002-09-11 Unyu Shisetsu Setsubi Jigyodan 大型浮体構造物の係留構造
KR20120015447A (ko) * 2009-04-30 2012-02-21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부유 빙해 선박용 계류 시스템
KR20120132251A (ko) * 2011-05-27 2012-12-05 성윤모 무대 장치로 이용 가능한 부유식 수중 및 수상 플랫폼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180A (ja) * 1994-11-04 1996-05-28 Kubota Corp フロート装置
JP2002255088A (ja) 2001-03-02 2002-09-11 Unyu Shisetsu Setsubi Jigyodan 大型浮体構造物の係留構造
KR20120015447A (ko) * 2009-04-30 2012-02-21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부유 빙해 선박용 계류 시스템
KR20120132251A (ko) * 2011-05-27 2012-12-05 성윤모 무대 장치로 이용 가능한 부유식 수중 및 수상 플랫폼 구조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437B1 (ko) 2014-06-26 2016-04-25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중력식 계류장치
KR101814708B1 (ko) * 2016-10-04 2018-01-30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부유체 계류장치
KR101881385B1 (ko) * 2017-07-12 2018-07-24 주식회사 녹지원 철근 콘크리트 닻
WO2020111721A1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인진 파력 발전 장치
KR20200062714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인진 파력 발전 장치
KR102202913B1 (ko) * 2018-11-27 2021-01-14 주식회사 인진 파력 발전 장치
EP3889421A4 (en) * 2018-11-27 2022-12-07 Ingine Inc. WAVE POWER PRODUCTION APPARATUS
US11746738B2 (en) 2018-11-27 2023-09-05 Ingine, Inc. Wave power generation apparatus
WO2022047706A1 (zh) * 2020-09-03 2022-03-10 迈贝特(厦门)新能源有限公司 一种适用于人工蓄水湖的光伏固定结构
CN112832323A (zh) * 2021-02-24 2021-05-25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浮坞自适应平衡系统及平衡方法
CN112832323B (zh) * 2021-02-24 2022-06-24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浮坞自适应平衡系统及平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675B1 (ko) 복원력을 갖는 켈프 방식의 길이 가변형 계류장치
JP5760133B2 (ja) 洋上風力タービンの支持のための水エントラップメントプレートおよび非対称的係留システムを伴う、コラムで安定化された洋上プラットホーム
KR101162473B1 (ko) 가변형 지지로프가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US10233904B2 (en) Wind turbine with anchoring assembly
GB2502166A (en) A flowing-water driveable turbine assembly
KR20170109811A (ko) 수상태양광발전 계류장치 및 회전장치
KR20080017436A (ko) 부유식 풍력 터빈 장치
GB2460309A (en) Submersible turbine apparatus
KR20110059613A (ko) 해안 윈드 터빈을 견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21889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 계류 시스템
KR101982802B1 (ko)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계류 및 회전장치
CN101882894B (zh) 悬浮式太阳能电站
KR20120021238A (ko) 부유지지선 압축구조를 가진 해상부유풍력발전장치
US20180187644A1 (en) Floating apparatus for wave power generation
KR102532447B1 (ko) 파력 발전기
KR101232314B1 (ko) 수면 부상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150037110A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 계류 시스템
KR101433513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 추적 시스템
KR101167857B1 (ko) 공중 풍력 발전 시스템
JP2010018129A (ja) 緊張係留浮体の傾斜調整方法及び緊張係留浮体
KR101334600B1 (ko) 태양광 발전용 수상 플로트
KR20160044218A (ko) 스크린 파력 발전장치
KR20140105106A (ko) 회전 추적식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02156B1 (ko) 수상 부유 풍력 발전기
KR101970802B1 (ko) 중력과 부력작용을 이용한 해양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