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582B1 - 보청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보청기 피팅 방법 및 보청기 - Google Patents

보청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보청기 피팅 방법 및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582B1
KR101379582B1 KR1020127017072A KR20127017072A KR101379582B1 KR 101379582 B1 KR101379582 B1 KR 101379582B1 KR 1020127017072 A KR1020127017072 A KR 1020127017072A KR 20127017072 A KR20127017072 A KR 20127017072A KR 101379582 B1 KR101379582 B1 KR 10137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standard
compressor
control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879A (ko
Inventor
뮬러 칼스텐 파루단
피터 마그너스 노에르가드
Original Assignee
비덱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덱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비덱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8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translation techniques
    • H04R25/356Amplitude, e.g. amplitude shift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양태로서 보청기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제2 양태로서 보청기 사용자에게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 및 제3 양태로서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은 입력 신호(1)로부터 제어 신호(3)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처리는 표준 압축기 특성에 따라 표준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7)을 제공하는 표준 처리(6)와, 개별화 압축기 특성에 따라 개별화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11)을 제공하는 표준 처리(10)를 포함한다. 표준 및 개별화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은 함께 곱해져서 제어 신호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보청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보청기 피팅 방법 및 보청기{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IN A HEARING AID, A METHOD OF FITTING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양태에 있어서 보청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보청기 사용자에게 보청기를 피팅(fitting)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3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신호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보청기는 입력 신호를 포착하여 처리된 출력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의 처리는 상기 입력 신호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증폭하는 것을 포함한다. 증폭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압축기 이득을 가진 압축기를 포함한 증폭기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청각 장애인의 청각 손실은 선형이 아니다. 즉, 청력은 일부 음압 레벨, 전형적으로는 큰 음압 레벨에서 거의 정상이고, 다른 음압 레벨, 전형적으로는 작은 음압 레벨에서는 매우 빈약할 수 있다. 큰 음압 레벨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지만 특히 작은 음압 레벨에 대해서는 증폭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많은 청각 장애인에 대하여 매우 전형적인 것이다.
최신식 보청기는 이러한 일반적인 청각 손실 패턴을 압축기에 의해 보상하도록 적응된다. 압축기는 이득을 조정하여 입력 신호의 현재 음압 레벨을 변화시키도록 적응된다. 압축기 이득에 따른 레벨의 변화는 압축 특성 내에서 규정된다. 최신식 보청기는 입력 신호의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압축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 특성에 따라서 음압 레벨을 변화시키는 압축기 이득을 가진 압축기에서 입력 신호가 증폭되는 보청기의 예는 EP-B1-1059016 및 EP-B1-0824845에 개시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보청기의 피팅(fitting)은 이하에서 표준 근거(standard rationale)라고 부르는 일반 압축 특성에 따라 압축기 이득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표준 근거는 개별적인 청각 손실을 고려하지만 평균적인 보청기 사용자를 수용하려고 의도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많은 청각 장애인의 청각 손실이 작은 음압 레벨에 대한 더 큰 증폭이 필요하고 큰 음압 레벨에 대해서는 반드시 동일하게 큰 증폭이 필요 없다는 전술한 패턴을 따른다 하더라도, 개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한 사람의 청각 장애인에 대한 증폭 필요성은 유사한 청각 손실이 있는 다른 청각 장애인에 대한 증폭 필요성과 크게 다를 수 있다.
개별 사용자의 특수한 청각 손실 및 선호도를 더 잘 보상하는 종래의 보청기를 제작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청기는 또한 개별 사용자에게 미세 피팅(fine-fitting)된다. 미세 피팅은 전통적으로 표준 근거에 따른 표준 피팅에 대한 추가 조정으로서 수행된다.
개별 사용자에게 보청기를 미세 피팅하는 종래 방법의 한가지 문제점은 압축기가 개별 사용자의 청각 손실을 충분히 정밀하게 피팅하기 위해 압축 특성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제한된 수단만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압축기의 압축 특성이 다른 조정점과 상관없이 조정될 수 있는 조정점의 수가 전통적으로 매우 제한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많은 경우에, 압축 특성은 2개의 조정점만을 갖는다. 그러므로, 하나의 음압 레벨에 대한 압축기 이득의 조정은 많은 다른 음압 레벨의 압축기 이득 조정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개별 사용자의 청각 손실에 대한 압축 특성의 대략적인 피팅만이 가능하다. 이것은 개별적인 사용자에게 보청기를 피팅할 때 한편으로는 일부 사운드 입력 레벨에 대하여 입력 신호의 충분한 증폭을 제공하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 다른 음압 레벨에 대하여 사용자의 안락한 레벨이 초과되는 정도까지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피하는 것 사이에서 절충이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청기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에서의 다른 문제점은 신호 최적화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서 음성 양해도 최적화(speech intelligibility optimisation)와 같은 각종 유형의 적응성 처리의 구현은 보청기의 신호 처리에서 더 보편적으로 되고 있다.
불행하게도, 개별적인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보청기의 미세 피팅 중에 압축 특성에서 수행되는 미세 조정은 최적의 압축 특성으로부터의 편차로서 간주될 수 있고, 따라서 적응성 처리에 의해 크게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개별 사용자에 대한 보청기의 미세 피팅의 효과는 대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못한다.
대체로, 처리 및 피팅에 관한 종래의 방법은 많은 청각 장애인의 청각 손실의 전술한 전형적인 패턴으로부터 개별적인 편차의 임의의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보청기 사용자의 실제 청각 손실 및 개별적인 선호도에 더 잘 피팅할 수 있도록 압축기 이득을 더 융통성있게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임의의 미세 피팅의 효과가 보청기에서의 다른 처리, 예를 들면 적응 처리에 의해 감소되거나 제거되는 것을 회피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경감 또는 극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 음향 신호를 포착하는 단계와, 음향 신호로부터 입력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와,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신호 처리 장치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처리는 입력 신호에 대한 신호 레벨을 추정하여 입력 신호 레벨 추정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입력 신호 레벨 추정치를 표준 압축기의 입력으로서 사용하여 표준 압축 특성에 따라서 표준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것에 의해 표준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표준 처리 실행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입력 신호 레벨 추정치를 개별화 압축기의 입력으로서 사용하여 개별화 압축 특성에 따라서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것에 의해 개별화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개별화 처리 실행 단계와, 표준 및 개별화 처리 제어 신호 성분을 곱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보청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표준 처리 및 개별화 처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된다.
이를 위해, 2개의 별도의 독립 압축기, 즉, 표준 압축기 이득을 가진 표준 압축기와 개별화 압축기 이득을 가진 개별화 압축기가 제공된다. 2개의 별도의 압축기를 제공하면, 표준 압축기의 표준 압축 특성이 표준 근거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고, 개별화 압축 특성이 개별 보청기 사용자의 미세 피팅 프로필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처리는 상기 표준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의 적응 처리를 실행하여 적응적으로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표준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 개별화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 및 적응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을 곱셈하여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고, 이때, 표준 처리, 개별화 처리 및 적응 처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된다.
개별화 압축기의 처리는 표준 처리 및 적응 처리에 대하여 독립적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서 미세 피팅이 개별화 압축기에 의해 수행될 때 미세 피팅의 효과가 표준 처리 및 적응 처리와 무관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보청기의 사용자가 실제로 보청기의 미세 피팅의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양호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응 처리는 음성 양해도 지수(SII)의 최적화를 포함한다. 음성 양해도 지수(SII)의 최적화 처리는 예를 들면 EP-B1-1522206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SII의 최적화와 같은 적응 처리는 다수의 입력에 기초한 최적의 압축 특성을 획득하기 때문에, 표준 압축기에 의한 표준 피팅 및 개별화 독립 압축기에 의한 미세 피팅을 수행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러므로, 획득된 최적의 압축 특성으로부터의 편차는 그에 따라서 제거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미세 피팅이 표준 압축기에 대하여 독립적인 개별화 압축기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미세 피팅의 효과는 적응 처리에 의해 제거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사용자는 미세 피팅의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응 처리는 소리크기 또는 안락함의 적응적 최적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은 시간의 함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 효과는 환경순응(acclimatization)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환경순응에 의해, 보청기 사용자는 보청기의 표준 피팅에 점차적으로 익숙해질 때까지 특정의 시간 기간이 주어지고 상기 특정의 시간 기간의 과정에서 임의의 조정을 수행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이해된다.
환경순응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경순응은 상기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의 값이 소정의 시간 내에 증가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의 값이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는 사실은 보청기의 증폭의 감쇠(damping)를 유도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상기 감쇠는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제거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 압축 특성은 한 범위의 입력 레벨에 걸쳐 분산된 다수의 미리 정해진 조정점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한 범위의 입력 레벨에 걸쳐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조정점이 있는 것이 좋고, 더 바람직하게는 5~20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8~12개의 조정점이 있는 것이 좋다.
종래의 압축기에 비하여 더 많은 조정점이 제공된다는 사실은 개별화 압축기의 더 융통성있는 조정이 달성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은 하나의 음압 레벨에 대한 개별화 압축기 이득의 조정이 많은 다른 음압 레벨에 대한 개별화 압축기 이득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청각 손실 및 개별적 선호도에 정확하게 피팅될 가능성이 더 높은 매우 정밀한 조정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한 범위의 음압 레벨에서의 큰 증폭이 있지만 다른 음압 레벨에 대해서는 증폭이 거의 없는 사용자의 가능한 필요성이 전에보다 더 큰 정도로 부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별화 압축기가 환경순응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 청각 손실의 더 나은 보상이 매우 많은 수의 조정점을 가진 융통성있는 개별화 압축 특성에 의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음압 레벨이고, 조정점 사이의 간격은 2 dB 내지 20 dB의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5 dB 내지 10 dB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조정점 사이의 이러한 간격은 개별화 압축 특성의 충분히 융통성 있는 조정을 획득하는 적당한 해상도를 달성하는 것과 보청기의 복잡도를 적절한 레벨로 유지하는 것 사이에서 적적한 절충점이 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표준 압축 특성은 한 범위의 입력 레벨에 걸쳐 분산된 다수의 미리 정해진 조정점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고, 상기 개별화 압축 특성은 상기 표준 압축 특성보다 더 많은 조정점을 갖는다.
개별화 압축 특성이 보청기의 미세 피팅에 대응하기 때문에, 표준 압축 특성보다 더 많은 조정점에서 개별화 압축 특성을 조정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더 세부적인 제어의 필요성은 표준 압축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표준 피팅의 경우보다 미세 피팅의 경우에 더 크다.
미세 피팅을 위한 많은 조정점을 가진 개별화 압축 특성은 표준 피팅을 위한 더 적은 수의 조정점을 가진 표준 압축 특성을 잘 보충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 처리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대응하는 복수의 각 개별화 압축 특성에 따라서 복수의 병렬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별화 압축 특성은 다른 것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수의 병렬 개별화 압축기를 갖는 것은 보청기의 더 복잡한 미세 피팅의 가능성을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 경우, 각각의 개별화 압축기는 음악을 듣는 것, 회의에서 연설자의 말을 듣는 것 또는 예컨대 칵테일 파티에서 복수의 동시성 대화를 듣는 것과 같은 각각의 다른 음향 상황에 대하여 미세 피팅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2 양태로 돌아가서, 전술한 목적은 보청기 사용자에게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준 압축 특성에 따라서 표준 압축기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와; 개별화 압축 특성에 따라서 개별화 압축기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보청기 피팅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획득되고, 여기에서 상기 개별화 압축기 이득은 상기 표준 압축기 이득과 무관하게 조정된다.
표준 압축 특성은 표준 근거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고, 개별화 압축 특성은 개별 보청기 사용자의 미세 피팅 프로필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이것은 개별 사용자에게 보청기의 더 관리하기 쉽고 적당한 피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 압축 특성은 한 범위의 입력 레벨에 걸쳐 분산된 다수의 미리 정해진 조정점을 이용하여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조정점, 더 바람직하게는 5~20개의 조정점이 제공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8~12개의 조정점이 한 범위의 입력 레벨에 대하여 제공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음압 레벨에 대한 개별화 압축 특성의 조정이 많은 다른 음압 레벨에 대한 개별화 압축기 이득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청각 손실 및 개별적인 선호도에 정확하게 피팅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은 매우 정밀한 조정이 실행될 수 있다. 이것은 한 범위의 음압 레벨에서 큰 증폭을 하고 다른 음압 레벨에 대해서는 거의 증폭을 하지 않는 사용자의 가능한 필요성이 전에보다 더 큰 정도로 부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환경순응의 목적으로 개별화 압축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청각 손실에 대한 더 나은 보상이 비교적 큰 수의 조정점을 가진 융통성있는 개별화 압축 특성으로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표준 압축 특성은 한 범위의 입력 레벨에 걸쳐 분산된 다수의 미리 정해진 조정점을 이용하여 조정되고, 상기 개별화 압축 특성은 상기 표준 압축 특성보다 더 많은 지점에서 조정된다.
*개별화 압축 특성은 보청기의 미세 피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더 세부적인 조정의 필요성이 표준 압축 특성에 의해 실행되는 표준 피팅의 경우보다 더 크기 때문에, 개별화 압축 특성을 표준 압축 특성보다 더 많은 조정점에서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 압축기 이득은 시간의 함수에 따라 변화한다. 이것의 효과는 환경순응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별화 압축기 이득을 조정한다. 이로써 사용자 자신이 다른 조정을 시도할 수 있고, 사용 상황을 매일 평가하여 자신의 특수한 필요조건에 맞는 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피팅 방법은 대응하는 복수의 각각의 개별화 압축 특성에 따라서 복수의 병렬 개별화 압축기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별화 압축기 이득은 다른 것과 무관하게 조정된다.
이것은 음악을 듣는 것, 회의에서 연설자의 말을 듣는 것 또는 예컨대 칵테일 파티에서 복수의 동시성 대화를 듣는 것과 같은 다른 음향 상황에 대하여 다른 압축 특성을 적용할 필요성을 고려한 복잡한 미세 피팅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의 제3 양태로 돌아가서, 전술한 목적은 음향 신호를 포착하는 수단과; 음향 신호로부터 입력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과; 입력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출력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한 보청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은 표준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표준 압축기 특성을 가진 표준 압축기와, 개별화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개별화 압축기 특성을 가진 개별화 압축기와, 표준 압축기 및 개별화 압축기에 대해 입력을 제공하는 신호 레벨 추정기와, 제어 신호를 형성하도록 표준 및 개별화 제어 신호 성분을 함께 곱셈하는 곱셈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가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식적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식적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식적 흐름도이다.
도 4는 개별화 압축 특성의 예를 보인 도이다.
도 5는 개별화 압축 특성의 다른 예를 보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식적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사한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를 먼저 참조하면, 입력 신호(1)는 'IN'이라고 표시된 위치에서 포착된다. 통상적으로, 입력 신호(1)는 이 지점에서 이미 각종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입력 신호는 각종 주파수 대역으로 이미 분할된 것으로 이해하고, 그 중의 하나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이해한다. 출력 신호(2)는 'OUT'이라고 표시된 위치에서 송출된다. 제어 신호(3)는 입력 신호(10)로부터 유도된다. 곱셈 지점(24)에서, 입력 신호(1)는 상기 제어 신호(3)로부터 유도된 수와 곱셈되어 출력 신호(2)를 발생한다.
신호 경로(4)는 'IN'과 'OUT' 사이에서 연장한다. 도 1에서 신호 경로(4)의 아래로 연장하는 경로들은 제어 신호 경로를 형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제어 신호 경로에서 입력 신호(1)의 레벨은 각종 처리에 대한 입력으로서 적용되기 전에 신호 레벨 추정 수단(도시 생략됨)에 의해 추정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입력 신호(1)로부터 제어 신호(3)를 유도하는 처리는 표준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표준 처리(6)를 포함한다. 표준 처리(6)는 표준 압축 특성(20)에 따라서, 예를 들면 표준 근거에 따라서, 입력 신호(1)에 대해 표준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표준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7)이 제공된다.
입력 신호(1)로부터 제어 신호(3)를 유도하는 처리는 입력 신호(1)의 적어도 하나의 적응 처리(8)를 또한 포함한다. 도 1에는 단지 하나의 적응 처리(8)가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은 적응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적응 처리(8)는 표준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7)을 이용하여 적응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9)을 제공한다.
입력 신호(1)로부터 제어 신호(3)를 유도하는 처리는 표준(6) 및 적응(8) 처리와 무관하고 개별화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개별화 처리(10)를 또한 포함한다. 개별화 처리(10)는 입력 신호(1)만이 개별화 처리(10)의 입력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표준(6) 및 적응(8) 처리와 무관하다. 개별화 처리(10)는 입력 신호(1)에 대하여 개별화 압축 특성(23)에 따라서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결정하여 개별화 압축 제어 신호 성분(11)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이 개별화 처리는 예를 들면 미세 피팅을 구성할 수 있다.
표준(7), 적응(9) 및 개별화(11)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은 적당한 수의 곱셈 지점(19)에서 함께 곱셈되어 상기 제어 신호(3)를 형성한다. 제어 신호 성분은 dB로 주어지는 값을 표시할 수 있고, 그 경우 곱셈은 합산으로 교체된다. 이것은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입력 신호(1)가 도면에서 'IN'에 입력되기 전에 이미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 되었기 때문에, 표준(6), 적응(8) 및 개별화(10) 처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실행된다. 도 1에 도시된 처리는 보청기의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발생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것은 하부의 부분적으로 숨겨진 개별화 처리 블록(10)으로 나타내었다. 현대의 보청기에서는 최대 약 15개의 주파수 대역이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표준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7)과 입력 신호(1)는 적응 처리(8)의 입력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적응 처리(8)는 표준 처리(6)에 의존한다. 이에 반해, 개별화 처리(10)는 위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입력 신호(1)만이 개별화 처리(10)에 입력된다는 점에서 표준 처리(6) 및 적응 처리(8) 둘 다와 무관하다. 이 방법에서, 이러한 방법의 미세 피팅은 적응 처리에 의해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표준 처리(6)는 보청기의 표준 피팅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개별화 처리(10)는 개별 사용자에 대해 보청기의 미세 피팅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응 처리(8)는 각종 유형의 적응 처리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SII의 최적화를 위한 적응 처리를 나타내는 블록이 단일 블록으로 나타나 있다. 더 많은 종류의 적응 처리를 가진 실시형태도 물론 생각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별화 처리(10)는 환경순응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많은 청각 장애인은 그들이 보청기를 착용하기 전에는 오랫동안 감소된 청각으로 인해 고통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청각 장애인들은 그들의 주변으로부터 감소된 음향 환경 부분만을 인지하곤 했다. 보청기의 도움으로 다시 갑자기 잘 듣게 되는 것은 놀라운 경험이고, 이것이, 많은 경우에, 환경순응 기간이 필요한 이유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경순응을 위해 사용되는 개별화 압축기의 개별화 압축 특성은 청각 장애인이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경험하지 않거나 또는 제한된 정도로만 경험을 하는 음압 레벨 및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음압 레벨을 억제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개별화 압축기는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손실을 모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청각 손실을 모방하는 감쇠가 점차적으로 제거될 때, 사용자가 보청기의 증폭에 점차적으로 익숙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준 처리(6)와 무관한 개별화 처리(10)는 입력 신호(1)에 대하여 개별화 압축 특성(23)에 따라서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22)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별화 처리(10)는 또한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22)을 시간에 따라 변하는 곱셈 계수(12)와 곱하여 개별화 처리 제어 신호 성분(11)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곱셈은 곱셈 지점(18)에서 발생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개별화 압축 특성(23)은 입력 신호(1)의 부(negative)의 증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곱셈 계수(12)는,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환경순응에 필요한 시간 기간 동안 1의 값으로부터 0의 값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환경순응 기간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수 개월 동안 지속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경순응 기간은 3개월간 지속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곱셈 계수의 변화는 보청기의 사용량 기록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로써 환경순응의 진행이 보청기를 사용한 시간에만 의존하는 것이 보장된다.
도 1의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입력 신호(1)는 'IN'에서 포착되고 출력 신호(2)는 'OUT'에서 송출된다. 신호 경로(4)는 'IN'과 'OUT' 사이에서 연장하고, 제어 신호(3)는 입력 신호(1)로부터 유도된다. 곱셈 지점(24)에서, 입력 신호(1)는 상기 제어 신호(3)로부터 유도된 수와 곱해져서 출력 신호(2)를 제공한다. 신호 경로(4) 아래로 연장하는 경로들은 제어 신호 경로를 형성한다.
입력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3)를 유도하는 처리는 전술한 개별화 처리 외에, 입력 신호(1)에 대하여 표준 압축 특성(20)에 따라서 표준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 표준 처리(6)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표준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7)이 제공된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한가지 이상의 적응 처리가 이 실시형태에서도 물론 가능하다. 표준(7) 및 개별화(11)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은 적당한 수의 곱셈 지점(19)에서 함께 곱셈되어 상기 제어 신호(3)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환경순응 및 미세 피팅을 둘 다 구현하기 위해 2개 이상의 개별화 처리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환경순응을 구현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실시형태는 입력 신호(1), 출력 신호(2), 제어 신호(3), 신호 경로(4) 및 제어 신호 경로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형태에 대응한다. 곱셈 지점(24)에서, 입력 신호(1)는 상기 제어 신호(3)로부터 유도된 수와 곱해져서 출력 신호(2)를 제공한다. 또한 표준 처리(6)와 개별화 처리(10)가 발생하여 표준(7) 및 개별화(11) 처리된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며, 이 성분들은 적당한 수의 곱셈 지점(19)에서 함께 곱해져서 제어 신호(3)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 환경순응은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블록(14)으로 표시된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제어된다. 사용자는 억제의 레벨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사용자 제어의 응용이 환경순응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보청기의 미세 피팅과 관련하여 또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환경순응의 형태를 구현하는 다른 대안적인 방법은 소정의 시간 내에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의 값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곱셈 계수에 의해 증가가 달성되는 경우에, 개별화 압축기는 필요한 환경순응 효과를 얻기 위해 특정의 시간 기간 동안 0의 값으로부터 최종 1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최종 개별화 압축 특성 및 곱셈 계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해법은 미세 피팅의 점진적인 도입만 있을 뿐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손실을 모방하는 초기 감쇠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어느 실시형태에서든, 환경순응이 끝났을 때, 개별화 압축기는 보청기의 미세 피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추가의 개별화 압축기를 제공하여 하나의 개별화 압축기가 보청기의 미세 피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하나의 개별화 압축기가 환경순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별화 압축 특성의 집합이 보청기에 저장되는데, 이때 각각의 개별화 압축 특성은 소정의 환경순응의 단계에 적응된다. 환경순응 처리의 소정의 단계에서, 대응하는 개별화 압축 특성이 저장된 집합으로부터 선택되어 보청기에서 사용된다. 특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4개의 개별화 압축 특성이 보청기에 저장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경순응 처리 단계, 및 그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개별화 압축 특성은 보청기의 사용량 기록에 응답하여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환경순응의 처리가 보청기의 사용 시간에만 의존하게 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경순응 처리 단계는 제1 보청기와 제2 보청기 각각의 사용량 기록의 비교에 응답하여 결정되고, 이때 2개의 보청기는 함께 양이(binaural) 보청기 시스템을 구성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보청기는 환경순응 단계가 2개의 보청기에서 동일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동기화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것은 2개의 보청기 각각의 환경순응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무선으로 교환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장 진보된 환경순응 단계는 환경순응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2개의 보청기에서 다른 환경순응 단계를 암시하는 경우에 2개의 보청기에 대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청기 사용자는 자동으로 결정된 환경순응 단계를 취소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환경순응 단계가 사용자 선호도에 따르게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경순응 단계는 보청기에서 사용자 입력의 조작을 통해 변경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경순응 단계는 보청기가 이중 톤 다중 주파수(DTMF) 톤의 소정 시퀀스를 인식할 때 변경된다. 전형적인 상황에서, 보청기 사용자는 디스펜서를 호출하고, 보청기 사용자가 전화기 스피커를 보청기 마이크로폰에 가깝게 유지하는 동안 디스펜서 전화기의 대응하는 키를 누름으로써 보청기 사용자 전화기에서 DTMF 톤의 필요한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디스펜서에게 요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순응 처리는 DTMF 톤이 양호한 환경순응 단계가 선택되게 하는 단순 명령을 전송할 필요만 있고 이것에 의해 적당한 개별화 압축 특성을 선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원격 제어에 매우 잘 적합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방법으로 디스펜서에 대한 불편한 방문이 회피되고 단순한 전화 통화로 교체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경순응 단계의 자동 결정은 보청기의 전원 공급시에 실행되고, 환경순응 단계의 자동 결정의 결과는 보청기에서 재생되는 사전 기록된 음향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신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개별화 압축 특성(23)의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이전 실시형태의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러한 임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준 압축 특성은 표준 근거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개별화 압축 특성은 개별 보청기 사용자의 미세 피팅 프로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화 압축 특성(23)은 입력 신호의 증폭에 의존하는 음압 레벨을 제공한다. 입력 음압 레벨은 dB로 측정되고, 증폭은 이득이란 용어로 표현되며 역시 dB로 측정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개별화 압축 특성(23)은 작은 음압 레벨을 큰 음압 레벨보다 더 큰 정도로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더 큰 음압 레벨은 도시된 예에서 부의 증폭에 기인하여 오히려 감쇠된다.
도 4의 가로좌표로부터 연장하는 각 화살표는 조정점(13)을 나타낸다. 조정점은 다른 조정점(13)에서의 압축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압축 특성(23)이 조정될 수 있는 지점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정점(13)은 매 10 dB의 입력 음압 레벨마다 제공된다. 더 높거나 더 낮은 분해능의 조정점도 물론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2개의 인접한 조정점(13) 사이의 피치 또는 스페이스가 2 dB 내지 20 dB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dB 내지 10 dB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실질적으로 매 10 dB의 음압 레벨의 조정점은 한편으로 개별화 압축 특성의 충분히 융통성있는 조정을 획득하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 보청기의 복잡성을 적절한 레벨로 유지하는 것 사이의 적당한 절충점이 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정점(13)은 한 범위의 입력 음압 레벨에 걸쳐서 등거리로 분산된다. 이것은 단순한 구현을 제공한다. 다른 구성도 물론 생각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정점의 피치는 2를 기수(base)로 하고 자연수로부터 선택된 지수를 갖는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선택된다. 양호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8 dB의 피치가 선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조정점 값이 단순 조사표에 저장되고 1부터 그 위로 번호가 주어진다. 임의의 주어진 음압 레벨에 대하여, 인접하는 조정점 및 대응하는 이득 값은 보간에 기초해서 관련 이득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피치를 8로 하면 인접하는 조정점의 이득 값을 내포하는 조사표의 번호들이 입력 음압 레벨의 값을 표시하는 이진수를 단순히 좌측으로 3칸 이동시킴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매우 효율적인 디지털 구현이 제공된다.
도 4의 개별화 압축 특성(23)은 입력 음압 레벨의 연속 함수이다. 이것은 개별화 압축기 이득에서 및 그에 따라 증폭에서 점프 또는 불연속이 발생하지 않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나쁜 음질을 유도할 수 있다.
실제에 있어서는 하나의 조정점(13)으로부터 인접 조정점(13)까지 개별화 압축 특성(23)의 가능한 변형에 대한 제한이 있다. 2개의 인접하는 조정점의 이득 값들 사이에 너무 큰 차가 있는 압축 특성은 나쁜 음질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 dB의 음압 레벨에 대하여 15 dB의 이득을 나타내고 동일한 주파수의 40 dB의 음압 레벨에 대하여 -15 dB의 이득을 나타내는 개별화 압축 특성은 하나의 조정점으로부터 인접 조정점까지의 변화가 너무 커서 적당한 음질을 발생할 수 없는 예이다.
도 5는 개별화 압축 특성(23)의 다른 예로서, 이 도면은 입력 음압 레벨의 연속 함수로서 개별화 압축기 이득을 표현한다. 조정점(13)은 전체 입력 범위에 걸쳐서 등거리로 분산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특수한 개별화 압축 특성(23)은 작은 음압 레벨의 증폭을 제공하고 큰 음압 레벨의 증폭은 없다.
도 5의 개별화 압축 특성(23)은, 이 개별화 압축 특성(23)이 큰 음압 레벨의 입력 신호는 거의 증폭을 하지 않고 이와 동시에 작은 음압 레벨의 입력 신호에 대해서는 증폭을 제공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특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큰 음압 레벨, 말하자면 60 dB 내지 100 dB 사이의 음압 레벨에 대하여 거의 정상의 청각을 갖지만 이와 동시에 작은 음압 레벨, 말하자면 0 dB 내지 50 dB 사이의 음압 레벨에 대하여 심각한 청각 손실을 가진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이것은 개별화 압축 특성의 조정 가능성의 융통성을 설명한다. 도 4의 예시적인 압축 특성이 하나의 개별 보청기 사용자에게 피팅될 수 있는 반면에, 도 5의 예시적인 압축 특성은 다른 개별 보청기 사용자에게 피팅될 수 있다.
비록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표준 압축기의 표준 압축 특성은 개별화 압축기의 개별화 압축 특성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한 범위의 입력 레벨에 걸쳐서 분산된 다수의 미리 정해진 조정점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별화 압축 특성이 상기 표준 압축 특성보다 더 많은 조정점을 갖는 것이 좋다. 그래서 표준 압축 특성은 표준 근거에 따라 조정되고, 개별화 압축 특성은 개별 보청기 사용자의 미세 피팅 프로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존의 표준 압축기를 개별화 압축기의 추가의 기초로 이용함으로써, 입증된 설계, 용이한 구현 및 조정의 장점이 얻어진다. 따라서, 개별화 압축기의 추가의 기능은 보청기의 전체 복잡성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제공된다.
비록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상기 표준 압축기가 상기 개별화 압축기만큼 많거나 상기 개별화 압축기보다 더 많은 조정점을 갖는 실시형태도 물론 생각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실시형태는 대체로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유사하지만, 도 6의 실시형태의 개별화 처리(10)는 3개의 병렬 개별화 압축기(21a, 21b, 21c)를 포함하고, 각 개별화 압축기는 각각의 개별화 압축 특성(23a, 23b, 23c)을 갖는다. 각각의 개별화 압축 특성(23a, 23b, 23c)은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특수한 미세 피팅이 필요한 음향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다. 이 문맥에서 "음향 환경"은 특정의 음향 조건이 우세한 경우의 환경을 의미한다. 다른 음향 환경의 예로는 음악을 듣는 것, 강의를 듣는 것, 파티에서와 같이 혼잡한 곳에서 동시성의 대화를 듣는 것, 매우 조용한 환경에서 듣는 것, 또는 어떤 종류의 차량, 예를 들면 자동차, 버스 또는 열차 내에서 듣는 것 등이 있다.
다른 음향 환경은 보청기의 다른 미세 피팅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의를 듣는 음향 환경에 미세 피팅된 개별화 압축기는 음성에 전형적인 음압 레벨 및 주파수를 증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음악을 듣는 음향 환경에 미세 피팅된 다른 개별화 압축기는 보청기 사용자의 개별적인 필요조건에 따라서 고음 또는 저음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증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개별화 압축 특성(23a, 23b, 23c)은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상위 개별화 압축기(21a)는 전체 입력 범위에 걸쳐서 동일하게 큰 증폭을 제공하는 개별화 압축 특성(23a)을 갖는다. 한가운데의 개별화 압축기(21b)는 작은 음압 입력 레벨에서 뿐만 아니라 큰 음압 입력 레벨에서 증폭을 거의 또는 전혀 제공하지 않지만 중간 음압 입력 레벨에 대해서는 많은 증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개별화 압축 특성(23a)을 갖는다. 최하위 개별화 압축기(21c)는 작은 음압 입력 레벨에 대하여 증폭을 제공하고, 큰 음압 입력 레벨에 대하여 부의 증폭을 제공하며 중간 음압 입력 레벨에 대해 증폭을 거의 또는 전혀 하지 않도록 구성된 개별화 압축 특성(23c)을 갖는다. 도시된 개별화 압축 특성(23a, 23b, 23c)은 임의로 선택되고 임의의 주어진 음향 상황에 특별히 적합되게 구성되지 않는다.
스위치(15)로 표시된 것처럼, 단지 하나의 개별화 압축기, 즉 압축 특성이 우세한 음향 환경에 대응하는 개별화 압축기만이 소정 시간에 스위치된다.
분류기(16)는 다수의 미리 정해진 다른 음향 조건들을 구별할 수 있다. 이것에 기초해서, 분류기는 특정 순간에 어떤 음향 환경이 우세한지 결정하여 그 음향 환경에 대응하는 개별화 압축 특성을 가진 개별화 압축기를 스위칭할 수 있다. 분류기의 예는 US-5202927에 개시되어 있다.
하나의 개별화 압축 특성으로부터 다른 개별화 압축 특성으로 부드러운 천이를 달성하는 수단은 특히 사용자가 많은 동시 음향 상황들이 경쟁하는 환경에 있을 때 더 연속적인 음향 경험을 얻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자신이 상이한 개별화 압축기(21a, 21b, 21c)들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은 도 6에 블록(17)으로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 입력(17)은 분류기(16)에 대신해서, 또는 도시된 것처럼 분류기(16)에 추가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도시 및/또는 설명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각종의 수정예 및 변형예가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6)

  1. 보청기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향 신호를 포착하는 단계와,
    -상기 음향 신호로부터 입력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신호로부터 유도된 수와 상기 입력 신호를 곱셈함으로써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신호 처리 장치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신호 레벨을 추정하여 입력 신호 레벨 추정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상기 입력 신호 레벨 추정치를 표준 압축기의 입력으로서 사용하여, 표준 압축 특성에 따라서 표준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것에 의해 표준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표준 처리 실행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상기 입력 신호 레벨 추정치를 개별화 압축기 및 적응 처리 수단의 입력으로서 사용하여, 개별화 압축 특성에 따라서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것에 의해 개별화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개별화 처리 실행 단계와,
    -적응 처리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도록 상기 표준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사용한 입력 신호의 적응 처리 실행 단계와,
    -표준 처리 제어 신호 성분, 개별화 처리 제어 신호 성분, 및 적응 처리 제어 신호 성분을 곱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 처리, 개별화 처리, 및 적응 처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되는 것인 신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손실을 모방하도록 개별화 압축 특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시간의 함수에 따라 변할 수 있는 환경순응 파라미터와 곱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환경순응 시간 범위의 경과 후에 상기 환경순응 파라미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환경순응 시간 범위의 경과에 응답하여 다수의 미리 정해진 개별화 압축 특성 중에서 개별화 압축 특성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청기 사용량 기록의 상태를 기초하여 환경순응 시간의 경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이 보청기 시스템의 제1 보청기와 제2 보청기 사이에서, 제1 보청기 및 제2 보청기의 환경순응 시간의 경과를 각각 나타내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를 교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보청기 및 상기 제2 보청기의 상기 파라미터들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를 기초하여 상기 양이 보청기 시스템에서 환경순응의 공통 단계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청기 및 상기 제2 보청기에서 상기 환경순응 시간의 경과를 각각 나타내는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상기 제2 파라미터 중 더 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환경순응 단계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다수의 미리 정해진 개별화 압축 특성 중에서 개별화 압축 특성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중 톤 다중 주파수(Dual-Tone-Multi-Frequency; DTMF) 톤의 소정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청기가 상기 톤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톤에 의존하여 환경순응의 단계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응 처리는 음성 양해도 지수의 최적화를 포함한 것인 신호 처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개별화 압축기 특성은 보청기 사용자의 개별적 선호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인 신호 처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한 범위의 압축기 입력 레벨에 걸쳐 분산된 다수의 미리 정해진 조정점을 이용하여 개별화 압축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입력은 음압 레벨의 추정치이고, 상기 조정점의 간격은 2 dB 내지 20 dB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것인 신호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입력은 음압 레벨의 추정치이고, 상기 조정점의 간격은 2를 기수로 하고 자연수로부터 선택된 지수를 갖는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선택되는 것인 신호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점의 간격은 8 dB이 되도록 선택되는 것인 신호 처리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준 압축 특성은 한 범위의 압축기 입력 레벨에 걸쳐 분산된 다수의 미리 정해진 조정점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고, 개별화 압축 특성은 상기 표준 압축 특성보다 더 많은 조정점을 갖는 것인 신호 처리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음향 환경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별화 압축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와,
    -현재의 음향 환경에 대응하는 개별화 압축 특성에 따라서 개별화 압축기 이득 제어 출력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신호 처리 방법.
  19. 보청기에 있어서,
    음향 신호를 포착하는 수단과;
    상기 음향 신호로부터 입력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과;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과;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출력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은,
    표준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표준 압축기 특성을 가진 표준 압축기와,
    개별화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개별화 압축기 특성을 가진 개별화 압축기와,
    상기 표준 제어 신호 성분을 이용하여 적응 제어 신호 성분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적응 처리 수단과,
    상기 표준 압축기, 상기 개별화 압축기, 및 상기 적응 처리 수단에 대해 입력을 제공하는 신호 레벨 추정기와,
    상기 제어 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표준 제어 신호 성분, 상기 개별화 제어 신호 성분, 및 상기 적응 제어 신호 성분을 함께 곱셈하는 곱셈 수단을 포함하고,
    표준 처리, 개별화 처리, 적응 처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되는 것인 보청기.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27017072A 2009-12-09 2009-12-09 보청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보청기 피팅 방법 및 보청기 KR101379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DK2009/050327 WO2011069504A1 (en) 2009-12-09 2009-12-09 Method of processing a signal in a hearing aid, a method of fitting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879A KR20120088879A (ko) 2012-08-08
KR101379582B1 true KR101379582B1 (ko) 2014-03-31

Family

ID=4171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072A KR101379582B1 (ko) 2009-12-09 2009-12-09 보청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보청기 피팅 방법 및 보청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85838B2 (ko)
EP (1) EP2510227B1 (ko)
JP (1) JP5462952B2 (ko)
KR (1) KR101379582B1 (ko)
CN (1) CN102667142B (ko)
AU (1) AU2009356482B9 (ko)
CA (1) CA2782646C (ko)
DK (1) DK2510227T3 (ko)
WO (1) WO2011069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7155B1 (en) * 2019-08-14 2020-06-16 Mimi Hearing Technologies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audio replay on a plurality of consumer devices
EP2670168A1 (en) * 2012-06-01 2013-12-04 Starkey Laboratories, Inc. Adaptive hearing assistance device using plural environm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KR101490336B1 (ko) * 2013-04-24 2015-02-05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자 개별 환경 맞춤 방식의 보청기의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저장 매체
KR101411650B1 (ko) * 2013-06-21 2014-06-24 김남규 키 입력 장치, 키 입력 인식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키 입력 시스템
US8965016B1 (en) * 2013-08-02 2015-02-24 Starkey Laboratories, Inc. Automatic hearing aid adaptation over time via mobile application
CN105612692B (zh) * 2014-01-30 2018-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压缩音频信号的数字压缩器
US9363614B2 (en) * 2014-02-27 2016-06-07 Widex A/S Method of fitting a hearing aid system and a hearing aid fitting system
CN103813253B (zh) * 2014-03-11 2017-11-21 深圳市微纳集成电路与系统应用研究院 助听器声音处理方法
WO2015153867A1 (en) 2014-04-04 2015-10-08 Starkey Laboratories, Inc. Fitter defined user controlled adaptation tool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DK2991379T3 (da) 2014-08-28 2017-08-28 Sivantos Pte Ltd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forbedret opfattelse af egen stemme
EP3021600B1 (en) * 2014-11-13 2017-10-11 Oticon A/s A method of fitting a hearing device to a user, a fitting system for a hearing device and a hearing device
WO2018019363A1 (en) 2016-07-26 2018-02-01 Sonova Ag Fitting method for a binaural hearing system
AT520176B1 (de) * 2017-07-10 2019-02-15 Isuniye Llc Verfahren zum Modifizieren eines Audiosignals
EP3614380B1 (en) 2018-08-22 2022-04-13 Mimi Hearing Technologies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sound enhancement in audio systems
EP3641343B1 (en) 2018-10-15 2021-01-20 Mimi Hearing Technologies GmbH Method to enhance audio signal from an audio output device
CN111432319B (zh) * 2020-03-23 2021-01-26 杭州惠耳听力技术设备有限公司 多通道数字助听器配置装置及配置方法
WO2022030002A1 (ja) * 2020-08-07 2022-02-10 株式会社オトキュア 補聴器調整システム、及び、補聴器調整方法
WO2023166887A1 (ja) * 2022-03-04 2023-09-0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補聴器、充電装置、補聴器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3655A (en) * 1996-10-23 1999-05-11 Telex Communications, Inc. Compression systems for hearing aids
EP1522206A1 (en) * 2002-07-12 2005-04-13 Widex A/S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enhancing speech intelligibility
US20080107296A1 (en) 2004-01-27 2008-05-08 Phonak Ag Method to log data in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 hearing device
EP1981309A1 (en) * 2007-04-11 2008-10-15 Oticon A/S Hearing aid with multi-channel c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0588A1 (de) 1989-01-11 1990-07-19 Toepholm & Westermann Fernsteuerbares, programmierbares hoergeraetesystem
JP2568134B2 (ja) * 1990-09-04 1996-12-25 リオン株式会社 補聴器
JP3269669B2 (ja) * 1992-09-24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聴覚補償装置
JP3324312B2 (ja) * 1994-12-08 2002-09-17 ヤマハ株式会社 補聴器
WO1996035314A1 (en) 1995-05-02 1996-11-07 Tøpholm & Westermann APS Process for controlling a programmable or program-controlled hearing aid for its in-situ fitting adjustment
DK1059016T3 (da) 1997-12-23 2002-09-09 Widex As Dynamisk automatisk forstærkningsregulering i et høreapparat
WO2000065872A1 (en) * 1999-04-26 2000-11-02 Dspfactory Ltd. Loudness normalization control for a digital hearing aid
JP3794881B2 (ja) * 1999-10-25 2006-07-12 リオン株式会社 補聴装置
EP1250027A1 (en) * 2001-04-13 2002-10-16 Widex A/S Suspression of perceived occlusion
AU2006341496B2 (en) * 2006-03-31 2010-04-29 Widex A/S Hearing aid and method of estimating dynamic gain limitation in a hearing aid
US8801592B2 (en) * 2007-03-07 2014-08-12 Gn Resound A/S Sound enrichment for the relief of tinnitus in dependence of sound environment classif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3655A (en) * 1996-10-23 1999-05-11 Telex Communications, Inc. Compression systems for hearing aids
EP1522206A1 (en) * 2002-07-12 2005-04-13 Widex A/S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enhancing speech intelligibility
US20080107296A1 (en) 2004-01-27 2008-05-08 Phonak Ag Method to log data in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 hearing device
EP1981309A1 (en) * 2007-04-11 2008-10-15 Oticon A/S Hearing aid with multi-channel com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62952B2 (ja) 2014-04-02
CN102667142A (zh) 2012-09-12
AU2009356482B2 (en) 2013-08-15
KR20120088879A (ko) 2012-08-08
AU2009356482B9 (en) 2014-01-23
EP2510227B1 (en) 2017-06-28
JP2013512632A (ja) 2013-04-11
US8885838B2 (en) 2014-11-11
CN102667142B (zh) 2015-09-16
US20120243693A1 (en) 2012-09-27
DK2510227T3 (en) 2017-08-21
EP2510227A1 (en) 2012-10-17
CA2782646C (en) 2014-09-02
CA2782646A1 (en) 2011-06-16
AU2009356482A1 (en) 2012-06-21
WO2011069504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582B1 (ko) 보청기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보청기 피팅 방법 및 보청기
JP4694835B2 (ja) 補聴器および音声の明瞭さを高める方法
US20180176696A1 (en) Binaural hearing device system with a binaural impulse environment detector
AU2008361614B2 (en) Method for sound processing in a hearing aid and a hearing aid
CN107277697B (zh) 音频处理装置、系统及方法
US7796770B2 (en) Hearing aid with frequency channels
US10375484B2 (en) Hearing aid having level and frequency-dependent gain
US9392378B2 (en) Control of output modulation in a hearing instrument
US11978469B1 (en) Ambient noise aware dynamic range control and variable latency for hearing personalization
US11996812B2 (en) Method of operating an ear level audio system and an ear level audio system
US20210227340A1 (en) Compensating Hidden Hearing Losses by Attenuating High Sound Pressure Levels
WO2010000042A1 (en) Linear gain amplification for mid-to-high intensity sounds in a compressive sound processor
EP3783921B1 (en) Adjusting a frequency dependent gain of a hearing device
US20070019833A1 (en)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an amplification characteristic
CN112416287A (zh) 控制听力设备的音量动态
US20080130928A1 (en) Hearing apparatus with unsymmetrical tone balance unit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US11902747B1 (en) Hearing loss amplification that amplifies speech and noise subsignals differently
Oetting et al. Hearing supportive algorithm with self-adjustment user interface integrated in the telephone network
WO2023280359A1 (en) Adaptation methods for hearing aid and hearing aid incorporating such adaptation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